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2. 1. 9. 18:31
 

스물일곱의 김정은을 보며

 

 

 자랑할 일은 아니지만, 나는 스물일곱에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중위 계급에 전임강사로 있던 사관학교에서 전역, 곧바로 대학으로 옮겨 간 것이었다. 지금은 작고하셨지만, 당시 학과 교수들 가운데 최 연장자는 48세의 수필가 신상철 선생이었다. 그 분은 첫 대면의 자리에서부터 불안한 눈빛과 표정을 감추지 못하셨다. 48세가 27세를 바라보는 노파심이었을 거라 지금은 이해하지만, 당시에는 살짝 불쾌했다. 30 전후의 학생들이 적지 않았고, 심지어 40이 넘은 학생들도 여럿 되던 당시였다. 학생지도가 교수 업무의 가장 어려운 부분이었던 당시 대학의 시니어 교수로서 새파란 내 모습을 보며 얼마나 한심했을까. 그래도 당시 나는 내가 ‘어리다’는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 세상 이치를 다 꿰고 있다는 듯, 마음속에서는 '썩은 냄새로 가득 찬' 사회와 선배들에 대한 불만이 늘 부글거렸고, 친구들과의 술자리에서는 정치와 시국에 대하여 목청을 높이기 일쑤였으며, 사관생도들이나 학생들을 만나서는 도사처럼 인생을 논하곤 했으니, 어른들이 보기에 내 모습이 가관이었을 것이다. 지금 생각하면 기가 차고 한심하여 저절로 낯이 붉어질 따름이다. 내가 보낸 치기(稚氣) 만만한 젊음을 다 늙어 철 든 지금 생각할 때마다 괜스레 겸연쩍어지곤 하는 것도 당연하다. 당시의 신상철 선생보다 더 나이 든 지금, 30대 초⋅중반의 신임교수들을 보며 부러운 생각이 들면서도 세상 이치를 모두 꿰고 있다는 듯 자신만만해 하는 그들의 언행에 슬그머니 미소가 머금어지곤 한다. 어쩌면 그 옛날의 내 모습이 연상되기 때문이리라. 당시 이미 결혼한 몸이었으니, 교수로도 남편으로도 아빠로도 상당 기간 내 트레이드마크는 ‘젊음’이었다. 허나 지금 생각하면 정말로 철없던 시절이었다. 허둥허둥 시행착오의 연속이었다. 기상은 하늘을 찌를 듯 했으나, 발을 붙인 현실에 대해서는 ‘무대책’의 ‘어린애’에 불과했다. 대학이나 사회에 대하여 약간의 깨달음이 생긴 지금에서야 불끈거리는 '패기’만으로 흘려보낸 세월이 아깝고 안타까울 뿐이다.

  ***

북에서 김정일이 죽고, 그의 아들 김정은이 ‘즉위’했다고 난리를 피우는 중이다. 그럴 만도 하다. 그의 나이 스물일곱. 내 경험으로 비추어 본다면, ‘천둥벌거숭이의 나이’가 바로 스물일곱이기 때문이다. ‘천둥벌거숭이’란 말은 참으로 희한하다. 국어사전을 펴 보면 ‘두려운 줄 모르고 철없이 덤벙거리거나 함부로 날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 하는데, 말뜻치고 이보다 더 정확하고 재미있을 수는 없다. 글쎄, 한 고을의 이장을 하려 해도 많은 관록과 나이가 필요할 텐데. 아무리 찌그러져 가는 북한사회라 해도 겉모습은 분명 ‘나라’인데, 괜찮을까. 요즘은 그의 나이를 생각하며, 새삼 내 ‘스물일곱 시절’을 반추해보곤 한다. 김일성, 김정일을 거쳐 오면서 그 기세 높던 ‘북조선 사람들’의 기를 송두리째 죽여 놓았으니, 누구라서 찍소리 한 마디라도 내뱉겠는가만. 그래도 사람 사는 세상이니 어찌 능구렁이, 살모사, 고슴도치 들은 없을 것이며,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인들 어찌 없으리. 과연 ‘그 어린 것’이 그 험한 계곡과 능선들을 잘 걸어갈 수 있을까. 내가 그 때 그래 왔듯이 천둥벌거숭이처럼 날 뛰다가, 게도 구럭도 모두 잃어버리는 건 아닐까. ‘걱정도 팔자’라고, 내 앞가림도 못 하는 주제에 북쪽에서 새로 즉위한 ‘어린 왕’을 걱정하는 내 꼴이 가관은 가관이다. 그러나 그가 정말로 천둥벌거숭이처럼 날뛰게 되면 그 뒤치다꺼리를 고스란히 우리가 해야 할지도 모르니, 그게 심히 걱정되는 요즈음이다.

  ***

그래도 내 스물일곱 시절엔 너그럽게 훈수해주던 선배들이 있었고, ‘절에 간 새댁’처럼 그들의 말에 고분고분 따르기만 하면 만사가 편했다. 가끔씩 마음 속 깊은 곳으로부터 치고 올라오는 자존심이 문제가 되긴 했지만, 그렇다고 공동체가 와해될 일은 없었다. 그런데, 북쪽의 ‘스물일곱’이 팩 돌아서 어느 순간 ‘핵단추’라도 누른다면? 갑자기 온몸에 소름이 돋는다. 나야 고작 중위 계급장을 달았다가 200여명 남짓의 학생들을 상대하던 보잘 것 없는 교수였지만, 그 친구는 무시무시한 ‘대장’ 계급에 북조선 인민들의 생살여탈권까지 거머쥐게 되었으니, 분명 그와 내가 같은 급의 천둥벌거숭이는 아니렷다? 그러니 우리 모두 휘발유통 안고 장작불 앞에 앉은 꼴이 아니고 무엇이랴!

사실 김정일은 다가오는 죽음을 감지하면서 얼마나 마음이 다급했을까. 그곳이 아무리 상식이 통하지 않는 공간이라지만, 스물일곱이 갖는 의미를 모를 정도는 아니지 않는가. 아버지의 입장에 서면, 가업을 물려 줄 자식이 오십 줄에 들어서 있은들 마음이 놓일 일은 아니리라. 하물며 삼십도 못 된 자식에게 기울어가는 가산을 맡기고 떠나는 심정이야 오죽했으랴? 그래서 더욱 우리 민족의 현재와 미래 상황이 가련하고 딱하다는 것. 그것이 바로 과거 ‘스물일곱의 아프면서도 영광스런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내 판단이다. 그동안 바짝 조였던 정신을 좀 느슨하게 풀어놓은 채 유유자적하고 싶었는데, 다 늙은 지금 새삼 정신무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문득 슬퍼짐을 금할 수 없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2. 1. 7. 20:28

길 잃은 교육부, 휘청대는 지식사회

 

                                                                                                                                                     조규익

 

상식을 갖춘 사람이라면, 우리나라에 피터 드러커가 말한 바와 같은 ‘지식사회’가 존재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지식이 기술의 혁신이나 정책 결정의 기초가 되는 사회, 지식의 생산이나 응용에 종사하는 이른바 ‘지식노동자’가 힘을 갖고 있는 사회를 지식사회라 하는데, 그 경우의 지식사회는 건전한 양식과 합리성을 대전제로 한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 사회를 움직이는 존재가 지식인들인가? 권력을 잡은 계층이 지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과연 그 ‘지식’의 의미는 무엇인가? 지식이 무한경쟁과 무질서로 혼란한 세상을 살아가는 ‘도구’ 혹은 ‘약삭빠른 처세술’에 지나지 않는다면, 굳이 지식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사실 ‘건전한 양식과 합리성’이란 시민사회의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덕목인데, 최소한 그것을 바탕으로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연마한 사람들의 집단이어야 지식사회일 수 있다. 그 경우에도 한 사회가 지식사회이려면, 그 지식은 ‘건전한 양식이나 합리성’과 연동(連動)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우리 사회가 지식사회냐 아니냐를 논하고자 하는 건 아니다. 최근 우리의 자화상을 목격한 뒤 하도 어이가 없어 한 마디 하려다 보니 ‘지식사회’라는 단어가 튀어나왔을 뿐이다.

 

***

 

얼마 전 교육부는 98년부터 시작한 ‘학술지 등재’제도를 폐지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 제도가 도입될 당시 다양한 학문분야에 많은 학회들이 있었는데, 누구의 발상이었는지는 모르지만 학회들만 다잡아서 획일화 시키면 학문의 질이 저절로 올라갈 거라고 생각한 것 같다. 아마도 관변에서 단물을 즐기던 일군의 학자들이 ‘통치적 발상’의 부림을 받아 그런 묘안을 만들어 올렸을 것이다. 사실 학문의 질을 높인다는 취지로 정부가 나서서 학술지의 등급을 매기는 나라는 지금 세상 어디에도 없고, 과거 어느 시대에도 없었을 것이다. 노벨상에 이 분야가 있었다면, 단연 우리나라의 교육부가 단독수상의 영예를 누렸으리라. 오죽 답답했으면 나라가 학문의 질을 높이겠다고 나섰을까 생각하면 지식사회의 한 구석을 차지한다고 착각하는 필자로서 부끄러움을 금할 길 없었고, 지금도 그런 생각에 변함이 없다. 하물며 존경하는 선배 학자들이야 오죽했으랴! 머리 성성한 노학자들이 서류뭉치를 들고 학진의 사무원들 앞에 굽신거리며 ‘등재’의 재가를 받아오면서 희희낙락해온 것이 그동안의 희화(戱畵)였다. 모든 학회의 이름을 ‘○○학회’로 통일해야 한다면서 ‘연구회, 세미나, 포럼’ 등 모임의 다양한 명칭들을 없애버렸고, 참고문헌의 형태, 요약문의 길이, 주제어의 개수 등에까지 일일이 간섭하며 점수를 매기는 ‘웃지 못 할’ 일들이 백주에 벌어지는 것이 이 나라의 지식사회다. 단 몇 년 사이에 수백 수천 개의 학회들이 국군의 날 의장대 정열하듯 정연해졌고, 그 형식요건에 따라 점수가 매겨졌으며, 편의성을 좋아하는 대학들은 얼씨구나 하고 그걸로 업적평가를 대신하게 되었다. 키보드에 교수 이름만 쳐 넣으면 학진의 홈페이지에 연동되어 1년간 발표한 논문이 주르르 흘러나오니 행정적으로 얼마나 편한 일이며, 시비 또한 일어날 일이 없으니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학진의 규정만 잘 따르면 일반 학회는 등재후보 학회가 되고, 등재후보 학회는 등재학회가 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 규정이라는 것이 형식요건에 그치는 것이라서 사실 심사할 필요도 없는 것을 굳이 심사라는 절차를 만들어 학회 운영진을 애태우는 일들도 허다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어떤 사회인가. 온정으로 똘똘 뭉친 사회다. 서로 품앗이하듯 서로의 학회들을 웬만하면 올려주는 것이 우리네 미풍양속인 것을! 등재(후보) 학회가 되고자 신청한 학회들을 무슨 근거로 탈락시킬 것인가. 자연스레 기본 요건만 갖추면 모두 등재후보, 등재학회로 등극하게 된 것이 그간의 사정이었다. 등재(후보)학회의 경우 웬만하면 학술지 발간비에 학술회의 비용까지 지원해주고 있으니, 그간 한국의 학회들은 학진의 품속에서 꿀맛 같은 세월을 보낸 것이 사실이다. 그래도 그 덕에 한국의 학계가 많은 논문을 얻은 것은 부정할 수 없다. 특히 대학에 입성하려는 학인들 가운데 분야에 따라 한 해에 열편도 넘는 논문들을 발표하는 사람들이 없지 않고 지금도 학진 등재논문으로 학문적 역량을 인정받기 위해 애쓰는 학자들이 많으니, 그 점만큼은 놀라운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제 한국의 학자들 특히 젊은 학자들이 논문 쓰는 맛을 비로소 보기 시작했다고 힘주어 말하는 분이 있을 정도다. 분명 이 점은 등재 제도가 갖고 있는 기능들 가운데 긍정적인 측면일 것이다.

 

***

 

그런데, 이제 그 제도의 문을 닫겠다고 한다. 별 뚜렷한 대안도 없이 13년 동안 한국의 지식사회를 순치(馴致)시켜 온 제도의 막을 아예 내려버리겠다는 것이다. 사실 심사를 엄격하게 하여 등재 학술지로 승격하는 학회의 수를 제한하겠다는 것이 교육부의 초심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미 형식요건이 갖추어져 있는 이상 그것을 충족시키지 못할 학회들도 없고, 형식요건에 맞는 것들을 내용상의 문제로 퇴짜를 놓을 강심장의 학자들도 없다. 그러니 너무 많은 학회들이 등재의 범주에 들어와 버렸고, 국가로서는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교육부와 학계의 일부는 그 탓을 이젠 학자들에게 돌린다. 제도를 만들고 제대로 엄정하게 관리하지 못한 자신들의 잘못은 덮어둔 채 일부 드러나는 문제들만 거론하며 학자들의 ‘양식 없음’ 만 탓한다. 바람직하지 못한 제도를 도입한 것이 원래 문제이지만, 그렇다고 분명한 대안도 없이 송두리째 없애는 것은 더 큰 문제다. 가장 자유로워야 할 학자들의 학문적 생산과 평가, 혹은 학회라는 학문 공동체를 정부의 획일적인 잣대나 틀에 의해 재단하려 한 것은 상식 이하의 처사였다. 그렇다고 이제 겨우 13년 된 제도를 보완해볼 생각은 하지 않고 송두리째 없애겠다는 것은 시도 때도 없이 자행되는 ‘아파트 재건축’만도 못한 하책(下策)이다.

정부에서 내 놓은 안은 올해 10개, 내년에 15개, 내후년에 20개 내외의 학회를 선정하여 매년 1억 5천만원씩 최장 5년간 지원해 ‘세계적인 학술지’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우리는 왜 항상 ‘세계적인~’이란 관형어를 좋아 할까. 학회나 학술지들이 어찌 돈을 퍼붓는다고 단숨에 ‘세계적인 반열’에 오를 수 있단 말인가. ‘세계 수준의 대학’을 육성하겠다는 야심으로 천문학적 돈을 퍼부으면서도 거의 실패로 판명되고 있는 ‘WCU(World Class University ;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 )’ 제도를 보면서도 다시 ‘세계적인~’이란 관형어를 사용하는 배짱은 과연 어디서 연유된 것인가. 우리 민족의 DNA 때문일까. 1억 5천만 원씩 5년간 특정 학회에 퍼붓는다고 ‘세계적인 학회’가 될 수 있다는 발상은 과연 누구로부터 나왔을까. 따져 보자. 아무리 큰 학회라 할지라도 1년에 네 번 정도의 학술지를 간행할 것이다. 1회 간행비를 5백만 원으로 잡는다면 학술지 간행에 2천만 원이면 넉넉하고도 남는다. 학술회의를 두 번 한다고 쳐도[매번 국제학술회의를 할 수는 없을 것이니 매년 한 번씩만 국제학술회의를 한다면] 2천만 원이면 넘칠 정도다. 그렇다면 남는 돈은 회원들의 연구비로 지급할 것인가? 아니면 학회 통장에 적립할 것인가?

10개나 15개의 학회를 선정하는 문제는 그보다 더 심각하다. 학문분야만 따져도 수십에 이를 것인데, 그 정도로 전 분야를 커버할 수 없을 것이다. 잘 나가는 분야가 독점하거나, 상당수의 분야는 한두 개를 배정받는 것이 고작일 것이다. 예컨대 필자가 속해 있는 국어국문학[혹은 그것을 포함한 인문학 분야]에 수백의 학회가 있고, 대부분의 회원들은 몇 개의 학회들에 걸쳐 있는데, ‘어떻게 무슨 기준으로’ 한 두 개의 학회를 선정할 것인가. 여기서도 특정 부류의 소수 인사들에 의해 학문 외적인 ‘힘’이 구사될 것은 뻔한 일이다. 온정주의나 연고주의가 정치권 못지않게 판을 치는 곳이 학계인 줄 모르는 것도 아닐 것이고, 기존 정책들의 실패 또한 근원적으로 여기서 연유되었음을 모르지 않을 것인데, 다시 그런 부조리와 말썽을 반복하겠다는 발상을 이해할 수 없다.  

 

***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온당한 일일까.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고, 어떤 제도이든 부작용 없이 안착시키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바람직하다. 학문의 본질이나 학자들의 자존심에 비추어 볼 때 지금의 ‘등재’ 제도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 그러나 일단 출범하여 10여년의 세월이 지났다. 부작용도 있지만, 긍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다. 부작용을 줄이면서 원래의 취지를 살려가는 쪽으로 보완해가는 것이 나라 전체를 위해 최선이다. 13년을 끌고 가다가 ‘이게 아닌가봐!’ 하고 내팽개칠 일이 아니란 것이다.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면 보완해 써야 한다. 맘에 안 든다고 내팽개치는 것은 어린애들이나 하는 짓이다. 지금 한국의 모든 대학들이 등재 제도에 기대 교수들의 업적을 평가해오고 있는데, 하루아침에 제도 자체를 버린다면 대학들은 어떻게 하란 말인가.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또 미래의 결과가 불투명한 시험에 돌입해보겠다는 것인가. 그렇다면 앞으로 한국의 대학사회는 영원히 모르모트의 신세를 벗어날 수 없고, 똑 같은 착오의 고리 또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우선 2014년까지 등재심사를 유예하겠다고 했으니, 그 사이에 제도의 보완책을 마련하면 된다. 현 제도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는 논문의 질에 대한 평가가 소홀하다는 점일 것이다. 현재도 학회지 별로 개별 논문의 심사를 시행함으로써 질의 평가는 어느 정도 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논문의 인용지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니, 그 점을 추가하면 된다. 유예기간 4년 동안 학술지의 인용도를 조사하여 통계를 내보는 것이다. 인용도에 따른 순위나 점수를 학술지들에 적용하여 등재[후보] 학술지들을 다시 스크린할 경우 우열이 판명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학술지 전체를 ‘일반학술지-등재후보학술지-등재학술지-선도학술지[가칭]’의 4단계 시스템으로 재편성할 수 있으리라 본다. 선도학술지에 선정된 학회들에는 상당액의 지원금[1억 5천만 원까지 줄 필요는 없다!]을 지원함으로써 국제무대로 발돋움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해야 한다. 다만 각 단계마다 ‘진짜로 엄정한 기준’을 마련하여 쉽게 승급할 수 없도록 관리한다면 학회의 질서는 저절로 잡혀 갈 것이다. 이렇게 해야 지금의 제도를 부수지 않고도 보완할 수 있다. 물론 문제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인용도를 새로운 잣대로 채용한다지만, 한국적인 상황에서 그 인용도를 신뢰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젊은 학인들이 논문의 우열과 상관없이 자신의 지도교수나 선후배들의 논문만 인용하는 경우가 많고, 자신이 속한 학회의 학회지만을 인용하게 되는 폐단 또한 분명히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폐단은 우리 지식사회가 좀 더 성숙해지면 저절로 사라질 문제일 것이니, 시간적인 여유를 두고 계몽해 나가야 한다. 기득권을 쥐고 있는 메이저 대학 교수들의 의식 개혁이 중요한 것도 그 때문이다.

 

***


우리 사회가 성숙해지는 만큼 지식사회 또한 휘청대지 말아야 한다. 정권은 바뀔 수 있으나, 정책이나 제도는 쉽게 바뀌지 않아야 한다. 교육제도나 학문정책이 쉽게 바뀌어서는 안 되며, 바뀌더라도 구성원들이 그 변화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이 순간도 연구실에서 밤을 밝혀가며 연구에 몰두하는 학자들과 대학에 채용되기 위해 논문 집필에 매진하는 ‘교수 지망생들’이 있다. ‘진정한 학자라면 학술 평가제도가 어떻게 바뀌든 그게 무슨 문제냐?’라고 질타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학자든 그렇지 않은 학자든 모두 ‘제도 속의 구성원들’임을 인정해야 한다. 제도에 의해 유불리(有不利)가 결정되는 생활인들이자 세속적 존재들이란 말이다. 권력을 잡은 사람들은 ‘이참에 제도를 한 번 확 바꿔버릴까?’라는 유혹을 느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럴 경우 떠올려야 할 덕목은 ‘신중함’과 ‘사려 깊음’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건대, 정권은 바뀌어도 정책이나 제도는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 그것만이 우리 지식사회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항심(恒心)을 갖게 하는 유일한 길이다.

<2012. 1. 7.>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2. 1. 1. 00:30

 

   위 <천리포의 일몰-2011. 7. 20.>
   아래 <동해의 일출-양양 솔비치 앞바다, 2010. 1. 18.>

                                         
 몇 시간만 지나면 또 한 해를 맞는다. 누군들 예외일 수 있겠는가만, 신묘년이 한 뼘 가량 남은 지금 심사가 적잖이 복잡하다. 대충 계산해 보아도 지난 한 해 개운치 않은 일들이 많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잘한 일과 잘못한 일들을 저울에 달 경우 약간 뒤쪽으로 기운다면 일단 후회가 많은 한 해였다고 평가할 만하다. 그 옛날 중국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은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작비금시(昨非今是)’의 감회를 노래했다.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그에게 ‘벼슬에 앉아 있던 시간대와 벼슬에서 벗어나 고향에 돌아온 시간대’는 같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벼슬살이가 잘못된 일이었고, 벼슬을 던지고 고향에 돌아온 것이 옳은 일이었다는 깨달음을 그 시에서 강조한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지난 시간대의 어리석음과 잘못을 뉘우친다. 어리석음과 잘못을 1년 단위로 뉘우쳐서 지난해의 그것들이 무(無)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야 얼마나 좋을까. 스타트 라인에 다시 올라서서 가벼운 마음으로 새 출발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생은 ‘포맷이 불가능한 컴퓨터’다. 잘한 일도 잘못한 일도 모두 안고 가야하며 그에 따르는 부담을 함께 져야 하는 운명적 존재다. 잘한 일이 많으면 밝은 인생을 살 수 있고, 잘못한 일이 많으면 어두운 인생을 살 수밖에 없다. 어제의 잘못을 깨끗이 반성하고 ‘새 출발’을 한다고들 말하지만, 그 기억과 상흔이 컴퓨터 포맷하듯 어찌 말끔하게 지워질 수 있으랴. 그래서 사람들은 번뇌에 시달리기 마련이다. 가슴을 치기도 하고 발등을 찍기도 하며, 스스로를 호명하며 저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후회가 나 같은 필부(匹夫)들만의 일은 아니다. 임기 말의 레임덕에 사로잡힌 대통령도 지금쯤 아마 그런 심정일 것이다. 취임 초부터 지금까지 능력 있고 청렴한 사람을 쓰지 못한 채 한사코 주변의 사람들, 인연을 맺은 사람들만 쓰는 대통령을 이해하지 못했다. 주변에 널린 필부들의 한계를 고스란히 보여 준 사례가 바로 대통령의 인사였다. 인사청문회에 서는 후보들마다 어쩌면 그리도 오점들로 가득하단 말인가? 모래알처럼 많은 인물들 가운데 어찌 하여 그런 인사들만을 골랐을까? 대통령과 인간적으로 가까운 사람만을 골랐기 때문이다. 하다못해 내 집 안방의 구들장을 놓을 때도 능력 있는 기술자를 골라야 하거늘, 황차 국가대사를 맡기는 장관을 고르는 일이야 더 말하여 무엇 하리오? ‘까짓것 어떠랴? 일만 잘 하면 그만이지!’라고 밀어붙였으리라. 그런 일들이 누적되다 보니 임기 말에 옴짝달싹 못하는 신세가 되고 만 것이다. 아마 대통령도 지금쯤 땅을 치며 후회하고 있을 것이다. 사사건건 사람을 천거하며 압력을 넣던 ‘형님’이나 측근 몇몇에게 가혹하게 대하지 못한 것도 후회일 것이다. 그러나 일을 그르치고 나서 후회한들 무엇하랴! 최상급의 지도자는 처음부터 올바른 길을 가는 사람이고, 그 다음 등급은 한 번 실수 이후에 다시는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사람이며, 최하급은 같은 실수를 연달아 저지르는 사람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 대통령을 최하급이라 해도 할 말이 없으리라. 

사실 그렇다. 사람이 저지르는 실수 가운데 가장 큰 것이 ‘사람을 잘 못 보는 일’이다. 사람에 대한 판단을 그르치는 일만큼 뼈아픈 일도 없다. 국가나 공동체의 공직에 부적합한 사람을 선택하여 후회하는 일은 지금 눈 아프게 목도(目睹)하고 있으므로 논외로 하자. 개인들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서로를 잘못 판단한 남녀 간의 사랑은 씁쓸한 비극의 단초다. 만나자마자 헤어지는 요즘 청춘남녀들의 애정 사고는 공부의 당연한 과정이라고 치는 것이 현실이다. 그것을 포함하여 각종 인간관계에서 교언영색(巧言令色)에 속아 가까이 한 사람들로부터 배신을 당하는 사례들이 도처에 널려 있다. 누구에게 하소연도 못하고 속을 끓이는 사람들이 나를 포함하여 부지기수일 것이다. 사람들을 잘 못 보고 믿다가 인간에 대한 환멸을 느낀 것은 올 한 해의 쓰라린 후회들 가운데 하나다. 그 기억을 지울 수 있으면 좋겠으나, 간단히 포맷할 수 없으니 어쩌랴! 그 영향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니 그 또한 근심이다.

***

 이제 밝아 올 임진년엔 형형(炯炯)한 용의 눈과 과감한 용의 심성을 닮고자 한다.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 않고 거리낌 없이 수직으로 치솟는 용의 기상을 배우고자 한다. 급격히 흐릿해져 가는 육안(肉眼) 대신 사물의 본질을 통찰하는 심안(心眼)을 갖추는 일에 매진하고자 한다. 일에 직면하여 이리저리 재며 소리(小利)를 탐하기보다 대의(大義)를 향하여 맹진(猛進)할 것이다. 더불어 공자가 안연(顔淵)에게 전하신 사물잠(四勿箴)[非禮勿視/非禮勿聽/非禮勿言/非禮勿動]을 ‘똑 소리 나게’ 한 번 지켜보고자 한다. 나이 먹을수록 판단력이 흐려지고 지혜가 고갈되어 주변 소인배들의 교언영색에 스스로 무너지는 나 자신이 가련하니, 이제부터라도 더 이상 ‘발등 찍는 일’은 반복하지 않을 일이다. 입에 칼을 물고라도 ‘작심삼일(作心三日)’이란 말을 사전에서 도려낼 일이다.

                             묵은해와 새해가 교차하는 시점에
                                       
                                        백규, 재계(齋戒)하고 다짐함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1. 12. 29. 17:50


제부도 행

 

백규

 

겨울의 제부도는 쓸쓸했다. 텅 빈 바닷가에 불어오는 바람, 그 바람결이 몹시 차가웠다. 차갑다 한들 살을 에기야 하겠냐만, 바람결에 봄기운의 약속은 단 한 오라기도 들어 있지 않았다. 그래도 좋았다. 하늘에선 깔깔한 햇살이 내려 쪼이고, 팔리길 고대하는 도자기들을 겹겹이 쌓아놓은 길가의 가게도 운치를 더했다.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송교리 해안에 도착한 것이 오후 3시 반쯤. 30분쯤 기다리니 제부도를 건너는 길이 열렸다. 물에 잠겼던 시멘트 길이 열린 것이었다. 사람들은 그것을 ‘모세의 기적’이라 불렀다. 조금 전까지 물에 잠겼던 증표일까. 번질번질한 길옆엔 검푸르게 질려버린 바닷물이 금방이라도 길바닥으로 넘어올 듯 철럼거렸다.

 

차를 몰아 2km를 건너는 5~6분 동안 ‘왜 제부도라 불렀을까’를 두고 오른쪽의 바닷물과 왼쪽의 갯벌은 무수한 말들을 교대로 들려주었다. 사람들은 ‘제(濟)’와 ‘부(扶)’를 들어 ‘제약부경(濟弱扶傾)’을 그 어원이라 했다. 즉 “송교리에서 제부도 사이의 갯고랑을 어린아이는 업고 노인들은 부축하고 건네 준 것을 '제약부경'이라 하였는데, 제자와 부자를 따서 제부도라 하였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춘추정전(春秋正傳)>>에 나오는 ‘제약부경지의(濟弱扶傾之義)’로부터 명칭을 따왔다니 참으로 섬에 대한 명명치고는 너무 유식해서 재미없다. 물이 빠지면 어린아이 노인 할 것 없이 몰려 나와 바지락도 캐고, 낙지도 잡고, 망둥이도 잡았겠지. 그러다가 물이 들어올 때쯤이면 함께 손을 잡고 부축하며 갯벌에서 빠져 나왔을 것이다. 원래 ‘제부섬’이라 불러왔는데, 언젠가부터[아마 일제 때였을 것] 그 섬 이름을 한자로 등재하기 위해 고심하다가 그런 광경과 결부시켜 한자로 적다보니 ‘제약부경’의 의미까지 갖다 둘러  댄 것이리라. 어쩌면 그 옛날 해안에 살던 사람들은 봄이 오면 그 섬으로부터 제비 떼가 몰려오는 것을 목격했을지도 모른다. 아니면 사람들도 적고, 주변 갯벌에 먹이도 많아 제비들이 이 섬에 떼지어 살았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섬을 ‘제비섬’이라 했을 것이고, 그것이 오랜 세월 ‘제부섬’으로 와전(訛傳)되었을 것이며, 결국에는 ‘제약부경’을 견강(牽强)하기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나 아닐까.

바다 멀리 풍력발전소의 바람개비들은 끊임없이 돌고, 바닷물은 이빨을 드러내고 다가들었다. 제부도에 들어가니 갯벌이 끝나는 곳까지 모래와 자갈이 깔려 있고, 그 위엔 환한 햇살 아래 어선 두어 척이 하품을 하고 있었다. ‘인영(人影)이 불견(不見)!’ 따스한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 인파로 붐볐을 이곳이 이토록 텅 빈 것은 차가운 바람 때문은 아닐까. 숙박을 위해 들른 펜션도 추위에 질려 있었다. 방에 들어가 앉으니 가슴 위를 찬바람이 휭 하고 훑는다. 그래, 사람의 온기가 끊어진 몇 주일 간 그 빈자리를 이 찬 바람이 제멋대로 들락거렸구나. 차라리 바다에 맴도는 바람 맛이나 볼까. 해안으로 나오니 바다도 갯벌도 모래사장도 모두 추위에 질려 있었다. 그러나 바다 건너편을 바라보니 서해바다로 연결되는 목이 보이고, 그 언저리에 큰 배들이 조용히 떠 있었다. 아마 짐 가득 싣고 먼 길을 가는 중이었을 것이다. 가만히 팔을 벌려 보니 양 손 닿을 만한 곳에 큰 굴뚝들 두 셋이 흰 연기를 내뿜고 있었다. 아마도 화력발전소들이겠지. 전국의 바다 풍광 좋은 목들엔 어디고 할 것 없이 발전소가 서 있었다. 화력발전소에서는 뜨거운 폐수가 바다로 흘러나올 것이고, 그 뜨거운 물은 상큼한 주변의 바닷물을 뜨뜻하게 만들 것인즉 바지락이며 망둥이며 낙지가 견뎌낼 재간이 없을 것인데. 과연 그들은 이 바닥을 떠나 어디로 이사들을 간단 말인가. 비록 탈황을 했다고 해도 하얀 연기를 보는 순간 내 천식은 또 다시 발작을 하기 시작했다. 수천 년 사람들이 파먹고 뒤 엎어도 끈질기게 다시 생명을 내어놓곤 하던 갯벌이었다. 아침녘에 갯벌을 훑어가며 바지락을 캐내다가 지쳐 집으로 돌아가 하룻밤 자고 다시 가서 호미를 대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 싶게 다시 오글오글 바지락들이 들어차 있곤 했다. 그게 갯벌이었다. 왕성한 복원력을 자랑하는 현란한 생명의 현장이었다. 그 바닥이 지금 가슴 벅차게 내 눈 앞에 펼쳐지고 있지 않은가.

제부도! 장어, 농어, 숭어, 망둥이 등이 뛰놀고, 굴과 바지락과 김을 키워내는 곳이다. 누천년 들락거리는 바닷물과 쓰다듬듯 불어대는 바람이 함께 이곳의 생명을 낳고 키웠으리라. 그 생명의 현장을 누군들 버리고 싶으랴? 너와 나의 끝없는 탐욕이 종국에는 이 갯벌도 삼켜 버릴 것임을 우리 모두는 깨닫지 못하고 있으니, 참으로 내 스스로가 가련한 존재 아니랴? 그저 수굿이 제 할 일만 하고 있는 제부도의 바닷물과 바람과 갯벌을 바라보며 반성이나 하다 갈 일이다.<2011. 12. 22.>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1. 12. 29. 13:52


추천의 말

존재의 자각, 그리고 간절한 신앙고백


                                                 조규익(숭실대 교수/한국문예연구소장)


조물주는 인간에게 영혼과 육신을 허락했으나, 영혼에 비해 육신은 덧없이 짧다. 대부분의 인간은 영적으로 성숙되기 이전에 육신을 잃고 만다. 인간의 삶을 이끄는 주체는 영혼이고, 그 영혼의 완성이나 구제는 신의 영역이다. 육신은 욕망의 근원이므로 육신에 집착하는 자에게 ‘육신은 굴레(bondage)’일 뿐이라는 것이 철학자 스피노자의 말이다. 과연 인간은 육신의 욕망을 탈각하고 정결한 영혼의 세계에서 노닐 수 있을까. 그래서 우리는 신의 손길을 갈망한다. 신의 손길만이 절망의 나락에 빠진 인간을 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머지않아 닥쳐 올 심판의 시간을 외면한 채 육신과 욕망의 노예가 되어 방황하는 인간들의 어리석음을 보라.
     ***
지금 이 순간, 시인 백승철의 신앙고백이 눈물겹도록 귀하다. 그는 몸을 불사르며 영혼의 완성을 간구하는 삶을 살고 있다. 그래서 그의 삶은 구도자의 그것이고, 그의 시는 편편이 신앙고백이다. 종교 역사 상 가장 뛰어난 신앙고백 <사도신경>의 핵심을 그의 시에서 발견한다. 전능하신 조물주와 그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빌라도의 박해 속에서 육신의 감옥을 벗어나 성령으로 임재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조만간 도래할 심판과 영생에 대한 믿음 등등. 그래서 그는 필사적이면서도 의연하다. ‘박해의 쓴 잔’을 물리치지 않고 부활의 기적을 보이신 예수님만 바라보기 때문인가. 그 역시 육신을 짓부순 고통에 좌절하지 않고 영혼의 완성에 매진한다. 육신보다 영혼의 불멸을 믿기 때문일 것이다. 영혼의 구원에 대한 믿음이 그로 하여금 육신의 굴레를 간단히 뛰어 넘을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 내 뱉는 그의 말들 모두가 절절한 신앙고백인 것도 그 때문이다. 말하자면 <사도신경>의, 아니 성서 자체의 패러프레이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수님의 삶을 우러르며, 스스로의 삶 갈피갈피 묻어나는 고통과 회한을 순화시켜 가는 구도자의 고백이다. 그것이 바로 백 시인의 시편들이다. 다음과 같은 그의 시는 얼마나 처절한가.  

그래
아무리 밉다 곱다 해도
된서리에 쪼그라들어
비굴해진다 해도
뿌리 하나만큼은
꿋꿋이 뻗치고 있으니
또 어찌어찌
견디게 되겠지
오롯이 살아지겠지
혹독한 겨울을 딛고
한 치라도 더 파고들어
이 세상
한 줌 흙이라도 되겠지
       -<겨울나기> 전문-

우리는 흔히 ‘겨울나기’를 ‘월동(越冬)’이라 말한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 두 말의 내포가 사뭇 다르다. 어쩌면 우리가 심상하게 일컫는 ‘월동’이란 겨울을 뛰어넘은 그곳에 ‘당연히 기다리고 있을 봄’을 상정하거나 기대하는 말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백 시인의 ‘겨울나기’는 절망의 심연 그 자체다. 절망에 빠져 허우적대면서도 ‘어떻게 견디게 되겠지’라는 실오리만한 희망을 가져보기로 한 것이다. 매서운 추위에 줄기와 가지는 얼어 죽어도, 뿌리는 남아 있기에 나무는 새로운 부활을 꿈꿀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래서 결국 ‘이 세상 한 줌 흙’이라도 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가져보는 것이다. 그 희망은 믿음이다. 절망의 심연에 빠져 본 사람 만이 희망의 소중함을 알 수 있다. 백 시인은 지금 빠져 나오지 못할 줄 알았던 지난 시간대의 ‘모진 겨울’을 회감(回感)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백 시인의 그 희망이 도타운 신앙의 심지가 되어 커다란 횃불로 타오르고 있는 모습을 이 시는 내포하고 있다.
     ***
학창 시절의 백 시인은 과묵했다. 말을 걸어도, 빙긋 웃을 뿐 끝내 말문을 열지 않았다. 대신 그의 말은 시가 되어 나왔다. 누에고치에서 비단실 풀려나오듯 그의 시들은 늘 빛나고 단정했다. 교단생활을 거치며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시의 폭은 넓어졌고, 신을 발견하면서 신앙고백으로 상승했다. 자아성찰을 바탕으로 신을 바라보는 그의 시안(詩眼)이 견고하다. 흡사 <사도신경>을 자신의 말로 풀어내려는 듯 그의 필치는 거침이 없다. 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되었고, 결국 그에게 기대게 되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고통을 통해서만 성장할 수 있고, 고통 속에서만 신에게 다가갈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그에게서 확인한다. 고민과 고통 속에 허우적대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백 시인의 시를 읽으며 막힌 가슴을 뚫어볼 일이다. <2011. 12. 17.>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1. 12. 25. 00:49

송년회 유감



11월부터 각종 송년회의 공지(公知)가 시작되더니, 12월에 들어서니 여름철 소나기 양철지붕 두드리듯 잦아졌다. 이메일로, 스마트폰 문자로, 카카오톡으로, 전화로... 문명의 이기가 늘어나면서 송년회 연락의 횟수가 늘어나고 신속해진 모습이 귀찮을 정도로 다양해졌다. 늙어가는 처지에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할 순 없다는 위기감 때문이었을까. 송년회 가운데 두 군데를 고르기로 했다. 하나는 고등학교 동기들과의 만남, 또 하나는 고향 친구들과의 만남이었다.

아, 우리 모두는 50대의 힘겨운 능선을 넘고 있었다! 그런 우리들의 가벼운 호주머니를 배려한 집행부의 따뜻한 마음과 달리 날씨는 추웠고, 모임의 장소 또한 매우 썰렁했다. 장소가 썰렁하니 음식도 서걱거리고, 돌아가는 술잔 또한 힘이 없었다. 게다가 안주로 삼아야 할 대화 또한 건강과 주변사람들의 상사(喪事), 자녀들의 혼사, 전원주택, 명퇴 등 씁쓸한 메뉴들 뿐이었다. 고혈압, 당뇨, 암, 오십견, 뇌졸중 등등 대개 죽음의 문턱에서 발견됨직한 병명들이 난무했고, 명퇴 후 창업했다가 퇴직금을 말아먹은 이야기도 가슴을 서늘하게 만들었다. 대학의 교수로 잘 나가다 불시에 당한 뇌출혈로 거동이 불편한 어떤 친구의 모습은 시간의 위력에 저항할 수 없는 인간의 본질을 확인시켜 주었다. 위로하고 걱정해주는 마음들로 냉기는 덜어졌으나, 의욕도 정열도 퇴색한 우리들의 모습은 서로를 비추어 주는 거울이었다. 어제까지 질세라 ‘원샷!’을 외치며 부딪치던 술잔들의 광채는 모두 어디로 간 것이며, 술자리가 끝나기도 전에 노래방을 예약하던 패기들은 모두 어디로 숨은 것일까. 썰렁한 자리가 파하기도 전에 슬금슬금 집구석으로 찾아 돌아가는 모습들이 딱하기만 했다.

이번 고향친구들의 모임엔 암 투병을 시작한 친구도 합석했다. 우리의 나이와 암이라는 병명이 갖는 함의(含意)를 모임 내내 안주 삼아 되씹는 모습들이 우울했다. 그 자리엔 암과 싸워 거의 이겨가는 도중의 두 친구도 있었다. 자신들이 선배라며 암 투병 중인 그 친구를 위로하는 그들의 명랑한 목소리도 우울한 분위기에 묻혀버리고, ‘잘 싸워 이기라!’는 등 토닥임이 기껏 우리가 건넬 수 있는 최대의 호의임을 확인하고 돌아서야 했다.
 
***

몇 해 전인가. 대선배 한 분으로부터 송년회의 분위기를 전해들은 적이 있다. 해가 갈수록 참석자들이 줄어드는 게 가장 슬프다는 것이 그 분 말씀이었다. 툭하면 친구들의 부음을 듣기 일쑤이고, 얼마간 소식이 뜸하다 싶으면 병원에 누워 있더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송년회에 가기 싫어졌노라는 푸념이었다. 그 때만 해도 그 말씀이 그다지 가슴에 와 닿지 않았다. 세상과 부대끼며 살아가야 할 날들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는 착각 때문이었으리라. 그러나 이즈음 송년회에 참석하면서 그 분의 그 푸념이 결코 남의 것이 아니라는 슬픈 현실을 깨닫는다. 그래서 그 옛날 당나라 여주(汝州) 사람 유희이(劉希夷)도 <백발을 슬퍼하는 노인을 대신하여[代悲白頭翁]>란 긴 시에서 ‘年年歲歲花相似[해마다 피는 꽃은 비슷하건만]/歲歲年年人不同[해마다 사람 얼굴 같지 않구나]’이라는 탄식을 늘어 놓았으리라. 사실 유희이의 <대비백두옹>만큼 ‘늘그막 송년회’의 쓸쓸함을 잘 표현한 시는 없을 터. 길지만 전문을 들어 내 슬픔을 대변케 하고자 한다.

洛陽城東桃李花 낙양성 동쪽 복사꽃 오얏꽃

飛來飛去落誰家 어지럽게 날아 누구 집에 떨어지나

洛陽女兒惜顔色 낙양의 아가씨, 얼굴빛이 아까워

行逢落花長歎息 길 가다 낙화 보며 길게 한숨짓는군

今年花落顔色改 올해도 꽃이 지면 얼굴빛 변하리니

明年花開復誰在 내년 꽃 필 때에 뉘 다시 있으리

已見松柏摧爲薪 소나무 잣나무가 베어져 장작 됨을 이미 보았고

更聞桑田變成海 뽕밭 변해 바다 됨을 다시 들었다네

古人無復洛城東 옛 사람은 성 동쪽에 다시 없는데

今人還對落花風 이젯 사람 꽃바람 속 다시 서 있네

年年歲歲花相似 해마다 피는 꽃은 비슷하건만

歲歲年年人不同 해마다 사람 얼굴 같지 않구나

寄言全盛紅顔子 들어보게, 한창 나이 젊은이들아!

應憐半死白頭翁 얼마 못 살 늙은이 가엾어 하라

此翁白頭眞可憐 이 노인의 흰머리 가련하지만

伊昔紅顔美少年 그도 지난날엔 홍안 미소년

公子王孫芳樹下 공자왕손 더불어 꽃나무 아래 놀고

淸歌妙舞落花前 맑은 노래 멋진 춤 꽃바람 속에 즐겼다네

光祿池臺開錦繡 호화로운 자리에서 잔치도 벌였고

將軍樓閣盡神仙 화려한 누각에서 신선처럼 즐겼네

一朝臥病無相識 하루아침 병 들으니 알아주는 사람 없고

三春行樂在誰邊 봄날의 행락은 누구에게 가버렸나

宛轉娥眉能幾時 고운 눈썹 아가씨는 언제까지 고우리?

須臾鶴髮亂如絲 머지않아 흰머리 실처럼 흩어지리니

但看古來歌舞地 예전부터 노래 춤이 끊임없던 곳이건만

惟有黃昏鳥雀悲 이젠 황혼 속에 새들만 슬피 우네


돌아가신 선배 교수 한 분은 내게 “이왕 나이 먹고 건강을 잃은 처지이지만, 남은 기간 ‘어그레시브하게 살다 가겠소!’”라고 말씀하셨다. 그 분이 마지막을 진짜로 어그레시브하게 사셨는지 알 수는 없으되, 그 분의 말씀을 듣고 나서 얼마 안 되어 그 분의 부음을 들은 것을 생각하면, 참으로 허무했다. 그렇게 시간은 덧없는 것. 그래서 요즘은 송년회에 나가기가 ‘죽도록’ 싫은지도 모른다.

<2011. 12. 24.>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