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15. 2. 3. 14:08

한국문예연구소 2015년도 상반기 전국학술발표대회 안내

 

 

 

 

 

안녕하신지요?

을미년도 벌써 한 달이 지나고 있습니다.

저희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는 작년 여러 권의 학술총서들을 발간했고, 논문집 <<한국문학과 예술>>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지로 승격되었으며, 연구소의 과제[용비어천가와 악무 <봉래의>의 복원과 문화코드 탐색]2014년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 '인문사회 우수성과'로 선발돼 표창을 받은바 있습니다. 연구소의 발전을 위해 힘써 주시고 성원해주신 모든 분들게 감사드립니다.

저희들은 다음과 같이 17세기 연행록을 중심으로 2015년도 상반기 전국학술발표대회를 갖고자 합니다. 많이들 참석하시어 경청해 주시고, 고견을 들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추운 겨울, 특별히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국문예연구소 드림

 

 

학술대회 안내

 

일시 : 201526일 금요일 오후 1~오후 530

장소 : 숭실대학교 벤처관 311

주최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사회 : 허명숙(숭실대)

 

13:10~13:50 17세기 사행록의 연구현황과 전망

발표 : 정영문(숭실대)

토론 : 박성순(동국대)

 

13:50~14:30 17세기 초 사행록 서술의 양상

발표 : 김지현(한중연)

토론 : 김동석(성균관대)

14:30~15:10 17세기 초 사행록에 나타난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

- 정두원의 [조천기지도]를 중심으로

발표 : 서지원(숭실대)

토론 : 신춘호(방송통신대학 TV)

 

15:10~15:20 중간휴식

 

15:20~16:00 17세기 명청교체와 대중국사행의 변화

발표 : 김경록(전쟁기념관)

토론 : 황민호(숭실대)

 

16:00~16:40 17세기 초 사행록에 나타난 중화질서의 혼란양상

발표 : 윤세형(서일대)

토론 : 양훈식(숭실대)

 

16:40~16:20 휴식 및 회의장 정리

 

16:20~17:30 종합토론

좌장 : 조규익(숭실대)

 

오시는 길

 

지하철 : 7호선 숭실대학교 입구(살피재)3번 출구

용산역 택시 : 15

버스 : 신용산역 이동(4분 소요) 후에 501, 506, 750A, 750B, 751 승차, 26

노들 역 택시 : 8

버스 : 노들역에서 501, 752, 5517, 751, 501 승차, 20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5. 1. 30. 07:49

장하다, 네티즌 수사대여!

 

 

드디어 크림빵 뺑소니 범인을 잡았다.

밤늦게 일을 마친 젊은 남편. 만삭의 아내가 좋아하는 크림빵을 사서 길을 건너다 차에 치여 돌아오지 못할 곳으로 떠났다는, 슬픈 소식을 접한 것이 며칠 전이었다.

 

인적도 드문, 휑하게 넓은 거리. 누가 그 현장을 보았으랴? 절망감이 나를 엄습했다. 며칠 전 우연히 TV에서 산 속 농장의 염소를 모조리 물어 죽인 사건을 보았다. 피해자가 CCTV 영상을 갖다 들이대도 나 몰라라하던 경찰들. 그런 경찰들이 우글거리는 곳이 우리나라다. CCTV가 있다 한들 제대로 사진이 찍히지 않았다면, 어떻게 범인을 찾아낸단 말인가. 그러니 뺑소니 범은 안심하고 있었겠지.

 

슬픔과 절망을 느낀 게 나 뿐만은 아니었던가. 드디어 앞장 선 네티즌 수사대. 국민적 공분(公憤)이 네티즌 수사대를 움직였던 것이다. 그러니 뒤에 서서 구경만 하던 경찰도 어쩔 수 없었던 걸까. 네티즌 수사대와 경찰이 전 방위로 움직였고, 드디어 뺑소니 범은 자수하고 말았다.

 

당나라 때 황소의 난이 발발했다. 당시 토벌대 대장 고변의 종사관이었던 최치원 선생은 명문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으로 당시 사람들과 반란군의 수괴 황소의 마음을 움직였다. 특히 다음과 같은 문장들은 대표적이다.

 

온 천하 사람들이 너를 드러내놓고 죽이려 할 뿐 아니라, 지하의 귀신들까지 너를 죽이려 이미 의논했을 것이다.()나는 한 장의 글을 남겨 너의 거꾸로 매달린 위급함을 풀어주고자 하는 것이니, 너는 미련한 짓을 하지 말고 일찍 기회를 보아 좋은 방책을 세워 잘못을 고치도록 하라.”

 

이 격문을 본 황소는 앉아있던 자리에서 굴러 떨어졌다고 했다. 그만큼 충격이었을 것이다. 그로부터 전의를 상실했고, 결국 반란은 제압되고 말았다. ‘황소를 격퇴한 것은 칼이 아니라 최치원의 글이었다는 것이 당대의 중론이었다고 한다.

 

네티즌 수사대! 일일이 기억할 수는 없지만, 언제부턴가 우리 앞에 자주 등장하여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해주는 민중의 숨은 파수꾼들이다. 이번만 해도 네티즌 수사대가 나서지 않았다면, 어찌 경찰들이 나섰겠는가. 그래서 나는 이번 일이야말로 황소의 난을 해결한 최치원 선생의 격문에서 언급한 그 민심의 아우성과 힘을 네티즌 수사대가 보여준 경우라 생각한다.

 

장하다, 네티즌 수사대여!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5. 1. 23. 12:30

박근혜 대통령을 보며

 

 

 

‘군자는 말은 어눌하게 하나 행동은 민첩하게 한다’[子曰 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論語>> <里仁>]는 공자의 말이 있다. 군자라면 ‘말수가 적고 좀 느려도 행동만큼은 민첩하게 해야 한다는 것’. 달리 말하면 ‘쉽게 말하지 말아야 하고 일단 말했으면, 반드시 재빨리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뜻이 들어 있을 것이다. 번지르르한 말들을 속사포처럼 내 쏘면서 하나도 실천에 옮기지 않는 달변가들을 꾸짖은 말씀이었을 텐데, 공자 시대의 그런 사정이 오히려 심화 되고 있는 요즈음이다.

 

박 대통령은 누가 보아도 달변가는 아니다.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늘 조마조마한 것이 사실이다. 한 마디 내뱉는 데도 그렇게 힘이 든다면, 도대체 무슨 수로 ‘만기친람(萬機親覽)’을 할 수 있는지, 신기하기만 하다. 어쩌면 대통령이 소통을 싫어하는 이면에는 말에 대한 콤플렉스가 도사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달변가인 참모들과 정치인들, 기자들을 대하는 일이 끔찍하게 생각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 나이 또래의 우리나라 아줌마들을 한번 생각해 보라. '석학 할아비'라 한들 말로 해서야 누가 그들을 이길 수 있을까? 그런 걸 생각하면 박 대통령의 언변은 참으로 이해할 수 없을 정도다. 그런 말 실력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대통령의 자리에까지 올랐으니, 대단하다 아니 할 수 없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바로 그것이 ‘대선 승리의 한 요인’이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우리 속담에 ‘말 못하는 사기꾼 없다’는 말이 있다. 대개 앞에 인용한 공자의 말을 보거나 ‘말과 실천’을 결부시켜 온 동양적 사고를 생각해 보아도 ‘말 잘하는 것’이 늘 장점만은 아니었다. ‘깡촌’의 흙 속에서 꼬물거리던 내 코흘리개 시절, 그 때까지 본 적 없는 ‘말끔한 양복’을 갖춰 입고 우리 마을에 내려와  ‘말끔한 달변의 서울말’로 사기 치던 토지 브로커를 아직도 잊지 못한다. 그 사기꾼에게 넘어가 몇 십 년을 고생하시던 농사꾼 내 부모의 한숨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대부분 박 대통령에게 표를 던졌다는 내 친구들의 마음속엔 다른 세대가 쉽게 이해 못하는 그런 공감영역이 있다.

 

자라면서 ‘말만 말끔하게 잘 하는 인간들’을 자주 만났고, 그들 가운데 상당수가 사기꾼들이었음을 경험으로 알게 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대통령, 국회의원 선거판들을 여러 번 접해오는 중이다. 참, 말 잘하는 사기꾼들이 많았다. 최근 10년 이내 두 번의 선거판을 말로만 본다면 ‘눌변 : 달변’으로 요약된다. 지금의 50대들이 누구인가? 대부분 어려움 속에서 근근이 살아남아 이제 은퇴기에 도달한 연령대다. 전통 교육 속에서 자라나 ‘농경사회→산업화사회→정보화사회→지식기반 고도정보화사회’의 고비들을 용케도 탈 없이 거쳐 온 사람들이다. 어쩜 비슷하게 고단한 환경과 의식 속에 성장했다는 ‘연대감’으로 뭉친 사람들인지도 모른다. 언젠가 국회에서 사자후를 토하던 달변가도 보았다. 당시 나는 그가 대통령이 되면 안 되겠다는 판단을 내렸는데, 과연 그는 떨어지고 말았다. 그런 달변이 이른바 ‘종북’이나 ‘극좌’와 합쳐지면 나라로서는 재앙이라는 판단이 들었는데, 나 말고도 그런 생각을 한 사람들이 많았던 것일까. 그는 결국 떨어지고 말았다. 지금 생각하면 나라를 위해서 천행이었다.

***

지금 50대의 민심이 대통령으로부터 이반(離反)되고 있다고 북악산 언저리에 수심이 가득하다. 50대의 전폭적인 지지에 힘입어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이른바 ‘콘크리트 지지층’으로 불리던 그 50대가 민심이반을 추동(推動)하고 있으니, 당하는 심정으로선 적잖이 당혹스러울 것이다. 오늘 아침 인적 쇄신책이라고 내 놓았으나, 그 역시 ‘격화소양[隔靴搔癢: 신발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의 미봉책일 뿐이다. 참, 답답하다.

 

대통령이 자신의 신조나 철학으로 주변의 개인들을 신뢰하거나 믿음을 가질 수 있고, 또 그렇게 하는 게 중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으로서 갖는 신뢰와 대통령으로서 가져야 할 신뢰는 다르고, 또 달라야 한다. 대통령은 만인을 상대로 하는 공인이지 개인은 아니다. 두 사람 이상을 상대로 할 때 작동하는 것이 ‘정치 논리’다. 하물며 5천만의 생령(生靈)들을 상대로 하면서 정치논리를 도외시하고, 어찌 개인의 소신이나 철학을 판단의 잣대로 들이댄단 말인가?

 

인사를 말끔히 쇄신하라는 국민의 명령이 있다면, 그간 쓰고 있던 개인의 안경을 국민의 안경으로 즉각 바꿔 써야 한다. 박 대통령이 아직도 개인의 안경을 쓰고 있다면, 그건 공자가 말한 군자의 ‘눌변’ 차원이 아니라 김 모 전 대통령이 언급했다던 ‘칠푼이’의 수준에 머무는 일이다. 누가 보아도, 비서실장이나 ‘문고리 3인방’은 깨끗이 물러나야 한다. 누가 쫓아내기 전에 스스로 물러서는 게 맞다. 누구 말대로 ‘인간적 신뢰를 지킨답시고’ 그들을 껴안고 간다면, 그런 상태에서 아무리 강호의 현사들을 등용한다 한들 그게 어찌 ‘쇄신’이란 말인가? 그래서 국민들, 특히 50대들은 대통령이 답답하다는 말이다. 그의 입을 쳐다보기에도 지쳐 있는데, 행동마저 이리 굼뜨다면 참으로 절망이다.

 

지금 대한민국 호는 ‘북핵, 경제, 안전’의 불안이란 삼각파도에 휩싸여 있다. 판단력이 흐리고 굼뜬 조타수에게 어찌 대한민국 호의 순항을 맡길 수 있겠는가. 즉각 비서실장과 3인방을 내치시라. 팔팔하고 번뜩이는 감각의 30~50대 초반의 명망가들이 강호에는 넘치고 넘친다. ‘삼고초려’라도 해서 그들을 모신 뒤, 만기친람하려 들지 마시고 그들에게 국정을 맡기시라. 이제 시대는 바뀌었다. 지금 그 시대정신을 거스른다면 대통령 스스로를 파괴할 뿐 아니라 이 민족에게 재앙을 안겨 주게 된다는 사실을 부디 명심하시라.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5. 1. 14. 16:07

 

 

 

어제 오늘, ‘차마 보지 못할 것을 보고야 말았다. 인천 연수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33세의 보육교사가 우악스런 손으로 네 살짜리 여자아기의 얼굴을 쳐서 쓰러뜨리는 광경. TV는 나를 고문하듯 그 잔인한 광경을 반복해서 보여주었다. 이제 11개월 된 내 손녀, 겨우 엄마 아빠소리를 되 뇌이며 세상을 익혀가는 내 손녀의 얼굴이 그 아이에게 오버랩 되며 마음 속에 뜨거운 것이 솟아올랐다. TV 화면을 시커멓게 꽉 채운 그 '악녀'의 뒷모습을 향해 무언가 집어던지고픈 충동을 가까스로 참으며, 하는 수없이 TV를 끄고 말았다. 그 아기가 김치를 남겼다든가? 도대체 김치가 뭐 길래?

 

맹자가 말씀하시길 인간에게는 누구나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으로써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정치'를 편다면, 천하를 손바닥 안에서 다스릴 수 있다. 사람마다 누구나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말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지금 어떤 어린아이가 곧 우물로 빠져드는 모습을 갑자기 발견하게 되었다면, 누구나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 이는 안으로 그 어린아이 부모와 사귀고자 해서 그런 게 아니오, 마을의 친구들에게 칭찬을 듣고자 해서도 아니며, 구해내지 않았다는 오명(汚名)을 싫어해서도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보건대,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없다면 사람이 아니요.()

 

<<맹자>>공손추 장구()에 나오는 인성론(人性論)이다. 어린 아이가 아장아장 샘으로 걸어 들어가는 걸 그냥 구경만 하고 있거나 옳지 잘한다!’고 손뼉 치는 인간은 없다는 것이다. 천하의 날강도라 해도 달려가 아이를 잡아 구한다는 것이다. 만약 그런 측은지심을 갖추지 못했다면 인간이라 할 수 없다는 것이 맹자의 말씀이다.

 

맹자의 말씀에 비춘다면, 그 어린이집의 악녀는 교사는 고사하고 이미 인간이길 포기한 존재다. 인간의 탈을 썼으되 인간이 아닌 존재. 단맛 나는 먹을 것들이 넘쳐나는 시절이다. 대부분의 네 살 짜리 어린아이라면 김치를 좋아하지 않는 게 정상이다. 그래도 아이의 미래를 생각하여 김치를 먹여야겠다면, 우선 김치의 상태와 어린아이의 마음부터 살폈어야 한다. ‘왜 이 아이는 김치를 싫어할까? 혹시 김치에 무슨 문제는 없는가? 이 아이에게 조금씩이라도 김치를 먹게 하려면 무슨 방법을 써야 할까?’ 등등. 교사라면 그런 것들부터 생각했어야 한다. 천사 같은 네 살 짜리 어린아이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방법들이야 도처에 널려 있지 않은가? 그녀도 그런 것들을 알고는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귀찮았겠지. 내 아이도 아닌데. 우선 무엇 때문인가 끓어오르는 분노를 풀 생각부터 했을 것이고, 그 순간 불행하게도 그 어린아이가 희생물로 걸려들었을 것이다. 그 손찌검은 자식에게, 제자에게, 더더욱 네 살짜리 어린아이에게 건넬 수 있는 그것이 아니었다. 전쟁터에서 달려드는 적군의 숨통을 끊기 위해 내지르는 최후의 일격바로 그것이었다.

 

이런 일이 어찌 이 어린이집에서만 일어나는 일이며, 이 교사만의 일이겠는가. 문밖에만 나서면 강변의 모래알처럼 박혀 있는 어린이집들을 무슨 재주로 다 감시할 수 있단 말인가. 칭얼대는 아이를 간신히 어린이집에 떼어놓고 하루 종일 직장에 갇혀 일에 시달리면서도 아이 걱정에 늘 마음이 편치 않을 이 땅의 젊은 부모들. 잠시라도 그들의 마음을 편하게 해줄 수 있는 방법이 정녕 없단 말인가. 인구 줄어드는 것만 걱정할 뿐, 최소한의 보육 대책조차 세워주지 않는 이 나라의 원시성을 어떻게 바로잡을 수 있단 말인가. 여성 대통령을 뽑아 놓아도 이런 원시적인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는 것은 그녀가 아이를 낳고 키워 본 경험이 없어서인가?

 

어린이집에서, 유치원에서, 중등 교단에서, 대학 강단에서 심심치 않게 만나는 악마들을 몰아내지 못하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 교육의 현장에서 바야흐로 전 국민적인 '퇴마의식(退魔儀式)'이라도 한 판 벌어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 아닌가.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