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소식2008. 5. 7. 11:53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에서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전 13권) 발간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선시대 대외교섭의 채널이자 수단이었던 사행(使行)은 ‘중국(中國)’과 ‘일본(日本)’을 대상으로 한 외교활동이다. 조선은 건국 직후부터 ‘왜구문제 해결’을 중요한 목표로 삼았고, 이를 위하여 일본의 막부(幕府) 및 지방의 여러 세력들과 다원적인 외교관계를 맺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대일사절은 외교의 대상과 목적에 따라 ‘통신사(通信使), 통신관(通信官), 회례사(回禮使), 회례관(回禮官), 보빙사(報聘使), 호송사(護送使), 수신사(修信使)’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왜구문제가 해결된 15세기 중엽 이후에도 사행은 준비되었으나, 실행으로 옮겨지지는 못하였다. 조선초기의 일본사행이 왜구문제의 해결과 함께 잠정적으로 중단된 것이다. 이후 1590년 일본을 통일한 풍신수길(豊臣秀吉)이 조선에 사신파견을 요청하면서 속행된 통신사행 마저 임진왜란으로 인해 지속되지 못하였다.

임진왜란 직후의 통신사행은 ‘피로인(被虜人) 쇄환(刷還)’과 ‘회답(回答)’을 목적으로 하는 임시사행이었기 때문에, ‘통신사(通信使)’가 아니라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라 불리게 되었다. 이런 까닭에 1636년(仁祖 14)이후 1811년까지 조선에서 일본 막부로 파견된 사절단을 본격적인 통신사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고려 후기에서 조선 후기까지 약 500년 동안 일본막부가 있는 에도[江戶]로 가는 사신 행차를 통칭하여 '통신사(通信使)'라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으로 가는 사행 전체를 ‘통신사(通信使)’라 칭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원래는 일본사행에 문화적 성격이 강해진 1636년 이후 1811년까지 막부를 대상으로 하던 사행을 ‘통신사(通信使)’라 할 수 있는데, 어쩌다보니 이 명칭은 일본 막부로 보내던 공식적인 사행들 모두를 의미하게 되었다.

통신사행에는 정사·부사·서장관을 포함하여 500여명의 인원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한양을 떠나 부산의 영가대, 일본의 오오사카[大阪] 등을 거쳐 막부가 있는 에도[江戶]까지 여행하였다. 6개월여의 오랜 통신사행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다양했던 만큼 그들의 관심사항도 제각각 많았다. 이에 따라 얻어지는 견문도, 기록자들이 남긴 내용도 다양하였다. 통신사행이 거쳐 간 일본의 도시들은 화려함에 있어서 조선의 도시들과 달랐다. 더구나 도시에 몰려든 일본인들은 통신사들을 만날 때마다 글을 받고자 애를 썼다. 조선통신사 사행원과 일본인들 사이의 ‘글’과 ‘문화’를 매개로한 ‘상호소통’은 조선과 일본의 외교를 이루는 한 축이었다. 조규익 교수가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 머리말에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 기록들에 대한 해석 혹은 그 체계화”라고 했을 만큼 사행록의 연구는 조선통신사 연구의 주된 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동안 통신사행에 대한 연구는 문학ㆍ역사ㆍ정치ㆍ외교ㆍ경제ㆍ회화ㆍ사상ㆍ민속(풍속)ㆍ제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들이 각기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를 수탐(搜探)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했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숭실대학교 숭실대 한국문예연구소(소장 조규익 교수)에서는 그간 발표된 국내·외 연구자들의 연구논문들을 두루 수집했고, 수집한 논문들 가운데 137편을 엄선하였다. 이 논문들을 내용 및 주제별로 분류한 것이 이 총서다. 이 연구총서는 총 10권의 ‘연행록 연구총서’에 뒤이어 나온 결과물이다. ‘연행록’과 ‘조선통신사 사행록’을 아울렀다는 점에서 본 연구소는 ‘조선조 사행록’에 대한 연구결과를 망라하는 쾌거를 이룬 셈이다.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전 13권)에는 60여명의 학자들이 연구한 논문 137편과 자료사진이 수록되었다. 문학(1-3권), 외교(4-6권), 역사(7-8권), 문화·회화(9-10권), 사상·인식·경제·무역·민속(11-12권) 등 다방면에 걸쳐 있고, 13권에 우리나라와 일본 지역의 조선통신사 노정과 유적들을 답사하여 얻은 생생한 사진들을 엮어 넣음으로써 사행 현장을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연구총서의 발간으로 학자들은 기존 연구 자료의 수탐 및 정리에 들어가는 시간이나 노력을 절감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연구의 중복 또한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분야의 연구는 질적·양적인 측면에서 한 단계 높아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관련기사 링크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8. 2. 4. 20:37
안녕하십니까?
금번 숭실대학교 한국전통문예연구소에서는 조선조 후기 궁중 정재의 문화적 의미와 미학을 담론하는 학술발표와 공연(춘앵전)의 자리를 아래와 같이 마련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고려와 조선왕조는 음악, 춤, 노래가 어우러진 종합무대예술을 향유했는데, 그것이 바로 정재입니다. 부디 오셔서 정재의 아름다움을 함께 느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주 제 : 조선조 후기 궁중정재의 문화적 의미와 미학
때 : 2008. 2. 13.(수), 오전 10시~오후 5시
곳 : 숭실대학교 형남공학관 115호실

순서
1부 : 개회사 및 인사, 축사

2부 : 발표
1. 조선조 후기 정재의 예악 실현 양상--이종숙(한양대)/토론 김영희(성균관대)
2. 조선조 후기 정재의 음악미학--임미선(전북대)/토론 권도희(서울대)
3. 조선조 후기 정재창사와 선계 이미지--조규익(숭실대/토론 강명혜(강원대)
4. 조선조 후기 정재의 무적 구조변화와 수용--손선숙(단국대)/토론 유미희(경인교대)
5. 조선조 후기 정재와 민속무용의 상호교섭 양상--박은영(한예종)/토론 이미영(국민대)

3부 : 정재 공연 및 출판기념
1. 춘앵전 공연--최서윤(성균관대, 석전 이수자)
2. 한국전통문예연구소 학술총서 출판기념

문의처 : 820-0830, 820-0326, 820-0846

2008. 2. 4.

숭실대학교 한국전통문예연구소 소장 조 규 익 아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7. 5. 22. 10:52
 

회원 여러분께


그간 안녕들 하셨는지요?

이제 계절은 슬금슬금 여름으로 접어드는 것 같습니다.

연초부터 계획했던 여름 학술발표회 겸 답사내용이 확정되어 여러분께 알려드립니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소장 허남춘 교수)와 공동으로 제주에서 열기로 결정되었습니다. 6월 27일 출발하여 29일에 돌아오는 2박 3일 일정입니다. 첫날 아침 9시 반경 제주 공항에 도착, 곧바로 서귀포 제주대학 연수원으로 이동하여 학술발표회를 갖게 됩니다. 그곳에서 1박 후 다음날부터 이틀간은 제주도 일대를 답사할 예정으로 있습니다.(아래쪽 일정표 참조)

왕복 항공요금 만으로 2박 3일 동안 제주의 멋진 코스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잡기는 앞으로도 아마 쉽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원하신다면, 가족이나 친구를 동반하셔도 좋습니다. 여름이 닥치기 전에 제주의 추억을 만들고 싶으신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단체 비행기 표 구입 관계로 5월 31일까지만 신청을 받기로 하겠습니다. 아래에 적는 계좌번호로 1인당 15만원(여행 보험료 포함)의 돈을 입금하신 다음 답신메일로 성함과 주민등록번호를 알려 주십시오. 아니면 총무간사(정영문 : 010-6799-4670)에게 전화를 주셔도 좋습니다.

그럼 여러분의 뜨거운 호응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2007. 5. 22.


     사단법인 온지학회 회장  조규익 드림


 *참 가 금 : 1인당 15만원(여행자 보험 포함)

 *송금계좌 : 우리은행 090-07-159601  김인규(온지학회)        








2007년 사단법인 온지학회·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합동학술대회


□ 학술대회 취지


▶ 학술대회 주제 : 옛 문헌 속의 제주


▶ 취지

  사단법인 온지학회는 <옛 문헌 속의 제주>를 주제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와 공동으로 2007년 학술대회를 가질 예정입니다. 옛 문헌에 나타난 제주의 모습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들을 짚어보고, 이에 덧붙여 제주지역의 민요․설화 등 구비문학도 살펴보려 합니다. 아울러 연구주제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기 위해 제주도 내 관련 사적지에 대한 답사도 실시하고자 합니다. 회원 및 관심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  시 : 2007년 6월 27일(수) ~ 6월 29일(금)

․ 장  소 : 제주대 서귀포연수원 세미나실

․ 주  최 : 사단법인 온지학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 주  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 후  원 :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 행사일정

[6월 27일(수)]

13:00~13:40  개회사 - 허남춘(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장)/조규익(사단법인 온지학회 회장)

             축사 - 조남권(사단법인 온지학회 이사장)


   전체 주제 : : “옛 문헌 속의 제주”

13:40~15:30  제1부 발표 및 토론

              - 사회: 김인규(영산대)

 ▶ “탐라순력도와 제주, 제주인” ― 이보라(홍익대)

      - 토론 : 송희경(이화여대)

 ▶ “문헌설화에 나타난 제주, 제주인” ― 김준형(순천향대)

      - 토론 : 현승환(제주대)


15:40~17:30 제2부 발표 및 토론

            - 사회 : 허남춘(제주대) 

 ▶ “제주 한시에 나타난 제주, 제주인” ― 박동욱(숭실대)

      - 토론 : 부유섭(한국학중앙연구원)

 ▶ “추사의 언간(諺簡)에 나타난 제주 정서” ― 조평환(건국대)

      - 토론 : 윤치부(제주교대)


17:30~17:40  휴식


 17:50~18:30 제3부 발표 및 토론

 ▶ “고전소설 배비장전에 나타난 제주” ― 김동윤(제주대)

      - 토론 :   장시광(서울대)

  ▶ “조선후기 목자(牧者)의 신분 변동” ― 김동전(제주대)

      - 토론 :   조규익(숭실대)


18:40~20:00   만찬

20:00~       숙박(서귀포시 제주대학교 연수원)


[6월 28일(목)]

 제주 구비문학과 유배문학 유적지 답사

07:00~08:00  아침식사

08:00~08:30  중문관광단지로 이동

08:30~10:30  천제연 폭포, 대포 주상절리 관람(서귀포시 중문동)

10:30~11:00  삼방산으로 이동

11:00~12:30  삼방산-용머리해안 관람(안덕면 사계리)

12:30~13:30  점심식사

13:30~14:00  송악산으로 이동

14:00~15:00  송악산 등산(대정읍 상모리)

15:00~15:30  추사적거지로 이동

15:30~16:00  추사적거지 관람(대정읍 인성리)

16:00~16:30  수월봉으로 이동

16:30~17:30  수월봉-차귀도 관람(한경면 용수리)

17:50         숙소(제주대학교 연수원)로 귀환


[6월 29일(금)]

 제주 구비문학과 유배문학 유적지 답사


07:00~08:00  아침식사(할망뚝배기집. 064-733-9934)

08:00~08:30  천지연폭포로 이동

08:30~09:30  천지연폭포 관람(서귀포시)

09:30~09:40  정방폭포로 이동

09:40~10:30  정방폭포 관람(서귀포시)

10:30~11:00  큰엉해안경승지로 이동

11:00~12:00  큰엉해안경승지 및 김영갑 갤러리 관람(남원읍 남원리)

12:00~13:00  점심식사

13:00~14:00  섭지코지로 이동

14:00~14:30  섭지코지 관람(성산읍 신양리)

14:30~15:00  성산 일출봉으로 이동

15:00~16:00  성산 일출봉 등반(성산읍 성산리)

16:00~17:00  조천 연북정으로 이동

17:00~17:20  조천 포구와 연북정 관람(조천읍 조천리)

17:20~18:00  제주공항으로 이동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