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4. 8. 19. 23:36

 

 


판카 시티 입구의 'Pioneer Woman 상[1930년 Bryant Baker 작/청동 상]'앞에서

 

 

 


판카 시티 입구의 멋진 집들

 

 

 


판카 시티 'Pioneer Woman Museum' 입간판

 

 

 


'Pioneer Woman Museum' 의 소장품[인디언 의상 및 소품들]

 

 

 


'Pioneer Woman Museum' 소장품[피리 부는 인디언 추장]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의 소장품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 의 소장품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의 소장품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판카 부족과 가까이 지내던 인디언 부족들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Park' 표지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스틸워터의 이웃동네에서 만난 판카(Ponca)인디언들

 

 

 

작년 가을 무렵. 스틸워터에 정착한 지 한 달 반이 지나자 거주지 주변의 것들이 하나하나 마음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멀지 않은 곳에 판카 시티(Ponca City)’가 있다는 말을 들어오다가 캐나다에서 날아 온 큰 아이와 함께 답사에 나섰다. 원래 우리는 폰카로 발음했지만, ‘판카혹은 팡카로 발음하는 이곳 사람들을 따라 판카로 바꾸었다. 집을 나서서 177번 하이웨이에 접어든 후 정북 방향 직선으로 대략 한 시간 반 정도의 거리에 있는, 아름다운 곳이었다. 울창한 나무숲에 숨듯이 들어선 집들은 모두 고급스러워 대체 어디에 판카 인디언들이 있다는 건지 어리둥절할 정도였다. 아칸사 강(Arkansas River)이 감돌아 흐르고 호수[Lake Ponca]가 고여 있어 풍광도 이고, 인구 또한 많지 않은지 거리는 대체로 한산했다.

 

판카 족은 수어족[Siouan-language group] 가운데 데기한 어[Dhegihan language]를 사용하는 사람들인데, 캔자스 주 오세이지 카운티의 오세이지 족네브라스카의 오마하 사람들오클라호마와 네브라스카의 판카 사람들이 사용하던 수어가 바로 데기한 어다. 미 연방정부가 인정한 두 종의 판카 족이 있는데, 네브라스카의 판카 족과 오클라호마의 판카 인디언들이 그들이다. 후자가 바로 우리가 만나러 간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한 부족으로서 원래 오하이오 강 계곡에 살다가 사냥터를 찾아 서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이었다. ‘Ponca’는 칸사(Kansa), 오세이지(Osage), 쿼포(Quapaws) 사이의 한 클랜 명칭으로서 어원상 살인자[Cut Throat]’란 무시무시한 뜻을 갖고 있다 했다. 

 

이 부족 역시 여타 인디언들과 마찬가지로 백인 강제이주 정책에 의한 희생의 역사를 갖고 있었다. 판카 족의 역사는 꽤 길어서 구비전승에 따르면, 컬럼버스가 미 대륙으로 오기 전에 미시시피의 동쪽 지역으로부터 이주했다고 한다. 뉴욕 주에 살던 이로쿼이(Iroquois) 족의 침략을 받아 북쪽에 있던 전통 거주지역을 버리고 오하이오 강 지역으로 밀려났던 것이다. 그 후 거기서 서쪽으로 이동했다는 것인데,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는 것이었다. 1701년 지도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서양 상인들과의 교섭을 지속해 오다가 중간에 천연두가 창궐하여 800여 명 되던 인구가 200으로 줄었으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다시 700으로 회복되었다 한다. 평원에 사는 대부분의 다른 인디언들과 달리 이들은 옥수수와 채소들을 재배했고, 바이슨 사냥을 하며 살았다.

1817년의 평화조약을 필두로 1865년까지 판카 족은 미국정부와 여러 차례 조약들을 맺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자신들의 주권과 영역을 지키기 위해 애썼다. 특히 조약을 맺는 과정에서 미국의 실수로 자신들의 땅을 다 잃어버리게 되는 위기를 맞게 되자 이들은 미국 정부의 방침에 대항하여 집단 거주지로 이주하지 않는 방법을 쓰게 된다. 미 의회가 1876년 강제로 북쪽의 여러 인디언 부족들을 현재 오클라호마의 집단 거주지로 옮기기로 결정했음에도 새 보호구역이 농사에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거부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결국 강제로 옮겨야 했고, 새 땅에서 판카 족은 말라리아와 더운 날씨, 식량 부족 등으로 고생하다가 첫해에만 25%의 부족원들이 세상을 떠나는 비극을 당하기도 했다.

 

1877년 인디언 구역의 쿼포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된 뒤, 판카 족은 아칸사와 솔트 폭 강에 접한 자신들의 땅으로 이주했으며, 동친혈연(同親血緣) 주민들은 티피(tipi) 마을을 구성했고, 혼혈 주민들은 치카스키아 강 언저리에 정착하게 되었다. 판카 지도부가 미 정부에 맞서는 동안 미국 정부는 커티스 법(Curtis Act)으로 부족의 정부를 해체하고 타 부족들과의 동화를 강요하면서 1891년과 1892년의 도스 법(Dawes Act) 아래 개개 구성원들에게 보호구역의 땅을 나누어 주었고, 분양 후 남은 땅은 인디언 아닌 사람들에게 팔 수 있도록 했다. 오클라호마 주가 성립된 후 나머지 판카 땅들은 풀려서 101개의 목장의 주인들에게 팔렸고, 판카 주민들은 이곳에 고용되기도 했다. 1911년 판카 족의 땅에서 원유가 발견되면서 수익을 얻었으나, 정유공장들이 아칸사 강에 폐유를 방류함으로써 환경에 재앙을 입기도 했다. 1950년에는 오클라호마 인디언 복지법에 의거, 판카 족은 새 정부를 만들었고, 같은 해 920일에는 부족 헌법을 만들기도 했다. 판카 족 행정의 중심은 오클라호마 주의 화이트 이글(White Eagle)에 있으며, 현재 판카 족 인구는 4,200명에 달한다.

 

현재의 판카 족이 안정을 찾기까지 미국 정부와의 투쟁에서 중심 역할을 한 인물이 바로 스탠딩 베어(Standing Bear)라는 인물이었다. 사실 판카 족을 찾아 온 우리도 그의 행적과 모습이 궁금했다. 여느 인디언 추장도 마찬가지였겠지만, 그 역시 강제이주에 격렬히 저항했다. 심지어 그의 큰 아들이 죽을 때 그는 부족의 조상 땅에 묻어주겠다는 약속을 할 정도였고, 실제로 그는 보호구역에서 판카 족의 고향으로 되돌아가다가 체포되어 포트 오마하에 구금되기도 했다. 미국 정부의 허락 없이 보호구역을 이탈했다는 이유였다. 그의 체포와 구금에 많은 사람들이 법정 투쟁으로 그를 도왔고, 뛰어난 두 명의 변호사가 무료로 소송을 대리해 주기도 했다. 1879년 네브라스카의 오마하에서 열린 재판에서 미 연방 지방법원은 사상 최초로 미국 인디언들도 미합중국 법 안의 사람들임을 인정하게 되었고, 그 결과 그들은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쟁취하게 된 것이다. 말하자면 스탠딩 베어가 보여준 불굴의 저항 덕분에 결국 그들은 자신들의 법적인 권한을 얻게 되었던 것이다.

***

과연 우뚝 서서 내려다보고 있는 스탠딩 베어의 모습에서 비장함이 느껴졌다. 미합중국 정부의 부당한 명령에 목숨을 걸고 항거함으로써 자신의 부족은 물론 여타 인디언들이 보편적인 생존권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그는 인디언 사회의 진정한 영웅이었다.

석양을 등지고 서서 주변을 압도하는 그의 거대한 동상을 바라보며 특정 부족이나 민족의 미래를 개척하는 지도자의 온당한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백인들과 여타 부족들이 섞여 살아가고 있는 그 공간에서 스탠딩 베어의 정신 덕에 판카 족은 인디언 사회로부터 존경받고 있음을 진하게 느낄 수 있었다.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오세이지 족에 대한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물건 명칭-'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물건 명칭-'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문장과 뜻-'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부족 서사시-'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톤카와 부족의 문장-'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오세이지 네이션의 문장-'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족에 대한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스탠딩 베어에 대한 전자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Waynoka에서 일박을 한 체로키 인

 

 

 

 


웨이노카 숙소 앞의 소박한 식당-Cherokee Station

 

 

 

Cherokee Station의 저녁식탁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8. 14. 16:05

 


멀리서 바라 본 석양 무렵 아씨시(Assisi)의 따스한 모습

 

 

 


프란치스코 성당에서 바라본 아씨시의 모습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 안의 프란치스코 성인 상

 

 

 


아씨시의 클라라 성당에 안치된 클라라 성인의 시신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보며

 

 

#1 200616. 유럽 자동차 여행 일정 중 막바지 쯤 이탈리아의 아씨시(Assisi)’에 도착했고, 거기서 프란치스코 성인을 만났다. 아씨시는 오르비에토에서 북쪽으로 두 시간 가까이 달려 도착한, 작고 아름다운 도시였다. 그 때가 마침 석양 무렵이었기 때문일까. 주황색의 석양 스포트 라이트를 받아 작은 도시 전체가 따스한 온기를 발산하고 있었다.

 

부상(富商) 몬나 피카(Monna Pica)와 피에트로 디 베르나도네(Pietro di Bernadone) 사이에서 12세기 말경[대략 1181~1182] 태어난 프란치스코는 기사(騎士)의 꿈을 갖고 있었다. 1202년 실제로 콜레스트라다(Collestrada)의 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 포로로 잡혔다가 석방되어 아씨시로 돌아왔으나, 잠시 후 다시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아풀리아(Apulia)로 갔다. 여행 중 병에 걸렸던 그는 오랜 동안의 묵상을 통해 기적적 통찰을 얻은 후 아씨시로 돌아왔고, 그로부터 세속적인 삶의 방식을 청산하고 자선사업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로마 순례 도중 가난한 여인을 만나 자신의 화려한 옷을 거지의 누더기로 바꾸어 입고, 나머지 가진 것들 모두를 주어버리기도 했다. 그를 결정적으로 바꾼 것은 가라, 그리고 내 집을 고쳐라는 다미아노(Damiano) 성인의 계시였다. 그는 가난 속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 다미아노 성인의 바라는 바임을 확신하게 되었고,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그로부터 프란치스코는 좋은 옷을 버리고 은자의 도포와 부츠에 지팡이를 들고 다니기 시작했다. 완벽하게 살려면 절대 가난과 순결 속에 살 뿐 아니라 신의 말씀을 설파해야 한다고 확신했다. 청빈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기로 마음먹은 것이었다. 1209~1210년 사이에 프란치스코는 동료들과 함께 로마 교황 이노센트(Innocent) 3세를 찾아가 자신들의 종교적인 삶의 방식을 승인 받았다. 그로부터 그들은 리보토르토(Rivotorto)와 산타 마리아 데글리 안젤리(Santa Maria degli Angeli)로 돌아가 자신들의 사명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1211~1212년 사이엔 성녀 클라라가 가족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프란치스코의 뒤를 따라 집을 떠나기도 했다. 클라라와 초기 추종자들은 성 다미아노 교회에 그들의 거처를 마련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청빈의 삶을 바탕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공동체가 이룩되었다. 1226년 그가 죽자 그의 추종자들과 아씨시 시민들은 성 기오르기오 교회[현재 산타 클라라 교회의 사크라멘트 채플]의 묘지까지 행렬을 이루어 그의 시신을 운구했다. 지금 아씨시의 메인 광장인 피아자 꼬무네(Piazza del Comune)를 가로지르는 거리의 양 끝에는 성 프란치스꼬 대성당과 성 클라라 성당이 자리 잡고 있다. 클라라 성당 위쪽에는 주교좌 성당인 성 루피노 성당이, 꼬무네 광장 바로 아래쪽엔 치에사 누오바(Chiesa Nuova), 누오바 교회 바로 아래엔 성 안토니오 성당이, 광장엔 성 도나토 성당이, 프란치스꼬 대성당 아래쪽엔 성 베드로 성당이 각각 서 있었다. 세상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성당들에서 프란치스꼬 성인의 삶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그의 삶은 하나님 말씀의 진리성을 증거하고 있었다.

 

#2 201429. 미국 뉴멕시코 주의 산타페에서 프란치스코 성인을 또 만났다. 구시가지 언덕에 올라앉은 프란치스코 대성당이 산타페 시내를 굽어보는 형국이었다. 시내 어딜 가든 프란치스코 성인 상을 만날 수 있었다. 시청 앞 잔디밭에는 재미있는 상 하나가 서 있었다. 프레어리 독(Prairie dog) 한 마리가 굽어보고 타이르시는 성인에게 무언가 열심히 변명하는 모습이었다. 미국 서남부에서 흔한 동물 하나가 프레어리 독이다. 이 녀석은 땅굴 파기천재로서 닥치는 대로 터널을 뚫었다. 그러니 농부들은 죽을 맛이다. 땅 밑으로 이리저리 굴을 뚫고 자기들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사는 녀석들. 우리가 보기엔 귀여웠지만, 만나 본 농부들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원래 프란치스코 성인은 모든 동물들의 벗이었다. 아씨시에서도 새들과 대화하는 성인 상을 만났고, 어느 곳의 성인 상에도 새나 동물들이 함께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아마 그 프레어리 독도 성인을 몹시 따랐던 모양. 성인은 그 녀석에게 절대로 농부들의 밭에 굴을 뚫지 말라고 지시했건만, 그 말을 어기고 굴을 파서 농부들에게 해를 입힌 것이리라. 성인의 꾸지람에 말도 안 되는 변명을 늘어놓고 있는 프레어리 독의 표정이 우습고 귀여웠다. 프란치스코 성인이 산타페의 수호성인임을 알고 나서야, 시내 도처에 성인의 모습을 깔아놓은 의도를 알 수 있었다.

 

                                         ***

 

그렇다. 프란치스코 성인은 가난하고 힘없는 서민들의 벗이었다. 교황도 프란치스코 성인의 신념을 따르고자 그의 이름을 빌었을 것이다. 지금 이 땅엔 박해 받는 자들이 널려 있다. 가난하고 병들어 홀로 서지 못하는 사람들, 세상 편견의 덫에 걸려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젊은이들, 직장에서 왕따를 당하면서도 호소할 데 없는 사람들, 태어나지도 못한 채 버림받는 낙태아들, 태어나자마자 버림받는 미혼모의 아기들, 부모 잘 못 만나 어린 나이에 굶어 죽거나 맞아 죽는 아이들, 자식들에게 버림 받는 노인들, 군대에서 짐승보다 못한 인간 말종들을 선임으로 만나 시달림을 받고 있거나 받다가 목숨을 잃는 청년들, 유사 이래 가장 극악한 전제군주의 폭압 아래 신음하는 북한 동포들, 이 땅의 못난 남자들에게 시집 와서 죽을 고생만 하고 있는 동남아 신부들, 못된 사장 만나 월급도 못 받고 매만 맞는 이주 노동자들...

 

가난한 교황에게 물질적인 도움을 요구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이들에게 위로의 한 마디면 된다. 세상을 뒤덮을 사자후(獅子吼) 아닌, 따스하고 정감 넘치는 위로의 말 한 마디면 된다. ‘작은 씨앗이 창대한 열매를 맺듯사랑의 말 건넴나비 효과를 발휘하여 언젠간 세상을 바꿀 날이 올 것이다. 원래 프란치스코 성인은 가난했고, 그의 가난이 세상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아무리 부자라 해도 세상 사람들의 가난을 해결할 수는 없다. 그러나 진심 어린 사랑의 메시지는 모래알처럼 많은 세상의 부자들을 움직여 세상 사람들의 가난 해결에 나서게 할 수는 있다. ‘물질적으로 가난한 프란치스코 교황가난한 자의 따스한 음성으로 가난한 자들의 마음을 밝혀 줄 때, 그 빛의 일부는 부자들에게도 전달되리라. 지금 필요한 가톨릭의 진정한 힘은 바로 여기에 있다.

 

 

 


산타페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대성당 앞뜰에서 만난, '물 위에서 춤 추는 프란치스코 성인'-Monika B. Kaden의 작품

 

 

 

 

산타페 시청 앞에 서 있는 프란치스코 성인 상

 

 

 


성남공항에 내려 환한 미소를 짓고 있는 프란치스코 교황[joins.com 2014년 8월 14일자에서 퍼옴]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8. 4. 20:08

 


무스코기 초입의 이정표

 

 


무스코기 초입에서 만난 인포메이션 센터

 

 


아미쉬 레스토랑의 표지판

 

 


아미쉬 레스토랑의 정갈하고 소박한 음식

 

 


아미쉬 레스토랑의 내부

 

 


아미쉬 버터 및 치즈 광고판

 

 


무스코기 네이션의 문장(紋章)

 

 


연합 인디언 네이션의 문장

 


무스코기 네이션의 국기 

 

 


삼강박물관(The Three Rivers Museum)에서 큐레이터들 및 보안관과 함께

 

 


보안관의 현란한 '권총 돌리기'

 

 


삼강박물관의 생활사 자료

 

 

 

 

크릭(Creek) 족의 꿈과 현실을 찾아

 

 

 

2014224일 아침 8시 오클라호마시티 윌 라저스 공항[Will Rogers World Airport]’ 발 유나이티드 아메리카 항공편으로 시카고 오헤어 공항으로 이동, 한국행 아시아나에 몸을 실으면 미국 생활은 끝이었다. 그래서 이 땅에 남은 미련을 남김없이 태우고자 21-22일 크릭 인디언들의 집거지를 거쳐 출발 전날 오클라호마 시티에 입성하기로 했다. 무스코기(Muscogee)와 오크멀기(Okmulgee)에 모여 산다는 크릭 인디언들을 만나기 위해 털사(Tulsa) 방향의 동쪽 우회로를 택하기로 한 것이다.

 

체류하는 동안 오클라호마에 거주하는 39개 인디언들 가운데 겨우 10여개 부족들을 접한 우리였다. 10여개 부족들 가운데는 이른바 문명화된 다섯 부족들[The Five Civilized Tribes: 체로키(Cherokee), 치카샤(Chickasaw), 촉토(Choctaw), 크릭(Creek/Muscogee), 세미놀(Seminole)]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가운데 오클라호마 동쪽의 크릭은 마지막 코스로 남겨 두고 있었던 것이다. 미국인들은 이 다섯 부족들을 ‘Civilized Tribes’로 부르고 있었으나, 그동안 우리는 그 말에 대해서 상당한 거부감을 갖고 있었던 게 사실이다. ‘civilized’문명화된으로 번역할 경우, 그동안 우리가 만난 여타의 인디언들은 뭐란 말인가. 우리가 보기에 그들 역시 이미 문명화된 미국 사회의 일원으로 훌륭하게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인디언의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는 OSU 역사과의 모제스(Dr. L. G. Moses) 교수에게 물었더니, 이 다섯 부족들이 식민시대나 초기 미 연방시대에 앵글로 색슨 계열 정착자들의 생활방식이나 관습을 수용, 그들과 선린관계를 맺어오면서 문명화되었음을 뜻하는 말이라고 했다. 내가 그 말을 미국화로 바꾸어 이해해도 무방하겠다고 생각한 것은 그 때문이었다.

 

221. 겨울날씨치곤 쨍쨍하게 맑고 온화했다. 이 땅을 떠나기로 되어 있는 24일까지 만 3. 하룻밤은 인디언 구역에서, 나머지 이틀 밤은 오클라호마시티에서 보내기로 했다. 짐가방들을 트렁크에 때려 실은 우리는 렌터카를 몰고 학교를 한 바퀴 돈 뒤 177, 412, 44번 하이웨이 등을 번갈아 타면서 무스코기로 달렸다. 털사로부터 한 시간쯤이나 달렸을까. 무스코기 초입의 길가에 자그마한 관광안내소[Muskogee Tourist Information Center]가 나타났고, 그 건너편에 참한 식당 하나가 숨듯 서 있었다. 이곳에서 아미쉬 레스토랑[Amish Restaurant]’을 만나다니! 행운이었다. 전통 기독교 교회공동체 아미쉬. 메노파(Mennonite) 교회들과 비슷하지만 다른 집단이다. 그들은 스위스 아나뱁티스트(Anabaptist)  ‘재세례파(再洗禮派)’[16세기 종교개혁의 급진적 좌파 운동 집단으로서 유아세례를 부정, 죄와 믿음을 공개적으로 고백하고 성인세례를 받는 것만이 타당한 세례라고 보았음]와 근원을 공유한다. 단순한 생활, 검소한 복장, 문명과 기술의 이기(利器) 등을 기피하는 그들이었다. ‘목마른데 옹달샘 만난 격으로 여기서 그들이 운영하는 식당을 만나게 된 것. 앤틱 풍의 인테리어가 약간은 생소했으나, 벽면 가득 옛날 장식품들이 편안해 보였고 이들만의 풍미(風味) 또한 일품이었다.

 

다시 관광안내소로 돌아와 체구 좋은 중년 여성 자원봉사자의 친절한 설명을 들었다. 무스코기라 지칭하기도 하는 크릭 족은 오클라호마 주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현재 이곳 외에 앨라배마조지아플로리다 등에도 분포되어 있었다. 우리가 이미 만나 본 세미놀 족 역시 이들처럼 무스코기 어[크릭 어]를 사용하는, 가까운 부족이었다. 원래 무스코기 족은 오늘날 테네시조지아앨라배마 주에 걸쳐 흐르는 테네시 강을 따라 건축물을 쌓았던 미시시피 문명의 후예로 추측된다. 미시시피 문명을 이룬 사람들 가운데 최대의 공동체는 카호키아 토성터[Cahokia Mounds]’로부터 나왔으리라 추정되는데, 이미 그 시대에 계급화된 사회나 상속이 이루어지던 종교적정치적 집단이 생겨나 미국의 중서부와 동부를 800년부터 8세기 가까이 지배하고 있었다. 우리가 보고 있는 무스코기 족이 바로 그 후손들이었던 것이다.

그들은 초기에 개척자로 등장한 스페인 사람들과 많은 갈등을 빚었고, 그 가운데 탐험대를 이끌고 나타난 스페인 사람 데소토와 마빌라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데소토의 탐험대가 퍼뜨린 전염병으로 많은 인디언들이 죽어 인구가 급격히 감소되었고, 결국 미시시피 문명도 붕괴되기에 이르렀으나, 살아남은 인디언들 가운데 무스코기 어를 쓰는 사람들이 무스코기 부족 혹은 무스코기 부족 연합으로 다시 뭉치게 된 것이다.

 

1866년 새 정부를 세운 크릭 족은 오크멀기를 수도로 정했고, 1867년에 세운 의사당을 1878년엔 더 크게 확장했다. 우리가 돌아본 크릭 네이션 의사당은 국가의 역사적 랜드마크로서 크릭 족 의사당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크릭 족은 번영기였던 19세기 마지막 10년 동안 학교교회공공건물 등을 지었는데, 이 시기 이 종족은 자치조직을 갖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연방정부로부터는 최소한의 간섭만 받고 있는 상태였다.

1898커티스 법[Curtis Act]’에 의해 부족 정부가 해체되었고, ‘도스 할당법[Dawes Allotment Act]’에 의해 부족의 임대 토지는 사라지게 되었다. 도스 위원회는 부족원들을 혈통에 의한 크릭 족자유민으로서의 크릭 족으로 나누어 등록을 했다. 그런데 그들은 부족원들이 갖고 있는 크릭 혈통의 비율에 상관없이 아프리카 혈통만 인정되면 누구나 그 범주에 분류해 넣었던 것이다. 1906426, 미합중국 의회는 1907년에 오클라호마가 주의 자격을 인정받을 것으로 예상, ‘1906년 문명화된 다섯 부족 법안을 통과시키게 되었다. 이런 일들이 진행되는 동안 크릭 족은 8,100의 땅을 비원주민 정착자들과 정부에 빼앗기고, 그 후에야 ‘1936년 오클라호마 인디언 복지법아래 일부 무스코기 족 도시들은 연방의 승인을 받게 된 것이다. 크릭 네이션은 1970년까지 재조직되거나 연방의 인정을 다시 얻지 못하다가 1979년에야 1866년의 헌법을 대체하는 새 헌법을 만들어 비준하게 되었다. 1976년 하르호(Harjo)와 클레피(Kleppe) 간의 법정 소송사건으로 미합중국의 가부장주의는 종식되고, 민족자결권이 고양되었다. 크릭 네이션은 후손들의 구성원 자격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로 도스 법의 명단을 이용, 58,000명이 넘는 할당자들과 그들의 자손들을 등록시키기에 이른 것이다.

 

현재 크릭 족의 인구는 69,162, 주요 거주지는 미국의 오클라호마 주이며, 종교생활은 기독교[특히 침례교와 감리교], 종교적정치적전통주의적 조직인 네 엄마들의 결사(結社)[Four Mothers Society]’를 중심으로 영위되고 있는 것이 특이했다. 특히 크릭, 체로키, 촉토, 치카샤 등 네 종족이 주로 그들의 땅을 비원주민 이주자들에게 할양하도록 한 도스 법이나 미 의회의 법안 활동 등에 반발하여 결성한 복합적 조직이 바로 이것이었다.

인포메이션 센터의 직원으로부터 무스코기와 오크멀기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얻은 다음 본격적인 탐사에 나섰다. 먼저 언덕 위의 ‘Five Civilized Tribes Museum’에 들렀는데, 1850526일에 세워진 무스코기 네이션의 옛 건물을 쓰고 있었다. 그러나 들어가 보니 소장품은 별스럽지 않았다. 1층에는 다섯 부족의 휘장[seal]들과 사진 몇 장이 걸려 있었는데, 사진조차 찍지 못하게 했다. 1층에서 올려다보니 2층에도 식탁이나 의자 등 생활사 자료들이 몇 가지 진열되어 있을 뿐이어서 사진을 찍지 못하게 하는 이유를 어렴풋이나마 깨달을 수 있었다. 이미 다른 네 부족들을 찾아 그들 문화와 역사유물들의 진수를 맛보고 온 우리였다. 그러한 유물들의 일부를 복제하여 모아 놓고 ‘Five Civilized Tribes Museum’의 간판을 붙인 뜻은 좋았으나, ‘통합문화를 보여주기엔 턱 없이 모자라는 컬렉션이었다.

 

약간의 실망감을 안고 무스코기 시내로 달려 들어갔으나, 이곳 역시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경기가 안 좋아서인지 기름기가 빠져 있었다. 간판마저 흐릿하게 퇴색되고 있는 옛 건물들만 경기가 좋았던 그 시절의 분위기를 암시하고 있을 뿐 널찍한 시내 도로들에는 먼지만 날리고 있었다. 우리는 옛날의 역사(驛舍)를 재활용하여 만든 삼강박물관[Three Rivers Museum]’을 방문했다. 잘 나가던 시절 카우보이들이 텍사스나 오클라호마의 중남부로부터 몰고 온 소떼들을 열차에 싣고 동부로 나아가던 오클라호마 주의 출구가 바로 이곳이었다. 카운터에 앉아 있던 여성 자원봉사자 한 분이 오랜만에 만나는 외국 손님에 당황했는지 허둥거리며 친절을 베풀었다. 큰 역사를 박물관으로 개조한 만큼 세련되지는 않았으나, 오클라호마 주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현장감이 이곳에서도 물씬 풍겨났다. 잠시 후 그 여성이 전화로 호출한 정식 큐레이터가 달려왔고, 그녀로부터 박물관을 꽉 채운 각종 생활사 자료들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설명이 다 끝나갈 무렵 크릭 인으로 보이는 건장한 체구의 보안관이 들어왔다. 홀을 꽉 채울 듯 거대한 몸집의 그는 꽤나 붙임성이 좋았다. 대대로 이 도시에서 살아온다는 그는 보안관이라는 자신의 직책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는 듯 했다. 무엇보다 한국에 대한 호감을 갖고 있었으며, 자신의 가계와 이 도시에 대한 자랑을 늘어놓기 바빴다. 급기야는 우리를 환영하려는 의도였는지 자신의 권총을 빼내 현란한 손놀림을 보여주기도 했다. 밖에 놓인 열차 유물까지 둘러 본 다음, 친절한 사람들로부터 간신히 빠져 나온 우리는 즉시 차를 몰아 1시간 거리의 오크멀기에 도착, 1박을 하게 되었다.

토요일인 다음날 오크멀기의 탐사에 나섰다. 공공기관이나 박물관 등은 대부분 문을 닫은 상태. 하는 수 없이 도심 주요부분들을 걸어 다니며 느껴보기로 했다. 윤기가 빠진 점은 다른 도시들과 같았으나, 규모가 제법 컸다. 오클라호마 주 오크멀기 카운티의 도시이자 남북전쟁 이래 크릭 네이션의 수도였던 곳이다. 그 명칭 ‘Okmulgee’는 영어로 끓는 물(boiling water)’를 뜻하는 크릭 단어 ‘oki mulgee’에서 나왔다는데, ‘졸졸 흐르는 시내[babbling brook]’ 혹은 증발악취[effluvium]’ 등으로도 번역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곳은 분명 노천온천 지역이었을 것이다. ‘악취 나는 끓는 물이라면 아마도 유황온천이었으리라. 인근의 체로키 네이션에서 발견한 그들의 환영사 ‘Osiyo[오시오]’를 내가 우리말 ‘(어서) 오시오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했듯이, ‘oki mulgee’ 아쿠 (뜨거운) !’로부터 나온 것이나 아닐까 상상해 보았으나, 근거를 대지 못하는 한 부질없는 생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남북전쟁 이후 내내 크릭 네이션의 수도였던 만큼 시내 곳곳에 고풍스런 자취가 많이 남아 있었다. 33.2의 넓은 땅에 2010년 기준 12,321명의 인구가 분산되어 살고 있으므로 한산할 수밖에 없지만, 전체적으로 기름기는 빠져 있었다. 우리가 찾으려 한 오크멀기 다문화 역사 박물관[Okmulgee Multicultural Historical Museum]’을 길가에서 발견하고 차를 멈추었으나, 이미 문을 닫은 채 이전했다는 메모만 문 앞에 걸려 있었다. 주변에 물었으나, 어느 곳으로 갔는지 아는 사람이 없었고, 찾아간들 토요일에 문을 열었을 리 없어, 하릴없이 무스코기 네이션 본부가 위치한 곳을 찾았다이미 130여년이나 지난 시기의 건물들이 넓은 땅에 여유롭게 늘어서 있었다. ‘무스코기 네이션 크릭 의사당[Muscogee Nation Creek Council House]’, ‘크릭 의회[Creek Capitol]’, ‘크릭 네이션 수도 청사[Creek Nation Capital]’ 등 단순 소박한 건물들이 주변의 상가들과 행복한 어울림을 이루고 있었다. 1867년 조직된 크릭 네이션의 수반 코우치먼[Ward Coachman] 시대에 오크멀기는 수도로 지정되었고, 1870년에는 오크멀기 헌법도 제정되었다. 수도 청사 의사당 건물 뒤편의 잔디밭에는 어딜 가나 볼 수 있는 인디언 관련 유물들이 늘어서 있었고, 그 가운데 눈물의 행진[Trail of Tears]’ 표지가 버티고 서 있었다. 미국이 인디언 특히 크릭 족에 대하여 자행한 횡포를 고발하는 내용임은 물론이다. 어느 인디언 네이션에 가도 ‘Trail of Tears’ 표지가 서 있는 곳은 눈에 가장 잘 띄는 곳이다. 인디언들에게 가한 미국의 원죄는 인디언이 살아 있는 한 업보가 되어 그들을 괴롭힐 것임을 이 표지판은 말해주고 있었다.

 

 


삼강박물관의 생활사 자료[MKT 라인, 즉 '미주리-캔자스-텍사스' 간 철도 노선에서 사용되던 각종 물건들] 

 

 


삼강박물관에 소장된 인디언 관련 그림[승천하는 전사의 영혼?]

 

 


삼강박물관에 소장된 인디언 관련 그림[크릭 족 전사?]

 

 


삼강박물관에 전시된 당시 기관차

 

 


박물관에 전시된 기차의 기관실


 


지금은 박물관과 음악 홀로 쓰이는 당시의 화물열차 역

 

 

 
무스코기 초입의 환영 표지판

 

 


오크멀기에서 저녁을 먹은 집[값싼 등심이 맛있는 집]

 

 


한산한 오크멀기 시가지

 

 


크릭 네이션 의사당

 

 


크릭 네이션 의사당

 

 


'눈물의 여정' 설명판

 

 

 


빠두아의 성 안토니 가톨릭 교회

 

 

의사당을 떠난 우리는 널찍널찍한 주택가를 배회하다가 크고 멋진 교회들을 만났다. 그 가운데는 미국에서 보기 드문 천주교 성당도 있었다. 이름은 빠두아의 성 안토니 가톨릭 교회[St. Anthony of Padua Catholic Church]’. 천주교 신자인 아내의 말대로 그곳을 방문하게 되었다. 성당 뒤편 주차장에 차를 대는데, 작은 차 한 대가 또르르 달려왔고, 문이 열리면서 로만칼라 복장의 연세 지긋하신 신부 한 분이 의상을 손에 들고 급히 나와 성당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곳에 들어오면서 미사가 있다고 공지되어 있는 것을 본 터라 우리도 부랴부랴 성당 안으로 들어갔다. 미사 예정 시각이 지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당 안은 텅 비어 있는데, 아까 들어온 신부가 촛불을 붙이고 있었다. 인사를 하고 물으니 오늘 특별 미사가 있는데, 아직 수녀가 당도하지 않아서 당신이 직접 미사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국에서 온 관광객이라 하자 반색을 하며 우리를 위해 포즈를 취해 주었다. 휑하니 넓은 성전에는 우리 둘 만 앉아 있었고, 신부 혼자 미사 준비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참 겸연쩍었다. 최소한 한 시간 가까이 걸릴 미사에 우리 둘만, 그것도 천주교 신자로는 아내 한 사람만 참여하는 셈이니, ‘참으로 기이하고 멋쩍은 경험아닌가.

 

우린 갈 길이 바쁘니 어여 나갑시다!’ 신부가 옷을 입으러 들어간 틈에 나는 아내의 옆구리를 찔렀다. 나의 표정이 완강해 보였던지 아내도 마지못해 따라나선다. 밖으로 나오며 생각하니 참으로 미안하고 안쓰러웠다. 특별미사에 신도는 하나도 없고, 그나마 찾아온 한국인 관광객 두 명마저 종적이 묘연하게 사라지고 말았으니, 미사복을 입고 나온 신부는 얼마나 황당했을까. 7~8년 전 유럽 자동차 여행에 나섰을 때의 기억이 떠올랐다. 상당수의 성당이나 교회들은 주일날에도 문이 닫혀 있었다. 주일 예배에 참여하고자 하이델베르그의 한 교회에 갔더니 교회 문은 열려 있었으나 목사 한 분이 앉아서 무료하게 책을 읽고 있을 뿐이었다. 서구사회에서 교회가 망하고 있음을 절감한 순간이었다. 그래서인가. 이 성당 정면엔 미국정신과 함께 가톨릭 정신이 꺼지지 않도록 노력하며[Keeping Catholicism Alive With American Spirit]’라고 쓰인 걸개가 늘어져 있었다. 그에 비해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아직 살아 움직이고 있었다. 교회에 모여 활동을 벌이는 젊은이들은 미국 사회에 뿌리내린 신교의 힘을 보여주고 있었다.

도시 외곽에 자리 잡은 OSU 무스코기 캠퍼스를 거쳐 무스코기 참전용사 비’, ‘무스코기 크릭 네이션 지방법원등을 일별한 다음 마지막 행선지 오클라호마시티를 향해 40번 하이웨이에 접어들면서 우리의 크릭 탐사는 끝이 났다.

 

***

 

크릭 족을 대면하기 위해 무스코기와 오크멀기를 찾았으나, 박물관의 유물이나 건축물로 남아 있는 삶의 흔적만 보았을 뿐, 그들의 종적은 없었다. 그렇다. 아직도 검붉은 얼굴에 검은 머릿결을 날리는 그들의 모습이 유지될 리는 없을 것이다. 아니 그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도 아닐 것이다. 나와 다른 모습의 이웃들과 섞이고 사랑함으로써 나를 변모시키는 것만이 살아남는 길이었을 터. 그러나 신화 속에 살아 숨 쉬는 인디언들의 문화나 의식도 언젠간 새로운 시대 삶의 원리로 부활될 수 있으리라. 돌고 도는 것이 세상 이치라면, 지금 위세를 떨치는 서구문화의 끝판 어디쯤에서 그 옛날 인디언들이 영위하던 생활양식이나 정신이 그들의 이름을 잊어버린 채 새로운 삶의 원리로 사람들을 고양(高揚)시키게 되리라. 그 때를 기다리며 은인자중하며 살아가는 크릭 인들을 우리는 여기서 만난 것이다.

 

 


빠두아의 성 안토니 가톨릭 교회의 사제

 

 


빠두아의 성 안토니 가톨릭 교회 100주년[2008] 기념 표지

 

 


빠두아의 성 안토니 교회 내부

 

 


오크멀기 제일 장로교회

 

 


오크멀기 제일 장로교회 내부

 

 


오크멀기 연합 감리교회

 

 

 


무스코기 전몰용사 추모비[한국전에서 전사하거나 실종된 병사들 포함]

 

 


오클라호마시티의 '윌 라저스 공항' 인근에서 만난 석유채굴기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7. 31. 08:07

 


표지

 

 


내용

 

 


악장이 가창되던 무대예술로서의 정재들

 

 


우측이 첫 책(1990), 좌측이 두번째 책(2005)

 

 

새 책 <<조선조 악장 연구>>가 출간되었습니다!

 

 

 

오늘 새 책 <<조선조 악장 연구>>(새문사)가 나왔습니다.

 

저는 대학에 들어가면서 국문학에 뜻을 두었고, 대학원에 들어가면서 고전문학으로 범위를 좁혔으며, 석사논문을 쓰면서 아예 고전시가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20대 후반 경남대학교의 전임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같은 방향의 연구를 지속했으나, 숭실대학교로 옮긴 뒤부터는 조금씩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제가 관심을 가져 온 여러 대상들 가운데 악장은 초기부터 꾸준히 천착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1990년에 이 분야의 첫 저서인 <<선초 악장문학 연구>>(숭실대학교 출판부), 2005년에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민속원)을 각각 펴냈고, 이제 <<조선조 악장 연구>>를 펴냄으로써 저 개인의 25년 악장 연구사를 일단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물론 악장에 더 이상 파낼 만한 것이 없다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사실 내심으로는 해답을 찾지 못한 이 분야의 화두(話頭)’가 한 둘 더 남아 있습니다. 그 때문에라도 마음이 바뀌어 옛날의 우물터를 다시 찾을지 알 수는 없으나, 지금 갖고 있는 앞으로의 연구 스케줄로 보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출중한 후배들이 그들 나름의 통찰력으로 새로운 차원의 연구를 지속해 가리라 믿기 때문에 지금 제 관심의 물꼬를 다른 곳으로 돌려 보려는 것뿐입니다.

 

이 책의 몇 부분에서 강조했습니다만, 텍스트와 콘텍스트 및 상호텍스트에 대한 면밀한 고찰 없이는 고전시가론이나 고전시가사 혹은 국문학사는 완벽을 기할 수 없습니다. 그 가운데 특히 고려조선의 시가문학은 비생산적 동어반복의 쳇바퀴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봅니다. 관찬문헌인 조선조의 악서들에 고려의 악장[학계에서 말하는 이른바 고려속요’]들이 기록되어 있다는 텍스트의 측면, 조선과 고려의 궁중 무대예술이라는 콘텍스트 혹은 시대문화적 맥락의 측면, 당악을 비롯한 외래 음악이나 공연과의 연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텍스트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비로소 그 본질은 분명히 드러날 것입니다. 악장에 관한 책은 다시 내지 않더라도 기회 있을 때마다 논문이나 발표문 등을 통해 이 문제만은 더 심도 있게 규명해볼 생각입니다.

 

악장의 존재를 인지하기 시작한 초기에 비해 지금은 좀 나아졌습니다만, 그래도 악장에 대한 폄하의 분위기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예컨대, <동동>이 조선조 <<악학궤범>> 아박정재의 창사[혹은 악장]로 기록되어 있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고려의 시대정치문화적 맥락으로만 재단하려는 관성이 바뀌지 않고 있는 점은 아주 흥미롭습니다. <<고려사 악지>>를 비롯한 몇 기록들에 간단히 기록된 동동관련 언급이 학자들의 생각을 아직도 지배하고 있는 점으로도 분명해지는 문제입니다. ‘동동이란 노래가 고려 궁중에 수용되어 속악정재라는 무대예술로 꾸며질 때 이미 존재하던 당악정재들의 양식이 그 표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은 처음부터 상상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動動之戱 多有頌禱之詞 盖效仙語而爲之 然詞俚不載라는 말에서 선어(仙語)’란 말을 엉뚱하게 해석해온 것을 그 분명한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등 당시에 성행하던 당악정재들 속의 선모(仙母)를 비롯한 신선(神仙)들이 잔치 자리의 좌상객인 임금에게 바치던 송도(頌禱)의 말이 바로 선어’[신선의 말’]이었음을 몰랐던 것입니다. 말하자면 당시 조성되어 있던 상호 텍스트적 상황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해프닝이었습니다. 원천적으로 고려노래의 정체는 대부분 궁중의 음악에 쓰이던 악장들이었다는 점과, 조선조 악장의 모범적 선례가 고려의 악장이었다는 점만 인지했다면 간단히 해결될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이 경우는 악장 연구로 얻을 수 있는 단편적 소득에 불과합니다만, 연구하기에 따라서는 앞으로 이것 말고도 다른 많은 것들이 밝혀지리라 봅니다.

참고로 이번에 출간된 책의 목차를 이곳에 들어놓겠습니다.

 

1부 총서: 지속과 변이의 원리, 그 구현체로서의 조선조 악장을 바라보며

. 계승과 극복 대상으로서의 고려악장

. 조선조 악장에 나타나는 지속과 변이의 양상

. 전환의 양상: 포괄화추상화에서 구체화로

. 앞 시대 유산의 포용과 새로운 정체성의 추구

 

2부 아악악장: 텍스트 및 주제의식의 중세적 관습성

왕조와 통치이념의 정당성, 제례악장의 모범적 선례: <문선왕 악장>

. 석전과 <문선왕 악장>

. <문선왕 악장>의 원형과 수용과정

. <문선왕 악장>과 조선조 아악악장의 형성

. <문선왕 악장>의 악장사적 위상

. <문선왕 악장>과 제례악장의 중세적 보편성

 

왕조 존립과 영속의 당위성 및 자신감: <사직악장>

. 사직제의 위치

. <사직악장>의 텍스트 양상과 내용

. 악장제작의 관습과 <사직악장>의 위상

. <사직악장>의 중세적 보편성과 특수성

 

먹거리의 풍요에 대한 기원과 애민의식: <선농악장>

. 선농과 선농제

. <선농악장>의 텍스트와 주제의식

. <친경악장>의 텍스트와 주제의식

. 악장사적 위상

. <선농악장><친경악장>의 중세적 보편성

 

입을 것의 풍요에 대한 기원과 애민의식: <선잠악장>

. 선잠제와 <선잠악장>

. 선잠제 전통의 정착과 의미

. <선잠악장>의 텍스트 양상과 주제의식

. 악장사적 위상

. <선잠악장>의 중세적 보편성

 

우순풍조를 통한 백성들의 안녕과 풍요 기원: <풍운뇌우 악장>

. 풍운뇌우 제의와 <풍운뇌우 악장>

. 풍운뇌우 제의의 전통과 정착과정

. 풍운뇌우 악장의 텍스트 양상 및 내용

. 변계량 악장의 變改 문제

. <풍운뇌우 악장>과 중앙집권적 통치철학

 

3부 향당악악장: 텍스트 및 주제의식의 실험성과 조선조 악장의 독자성

 

천명에 의한 개국의 업적 찬양, 왕조의 무궁함 기원: <문소전 악장>

. 문소전 제례와 <문소전 악장>

. <문소전 악장>의 문헌적 양상 및 내용의 짜임

. 악장사적 위상

. <문소전 악장>과 정격 악장의 맥

 

왕조의 문화적 자부심과 독자적 미학의 발현: <석전음복연악장>

. 석전제와 음복연

. ‘신찬 등가악장의 내용적 짜임과 주제의식

. 악장 제작의 방법 및 시가문학사적 의의

. <석전음복연악장>의 독자성과 문화적 자부심

 

창업과 수성, 경천근민의 이상적 치도: <창수지곡><경근지곡>

. 제례 속의 음복연 절차와 두 노래

. 두 작품의 내용 및 악장사적 위상

. 제작상황

. <용비어천가>의 제작원리와 <창수지곡><경근지곡>

 

새 장르의 노래를 통한 합리적 생활윤리의 제시: <오륜가>

. 궁중악장 <오륜가>

. <오륜가>의 존재양상 및 의미

. <오륜가> 작자 및 창작 토양으로서의 시대 상황

. <오륜가), 지배이데올로기의 경기체가 식 표출

 

여민동락감응형통취포절제경천근민의 가르침: 봉래의 악장

. 조선조 최대의 창작악무 봉래의, 그리고 <용비어천가>

. 악무 명칭의 문헌적 근거와 악장 내용의 상관성

. 봉래의 악장에 아로새긴 세종의 철학, 왕조의 이상

 

제왕의 통치이념을 선양한 언어구조물: 봉래의 진퇴구호

. 퇴구호와 악장

. 봉래의 진퇴구호와 악장의 의미적 상동성

. 봉래의 진퇴구호의 텍스트 양상과 주제의식

. 봉래의 악장의 주제의식과 진퇴구호

 

4부 다른 각도에서 본 조선조 악장의 본질적 속성

 

정재 악장에서 확인되는 송도 모티프와 선계 이미지의 연원 및 지속양상

. 궁중악장과 콘텍스트로서의 송도 문화 및 선계 이미지

. 송도 모티프의 초기 양상

. 송도 모티프의 지속 및 확산과 문화적 의미

. 조선조 후기 창작 정재들과 선계 이미지의 변주

. 정재 및 정재 악장의 선계 이미지, 그 지속과 변이의 문화적 의미

 

시조와 궁중악장의 관계

. 악장과 시조가 공존하던 시공, 조선조

. 악장과 시조의 연계, 그 외연과 내포

. 악장과 시조, 새로운 관계 설정의 가능성

 

북한문학사와 악장

. 악장에 대한 일반적 관점과 북한문학사

. 북한문학사의 악장관

. 악장을 왜곡시킨 북한문학사의 이념적 경직성

 

고전시가교육과 조선조 고려속가 악장의 텍스트 및 콘텍스트: <동동> 지도론

. 고전시가와 고전교육, 그리고 악장

. 교육과정과 고전시가교육의 현실

. ‘동동의 속성 및 환경

. 고전시가 교육과 복합 텍스트로서의 궁중악장

 

5부 총결: 악장에 그려진 왕조의 이상과 현실, 그 거리를 음미하며

 

 

강호 고사(高士)들의 지도와 편달, 부탁드립니다.

 

2014. 7. 31.

 

백규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