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9. 2. 1. 15:41

 

 

 

연명의료 거부를 신청하며

 

 

                                                                                                                   조규익

 

 

작년, 존경하고 따르던 박정신 교수의 빈소에 갔었다. 예를 차린 뒤 이곳엔 교수님의 유체가 안 계세요. 장기 기증을 위해 의료실에 계십니다.”라는 사모님의 말씀을 듣고 잠시 멍한 기분이 들었다. 독실한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고, 교회사를 전공으로 택하였으며, 기독교학과의 교수로 종신한 분이었다. 그것도 부족하다고 생각하신 것일까. 마지막 순간 자신의 육신까지 아직 살아 있는 생명들에게 나누어주고 떠나는 그 분의 모습이 숭고했다. 빈소를 벗어나 집으로 돌아오며 마음에 파문이 일었다. 삶이란 무엇이며 육신이란 무엇일까? 무엇보다 삶과 죽음의 교체 과정에서 육신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이 세상에서 의미를 만들기 위한 도구일까. 아니면 종국에 한갓 먼지나 쓰레기로 사라질 허망한 물질에 불과한 것일까. 많은 욕망을 만들어내고 투쟁을 추동하는 악의 실체일까. 갖가지 상념들이 내 마음에 난무했다.

 

집에 돌아와 아버지 어머니의 영정을 마주하고 한참 서 있었다. 영정 속엔 쭈그러진 육신 아닌 해맑은 웃음과 정신이 어려 있었다. 두어 해 전 병원에서 신음하시다 돌아가신 어머니의 마지막 모습을 회상했다. 눈을 감으시던 순간은 슬프도록 짧았고, 그 다음의 모습은 평화롭고 잔잔하셨다. 육신의 괴로움을 벗어난 편안함이었다. ‘격정에서 고요로의 넘어감, 바로 그것이 죽음이었다. 그런데 사람들은, 아니 나는 왜 한사코 죽음을 거부하고 육신만 고집하는 것일까. 육신은 고통이고 구속인데, 왜 그것을 벗어나지 않으려 애쓰는 것일까.

 

세상의 의미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육신이 절대적이다. 그 세상의 의미란 무엇인가. 잘난 사람은 잘난 대로, 못난 사람은 못난 대로 세상에는 쓰임새가 있다. 잘난 사람만 있는 세상, 못난 사람만 있는 세상을 상상할 수 없다. 플라톤은 철인(哲人)들이 통치하는 나라를 이상국가라 했다. 그러나 그건 그냥 이상일 뿐이다. 그렇다고 바보들만 통치하는 나라도 있을 수 없다. 정치인들 중 정상적인 인간이 별로 없는 우리나라가 아직 망하지 않는 것은, 정치인들 모두가 바보는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공존과 조화가 우주의 원리이고, 그 원리가 구현되는 곳이 인간 세상이다. 육신을 지닌 인간들이 이끌어가는 공간이 세상이고, 그 세상을 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동안 육신의 아픔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기한이 다한 기계가 고장 나고 망가지듯 인간의 육신 또한 그럴 수밖에 없다. 그러니 죽어가면서 쓸 만한 부속품이 있다면, 젊은 영혼에게 물려주고 가는 것도 스스로의 정신적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 아니겠는가.

 

옛날 어떤 현인은 다음과 같은 시구를 남겼다.

 

집에 천만금이 있어  家有千萬貫

평생 남에게 바라는 게 없었도다 一世不求人

죽기 전엔 未歸三尺土

일생 몸 보존하기 어렵고 難保一生身

죽은 후엔 旣歸三尺土

백년 무덤 보존 어렵다네 難保百年墳

 

그렇다. 인간이 세상에서 말짱한 제 정신으로살아갈 수 있는 시한이 그 몇 년이랴? ‘삼척토(三尺土/무덤)’로 돌아가기 전 입에 풀칠하며 자존심 유지하기 쉽지 않고, 죽은 뒤 100년 보존되는 무덤이 흔치 않다. ‘인생 백년은 예나 지금이나 꿈일 뿐이고, 그나마 반백년이라도 맑은 정신 속에 살아갈 수 있길 바라는 존재가 바로 가련한 인생인 것이다.

 

***

 

오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장기기증신청을 등록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들렀다. 그런데, ‘연명의료거부신청서는 적어냈으나 장기기증신청은 관할이 달라서 못하고 말았다. 평소 연명의료 거부와 장기기증은 함께 따르는 문제라고 생각해온 내겐 참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연명의료를 거부하는 사람들 가운데 장기 기증의 의향을 가진 경우가 꽤 많을 것이다. 연명의료를 거부한다는 건 곧 숨을 거둔다는 뜻인데, 관할이 다를 경우 적시에 장기를 적출하여 필요한 사람들에게 이식할 여유시간이 있겠는가. 연명의료거부와 장기기증신청을 한 기관에서 신속하게 처리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잘은 모르겠지만, 이 문제 역시 기관 간의 이해가 달라서 생겼을 것이다이 자리에서까지 더 이상 무책임하고 미련한 정치인들이나 정부를 힘들여 욕하고 싶지 않다. 더 큰 욕 먹지 않으려면, 빨리 정신 좀 차리고 두 사안을 하나로 연계시켜 함께 처리해 주기 바란다. 

 

 

 

Posted by kicho
글 - 학술문2009. 11. 12. 00:38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9203
교수신문 원문링크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한국기독교 예술을 찾아서'(11.13)
 
 2009 년 11 월 10 일 화17:44:25 교수신문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소장 조규익)는 오는 13일 숭실대 한경직기념관에서 ‘한국 기독교 예술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2009년 전국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박선영 숭실대 교수는 「박목월 초기시의 공간은유를 주제로 발표하고 박슬기 서울대 교수가 토론에 나선다. 차봉준 숭실대 교수는 「백도기의 ‘본시오 빌라도의 수기’연구」를 선보이고 이형진 홍익대 교수가 토론한다. 박영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1920년대 초 주일학교 공연 레퍼토리 분석-아동가극 대본을 중심으로」를 발제한다. 이승희 성균관대 교수가 토론자다. 이어 3부에서는 공기태 계명대 교수가 「미주 한인교회의 역사와 성가대의 현황」을 발표하고 문숙희 한국문예연구소 연구원이 토론에 나선다. 화가 채창완 씨는 「한국현대기독교미술의 반성과 과제」를 발제할 예정이다. 이정구 성균관대 교수는 「한국 교회 건축의 실태」를 발표하며, 이상진 숭실대 교수가 토론에 참석한다. 종합토론은 박정신 숭실대 교수가 좌장으로 참여해 진행한다.

 

---------------------------------------------------------------


[학술 소식] 《세계철학대회의 반성과 한국철학의 전망》외

 

조선일보 원문링크


■한국철학회(회장 황경식)는 14일 오전 10시 건국대 산학협동관 223호에서 《세계철학대회의 반성과 한국철학의 전망》이란 주제로 2009년 추계학술대회를 연다. 〈영미철학 전통에 대한 한국철학의 대응〉(김기현), 〈유럽철학 전통에 대한 한국철학의 대응〉(홍윤기) 등 6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02)450-3382

■한국문학연구학회(회장 김영민)는 연세대 국학연구원 HK사업단과 공동으로 14일 오전 10시 연세대 백양관 211호에서 《제도로서의 '독자'》란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근대초기 독자층의 형성과 매체의 역할〉(전은경), 〈일제 말기 소설 독자층의 분화〉(천정환) 등이 발표된다. (02)2123-3501

■박종훈 단국대 도예학과 교수(강진 도예연구소 소장)의 〈박종훈 도예전〉이 11일부터 17일까지 서울 관훈동 가나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다. 청자에서 금·옻·도자까지 다양한 도예 작품이 전시된다. (02)734-1333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소장 조규익)는 13일 오후 1시 한경직기념관에서 《한국 기독교 예술을 찾아서》란 주제로 학술대회를 갖는다. 〈1920년대 초 주일학교 공연 레퍼토리 분석〉 〈한국 교회 건축의 실태〉 등이 발표된다. (02)820-0846

■박성원 등 한국의 공예작가 26명의 작품을 전시하는 제33회 필라델피아미술관 크라프트쇼가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필라델피아크라프트쇼는 미국 최대 공예작가 쇼로, 올해는 한국이 초대국가로 선정돼 한국 공예를 집중적으로 소개하게 된다. 문의 한국공예문화진흥원 (02)733-9040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9. 11. 6. 10:0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한국문예연구소 전국 학술 대회


한국 기독교 예술을 찾아서



일시: 2009년 11월 13일(금) 오후 1:00-6:00

장소: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 김덕윤 예배실

주최: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모시는 글

    이제 11월,
    추수(秋收)가 끝난 들판을 바라보는
    마음이 흐뭇하기도 하고
    동장(冬藏)의 다급함에
    바빠지기도 하는 시절입니다.

    우리는
    그간 소중하게 가꾸어온
    소담스러운 양식을
    마저 거두려 합니다.

    기독교 예술의
    여러 분야에서 매진해오신
    석학들이 담론을 펴는 자리에
    선생님을 정중히 모시고자 하오니
    부디 오셔서 빛내 주소서

                    2009. 11. 3.

          한국문예연구소  소장  조규익 드림



<순서>


                                                        사회: 허명숙


1부                                   

1:00-1:05 인사                                 조규익(한국문예연구소 소장)

1:00-1:15 축사                                 김대근(숭실대학교 총장)


2부                                   

발표 1) 1:15-1:55      박목월 초기시의 공간은유

                        발표: 박선영(숭실대) 토론: 박슬기(서울대)

발표 2) 1:55-2:35      백도기의 「본시오 빌라도의 수기」 연구

                        발표: 차봉준(숭실대) 토론: 이형진(홍익대)

발표 3) 2:35-3:15      1920년대 초 주일학교 공연 레퍼토리 분석

                                -아동가극 대본을 중심으로"

                        발표: 박영정(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토론: 이승희(성균관대)


중간 휴식 3:15-3:30


3부                                   

발표 4) 3:30-4:10      미주 한인교회의 역사와 성가대의 현황

                        발표: 공기태(계명대) 토론: 문숙희(한국문예연구소)

발표 5) 4:10-4:50      한국현대기독교미술의 반성과 과제

                        발표: 채창완(화가) 토론: 이성원(갤러리 무이)

발표 6) 4:50-5:30      한국 교회 건축의 실태

                        발표: 이정구(성공회대) 토론: 이상진(숭실대)


종합토론  5:30-6:00                    좌장: 박정신(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9. 4. 16. 20:4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한국문예연구소 국제학술회의
           

구소련 지역 한국어 공연예술의 현황 및 확산 방안


일시 : 2009년 4월 30일(목), 09:00~18:00
장소 :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 김덕윤예배실
주최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사단법인 온지학회
후원 : 문화관광부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Institute of Korean Literature and Arts
156-743 / 서울시 동작구 상도동 511
http://ikla.kr 전화 02-820-0846/0326




모시는 말씀

보이지 않고 밟을 수 없는
고국의 산천과 하늘,
망향의 한으로 점철된
이산(離散)과 유랑(流浪)의 세월.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까지
동토의 시베리아를 가로질러
강물 되어 흘러온 아픔의 눈물.

그 세월과 눈물로 빚어 만든
고려인들의 예술을
담론하는 자리에
여러분을 모십니다.

2009. 4. 10.

한국문예연구소 소장 조규익



순 서

09:30~10:00  등 록                                  

제1부                       사회  문숙희(한국문예연구소 연구교수)

10:00~10:05  소장인사             조규익(한국문예연구소 소장)  
10:05~10:15  축   사              김대근(숭실대학교 총장)    


제2부                       사회 허명숙(한국문예연구소 교육팀장)

발표 1. 1920~30년대 한국 연극의 전개양상
(10:30~11:10)  발 표 장원재(경기 영어마을 사무총장)
                토 론 백로라(숭실대 교수)
발표 2. 고려극장 공연예술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1:10~11:50)  발 표 이 류보위(카자흐스탄 고려극장 대표)
                토 론 이복규(서경대 교수)

점심식사(12:00~13:00)

발표 3. 고려극장 공연예술의 목록과 그 의미
(13:00~13:40) 발 표 최영근(카자흐스탄 고려극장 문예부장)
                토 론 심정순(숭실대 교수)
발표 4. 고려극장의 형성과 발전
(13:40~14:20)  발 표 김보희(한양대 강사)
               토 론 엄경희(숭실대 교수)
발표 5. 구소련 소인 예술단의 현황과 과제
(14:20~15:00)  발 표 김 발레리아(러시아 아리랑 가무단 단장)
                토 론 반병률(외국어대 교수)
발표 6.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한글노래와 디아스포라의 정체
(15:00~15:40) 발 표 조규익(숭실대 교수)      
               토 론 박정신(숭실대 교수)

휴  식(15:40~16:10)

종합토론(16:10~17:10) 좌장  이명재(중앙대 명예교수)

만찬(17:10~)    
Posted by kicho
연행록 - 자료2008. 6. 15. 19:51
안녕하십니까?

아래와 같이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봄 학술대회를 갖고자 하오니 많이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주제 : 숭실 인문학 전통
  때   : 2008. 6. 19(목) 오후 3시~5시 30분

                순서

3:10~3:40  무애 양주동 선생과 우리 노래문학
                   발표   조규익(국어국문학과 교수)
                   토론   엄경희(국어국문학과 교수)

3:40~4:20  김양선의 기독교 사학
                  발표   박정신(기독교학과 교수)
                  토론   김권정(기독교학대학원 겸임교수)

4:20~4:50  이당 안병욱의 철학과 실천
                  발표   김선욱(철학과 교수)
                  토론   김태완(철학과 강사)

4:50~5:20   종합토론
Posted by kicho
연행록 - 일반2007. 5. 16. 02:37
제2회 숭실인문학포럼 안내 
작성자  인문과학연구소 
<모시는 글>

봄이 여름 흉내를 내고 있습니다.

지난 달 저희들은
‘숭실인문학포럼’을 펼쳤습니다.
다들 성공적이라고 합니다.
많은 이들이 오셔서 앉을 자리가 없었습니다.

학문하기와 사람 수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를 기획한 저희들은 마음이 들떠있습니다.
우리의 배움터 숭실의 학문적 열기를,
그렇습니다, 뜨거운 열정을 느낄 수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제2회 ‘숭실인문학포럼’을 열어
다시 여러분을 모시고자 합니다.
오셔서, 다시 이 배움터의
학문적 열기와 열정을 느끼게 해 주십시오.

이번에는 “인문학 ‘위기 담론’과 글쓰기”를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뽐내며 내세울 수 있는
예술철학자 김광명과
젊은 국문학자 이정석이 나섭니다.
오셔서 인문학 울타리 안에서,
그리고 그 너머 있는
이루 말로 다 할 수 없는
배움의 희열을 맛보시기 바랍니다.

2007년 5월
숭실대학교 인문대학장 윤도중
인문과학연구원장 박정신


===========================

1. 주제 : 인문학‘위기 담론’과 글쓰기
2. 때 : 2007년 5월 22일(화), 오후 3시30분~5시30분
3. 곳 : 김덕윤예배실(구, 한경직기념관 소예배실)
4. 주관 : 인문과학연구원 인문과학연구소
5. 주최 : 인문대학


* 진행순서 *

․ 사 회 : 박정신 인문과학연구원장
․ 인 사 : 윤도중 인문대학장
․ 발 표 1 : 글쓰기 담론의 철학적 바탕(김광명 철학과 교수)
․ 발 표 2 : 인문학 위기 담론과 글쓰기의 문제점(이정석 국문학과 교수)
․ 자유토론


** 문의 : 인문과학연구소(Tel:820-0830/E-mail:human@ssu.ac.kr)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