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2. 4. 4. 15:34

국회의원 후보 김모씨의 ‘욕설 난장’

                                                                                                                                                               백규


국어선생으로서 낯을 들지 못하는 나날이다. 그간 어린 영혼들에게 교과서만 읽혔을 뿐 ‘정확하게 말하는 법’ ‘아름답게 말하는 법’을 가르치지 못한 점을 통렬히 반성한다. 이 땅에서 우리말과 글을 팔아 밥을 먹고 있지만, ‘지저분하고 천한 말들의 향연장’으로 전락한 우리네 삶터를 목도하면서 비통한 마음을 금할 길 없는 나날이다.
  최근엔 더욱 기가 질리는 광경과 맞닥뜨리게 되었다. 선량(選良)[즉 국회의원]이 되겠다고 나선 김모씨. ‘몸집만 어른’인 그로부터 우리 사회는 ‘차마 입에 담을 수 없고 들어서도 안 될’ 최악의 언어테러를 당하고 만 것이다.
그는 누구인가. 나이로 쳐도 불혹인 40이 멀지 않았고, 박사과정까지 수료했으며, 모 대학 교수까지 역임했으니, 그를 보고 ‘철이 없다’는 표현을 갖다 댈 수는 없으리라. 그 뿐인가. 아무나 명함을 내밀 수 없는 정당에서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로 공천까지 받은 몸이다. 선량이 되어 민의(民意)를 대변하겠노라고, 정치 일선에 뛰어들어 이 나라를 바로잡아 보겠노라고 대단한 포부를 밝힌 ‘대단한 인사’가 아닌가.
그런데 어째서 그는 입만 열면 하수구나 변기에서 풍기는 악취보다 더 구역질 나는 욕설들을 내뱉을 수 있을까. 그가 속한 그룹을 열렬히 지지하는 어떤 매체는 아예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지만, 그 매체와 비슷한 성향이면서도 얼마간 양식이 살아 있는 다른 언론들까지 그의 ‘지저분한 언사’를 대서특필할 정도로 그의 욕설은 우리 사회에 충격적이었다.
***
얼마 전, 길 가던 중 초등학생들 곁을 지나게 되었다. 그런데 그들이 주고받는 말들의 대략 90%가 욕이었다. 그들은 욕설을 그야말로 숨 쉬듯 내뱉었다. 그 욕설의 대부분은 성(性)에 관련된 것들이었다. 어쩌면 그들 대부분은 그런 욕설들이 진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는 것 같았다. 그런 점에서 ‘그 초딩들’의 욕은 ‘나꼼수’나 유튜브를 통해 확인한 ‘그 어른들’의 욕에 비해 애교스럽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튜브를 통해 접한 김모씨의 욕설은 구역질이 나서 끝까지 들을 수 없을 만큼 끔찍했다. 초등학생들과 김모씨의 언사가 연결되면서 나는 김모씨 같은 어른들의 말, SNS 등을 통해 여과 없이 중계되는 그 욕설들이 바로 우리 시대 아이들의 ‘언어 교과서’임을 알게 되었다. 나 같이 고지식한 국어 선생들의 입장에선 그들 말대로 우리들과 ‘쨉이 되지 않는’ ‘살아있는 국어선생들’이 바로 ‘김모씨들’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으니, 한편으론 고마운 일이라 할 수 있을까.^^
사실 요즘은 초등학생에서 어른들까지 욕이 일상화 되어 가고 있다 한다. ‘상아탑에 숨어 살아 그 나이에 이르기까지 험한 욕 한 번 듣지 않고 살아온 그대는 세상물정 모르는 말 하지 말라'는 면박을 친구로부터 당하고 나서야 비로소 요즘의 세태를 깨닫게 되었다.  
***
그렇다면 김모씨는 왜 그런 욕설을 내뱉는 것일까. 아니 그 이전에 ‘나꼼수’는 왜 욕을 일상어처럼 사용하는 것일까. 그들의 입장에서 그것을 ‘아주 잘 못 된’ 기득권 세력에 대한 저항의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아니면 자신들의 내면에서 부글부글 끓고 있는 ‘오물’을 뱉어냄으로써 후련해지는, 일종의 자기중심적 ‘카타르시스’의 효과를 노린 것일까. 아니면, 사람들 모두 자신들과 같은 생각을 갖고 있으리라는 전제 아래, 그런 ‘오물 치우기’를 그들 스스로 감당하겠다는 ‘소영웅주의’의 발로일까. 참으로 알 수 없는 일이다. 길게 따질 필요도 없이 김모씨 역시 아내와 아이들을 거느리고 있는 가장일 텐데, 정말로 아무렇지 않게 그런 말들을 아내나 아이들에게 들려 줄 수 있을까. 자신의 아이들이 밥상머리에서 자신이 ‘나꼼수’에서 내뱉는 그런 말들을 내뱉는다면[왜? 아빠가 이미 대중을 상대로 내뱉었으니까!], 그는 아버지로서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또 어떻게 반응할 수 있을까.
***
정치의 계절만 돌아오면 특히 ‘말’이 험해진다. 사실 김모씨가 뱉은 욕설은 ‘말’의 범주에 속하지도 못한다. 적어도 말이란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어야 하는데, 그런 욕설들에 대체 무슨 메시지를 담을 수 있단 말인가. 우리는 제대로 된 정치의 역사를 갖고 있지 못하다. 그러다 보니 정치인들은 ‘말 하는 법’을 배운 적이 없다. 학교에서도 기껏 교과서만 읽었지, ‘제대로 된 화술’을 가르친 적이 없다. 그래서 정치인들만 모아 놓으면 육두문자와 폭력이 난무하기 마련이다. 지난 선거에도 나는 정치인들의 ‘담론 수준’을 비판하는 글들을 여러 편 쓴 바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저급해지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확인한다. 예의를 갖춘 언사와 멋진 논리만이 상대를 굴복시키는 ‘최종병기’임을 알만한 인사가 단 한 사람도 없다는 게 답답하기만 하다.
***
‘입과 혀[즉 말]는 근심의 문이며, 몸을 죽게 하는[망치는] 도끼’라는 것이 <<명심보감>>의 금언이다. 철없는 아이들이 쳐주는 박수에 도취되어, 보기에도 딱한 ‘소영웅주의’에 도취되어, 아이들마저 사용하길 꺼려하는 욕설들을 마구 내뱉은 김모씨. 이제 그 말들이 가시가 되어 자신의 앞길을 막게 되었으니 ‘남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습기가 솜과 같고, 남을 해치는 말은 날카롭기가 가시와 같으니 한 마디 말이라도 무겁기가 천금과 같고, 한 마디라도 남을 해치면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과 같다’는 <<명심보감>>의 경구를 재삼 명심하면서, 깊은 산속에 들어가거나 가까운 교회당에라도 가서 꽤 긴 참회의 시간을 가져야 하리라. <2012. 4. 4.>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2. 3. 27. 18:56

힘 내라, 손수조!!!


‘아기장수’의 전설이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겨드랑이에 날개나 비늘을 달고 태어난 영웅, 힘이 센 아기장수의 비극적 종말에 관한 이야기다. 아이가 나중에 역적으로 몰려 멸문(滅門)될 것을 우려한 부모가 그를 맷돌로 눌러 죽이자 건너편 산 밑에서 용마가 구슬피 울며 승천했다는 이야기가 우리나라의 이곳저곳에 남아 있는 것이다. 중세 권력의 횡포로 뜻을 펴 보지 못한 채 무수히 죽어간 영웅들. 이 땅에서 어렵사리 삶을 이어가던 중세의 민초들은 영웅을 대망하면서도 지배계층의 논리에 가담하여 ‘어린 영웅 죽이기’에 나서는 모순을 자행한 것이다.

4⋅11 총선이 다가오면서 백주 대낮에 ‘어린 영웅 죽이기’가 어른들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는 딱한 광경을 목도한다. 스물일곱의 손수조 후보. 그가 후보로 나온다는 소식을 듣고 나 혼자 속으로 쾌재를 불렀다. 그래, 양심도 패기도 다 썩고 허우대만 남은 어른들이 활개치던 정치판에 이제 새 바람이 불겠구나. 패해도 좋으니 신나게 한 번 싸워 보거라. 불순한 암수로 민심을 호리는 정치인들을 그대의 풋풋함으로 제압해 보거라. 그러나 그에 대한 기대와 함께 증폭되는 불안감을 금할 수 없었던 것이 솔직한 심정이었다. 사바나에 내던져진 한 마리 양같은 그가 안쓰러웠다. 스물일곱의 북한 김정은이 정권을 잡은 일에 대해서는 입도 달싹 못하던 인사들이 그녀의 말 한마디에 하이에나처럼 달려들어 물어뜯는 일을 목격하며 내 불안은 드디어 그 실체를 드러내게 되었다.

잘은 모르지만, 그녀는 처음에 ‘3000만원으로 선거를 치르겠다’는 당찬 말을 했다가 도저히 안 되자, 그 약속을 포기하겠다고 한 모양이다. 또 한 건은 그 돈 3000만원의 출처. 그는 원래 이 돈이 전세방을 뺀 것이라 했는데, 나중에 보니 전세방은 아직 그대로 있다는 사실을 할 일 없는 누군가 확인하곤 추궁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그는 원래 전세방을 빼서 쓰려고 했는데, 요즘 전세방이 잘 안나가 할 수 없이 어머니에게 꾸었노라고 해명했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손수조는 거짓말쟁이’라는 비난이 일기 시작했다.

언론에 보도된 것들만 대충 추리면 다음과 같다. 조모 서울대 교수는 트위터에 "'형사 책임'은 아니더라도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사안"이라 몰아댔고, "서울 남영동에 18평 원룸으로 전세 3000만원짜리가 있다고? 증여세 공제한도액이 3000만원인 바 탈세 목적으로 이중계약서가 작성된 것이 아닌지 확인해보아야 한다"는 법률적 멘트까지 날렸다. 공모 소설가는 선거법 위반으로 고소해야 할 일이라 했고, 진모 교수 역시 ‘면책특권’을 들먹거리며 그를 비난하고 나섰다. 그 뿐인가. 어떤 당의 대변인이란 사람도 이런저런 말로 손 후보와 그 당을 비아냥거렸다.

대단한 사건이다. 한 마디씩 내뱉은 인사들의 경륜으로 보나 나이로 보아 그들의 작은 딸 쯤 될 스물일곱 살짜리 손 후보의 말 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모습을 보며 그가 북한의 김정은보다 어쩌면 훌륭한 ‘아기장수’의 영웅성을 갖고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문득 갖게 되었다. 왜 그들은 ‘와!’ 하고 달려들어 그의 작은 몸을 ‘맷돌로 눌러’ 죽이거나 물어뜯어 죽이려는 것일까. 그를 죽이지 않으면 그들이 죽임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일까? 아니면 ‘젊은이가 참하게 직장생활이나 해야 하는데...’라고 자못 다정한 멘트를 날린 모 정당 유모 대표의 말처럼 걱정스런 부모의 심정 때문일까?

참, ‘뭣 같은 정치판’이라지만, 대명천지 21세기의 대한민국이 아직도 ‘아기장수’ 하나 용납하지 못할 만큼 옹졸한 것만은 분명하다. 우리도 이젠 ‘아기장수’ 하나쯤 키워 우리 미래의 한 부분을 맡겨볼만한 때도  된 것 같은데, 그게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 보다. 그러니 손 후보는 그들의 어투대로 ‘절대 쫄지 말고’ 당당하게 나아가야 한다. 말 많은 자는 말로 망하게 마련. 가급적 말수를 줄여 공격의 빌미를 주지 말아야 한다. 약한 모습 보이면 달려드는 게 하이에나들이다.

산전수전 다 겪었을 그 어른들이 어린 후보의 말꼬리나 잡고 늘어지는 모습을 보며 매우 부끄러워지는 어제 오늘이다.

Posted by kicho
알림2012. 3. 25. 08:54

<경천아일록> 번역 및 정리 후기


책 <경천아일록>을 정리한 김병학입니다. 저는 1992년에 카자흐스탄에 들어와 민간한글학교 교사, 알마틔대학교 한국어과 강사, 재소고려인 신문 고려일보 기자를 역임한 바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재소고려인과 관련된 일들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경천아일록>을 정리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하였습니다. 저는 역사학자도,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도, 연해주 한인 독립운동사에 학문적 관심을 기울여온 사람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2010년 봄에 김경천 장군의 후손이 사는 카자흐스탄 까라간다에 간 일이 있는데 그때 김장군의 막내딸 김지희 할머니와 김장군의 외손자 김 예브게니씨로부터 일록의 정리를 부탁받았고 그 이후 최 아리따 역사연구가(이 책에 추천의 말을 쓴 분)로부터도 거듭거듭 강력한 정리요청을 받았습니다.

시급히 정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잘 알았지만 도무지 엄두가 나지 않아 1년 반을 거절하다가 결국 2011년 가을에 정리 작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제 능력이 받쳐주지 않아 엄청난 공력을 들여야 했음은 두말할 나위조차 없습니다. 그렇게 작년 가을과 겨울에 집중 작업을 벌여 가까스로 <경천아일록>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김경천 장군을 알게 되어 얼마나 가슴 벅차고 행복했는지 모릅니다. 한편으로는 그동안 김경천 장군이나 연해주 한인독립운동사를 깊이 있게 알지 못했음을 한탄하고 또 한편으로는 그것을 늦게나마 알게 된 것을 다행으로 여기며, 육신은 힘들었지만 참으로 충만한 가을과 겨울을 보냈습니다.

물론 이 책에는(다른 책들도 많이 그러하겠지만) 부족하거나 미비한 부분들이 있고 앞으로 더 채워 넣어져야 할 곳들이 생겨나리라 생각합니다. 김경천 장군을 연구하시는 여러 선후배 연구자분들께서 이 작은 결과물을 딛고 올라서서 훨씬 크고 훌륭한 결실을 맺어주실 거라 믿습니다.

김경천 장군과 관련된 저의 작업은 일단 이것으로 끝난 듯합니다. 다시 한 번 언급하지만 저는 연해주 한인 독립운동사나 김경천 장군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지식을 축적해오지도 않았고 탐구에 오랜 시간을 바쳐오지도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더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으며 또 무리하게 더 진행한다는 것은 주제넘은 짓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일은 누구도 모르는 지라 혹 새로운 여건이 생겨 다시 이와 관련된 일에 매일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지금 제가 내리는 판단을 신뢰하고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책에 관심을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28페이지 러시아어로 된 <추천의 말>에 두어 군데 오자가 보이는데 수정하여 전문을 첨부합니다.

김병학

***

Вступительное слово

В книге 《Увлеч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м духом》 писателя Ли Герона

из Киргизии я прочитала цитату взятую им из древней летописи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САМ ГУК САГИ》: 《Для того чтобы достойно

завершить историю одного дома и передать ее десяткам тысяч

поколений, чтобы она могла светить подобно солнцу и звездам,

для этого поистине нужны все три великих совершенства. Имеется

в виду талант, ученость и проникновение, из которых первое

означало способность к историческому познанию, второе-обширные

знания и начитанность, а третье-умение отличить правое от неправого,

истину от лжи.》

Все перечисленные совершенства есть у писателя и поэта Ким Бен

Хака. Он не только завершит историю одного дома Ким Ген Чена,

полководца на белом коне, который возглавил разгром и изгнание

японских самураев с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России в 1922году, Ким

Бен Хак поможет мне построить еще и историю корейцев Дально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депортированных в 1937г. в Казахстан. То есть,

писатель и поэт Ким Бен Хак поможет мне основать в Республике

Корея историк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й музей корейцев России и Казахстана

имени Ким Ген Чена.

Да благословит всех нас Господь!

1. Внучка отца Ивана (Иоанна) поселка Синан чон гор. Владивостока,

который подарил полководцу Ким Ген Чену из своего табуна белого

коня.

2. Лауреат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рейской премии в области

документальной культуры, в номинации фото. Сеул, 2004г.

А. В. Цой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2. 3. 16. 09:21

지혜롭지 못한 교육부



                                                                                                                                                                   백규

학교폭력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 남의 일만도 아니다. 나 자신이 가해자일 수도, 피해자일 수도 있는 ‘우리 모두의 문제’다. 그간 정권들 마다 ‘사회정화’나 ‘폭력배 근절’을 내세우며 소란을 피워왔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가 폭력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학교폭력’이란 근원을 애써 외면해왔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그동안 학교는 사회폭력의 온상 역할을 충실히 해온 것이다. 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고, 학생이 자라 선생이 되며, 바늘도둑이 자라 소도둑 되는 법이다. 어른이 되고 나서 비로소 폭력을 배우고 조직폭력배가 되는 것이 아니다. 그간 아무도 손을 대지 못한 학교야말로 모든 폭력의 종묘장(種苗場)이었던 셈이다.
***
언론 보도에 의하면, 최근 교육부는 학교폭력의 실태를 파악했다고 한다. 폭력조직인 ‘일진’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 학교가 전국적으로 643개교이고, 그 중 한 학교는 학생 전원이 자신들의 학교에서 일진이 활약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다. 작은 시골학교들만 빼놓고 전국 대부분의 학교들에 폭력배가 있으며, 그 숫자도 20만~40만에 이른다고 했다. 그런데 교육부는 힘들여 조사한 결과를 왜 발표하지 않는 걸까. 알려진 바에 의하면, 부작용이 우려되어 그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작용이란 무엇일까. ‘학교폭력이 심한 학교를 공개할 경우 그 학교에 사회적 비난이 집중되고, 가해·피해 학생들이 알려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는데, 아마 교육부가 말한 부작용이란 이 점을 말하는 것이리라.
***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한 여름 시원한 느티나무 아래서 갓 쓰고 타령하는 교육부의 모습’이 진정 가관이다. 얼핏 대단한 교육적 소신이나 철학인 듯 하지만,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지금 사경을 헤매는 암환자가 있다 하자. 환자를 살리려면 수술을 해야 한다. 암 덩어리를 도려내자면 아픔과 괴로움이 필수적으로 따른다. 그러나 환자나 의사는 그걸 감수해야 한다. 당장의 아픔이 무섭고 싫어서 수술을 하지 않는다면, ‘지금 이대로 그냥 죽겠다’는 말 아닌가. 물론 교육부에서는 항변할 것이다. 드러내지 않고 자신들의 신중한 방법으로 개선해 보겠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껏 폭력배들이 학교교육을 망쳐 온 긴긴 세월, 실태파악조차 못한 교육부의 ‘직무유기’를 감안할 때 그 말을 믿을 수도 없으려니와, 교육을 두고 그간 반복해온 헛발질이 이번 일이라고 달라질 수 있겠는가.
***
속된 말로 학교 폭력을 일소하는 데 ‘용빼는 재주’ 없다. 잠시는 아프고 괴로워도 공론의 장에 터놓고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 국민들은 폭력배가 많은 학교에 당분간 자녀들을 보내려 하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폭력학교로 낙인찍힌 학교들은 당분간 텅 비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기회에 속속들이 폭력의 뿌리를 뽑고 다시 태어난다면 오히려 학교는 더 좋아질 것이고, 국민들도 암 수술 후 완치된 환자를 대하듯 그런 학교에 더 큰 애정을 부어줄 것이다. 혹시 폭력배들이 많다고 조사된 학교의 학교장들이 교육부에 공개하지 말라는 압력을 넣을 수도 있으리라. 그렇더라도 교육부와 장관은 소신을 갖고 이번 기회에 학교폭력을 소탕해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그나마 그동안 추락을 거듭해온 교육부의 위상 회복을 위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교육부의 차후 행보를 예의주시하고자 한다.<2012. 3. 16.>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