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21. 3. 19. 16:54

‘읽는 책’에서 ‘보고 듣고 느끼는 책’으로!!!

 

 

작년도 제 연구실에서는 네 사람의 연구자들[조규익・문숙희・손선숙・성영애]이 음악으로서의 보허자(步虛子) 악곡과 시가로서의 보허사(步虛詞)를 분석・정리하는 모임들을 가졌습니다. 이미 우리 팀은 세종대 궁중정재 ‘봉래의’와 고려시대 궁중 속악정재 ‘동동’을 복원하고 분석하여 책으로 엮어낸 경험들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 작업 또한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습니다. 작년 11월 21일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복원 공연 및 학술발표회를 가졌습니다.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즈려밟고 훨훨 나는 신선이여!

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

 

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2020. 11. 21.

 

그 자리에서 이루어진 학술발표들과 공연을 함께 묶은 책이 오늘 드디어 세상에 나왔습니다. 책 제목과 출판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허자步虛子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성영애

 

민속원, 2021. 3. 2.

 

이 책의 내용과 의미는 책의 서문과 목차에 잘 밝혀져 있으므로, 그것들을 여기에 붙이겠습니다.

 

 

◆ 머리말 ◆

 

신선의 음악과 춤,

노래 속에 즐거운 ‘시간여행’을...

 

 

보허자步虛子에 관한 멋진 설화 한 토막.

 

일설에 이르기를, 진사왕[조식]이 유산할 때 문득 허공에서 경을 외는 소리가 들리는데, 맑고 심원하며 굳세고 밝으므로 음을 아는 자가 본뜨고 그려내어 신선의 소리로 삼았으니, 도사가 이를 모방하여 보허성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원異苑>> 권5

 

남북조 시대 최고의 산수시인山水詩人 사령운謝靈運이 “천하의 재능이 한 섬이라면, 그 중 8말을 조식이 차지하고, 내가 한 말을 가졌으며, 나머지 한 말을 세상 사람들이 나눠가졌다.”고 말할 정도로 조식曹植은 천재 시인이었다. 지금 보허성 혹은 보허자의 근원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당시에 보허자가 얼마나 환상적이고 신비스러웠으면, 그들은 조식을 내세워 이런 스토리까지 만들었을까

 

우리는 몇 해 전부터 중세왕조들의 궁중예술을 연구해오는 중인데, 고려․조선의 궁중예술들은 악곡․노래[시가/악장]․춤이 융합된 무대예술[정재呈才]이었다. 음악만으로, 춤만으로, 시가만으로는 그 미학의 진수를 전혀 알 수 없는 것이 융합예술체들이다. 그래서 각 부분을 연구한 뒤 하나로 합치는 과정을 거쳐 무대에 올려야 완성되는, 복잡하지만 즐거운 작업들을 해온 것이다. 그간의 연구 결과들은 아래와 같다.

 

무대들

 

고려 및 조선노래 복원 연주회: 노래박물관 특별전[600년의 소리향]

-국립국악원 우면당, 2011. 11. 10.

 

세종, 음악으로 다스리다

-한중연 소강당[학술발표], 대강당[축하공연], 2012. 11. 27.

 

봉래의鳳來儀:세종의 꿈, 봉황의 춤사위 타고 하늘로 오르다!

–국립국악원 우면당, 2013. 11. 21.

 

동동動動: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사랑의 염원이여!

–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2018. 12. 1.

 

 

펴낸 책들

 

조규익문숙희손선숙,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 민속원, 2015.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성영애,  <<동동動動: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 민속원, 2019.

 

 

동동에 빠져 지낸 뒤 보허자와 보허사를 만났고, 상당 기간의 연구를 거쳐 세 번째 복원공연 및 학술발표회를 가졌다.

 

보허자步虛子:허공을 즈려밟고 훨훨 나는 신선이여!/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 –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2020. 11. 21.

 

이제 그 결과를 책으로 엮어 세상에 내놓는다.

 

초창기 도교의 재초의례齋醮儀禮에 쓰이다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고, 궁중으로까지 들어갔다는 것 외에 보허자의 본질과 확산 과정은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다. 그나마 문헌에 약간씩의 단서들이 남아 있어 추적은 가능했다. 보허자에 올려 불린 악장으로서의 <벽연롱효사碧烟籠曉詞> 덕에 보허사의 본질을 유추할 수 있었고, 보허사 범주 안의 시작품들을 많이 남겨준 중국 시인들과 조선의 시인들 덕에 시문학으로서의 보허사 수용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15세기 여민락과 16세기 여민락의 관계 및 15세기 낙양춘의 선율을 바탕으로 16세기 보허자에서 15세기 보허자의 선율을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보허자 곡의 연주로 추었다는 <<악학궤범>>의 기록 덕에 학무鶴舞도 복원할 수 있었다.

 

 

우리는 1,500여 년 전의 보허자가 우리 곁에 오기까지의 과정을 이렇게 추적해왔다. 이 책으로 1차 보고의 의무를 마치고, 우리는 앞으로 나아간다. 다시 ‘시간여행자’가 되어 또 다른 작품들과 씨름하다가 퍼뜩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다시 돌아올 것이다. 신선의 음악과 노래, 춤 속에서 즐긴 ‘시간여행’은 매우 환상적이었고, 그래서 행복했다.

 

큰 도움 주신 한국연구재단과 힘들인 원고를 멋진 책으로 꾸며주신 민속원의 홍종화 사장님과 편집부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강호 제현의 애정 어린 비판을 고대한다.

 

2021. 3. 1.

 

지은이들을 대표하여

조규익

 

 

 

◆ 목차 ◆

 

제1부

총서 / 19

  조규익

 

 

제2부

악장으로서의 <보허사步虛詞>, 그 전변轉變에 따른 시대적 의미 / 27

  조규익

 

1. 머리말 28

2. 고려왕조의 보허자․보허사 수용과 1차적 의미 전변 32

3. 조선왕조의 보허자 계승과 콘텍스트의 복합성 44

4. 조선조 보허자 악장 텍스트의 실험과 2차적 의미 전변 51

5. 맺음말 68

 

 

제3부

조선조 문인文人들의 보허사步虛詞 수용양상 / 71

성영애

 

1. 머리말 72

2. 송대宋代 <<악부시집樂府詩集>>에 나타난 보허사步虛詞 개관 75

3. 문인文人들의 보허사步虛詞 수용양상 80

4. 맺음말 97

 

 

제4부

15세기 보허자 음악 복원 연구 / 99

문숙희

 

1. 머리말 100

2. 보허자 리듬 변천 과정과 15세기 보허자의 리듬 104

3. 15세기 보허자 음악 찾기 113

4. 맺음말 124

 

 

제5부

보허자 음악에 맞춘 성종대成宗代 학무 복원 연구 / 127

손선숙

 

1. 머리말 128

2. <<악학궤범>>의 <학무> 검토 132

3. <학무> 복원의 주요 키워드 11가지 135

4. <학무> 복원의 수용 범위와 근거 139

5. <학무>의 가무악歌舞樂 융합적 복원 안무보 198

6. 맺음말 200

 

 

제6부

총결 / 207

조규익

 

 

제7부

텍스트 / 223

 

1. 고려사 악지 오양선 기록 224

2. 악학궤범 학무 기록 225

3. 여민락 악보 226

4. 금합자보 악보 000

5. 대악후보 악보 000

 

 

Abstract 215

참고문헌 227

찾아보기 233

 

 

 

 

강호제현의 많은 조언과 편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21. 3. 19.

 

조규익 드림

 

 

 

 

 

 

 

췌언(贅言)

 

 

세상에 또 한 권의 책을 보태면서

 

 

책이란 무엇이며, 왜 만드는 것일까요? 많지는 않지만, 지금 제 서재에는 이름 모를 옛 선조들이 꼬박꼬박 적은 다음 묶어놓은 책 형태의 문적들과, 근대 이후 신활자로 출간한 선학들의 책들이 몇 권 꽂혀 있습니다. 글자를 아는 사람들도 많지 않고 변변한 종이도 없던 시절, 그 분들은 왜 그런 자취를 남긴 걸까요? 주변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어도 들으려 하지 않고 글자로 써놓아도 읽어주는 사람이 없던 그 당시에 그 분들이 느낀 좌절은 어떠했을까요?

 

아마 ‘지금은 모르지만, 앞으로 백년 천년 뒤 누가 있어 이 글을 보면 내가 이 땅에 살다 갔음을 알아주겠지’라는 생각으로, 이런 문적을 남겼겠지요? 저는 그저 제가 하고 있는 공부에서 무언가를 발견하면 흐뭇하고 즐거워 이 날 이 때까지 아무도 읽어주지도 알아주지도 않는 글들을 반복적으로 쓰고 있습니다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내가 아는 것이야말로 세상을 가득 채운 미세먼지 한 톨만도 못하다는 사실을 절감하면서, 비로소 ‘남은 기간’과 ‘해야 할 것들’ 사이의 불균형이나 괴리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대학원생 시절 저를 아껴 주시던 나손(羅孫) 김동욱(金東旭) 선생님은 저를 만나실 때마다 무슨 공부를 하고 있는지 물으셨고, 제 대답이 끝나기도 전에 당신의 말씀을 툭툭 던지곤 하셨습니다. 나중에 선생님의 말씀들을 곱씹어 보며 그 말씀들 속에 담긴 아이디어가 얼마나 금쪽같은 것들이었는지를 깨닫곤 했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의문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선생님께서는 왜 그런 아이디어들을 속속 더 많은 논저들로 만들어 내지 않으실까?’ 물론 선생님은 당시 이미 등신대(等身大)의 논저들을 남겨 놓으셨으니, 거기에 새삼 무엇을 더 얹으실 수 없는 입장이셨지만, 어린 저로서는 의문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이제 저도 그 때 그 분의 연치에 도달했습니다. 남들의 논저를 읽어갈 때마다 ‘이건 왜 이렇게 썼을까?’, ‘이 점을 놓친 것 같군’, ‘이런 견해를 표명한 글들이 이미 나왔는데, 미처 읽지 못했군’ 등등. 여러 생각들이 떠오르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어쩌면 그 후학을 만나 이야기하면, ‘그럼 당신이 한 번 써보구려!’라는 반박이 되돌아 올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생각을 논리화하는 작업에 착수한다는 것은 ‘열정과 힘’이라는 연료가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한 일이라는 점을 이제야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그 열정과 힘을 다른 말로 하면 ‘젊음’이겠지요. 신은 인간에게 아이디어를 풍성하게 주면서 열정과 힘까지 주지는 않습니다. 인생을 불태워 아이디어와 지혜를 얻었다면, 그 아이디어와 지혜는 더 이상 그의 것이 아닙니다. 그를 뒤따르는 누군가들에게 건네주어야 할 ‘대가 없는’ 선물일 뿐이지요.

 

이 책[보허자步虛子: 궁중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을 포함, 10권 정도를 시리즈로 내고자 한 것이 얼마 전까지 갖고 있던 제 내심의 계획이었습니다. 이제 겨우 3권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평가결과도 아직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니 그런 ‘헛된 꿈’을 버리라고, 제 옆지기는 자꾸 다그치네요. 좀 과하고 헛된 꿈일까요?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21. 1. 19. 21:53

 

문숙희 발표-15세기 보허자 음악의 복원

Posted by kicho
자료 - 사진자료2021. 1. 18. 18:24

 

문숙희 발표[15세기 보허자 음악 복원 연구]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20. 11. 22. 17:27

 

 코로나의 위협에도 굴하지 않고 예정대로 행사를 잘 마쳤습니다.

발표자 및 토론자 여러분, 공연에 참여하신 예술인 여러분, 참관인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허자와 보허사는 위진남북조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도교 재초(齋醮)의례의 음악과 악장으로 출발한 것인데, 그것들이 일반에 널리 퍼지면서 문인과 예술인들의 사랑을 받았고, 급기야 궁정음악으로 수용되었습니다. 우리나라 문헌에서 보허자가 처음으로 발견되는 사례는 <<고려사 악지>>의 당악정재 5건 가운데 '오양선'의 '악곡 보허자령과 그 연주에 맞추어 부르던 <벽연롱효사(碧烟籠曉詞)>'를 들 수 있습니다. 즉 오양선의 악장 <벽연롱효사>를 악곡 보허자령의 연주에 맞추어 노래 부른다는 뜻입니다. 그 악곡과 가사가 고려 말까지 궁중에서 왕성하게 공연되던 당악정재의 핵심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것이 조선조로 이어지면서 '고려 당악'이 지속되는 한편, 새롭게 악장을 창작하여 고려 당악의 곡들에 올려 부르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왕조들이 보허자 및 보허사를 수용한 양상과 조선조 성종 때 보허자령에 올려 공연된 학무를 복원하여 공연한 것'이 본 행사의 핵심입니다. 유투브[https://youtu.be/FPvrJjcHi-o]로 들어가시면 실황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발표논문들은 <<한국문학과 예술>> 36집[2020. 12. 30. 발간예정]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질정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2020. 11. 22.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소장  조규익 드림

 

 

 

 

 

 

 

 

 

 

 

 

 

 

 

 

 

 

 

 

 

=학술발표 및 복원 공연 주 내용=

 

步 虛 子

허공을 즈려밟고 훨훨 나는 신선이여!

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

 

"가무악(歌舞樂) 융합적 시각으로 본 조선전기의 보허자"

 

1부 학술발표

 

조규익(숭실대): <보허사(步虛詞)> 수용태(受容態)로서의 <벽연롱효사(碧烟籠曉詞)>에 대하여

성영애(숭실대): 조선조 문인들의 보허사 수용양상

손선숙(숭실대): 보허자 음악에 맞춘 성종 대 학무(鶴舞) 복원 연구

문숙희(한국외대): 15세기 보허자 음악 복원 연구

임미선(단국대): 성종대 정재반주 음악 고찰

서인화(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정재 공연 공간

 

2부 보허자 복원 음악에 맞춘 15세기 학무 공연

 

음악복원: 문숙희

무용복원: 손선숙

학(鶴): 손선숙, 박재란

동기: 서원미, 조보현

음원제작: 이정면

악사: 윤교순, 강선주

노 래: 김대윤

지도: 백재욱, 손혜숙

제3부 질의 및 종합토론

좌장: 조규익(숭실대)

토론자: 서철원(서울대), 김지은(중앙대), 박은영(한예종), 임혜정(서울대), 박은옥(호서대), 윤아영(백석예술대)

Posted by kicho
알림2020. 11. 13. 11:43

선생님들께

 

안녕하세요?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입니다.

20202월 개최 예정이던 학술발표 및 보허자 학무 복원공연을 연기하여 1121() 14시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학술발표와 보허자 학무 복원공연 등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학술발표와 공연을 중심으로 현장[국가지정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행사를 진행하고, 그 실황을 참석하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 https://youtu.be/FPvrJjcHi-o 로 실시간 중계합니다. 유튜브를 통해 발표와 공연을 함께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020. 11. 13.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배상.

 

=행사 팸플릿=


신선의 음악과 춤,
노래 속에 멋진 ‘시간여행’을...

 

                                                                                                           

 

 

                                                                                                                조규익(숭실대학교 교수)

 

언제부턴가 우리에게는 특별한 꿈이 있었습니다.
예술인들과 학인들이 가슴 가득 품고 있었으되 펼쳐 보이지 못한, 작지만 울림이 큰 꿈입니다. 악사들의 반주로 가공(歌工)과 무용수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무대. 그 무대 주변에 둘러앉은 학인들이 예인(藝人)들의 몸놀림과 또 다른 하나가 되는 경험을 통해 비로소 이지(理智)의 샘을 열고 도란도란 그들의 미학을 담론하는 자리 말입니다. 세상 어디에 이보다 더 아름답고 성대한 공간이 있을까요. 지금까지 우리는 두 번의 멋진 무대를 만들었고, 이것들을 두 권의 책으로 엮어 낸 바 있습니다.

 

<지난 무대들>
“봉래의(鳳來儀): 세종의 꿈, 봉황의 춤사위 타고 하늘로 오르다!”[2013. 11. 21./국립국악원 우면당]
“동동(動動):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사랑의 염원이여!”[2018. 12. 1/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펴낸 책들>
조규익∙문숙희∙손선숙,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 민속원, 2015.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성영애, <<동동動動: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 민속원, 2015.

 

 

 

<새 무대>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즈려밟고 훨훨 나는 신선이여! 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2020. 11. 21./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새로 나올 책>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서인화∙성영애∙임미선, <<보허자步虛子: 궁중 융합무대예술로 편입된 신선 예술의 아름다움>>, 2021. 1.

 

우리는 그동안 가꾸어 온 ‘꿈의 무대’를 이렇게 펼쳐 보여 왔고, 새로운 무대를 통하여 이번에도 그렇게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이 앉으실 폭신한 좌석은 여러분을 모시고 그 옛날 고려∙조선시대의 궁중으로 날아갈 타임머신입니다. 좌석에 앉아 음악에 따라 춤추고 노래 부르며 임금의 장수를 축원한 보허(步虛)의 예술에 잠시 마음의 주파수를 맞추시면, 여러분은 그 옛날 진사왕(陳思王) 조식(曹植)이 어산(魚山)의 동아(東阿)에서 만난 ‘신선 예술’의 경지를 체험하시게 됩니다. 맑고 심원하며 굳세고 밝은 그 소리와 춤사위를 통해 허공을 날아다니는 신선들을 만나시게 될 것입니다. 그들과의 그런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되돌아올 현실의 공간에서 우리는 다시 씩씩하고 치밀한 논조로 새롭고 아름다운 경험들을 담론하고자 합니다.

원래 보허성(步虛聲)이나 보허자(步虛子)는 중국에서 발생한 도교음악이었고, 그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보허사(步虛詞)를 불렀습니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그것을 유교적 패러다임으로 변용했고, 중세적 보편성의 한 요소로 끌어들이는 지혜를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임금이 앉아있는 궁중을 현실 속에 자리 잡은 ‘선계(仙界)’라 여겼습니다. ‘상선(上仙)’인 임금의 불로장생은 소망(所望)에 속하는 일이었지만, ‘보허 예술’에 담아낸 만백성의 염원을 통해 그것은 분명한 현실로 구현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이 자리에 모시게 될 여러분이 바로 임금님들이십니다. 우리 궁중예술의 헌상 대상이 바로 임금이신 여러분들입니다. 여러 가지로 바쁘시겠지만, 잠시 이곳에 오셔서 저희와 함께 멋진 ‘시간여행자’가 되어보실 생각은 없으신지요?

 

2020. 11. 21.

 

조규익

 

 

보步허虛자子

허공을 즈려밟고 훨훨 나는 신선이여!

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

 

사회 : 하경숙(선문대)

14:00 - 14:10

개회사 : 조규익(숭실대학교)

 

 

1가무악(歌舞樂) 융합적 시각으로 본 조선전기의 보허자

 

 

시간

발표자(소속)

논문 제목

14:10-14:30

조규익(숭실대)

<보허사(步虛詞)> 수용태(受容態)로서의 <벽연롱효사(碧烟籠曉詞)>에 대하여

14:30-14:50

성영애(숭실대)

조선조 문인들의 보허사 수용양상

14:50-15:10

손선숙(숭실대)

보허자 음악에 맞춘 성종 대 학무(鶴舞) 복원 연구

15:10-15:30

문숙희(한국외대)

15세기 보허자 음악 복원 연구

15:30-15:50

임미선(단국대)

성종대 정재반주 음악 고찰

15:50-16:10

서인화(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정재 공연 공간

 

2보허자 복원 음악에 맞춘 15세기 학무 공연[<<악학궤범>> 5]

 

시간

제작

출연

16:20-16:40

음악복원: 문숙희

(): 손선숙, 박재란

무용복원: 손선숙

동기: 서원미, 조보현

음원제작: 이정면

악사: 윤교순, 강선주

노 래: 김대윤

지도: 백재욱, 손혜숙

 

16:40-17:00

단체사진 촬영 및 정리

 

3 질의 및 종합토론

 

시간

좌장

토론자

17:00-18:00

조규익(숭실대학교)

서철원(서울대학교)

김지은(중앙대학교)

박은영(한국예술종합학교)

임혜정(서울대학교)

박은옥(호서대학교)

윤아영(백석예술대학교)

 

 

연구윤리교육 및 폐회식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20. 2. 6. 17:26

 

 

 

 

                                                                                                                                조규익

 

제가 꾸려가고 있는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의 학술지 <<한국문학과 예술>> 32집이 2019년 12월 31일자로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호는 작년 11월 8일에 소천하신 소재영 교수님 추모호로 꾸며 보았습니다. 그간 국문학계의 어른으로 존경 받아오신 소 교수님은 주지하다시피 숭실대 국어국문학과를 창설하셨고, 돌아가시는 날까지 연구소 고문으로 저희들을 이끌어 주셨습니다. 뜻하지 않게 소천하신 점을 너무 슬프게 생각하며, 이번 호에 실은 밝은 표정의 선생님을 사진으로나마 곁에 모시고 선생님께 늘 샘솟는 힘과 지혜를 간구하고자 합니다.

 

 

***

 

 

성오 소재영 선생님을 추모하며

 

 

성오 선생님 !

 

저는 2019년 11월 8일의 날벼락 같은 비보를 잊지 못합니다. 인사동에서 선생님을 모시고 점심을 나눈 6월 6일의 기억이 바로 어제인데, 그토록 참담한 비보를 어떻게 현실로 받아들일 수 있었겠습니까? 선생님을 보내드리고 나서도 지금껏 꿈인 듯 현실인 듯 종잡을 수 없는 것은 그날 선생님께서 들려주신 말씀과 보여주신 미소가 너무 청청하셨기 때문입니다. 찻집에서 “우리 아버지는 101세에 돌아가셨다.”고 말씀하셨지요. 저는 그 말씀을 들으며 지금까지 건강하게 살아오신 비결이 선생님의 철저한 자기관리였고, 그것은 아버지에 대한 효심어린 약속이 아니었을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제자를 자처하며’ 오랜 세월 가까이에서 선생님을 모시던 제가 배운 것은 두 가지로 요약됩니다. 첫째는 학문적 근면성, 둘째는 대인관계에서의 모나지 않은 인품입니다. 다른 사람들처럼 한 곳에서 공부를 마치지 못한 저는 이곳저곳으로 선생님들을 찾아다니는 삶을 살아왔습니다. 운 좋게도 저는 선생님의 간택을 받아 숭실대학에 자리를 잡았고, 숭실에 오면서 비로소 학문하는 방법을 제대로 배우게 되었습니다. 한 시도 쉬지 않고 책을 읽고 글을 쓰시는 선생님을 뵈며, 겨우 논문 한 편 써놓고는 ‘다 이루었다는 듯’ 드러눕기 일쑤였던 저 스스로를 통렬히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자료를 찾아 전국을 누비시는 모습을 뵈며, 저도 ‘자료 찾아 삼천리’의 모토를 갖게 되었고, 지금도 가끔 전국을 누비곤 합니다.

 

무엇보다 선생님은 참으로 따뜻하고 원만한 인격을 소유하셨습니다. 열심히만 한다면 누구든 맞아들여 제자로 키워주셨고, 만나는 상대가 누구이든 그의 근기(根機)에 맞추어 도움을 주셨습니다. 국내에는 물론 해외에도 선생님의 학문과 덕망을 존경하고 따르는 학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확인하며 내심 부러워해 온 세월이 길었습니다. 이렇게 선생님을 흉내 내며, 선생님의 덕으로 지탱해온 지난 세월이었습니다. 그러나 ‘동시효빈(東施效顰)’이란 말처럼 제 미련함으로 선생님의 뜻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고 제대로 배우지 못한 채 저 역시 인생의 석양에 접어들고 말았습니다.

 

성오 선생님 !

이제 논문이나 책을 쓴들 누구에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선생님이 안 계신 이곳에서 다시 누구를 표준으로 스스로를 다잡으며 살아갈 수 있을까요? 선생님의 넓으신 가슴이 없는 이곳에서 과연 저희들의 좁은 가슴을 넓혀가며 많은 사람들을 품을 수 있을까요?

 

나침반을 잃고 등대도 없는 거친 바다를 표류하는 저희에게 무언의 힘을 주시고 안식의 항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선생님 계실 때 제대로 배우지 못한 저희들의 게으름과 어리석음을 크게 꾸짖어 주시되, 긍휼히 여기시어 이제라도 바른 길로 인도하여 주십시오. 그리고, 세상의 고통을 모두 잊으셨을 그곳에서 편안한 청복 누리시길 가련한 후생들은 빌어드립니다.

 

2019. 12. 31.

 

후학 조규익은 크게 울며 선생님의 명복을 빕니다.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