출간소식2015. 1. 7. 15:22

 

 

 

 

 

 

 

 

세종대왕이 만든 조선조 최고의 악무  봉래의를 복원ㆍ해석  

봉래의에 대한 음악ㆍ문학ㆍ무용의 융합 연구결과를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으로 출간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는 저는 을미년 벽두에 문숙희 박사(전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 연구원)손선숙 박사(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 연구원) 등과 함께 <<세종대왕의 봉래의(鳳來儀), 그 복원과 해석>>(민속원)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47’로 출간했습니다.

 

지난 3년간 3회에 걸쳐 봉래의 복원 공연을 국립국악원의 무대에 올렸고, 그 결과를 DVD로 담아 이 책에 붙여 놓기도 했습니다. 문학 분야인 악장의 연구를 제가 맡았고, 음악을 문숙희 박사가, 무용을 손선숙 박사가 각각 맡았습니다. 제 분야인 악장이야 그다지 보실 만한 건 없으나 음악이나 무용 분야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여 봉래의를 복원한 점은 무엇보다 내놓고 자랑할 만합니다. 이 책을 찬찬이 읽어 보시면 세종대왕이 그리던 새 왕조 조선의 미래가 어떤 것이었는지를 짐작하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이번 연구 작업을 통해 왕조의 미래에 대한 꿈을 엄청난 규모의 예술로 승화시켜 놓은 세종대왕의 능력과 통찰에 새삼 감동하게 되었습니다. 대강의 내용을 추려 아래에 붙여 놓습니다.

 

***

 

‘2014년 한국연구재단 우수 연구 성과로 선정된 바 있는 이 책은 문학음악무용 분야를 전공한 세 저자들이 융합적 시각에서 세종대왕이 지은 조선조 최대 악무(樂舞) 봉래의를 복원하고 해석한 결과물이다. 1443년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했고, 그 훈민정음으로 <용비어천가>를 제작하게 했으며, <용비어천가>를 노랫말로 올린 가악의 종합예술체인 봉래의를 몸소 만들었다. 1445(세종 27) 왕명으로 지어올린 <용비어천가>의 일부 가사를 악곡에 올리고 무악(舞樂)으로 구성하여 조선조 후기까지 연행(演行), 조선조 최대의 창작 악무가 바로 봉래의인 것이다.

 

봉래의는 여민락치화평취풍형으로 이루어진 최대 규모의 악무다. <<서경>> <익직(益稷)>으로부터 나온 봉래의란 말은 잘 다스려진 상황을 비유한 표현인데, 태평성대를 찬양하는 노래를 지어 봉황래의(鳳凰來儀)’라는 명칭을 붙인 후대의 관습에서 유래되었다.

여민락(與民樂)’여민동락(與民同樂)’ 혹은 여민해락(與民偕樂)’과 같은 뜻으로 <<맹자>> <양혜왕 장구 하>에 등장하는 여민동락에서 나온 말이다. 임금이 덕을 지닌 경우 징발하지 않아도 백성들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임금을 위해 정원을 만들고 그 정원에서 임금이 즐기는 모습을 기뻐한다는 말인데, 그것이 바로 여민동락의 모습이라는 설명이다. 봉래의 악무의 첫 정재를 여민락으로 잡은 세종의 뜻은 하늘의 뜻으로 세운 왕조에서 태평성대를 만들 수 있는 첫 조건이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누리는 일이라는 점에 있다. <용비어천가>1~4장과 졸장 등 다섯 개의 장을 뽑아서 구성해 놓은 것이 바로 여민락이다.

 

치화평(致和平)’<<주역>> <하경> ‘택산함괘에 대한 정자(程子)의 설명에 등장하는 말로서 천지와 인심의 감통(感通)에 바탕을 둔 조화가 천하태평의 요체임을 보여주는 개념이다. 정자의 설명 가운데 핵심은 천지가 서로 감응하여 만물을 화생하는 이치와 성인이 인심을 감동시켜 화평을 이루는 도를 관찰하면 천지만물의 정을 가히 볼 수 있다는 부분이다. ‘인심을 감동시켜 화평을 이루는 도그것이 바로 치화평이다. 치화평에서는 <용비어천가> 1~16장과 125장의 국한문 가사들을 악장으로 끌어다 사용했다.

 

취풍형은 <<시경>> <주송> ‘집경13구인 기취기포(旣醉旣飽)’<<주역>> <하경> ‘뇌화풍(雷火豐)’괘에서 따온 개념이다. 취풍형이란 말 속에는 군신이 배불리 취해도 예에 어그러짐이 없음/풍형에도 절제가 있어야 함이란 두 가지의 뜻이 들어 있다. 즉 군신이 태평세월을 구가하고 즐기면서도 예에 어그러지지 않는 절도를 지켜야 하며, 아무리 풍요로워도 그에 지나치게 도취하여 절제를 잃어버리면 안 된다는 것이다. <용비어천가> 1~9장 및 125장의 국한문 가사를 악장으로 끌어다 쓴 것이 취풍형의 악장이다.

 

이처럼 봉래의 악무에 들어 있는 세 정재[여민락, 취화평, 취풍형]들은 서로 독자적이면서도 <용비어천가>의 주제로 제시된 경천근민[敬天勤民: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들을 위해 부지런해야 함]’의 행동강령을 공유한다. 말하자면 백성들과 함께 하거나 신하들과 함께 하며, 백성신하와 함께 해도 공통적으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후왕들이 경천근민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처럼 여민락치화평취풍형을 종합한 봉래의 악무에는 신하들과 백성들을 상대로 조선왕조 건국의 의의와 육조(六祖)의 시련을 깨우쳐 주고, 후왕들이 나라를 잘 보수(保守)함으로써 왕조가 영속될 수 있도록 하라는 세종의 뜻이 주제의식으로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봉래의 다섯 곡은 전인자 3소박 8박자여민락 2소박 8박자치화평 3소박 4박자취풍형 323 혼소박 6박자후인자 3소박 8박자의 리듬으로 진행된다. 음악의 템포는 노래와 무용 모두를 좌우하기 때문에 가악의 관계 속에서 찾을 수 있었는데, 궁중 정재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또 가사의 의미를 잘 전달할 수 있는 템포가 타당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봉래의를 구성하는 여민락치화평취풍형의 본체는 만()()()으로 구분되었고, 여민락과 치화평의 템포는 메트로놈 상으로 유사했고, 취풍형은 이 둘보다 훨씬 빠른 템포로 나타났다. 여민락은 2소박이고 치화평은 3소박이기 때문에 여민락이 치화평보다 조금 더 느리다고 할 수 있다. 여민락치화평취풍형은 각각 길고 복잡한 장단으로 되어 있으나, 이번 복원 공연에서는 긴 장단 속에 세분되어 있는 리듬 단위로 장단을 짧게 단순화하여 연주했다. 그 결과 장고가 음악과 무용을 이끌기에 용이했고 또 액센트가 짧은 주기로 분명히 드러나기 때문에 음악과 무용에 생동감을 주었다.

 

무용의 경우 확실한 기록이 부족하다는 난점이 있었다. 즉 문헌에는 무기(舞妓)들의 대형 형태, 이동과정, 춤사위 등만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을 뿐, 어느 시점에 어떤 발로 어떤 속도로 어떤 방향으로 돌아 어느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지 등 실연(實演)에 필요한 내용들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이다. 봉래의의 무용을 복원함에 있어서 이런 부분들은 <<악학궤범>>에 수록된 여러 정재들과 정재의 무도(舞圖)들을 통합비교하여 음악과 노래, 무기들의 위치 및 이동 공간 등의 상호 관계를 통해 찾아냈다.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춤사위는 봉래의 춤 전체의 진행 구조를 통해 찾아냄으로써 봉래의 춤에 통일성을 부여했다. 음악이나 무용도 악장 내용의 전개와 함께 함을 확인했는데, 이렇게 가악으로 임금에게 교훈적인 말을 전달하고자 한 제작 의도는 가악의 융합정신이 봉래의라는 종합예술 속에서 충분히 구현되었음을 보여주는 실례였다.

 

이상과 같이 세 연구자는 음악이 기보되어 있는 <<세종실록악보>>, 춤 순서 및 노래 가사가 기록되어 있는 <<악학궤범>>을 통해 봉래의를 융합적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악에 관련된 여러 전제조건들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봉래의의 종합예술체적 성격을 완벽에 가깝도록 복원한 점이 이 책의 최대 장점이고, 그것은 세 차례의 공연을 통해서도 입증된 바 있다.

 

 


공연 팸플릿

 

 


세종실록

 

 


세종대왕

 

 


공연에서 세종으로 분장한 배우 정훈씨

 

 


봉래의 공연

 

 


봉래의 공연

 

 


봉래의 공연

 

 


봉래의 공연

 

 


봉래의 공연

 

 


봉래의 공연

 

 


봉래의 공연

 

 


봉래의 공연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12. 31. 13:26

               

轍鮒之急

飽食煖衣

 

 

‘교수신문’이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로 ‘지록위마(指鹿爲馬)’를 선정했다는 보도가 한동안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습니다.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것. 즉 거짓으로 윗사람과 주변사람들을 농락한다는 뜻입니다. 이 말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한 일에 대하여 딱히 반론을 제기할 이유는 없습니다.

 

사실 저도 이 달 초 같은 신문으로부터 올해를 대표할만한 사자성어 두 건을 추천해달라는 요청을 받은바 있습니다. 당시 저는 조용히 눈을 감은 채 한 해의 영상을 뒤로 빠르게 돌려보았습니다. ‘지록위마’가 떠오르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사실 그건 너무 싱거운 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언제 우리네가 ‘지록위마’의 거짓과 비리로부터 자유로울 때가 있었던가요. 특히 지도층의 가식과 위선, 혹은 ‘갑질’의 행태에서 한 번이라도 벗어나 본 적이 있었나요. 지금까지, 아니 지금부터 앞으로 언제까지나 ‘지록위마’의 상황을 그러려니 여기며 살아가는 게 속 편한 것이 우리 장삼이사(張三李四)들의 팔자가 아닌가요. ‘지록위마’가 새삼 올해만의 사자성어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 것도 그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철부지급(轍鮒之急)’과 ‘포식난의(飽食煖衣)’ 등 두 가지 성어를 추천했습니다. 우리의 현실을 적실하게 나타낸 말이라고 본 것입니다.

 

‘수레바퀴(자국) 속의 붕어’ 즉 ‘생존을 위해 당장 한 바가지의 물이 필요할 뿐 장강대하(長江大河)의 물은 먼 훗날에나 필요하다’는 것이 ‘철부지급’의 뜻이고, ‘생활고로 죽어가는 서민들을 살려내는 것이 시급한데, 나라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너무 멀리만 바라보고 있다’는 현실 비판이 그 말의 속뜻입니다. 당장 한 줌의 곡식이 없어 죽어가는 서민들을 바라보며 ‘100년 대계(大計)’를 고창(高唱)하던 그 시절의 위정자들을 장자(莊子)는 한심하게 바라보며 이 말을 했을 것입니다. ‘송파 세 모녀 자살 사건’ 같은 비극이 날마다 일어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인데, 당장 이들을 살려내지 못하는 위정자나 정치인들은 대체 무얼 쳐다보고 있는 걸까요.

 

‘포식난의’는 <<맹자>> ‘등문공 상편’의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으면서 가르침이 없다면 짐승에 가까워진다[飽食煖衣 逸居而無敎 則近於禽獸]’는 맹자의 일갈(一喝)에서 나온 말입니다. 따라서 ‘제대로 된 가르침’이 전제될 때 비로소 이 말의 의미는 온전해지는 것이지요. 국회의원 김현의 대리기사 폭행사건, 대한항공 조현아 전 부사장의 기내(機內) 패악사건 등 올해 일어난 이른바 ‘갑질 사건’들의 근저를 설명하기 위해 이 말은 필수적이라 본 것입니다. 이들은 권력이나 부를 거머쥐고 ‘포식난의’를 즐기는 대표적 부류입니다. 그런데 ‘포식난의’를 즐기면서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함으로써 그들은 맹자의 말처럼 결국 ‘짐승에 가까운 행태’를 보여주게 된 것이지요. 여기서 말하는 교육이란 ‘지식교육’ 아닌 ‘인간교육’을 말하는데, 그 출발점이자 종착점이 바로 ‘가정교육’입니다. 1차적으로 김현의 부모나 조현아의 부모에게 비난의 화살이 쏠리는 것도 그 때문일 겁니다.

 

***

 

그래서 저는 ‘철부지급’과 ‘포식난의’를 올해 이 땅에서 근근이 살아온 서민들의 곤경을 대표적으로 드러낸 사자성어로 들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새해에는 정말로 정치인들이나 부자들이 대오각성(大悟覺醒)하여 수레바퀴 자국에 고인 한 모금의 물속에서 몸부림치는 서민들의 급박한 사정을 헤아려야 합니다. 요즘 종북주의자들로 매도되는 일부 인사들이 그 ‘종북’의 혐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철부지급’ 중에서도 최고로 급박한 처지에 놓인 북한 주민들의 삶을 먼저 걱정하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고, 이 땅의 정치인들은 자신들에게 붙어 다니는 ‘무책임’의 꼬리표를 떼기 위해서라도 어려운 서민들이 겪고 있는 ‘철부지급’의 상황을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새해엔 서민들이 진정으로 ‘포식난의’를 즐기는 원년이 되었으면 합니다. 새해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12. 22. 16:32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학술 심포지엄[ ‘동요하는 경계들: 자연, 기술, 예술’]-오키나와 나고 시

메이오 대학교/2014년 11월 22-23일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 심포지엄 표지


 


다큐멘타리의 내레이터로 등장하여 끝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이시무레 미치코 선생

 

 


다큐멘터리 <꽃의 정토로> 타이틀 화면

 

 


이시무레 미치코의 <<고해정토>>의 영문 번역판

 

 


한국의 전통 생태학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필자

 

 


이시무레 미치코의 「꽃의 정토로(花の億土へ)」에 나타난 '문학이론의 척도'를 발표하고 있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크리스틴(Marran, Christine L.) 교수

 

 


발표를 마치고 같은 세션의 발표자들과 함께

 

 


점심식사 후 대만 담강대학교(Tamkang University)의 황(Huang, Peter) 교수와 함께 

 

 

 

 

*교수신문 760호(2014. 12. 22)에 실린 글을 이곳에 퍼다 놓습니다.

 

 

 

'환경과 문학' 담론, 그 세련화를 지향하며

   학술대회 참관기-문학과 환경학회 국제심포지엄을 다녀와서
2014년 12월 22일 (월) 10:16:58 교수신문 editor@kyosu.net

   
 

 

▲ 해상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헤노코 해변에 설치한 텐트.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심포지엄이 열린 오키나와는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조규익 교수는 바로 이곳에서 일본의 환경론이 보다 심도있게 융합 양상을 띄며 발전하고 있음을 목격했다고 말한다. 사진제공= 조규익

 

 

 
 
이 글은 조규익 숭실대 교수(국어국문학과)가 지난 11월 22일부터 이틀간 일본 오키나와 나고 시의 메이오대에서 열린 2014년 동아시아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 심포지엄[2014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terature and Environment in East Asia[ISLE-EA]/Unsettling Boundaries: Nature, Technology, Art]을 다녀와서 학회 참관기로 보내온 글이다.

 

 


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오키나와 나고(名護) 시의 메이오(名櫻) 대학에서 열린 ‘2014년 동아시아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 심포지엄’은 한국·일본·미국·타이완·중국·오스트레일리아·홍콩·캐나다 등 세계 각국에서 모여 든 100여명의 학자들과 수십 명의 대학원생들이 모여 벌인 학술의 난장이었다. ‘동요하는 경계들: 자연, 기술, 예술’이란 주제가 암시하듯 현격하게 다른 분야의 학문들이 환경이란 범주로 융합돼야 하는 당위를 모토로 내건 심포지엄이었다.

 

‘전날 밤의 다큐멘타리 상영/이틀에 걸친 논문 발표/환경 분쟁지역 헤노코(へのこ) 답사’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진행된 심포지엄의 메시지는 명확했다. 환경파괴가 단순히 물리적인 문제이거나 순간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한시적인 문제가 아니며, 세대를 넘어 영원히 지속될 뿐 아니라 인문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의 지혜를 융합해 미연에 방지하거나 해결해야 할 ‘절박한 삶의 문제’임을 천명하는 것이 그 핵심이었다.

 

심포지엄 전날 밤 참여자들을 위해 상영한 다큐멘타리「꽃의 정토로(花の億土へ)」는 이 심포지엄이 지향하는 결론을 미리 암시한 일종의 가설이자 화두(話頭)였다. 자신의 고향 구마모토 현(熊本縣)의 미나마타(水俣)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환경문제를 문학으로 고발해 전 세계에 알림으로써 환경 공해의 고발과 해결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이시무레 미치코(石牟괋道子). 그녀가 주연으로 출연해 미나마타병의 현상과 의미를 심도 있게 설파하고, 시라누이(不知火) 바다의 아름다운 사계를 통해 그 공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시간대의 희망을 그려낸, ‘한 편의 시’와 같은 기록 영화였다.

그 바다가 갖고 있던 본래의 환상적인 아름다움과 공해로 일그러진 현실의 참상이 대비되면서 자연환경의 파괴가 인류의 삶에 무슨 의미를 갖고 있는지 보여주고자 한 듯, 전편에 걸친 ‘환상과 리얼리즘’의 융합적 미학이 두드러진 작품이었다.

 

이시무레 미치코의 삼부작(<<고해정토(苦海淨土)>>, <<신들의 마을>>, <<하늘의 물고기>>)은 이미 환경 문제를 예술로 승화시킨 고전의 반열에 올라 있었으며, 일본 학자들은 물론 서양 학자들도 이시무레 미치코와 그녀의 문학을 ‘환경 혹은 환경문학’의 중심에 올려놓고 그들의 담론을 생산하거나 정제시키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을 보는 순간 아름다운 헤노코 해변을 누구로부터 지켜야 하는지,
난해한 의문이 떠올랐다. 누구의 말대로 ‘세계전략 차원의 폭거를 자행하고
있다’는 미국인가, 아니면 그 미국을 편드는 일본 정부인가, 아니면 일본의
가상적 적대국인 중국이나 북한인가. 그런 것들이 아니라면 개발이란 미명
아래 자연환경을 운명적으로 파괴할 수밖에 없는 우리 자신들인가.

 

 

서구 사회나 일본이 일찍부터 산업화의 길을 걸어온 만큼 환경 파괴의 문제나 삶의 피폐화 등 인간 소외의 문제를 인식하고 자각해온 역사가 길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할만하다. 그런 비극적 현상들을 각종 예술의 소재로 그려내고자 한 것도 충분히 이해할만하다. 그러나 철학이나 종교학을 포함한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그런 것들을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성화되면서 환경론이 보다 심도 있는 융합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한 점은 충격이었고, 그것은 적어도 우리가 갖고 있는 환경인식의 낙후성이나 단편성과 대비되는 그들의 학문적 선진성일 수밖에 없었다. 물론 그들의 경우 이미 담론화된 철학 혹은 인문과학을 환경과 억지로 융합시키려 한다는 혐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는 있겠지만, 아무리 환경이 물적인 객체라 해도 그것이 담론화의 대상으로 이미 편입돼 인식의 한 자리를 점하고 있는 한 그들과 대비되는 우리의 후진성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지막 날 답사한 헤노코(へのこ) 해변을 바라보며, 군사기지 건설의 현실적 필요성과 자연보호의 명분은 양자택일의 문항이 아니라 그 역시 지혜로운 타협과 융합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다는 나름의 판단을 내리게 됐다. 미 해군기지의 증설을 극력 저지하며 투쟁하고 있는 사람들의 텐트 바깥엔 ‘투쟁 3871일째’라는 팻말이 작지만 완강한 모습으로 버티고 서 있었다. 그들을 보는 순간 아름다운 헤노코 해변을 누구로부터 지켜야 하는지, 난해한 의문이 떠올랐다. 누구의 말대로 ‘세계전략 차원의 폭거를 자행하고 있다’는 미국인가, 아니면 그 미국을 편드는 일본정부인가, 아니면 일본의 가상적 적대국인 중국이나 북한인가. 그런 것들이 아니라면 개발이란 미명 아래 자연환경을 운명적으로 파괴할 수밖에 없는 우리 자신들인가.

 

환경론의 인문학적·미학적 승화는 단발적 캠페인이나 저항운동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환경문제를 ‘대를 이어’ 지속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원리로 격상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우리가 환경 문제를 문학이나 예술로 고발하고 형상화 할 뿐 아니라 초기 단계부터 교육과 연계시킨다면 ‘미래의 개연적 환경파괴 문제’는 근원적으로 예방될 수 있을 것이며, 예기치 않은 환경문제들도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의 틀을 수월히 마련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역사 발전 원리의 두 축인 당위와 현실은 환경에도 적용돼야 하고, 그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갖춰야 할때임을 깨달은 기회였다.

 

                                                                                     조규익(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오키나와 전도

 

 


오키나와 나하 시 시가지

 

 


나고 시 도착 후 저녁식사를 한 식당

 

 


마을 식당의 소박하고 정갈한 상차림

 

 


저녁 무렵 나고 만에서

 

 


호텔 창 밖으로 내다 보이는 저녁 무렵의 나고 만

 

 


학술 심포지엄이 열린 메이오 대학 정문

 

 


나고 시 시가지

 

 


호텔 근처에서 만난 교회[종교법인 궁리(宮里) 그리스도 교회]

 

 


교회의 내부

 

 


헤노코 해변으로 가는 길에 만난 미군기지[Camp Shwab]

 

 


투쟁단의 텐트에 부착된 구호[새 지사와 함께 열심히 합시다!!]

 

 


헤노코 해변 해상기지 건설 저지 투쟁 3871일째를 알리는 표지판

 

 


헤노코 해변에서 바라본 캠프 슈와브

 

 


헤노코 해변에서 만난 용궁신사

 

 


헤노코 해변의 아름다운 바위

 

 


헤노코 해변의 방파제

 

 


헤노코 해변 방파제 안쪽


 

 

 

Posted by kicho
글 - 학술문2014. 12. 15. 13:23

<<아리랑연구총서 ②>>가 출판되었습니다!

 

 

 

 

 

 

 

아리랑 연구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아리랑 논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어떠한 텍스트를 바탕으로 아리랑 연구를 시작해야 하는가?’

아리랑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려 한다거나, 좀 더 심도 있는 연구를 원하는 학자들은 흔히 이러한 의문과 곤란에 부딪치게 됩니다.

 

이번에 출판된 <<아리랑 연구총서 2>>2010~2013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들을 모은 것으로, 최근에 이루어진 아리랑 논고의 정화(精華)라 할 수 있습니다. 아리랑을 왜곡한 당대의 역사관에 대한 학술적 비평 및 기록을 바탕으로 한 원형적 모습에 대한 역사적 고찰(숭실대 조용호 교수), 북한(한양대 김영운 교수강원(민족사관고 박관수 박사경상(부산대 서정매 교수전라(전남대 이용식 교수) 등 지역별로 존재하는 아리랑에 대해 심화된 연구, 기호학(서강대 송효섭 교수) 및 정신분석(서강대 김승희 교수) 측면에서 시도하는 새로운 분석 기법, 음악학적 논의(경인교대 김혜정 교수), 호머 헐버트에 대한 분석적 고찰(전주대 김승우 교수), 지금까지 존재하는 아리랑의 주요 담론에 대한 정밀한 비평(숭실대 조규익 교수) 등 축적된 연구물의 결정판이라는 것이 보신 분들의 평입니다. 나아가 향후의 연구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금석이 되고 있기도 합니다.

 

아리랑 연구 총서 작업은 전10집을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1집은 초창기 연구자들의 주요 담론들을 수록함으로써 원문 탐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질 높은 자료를 제공하는 의미를 갖습니다. 2집은 초기의 상황과 대비하여 어떠한 발전 도상에 있는지 반성하는 측면에서 최근의 논의들을 담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나오게 될 제3집에는 192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기되어 온 일본관련 학자들의 아리랑 논고들을 모아 실을 예정입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획된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의 아리랑 연구총서를 아리랑 연구의 길잡이로 보는 이유도 이 점에 있습니다.

 

*********

 

 

 

 

 

 

참고로 <<아리랑 연구총서 2>>의 머리말을 들겠습니다.

 

 

 

머리말

 

201212,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아리랑은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다.

 

아리랑의 연고권에 관한 특정 국가와의 갈등을 극복하고 이룩한 쾌거라서 더욱 값진 일이긴 하나, 새롭게 지게 된 부담 또한 만만치 않다. 현재 아리랑이 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정신적예술적 유산임을 부인하는 사람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그럼에도 유관국은 자국 내 조선족의 존재를 내세워 자신들이 아리랑을 선점하려는 욕을 내보였다. 그 뿐 아니다. 그들이 그런 욕을 내보인 데는 아리랑이 우리 것이라는 사실만 믿고 그것을 갈고 다듬는 일에 소홀한 우리의 게으름도 한몫을 했다는 점이 섬뜩하다. ‘아리랑에 대한 내력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여타 외국인들로서야 제대로 된 논리나 근거를 먼저 들고 나오는 쪽의 손을 들어줄 것 아닌가?’라고 생각한 것이 그 나라계산이었을 것이다. 그간 아리랑에 대하여 태평하게 세월만 까먹으며 살아온 우리가 화들짝 놀란 건 당연한 일이다.

 

과연 아리랑에 대하여 우리가 해놓은 건 무엇인가? 어느 날 이웃나라가 아리랑을 내놓으라고 달려들 때 그들에게 내세울 수 있는 논리적사실적 근거를 얼마나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와 미래를 위해 아리랑을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가? 아리랑의 학술적 담론들은 얼마나 창출되었으며, 그것들을 통해 아리랑의 본질은 얼마나 밝혀졌는가? 등등 가장 현실적인 질문들에 딱히 내 놓을 게 별로 없다. 이 물음들 대부분이 학계에 던져지는 것들일 텐데, 속 시원하게 보여 줄만한 답지가 없어 안타깝다. 지금 아리랑 연구가 꽉 막혔다고들 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아리랑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대답을 못하니, 연구 활동들 역시 변죽만 울릴 따름이다.

 

이런 상황인식을 전제로, 아리랑 연구의 주된 결실들을 한 군데로 모으는 것이 난국 타개의 첫 단계라는 판단이 들었다. ‘아리랑 담론들은 어떻게 생겨났고, 후대 연구자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향후 연구의 진로는 어떻게 잡아야 하는가를 알기 위해서라도 아리랑 연구의 업적들을 모으는 일이 중요했다. 아리랑이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기 전에 발간한 것이 <<아리랑 연구총서 1>>인데, 여기에 실린 글들은 다음과 같다.

 

1. 이광수, <民謠 小考()>

2. 김지연, <조선민요 아리랑朝鮮民謠硏究()>

3. 김지연, <조선민요 아리랑()朝鮮民謠硏究()>

4. 고권삼, <‘아이롱主義>

5. 이병도, <‘아리랑곡의 유래>

6. 양주동, <<도령><아리랑>>古歌硏究 二題

7. 심재덕, <아리랑 小考>

8. 정익섭, 珍島의 민요>

9. 임동권, <아리랑의 기원에 대하여>

10. 최재억, <한국민요연구아리랑 민요고>

11. 원훈의, <아리랑 系語造語論的 考察>

 

이 글들이 바로 초기 학자들의 아리랑 담론들이다. 과연 현재우리들 이들과 비교하여 어떤 진보 혹은 발전을 이룩했는가. 우리 모두 함께 고민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

 

이번에 펴내는 2집에는 반성적 시각을 제공하려는 뜻에서 최근의 논의들을 담았고, 이어 나오게 될 3집에는 일제 강점기 일본학자들의 아리랑 관련 글들을 싣고자 한다. 아리랑이 인류무형문화재로 등재되었다하여, 우리의 할 일이 끝난 건 아니다. 치열한  논쟁과  연구를  통한  학자들의  뒷받침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아리랑의  문헌들과  현장에  대한  재 탐사를  바탕으로 그간  선진국에서  배워  온  발전된  학문 방법론들을 총동원해서라도 아리랑의 본질 모색에 착수해야 한다. 그  디딤돌  혹은  마중물의  역할을  하 려는  뜻에서 아리랑 연구총서를  기획했고, 앞으로  계속  발간할  예정이다. 아리랑과  민족  전통예술에  뜻을  갖고  있는  학자들의  서재에  이  책이  연구의  길잡이로  꽂히게  될  것을  고대하며, 강호제현의 질정을  기다린다.

 

갑오년 겨울

 

한국문예연구소

소장 조규익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