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14. 11. 5. 13:59

 

 

 

 

 

저는 2013년 2학기 풀브라이트 방문학자(Visiting Fulbright Scholar)로 오클라호마 주립대학(Oklahoma State University) 역사학과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현지를 틈틈이 답사하고 체험한 기록들을 정리하여, 최근 <<인디언과 바람의 땅 오클라호마에서 보물찾기>>(푸른사상)라는 제목의 문화 답사기를 펴냈습니다. 한국인들에게는 토네이도의 본고장으로만 알려졌을 뿐인 오클라호마를 보물찾기라는 테마를 통해 새롭게 읽어내고자 했지요. 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물 1: 스틸워터와 OSU, 그 안식과 탐구의 낙원

평온과 정밀(靜謐)의 오클라호마에 안착

역사학과를 찾아

학과 비서들과의 만남

카우보이 풍의 노신사, 학과장 로간 교수와의 만남

브렛 학장과의 만남

평원 속 지성의 오아시스, OSU에서

역사학과 학생들을 위한 특강을 마치고: 한국의 이미지를 새것으로!

카우보이들, 풋볼의 진수를 보여주다!

미국 대학의 졸업식과 감동: 왜 우리는 이렇게 하지 못하는가?

안식과 힐링의 낙원 스틸워터에서

 

보물 2: 인디언, 인디언 역사, 인디언 문화

오클라호마와 인디언 부족들

대초원에서 만난 오세이지 인디언들

체로키 후예의 집을 찾아 패러다임 전환의 증거를 찾다

오클라호마 동쪽에서 체로키 인디언들을 만나다!

체로키어오시요(Osiyo)’와 우리말‘ (어서) 오세요!’의 정서적 거리

스틸워터의 이웃동네에서 만난 판카 인디언들

길 가다 우연히 만난 아이오와 인디언 족

지혜로운 치카샤 족, 인디언 사회의 자존심

촉토 족의 뿌리와 투쟁, 그리고 예술

촉토 족의 탁월한 교육열, 풍부한 역사 자취

놀라운 세미놀 인디언들의 역사와 문화의식

카이오와, 아파치, 코만치, 그리고 대평원의 서사시

카이오와 족의 삶과 예술

무서운 코만치에서 상식의 미국인으로!

크릭 족의 꿈과 현실을 찾아

오클라호마 밖의 인디언: 뉴멕시코의 앨버커키와 스카이 시티, 그리고 푸에블로족

암굴 속에 서린 생존 의지‘, 반델리어 국립 유적지와 푸에블로 족의 말 없는

외침

부드러운 어도비, 완강한타오 푸에블로인디언들

 

보물 3: 미국의 길, 66번 도로(Route 66)의 낭만

미국에서 길을 찾으며: 우리도 스토리가 있는 길을 한 번 만들어 봅시다!

작은 일탈을 꿈꾸는 66번 도로, 그 낭만과 허구

엘크 시티와 국립 66번 도로 박물관 단지

클린턴 시티와 ‘66번 도로 박물관

엘 르노 시티와 캐나디언 카운티 뮤지엄

66번 도로에 살아 있는 역사의 공간, 유콘 시티

누구 혹시 이 소녀를 아시나요?: 유콘에서 만난 우리들의 누이

한국전 참전용사의 아들 리차드 카치니와 유콘 참전용사 박물관

오클라호마의 숨은 별: 거쓰리 시티/ 66번 길의 경이로운 옛 건축물: 아카디아 라운드

 

 

 

 

 

 

보물 4: 박물관과 미국 역사

서부 개척시대 미국의 소리: 국립 카우보이와 서부유산 박물관

예술로서의 역사, 역사로서의 예술: 털사의 길크리스 박물관에서 길을 잃다!

인간의 악마성을 깨우쳐 준 공간: 오클라호마 시 메모리얼 뮤지엄
오클라호마 밖의 박물관: 예술과 역사의 도시 산타페와 박물관들

 

보물 5: 열정과 도전의 대학인들

미국의 중남부에서 아시아 역사를 가르치는 젊은 학자: 용타오 두 교수

학자와 목자의 삶: 한인 교수 장영배 박사

빛나는 한국학생 브라이언

한반도에 관심이 큰 소련 역사 전문가 림멜 교수

탁월한 젊은 영어 교육자 제이슨 컬프

역사학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온 프레너 교수

 

보물 6: 아름다운 자연, 안식의 낙원

부머 호수에서 찾은 마음의 고요

리틀 사하라에서 되찾은 고향의 꿈

대초원에서 멋진울음 터를 발견하고

낙원 속의 산책로: OSU 크로스 컨트리 코스의 안식과 힐링

 

 

 

 

 

***

일반적으로 미국은 역사가 짧고, 넓은 땅에 비해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역사 문화유적의 답사라는 여행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공간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백인들의 이주 후 200여년, 인디언으로부터 따지면 그보다 훨씬 더 긴 역사가 이어져 온 땅이고, 그에 따르는 문화유산들이 적지 않은 곳입니다. 더구나 경쟁력으로 세계에서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미국의 대학들이나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도시문화를 생각하면, 미국은 유럽과 또 다른 차원의 매력을 지닌 지역입니다. 무엇보다 39개에 달하는 인디언 부족의 보호구역들이 도처에 널려 있는 오클라호마는 대초원(Tall Grass Prairie)과 대평원(The Great Plains)등 풍부한 목초지와 함께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원유 등으로 오랜 동안 풍요를 구가해온 지역이기도 합니다. 풀브라이트(Fulbright) 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곳의 대표적인 교육기관 오클라호마 주립대학(Oklahoma State University)’에서 연구를 하게 되었습니다만. 이곳에 오자마자 연구 과제 외에 이 지역의 역사적문화적 의미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제가 관심을 가졌던 대상은 인디언의 역사와 문화였습니다. 저는 사람, 자연, 도시, 제도, 역사, 문화 등 감고 있던 마음의 눈을 뜨게 한 모든 것들이 보물로 생각되었습니다. 그간 모르고 지내온 것들이 그의 편견을 바로잡아 주었기에 보배로웠습니다. 그 중에서도 인디언들과의 만남은 무엇보다 소중했습니다. 인종에 대한 편견과 무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음을 비로소 깨닫게 된 것은 무엇보다 소중한 체험이었습니다. 백인들에 의해 고통을 받아온 인디언이야말로 역사의 거울에 비친 우리 모습이라는 점에서 가치 있는 보물이었던 것입니다. 서부영화나 백인들에 의해 저술된 책들을 통해 제 마음에 뿌리 내린 왜곡된 인디언의 이미지가 비로소 바로잡혀지게 된 점을 가장 곰지게생각합니다. 다시 말하면 지배자들이 펼쳐 온 자기 합리화의 억설(臆說)에 의해 일그러진 인디언들의 실체를 삶의 현장에서 바로잡음으로써 내면에 고착된 편견을 해소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제 입장에서 인디언에 대한 발견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오클라호마 주립대학을 통해 미국 대학들의 경쟁력이 바로 미국의 경쟁력임을 깨닫게 된 점입니다. 대학의 역사와 현실을 통해 학생들이 마음껏 공부하고 체력을 단련하며 단합정신을 함양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운영되는 미국 대학의 장점을 읽어낸 것은 제 글 내용의 핵심적인 축입니다.

인디언이나 대학의 힘에 대한 발견과 함께 오클라호마나 스틸워터의 깨끗한 자연으로부터 얻게 된 힐링의 감동은 이 책 내용의 또 다른 축입니다. 부머 호수, 리틀 사하라, 산책로로 쓰이고 있는 크로스 컨트리 코스 등 잘 보존된 자연이 인간의 내면적 평정이나 행복을 위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체험적으로 진술하고자 했습니다. 제 글의 에필로그 가운데 마무리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풀브라이트 학자로서의 가볍지 않은 사명을 짊어지고 오긴 했지만, 연구 외

에 이곳에서 발견한 또 다른 것들이 나를 달뜨게 했다. 오클라호마 사람들과의

만남, 인디언의 역사나 문화와의 만남, (특히 Route 66)과의 만남, 아름답고

깨끗한 환경과의 만남 등등. 그러나 무엇보다 소중했던 스틸워터는 문만 닫으

면 절간처럼 조용해지는 공간이었다. 맑은 공기 속에 한 발만 나서면 온갖 새

와 나무들이 그들먹한 낙원이었다. 그래서 기대 이상의 힐링을 체험하며 마음

속의 온갖 찌꺼기들을 날려 버릴 수 있었다. 물론 이곳이라고 어찌 사람들 사

이의 갈등과, 그로부터 일어나는 불행들이 없을 수 있을까. 그러나 유목민들이

아름다운 꽃향기와 산토끼의 해맑은 눈빛, 그 지순(至純)한 추억으로 광풍 몰

아 치던 수많은 밤들의 괴로움을 지우듯, 아름답지 못한 것들을 걸러내는 능력

이야말로 지혜로운 인간의 전유물 아닌가. 사실 짧지 않은 6개월 동안 걸러내

야 할 단 하나의씁쓸함도 만나지 못한 나였다.

                                                          ***

스틸워터에서 화려한 행복보다는 작고 따스하며 담백한 즐거움 속에 거의

완벽한 힐링의 추억을 간직하게 되었으니, 이제 맛있고 영양가 풍부한 풀들이

많이 자라 있기를 기대하며 다시 옛 고향으로 노마드의 소떼를 몰고 재입사(

入社)하기로 한다.”

 

그곳에 가보지 않은 사람도 책을 펼치기만 하면 오클라호마와 스틸워터의 감동과 아름다움이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느껴지리라 생각합니다. 강호제현의 질정(叱正)을 고대합니다.

 

<<인디언과 바람의 땅 오클라호마에서 보물찾기>>, 푸른사상, 2014.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8. 19. 23:36

 

 


판카 시티 입구의 'Pioneer Woman 상[1930년 Bryant Baker 작/청동 상]'앞에서

 

 

 


판카 시티 입구의 멋진 집들

 

 

 


판카 시티 'Pioneer Woman Museum' 입간판

 

 

 


'Pioneer Woman Museum' 의 소장품[인디언 의상 및 소품들]

 

 

 


'Pioneer Woman Museum' 소장품[피리 부는 인디언 추장]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의 소장품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 의 소장품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의 소장품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판카 부족과 가까이 지내던 인디언 부족들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Park' 표지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스틸워터의 이웃동네에서 만난 판카(Ponca)인디언들

 

 

 

작년 가을 무렵. 스틸워터에 정착한 지 한 달 반이 지나자 거주지 주변의 것들이 하나하나 마음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멀지 않은 곳에 판카 시티(Ponca City)’가 있다는 말을 들어오다가 캐나다에서 날아 온 큰 아이와 함께 답사에 나섰다. 원래 우리는 폰카로 발음했지만, ‘판카혹은 팡카로 발음하는 이곳 사람들을 따라 판카로 바꾸었다. 집을 나서서 177번 하이웨이에 접어든 후 정북 방향 직선으로 대략 한 시간 반 정도의 거리에 있는, 아름다운 곳이었다. 울창한 나무숲에 숨듯이 들어선 집들은 모두 고급스러워 대체 어디에 판카 인디언들이 있다는 건지 어리둥절할 정도였다. 아칸사 강(Arkansas River)이 감돌아 흐르고 호수[Lake Ponca]가 고여 있어 풍광도 이고, 인구 또한 많지 않은지 거리는 대체로 한산했다.

 

판카 족은 수어족[Siouan-language group] 가운데 데기한 어[Dhegihan language]를 사용하는 사람들인데, 캔자스 주 오세이지 카운티의 오세이지 족네브라스카의 오마하 사람들오클라호마와 네브라스카의 판카 사람들이 사용하던 수어가 바로 데기한 어다. 미 연방정부가 인정한 두 종의 판카 족이 있는데, 네브라스카의 판카 족과 오클라호마의 판카 인디언들이 그들이다. 후자가 바로 우리가 만나러 간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한 부족으로서 원래 오하이오 강 계곡에 살다가 사냥터를 찾아 서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이었다. ‘Ponca’는 칸사(Kansa), 오세이지(Osage), 쿼포(Quapaws) 사이의 한 클랜 명칭으로서 어원상 살인자[Cut Throat]’란 무시무시한 뜻을 갖고 있다 했다. 

 

이 부족 역시 여타 인디언들과 마찬가지로 백인 강제이주 정책에 의한 희생의 역사를 갖고 있었다. 판카 족의 역사는 꽤 길어서 구비전승에 따르면, 컬럼버스가 미 대륙으로 오기 전에 미시시피의 동쪽 지역으로부터 이주했다고 한다. 뉴욕 주에 살던 이로쿼이(Iroquois) 족의 침략을 받아 북쪽에 있던 전통 거주지역을 버리고 오하이오 강 지역으로 밀려났던 것이다. 그 후 거기서 서쪽으로 이동했다는 것인데,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는 것이었다. 1701년 지도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서양 상인들과의 교섭을 지속해 오다가 중간에 천연두가 창궐하여 800여 명 되던 인구가 200으로 줄었으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다시 700으로 회복되었다 한다. 평원에 사는 대부분의 다른 인디언들과 달리 이들은 옥수수와 채소들을 재배했고, 바이슨 사냥을 하며 살았다.

1817년의 평화조약을 필두로 1865년까지 판카 족은 미국정부와 여러 차례 조약들을 맺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자신들의 주권과 영역을 지키기 위해 애썼다. 특히 조약을 맺는 과정에서 미국의 실수로 자신들의 땅을 다 잃어버리게 되는 위기를 맞게 되자 이들은 미국 정부의 방침에 대항하여 집단 거주지로 이주하지 않는 방법을 쓰게 된다. 미 의회가 1876년 강제로 북쪽의 여러 인디언 부족들을 현재 오클라호마의 집단 거주지로 옮기기로 결정했음에도 새 보호구역이 농사에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거부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결국 강제로 옮겨야 했고, 새 땅에서 판카 족은 말라리아와 더운 날씨, 식량 부족 등으로 고생하다가 첫해에만 25%의 부족원들이 세상을 떠나는 비극을 당하기도 했다.

 

1877년 인디언 구역의 쿼포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된 뒤, 판카 족은 아칸사와 솔트 폭 강에 접한 자신들의 땅으로 이주했으며, 동친혈연(同親血緣) 주민들은 티피(tipi) 마을을 구성했고, 혼혈 주민들은 치카스키아 강 언저리에 정착하게 되었다. 판카 지도부가 미 정부에 맞서는 동안 미국 정부는 커티스 법(Curtis Act)으로 부족의 정부를 해체하고 타 부족들과의 동화를 강요하면서 1891년과 1892년의 도스 법(Dawes Act) 아래 개개 구성원들에게 보호구역의 땅을 나누어 주었고, 분양 후 남은 땅은 인디언 아닌 사람들에게 팔 수 있도록 했다. 오클라호마 주가 성립된 후 나머지 판카 땅들은 풀려서 101개의 목장의 주인들에게 팔렸고, 판카 주민들은 이곳에 고용되기도 했다. 1911년 판카 족의 땅에서 원유가 발견되면서 수익을 얻었으나, 정유공장들이 아칸사 강에 폐유를 방류함으로써 환경에 재앙을 입기도 했다. 1950년에는 오클라호마 인디언 복지법에 의거, 판카 족은 새 정부를 만들었고, 같은 해 920일에는 부족 헌법을 만들기도 했다. 판카 족 행정의 중심은 오클라호마 주의 화이트 이글(White Eagle)에 있으며, 현재 판카 족 인구는 4,200명에 달한다.

 

현재의 판카 족이 안정을 찾기까지 미국 정부와의 투쟁에서 중심 역할을 한 인물이 바로 스탠딩 베어(Standing Bear)라는 인물이었다. 사실 판카 족을 찾아 온 우리도 그의 행적과 모습이 궁금했다. 여느 인디언 추장도 마찬가지였겠지만, 그 역시 강제이주에 격렬히 저항했다. 심지어 그의 큰 아들이 죽을 때 그는 부족의 조상 땅에 묻어주겠다는 약속을 할 정도였고, 실제로 그는 보호구역에서 판카 족의 고향으로 되돌아가다가 체포되어 포트 오마하에 구금되기도 했다. 미국 정부의 허락 없이 보호구역을 이탈했다는 이유였다. 그의 체포와 구금에 많은 사람들이 법정 투쟁으로 그를 도왔고, 뛰어난 두 명의 변호사가 무료로 소송을 대리해 주기도 했다. 1879년 네브라스카의 오마하에서 열린 재판에서 미 연방 지방법원은 사상 최초로 미국 인디언들도 미합중국 법 안의 사람들임을 인정하게 되었고, 그 결과 그들은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쟁취하게 된 것이다. 말하자면 스탠딩 베어가 보여준 불굴의 저항 덕분에 결국 그들은 자신들의 법적인 권한을 얻게 되었던 것이다.

***

과연 우뚝 서서 내려다보고 있는 스탠딩 베어의 모습에서 비장함이 느껴졌다. 미합중국 정부의 부당한 명령에 목숨을 걸고 항거함으로써 자신의 부족은 물론 여타 인디언들이 보편적인 생존권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그는 인디언 사회의 진정한 영웅이었다.

석양을 등지고 서서 주변을 압도하는 그의 거대한 동상을 바라보며 특정 부족이나 민족의 미래를 개척하는 지도자의 온당한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백인들과 여타 부족들이 섞여 살아가고 있는 그 공간에서 스탠딩 베어의 정신 덕에 판카 족은 인디언 사회로부터 존경받고 있음을 진하게 느낄 수 있었다.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오세이지 족에 대한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물건 명칭-'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물건 명칭-'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문장과 뜻-'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부족 서사시-'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톤카와 부족의 문장-'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오세이지 네이션의 문장-'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족에 대한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스탠딩 베어에 대한 전자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Waynoka에서 일박을 한 체로키 인

 

 

 

 


웨이노카 숙소 앞의 소박한 식당-Cherokee Station

 

 

 

Cherokee Station의 저녁식탁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1. 27. 06:44

 

 


오클라호마와 텍사스를 거쳐 뉴멕시코로 연결되는 I-40을 비롯한 각종 도로들

 

 


오클라호마의 길가에서 흔히 보이는, 목장과 유전이 어우러진 모습

 

 


오클라호마에서 텍사스로 들어가는 입구

 

 


텍사스의 도로

 

 

뉴멕시코의 남성미, 오클라호마의 여성미

 

 

아름다움이란 절대적으로 완전하고 변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시기나 장소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다.’

 

걸출한 철학자이자 미학자이며 인기있는 소설가 움베르토 에코가 그의 저서 <<미의 역사>> 머리말에서 강조한 미학의 원리다. 그렇다. 아름다움이란 그렇게 상대적인 것이다. 에코 뿐 아니라 현대 미학자들 가운데 아름다움의 상대성을 부인하는 자는 아무도 없으리라. 아름다움에 관해 겨우 아마추어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는 백규에게조차 미의 상대성론은 부담감 없는 상식이다.

 

***

 

오클라호마 체류 기간 끝 부분에 뉴멕시코를 다녀오기로 했다. 머나먼 길을 운전하여 텍사스를 거쳐야 갈 수 있는 곳이라서 더 매력적이었다. 오클라호마 인디언들을 대충 만나 보았으니, 그곳에 옛 모습을 유지하며 살고 있다는 푸에블로(Pueblo) 인디언들을 보고 싶다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였으나, ‘주마간산(走馬看山)’ 격으로나마 세 개 주의 인상(印象)을 비교해보고 싶은 것이 내심의 욕구였다. 무엇보다 역마살을 사랑하는 내가 새로운 길을 만나는 일을 마다할 리 없으니, 그야말로 일타삼피(一打三被), 일석삼조(一石三鳥), 혹은 One Serve, Triple Purposes’의 쾌거 아닌가.

 

오클라호마의 중심을 서남쪽으로 뚫고, 텍사스의 팬 핸들(Panhandle)을 가로질러, 앨버커키(Albuquerque)와 산타페(Santa Fe), 반들리어(Bandlier), 타오(Taos) 등 뉴멕시코의 북부 일대를 돌아오는, 총연장 2천 마일에 가까운 장도(壯途)였다. 오클라호마 주는 우리나라[남한] 면적의 두 배인 181,195, 텍사스 주는 7.8배인 696,241, 뉴멕시코 주는 3.5배인 315.194이니, ‘눈물겹도록광활한 땅 아닌가. 비록 그 면적의 작은 부분들만을 거치는 노정이었으나, 그 장대함을 느끼기엔 충분했다.

 

 

2014. 1. 19. 오전 8시 스틸워터 출발. 타고 가던 35번 하이웨이를 오클라호마 시티에서 40번으로 갈아타면서 쾌속의 질주를 계속했다. 르노(El Reno), 엘크(Elk), 세이어(Sayre) 등 오클라호마 구간을 지나자 풍광이 바뀌면서 I-40은 텍사스로 접어들었다. 주 경계를 넘어 텍사스 경내의 전망대 겸 휴게소에 들어서니 사방에 돌투성이의 언덕들과 까마득하게 늘어선 야산들이 보였으나, 그로부터 빠져나와 잠시 달리자 이내 오클라호마와 별반 다를 바 없는 텍사스의 벌판이 펼쳐졌다. 그렇게 텍사스의 팬 핸들 지역을 몇 시간 동안 달리자 66번 도로(Historic Route 66)’ 상의 핵심도시 아마리요(Amarillo)’가 나오고, 그로부터 두어 시간 더 달려 뉴멕시코에 들어섰다.

 

매혹의 땅 뉴 멕시코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o New Mexico, Land of Enchantment]’라고 도로를 가로질러 세운 경계표지가 인상적이었으나, 그보다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확연히 달라진 풍광이었다. 오클라호마에서 텍사스까지 끝없이 펼쳐지던 벌판들, 비옥해 보이진 않았으나 온갖 식물들을 키워내던 땅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척박한 돌투성이의 땅에 깔리듯 생명을 이어가고 있는 사막식물들의 삶터가 무한대로 펼쳐지고 있었다. 텍사스와 뉴멕시코를 변별(辨別)하는 표지야말로 경계표지가 아니라 이런 경관의 변화였다.

 

경계표지를 지나자마자 만난 글렌리오 뉴멕시코 관광 비지터 센터[Glenrio Visitor Center NMDOT]’에서 대기하고 있던 직원은 지나가는 관광객들에게 늘 그렇게 해왔다는 듯, 우리의 인사에 응답을 하는 둥 마는 둥 지도를 펼치면서 묻지도 않는 관광명소들을 일사천리로 설명했다. 관광 비수기이긴 했으나, 우리가 보고자 한 포인트들은 가까스로 겨울철 폐장을 하루 이틀 앞두고 있었으니, 그나마 다행이었다. 이곳이 바로 시간 변경대인 듯 직원은 우리 시계의 시침을 한 시간 뒤인 3시로 되돌리라고 했다.

 

미국에는 동부 시간[Eastern Time], 중부 시간[Central Time], 산악 시간[Mountain Time], 태평양 시간[Pacific Time] 등 네 개의 시간대가 존재하는데, 우리가 출발한 오클라호마는 텍사스와 함께 중부 시간대에 속해 있었고 뉴 멕시코는 산악 시간대에 속해 있었던 것이다. , 먼 곳을 가는 길에 한 시간 벌었구나! 쾌재를 불렀으나, 태양은 이미 저 멀리 지평선 바로 위에 걸려 있었다. 한 시간을 벌긴 했으나, 앨버커키까지 세 시간이 넘어 걸린다는 비지터 센터의 직원 말에 오후 4시쯤 도착하여 느긋하게 숙소를 정하리라 생각한 우리의 계획이 멋지게 빗나갔음을 알게 되었고, 가끔씩 속도제한[Speed Limit] 상한선 75마일을 넘기며 달려 나갔다.

 

 

비지터 센터를 나온 우리는 목적지인 앨버커키(Albuquerque)까지 3~4백 마일을 더 달려야 했다. 엔디(Endee), 바드(Bard), 투쿰카리(Tucumcari) 등 연도의 대소 도시들을 지나고 앨버커키에 도착하기까지 주변에 펼쳐지는 풍광을 표현할 말이 달리 떠오르지 않았다. ‘황량함이란 말 은 사전에 나오겠지만, 그 말도 결국 우리 인식의 한계만 드러낼 뿐이었다. 약간씩 오르내리는 구릉들을 제외하고 산은 보이지 않았다. 저 멀리 지평선에 아련히 보이는 것이 바로 버날리요(Bernalillo) 카운티와 샌도발(Sandoval) 카운티에 걸친 샌디아 산맥[Sandia Mountains]일 것인데, 그마저 저녁 어스름과 아련히 피어오르는 안개에 가려 보이지 않다가 앨버커키에 들어서기 위해 넘을 때에야 그 산맥의 존재를 깨달을 수 있었다.

 

말하자면 이곳을 포함하여 뉴멕시코 전역의 평균 높이가 해발 1710m이고, 가장 낮은 지역도 852.6m에 달하니 뉴멕시코에 들어오면서 우리는 내내 1천 미터가 훨씬 넘는 산길을 타고 있는 셈이었다. 이 넓은 땅을 덮고 있는 것은 거무튀튀한 돌들, 그 사이에 모습을 내민 블랙 그래머(Black Grama), 아리스티다 퍼푸리아(Aristida Purpurea), 크레오소트 부쉬(Creosote Bush) 등 사막식물들 뿐이었다. 사람이나 짐승이 깃들만한 교목은 한 그루도 보이지 않고, 기껏 쥐나 프레이리독 같은 작은 짐승들이나 몸을 숨길만한 식물들이 듬성듬성 성장을 멈춘 채 사막의 맨살을 가려주고 있었다.

 

 


텍사스에서 뉴멕시코로 들어가는 입구

 


끝없이 펼쳐진 뉴멕시코의 평원

 

 


뉴멕시코의 황량한 대지

 

 


뉴멕시코의 황량한 대지

 

 


뉴멕시코의 황량한 대지

 

 


뉴멕시코의 황량한 대지

 

 

 


Rio Grande 강과 George Bridge 주변에 펼쳐진 사막지대

 

 


샌디아 산맥Sandia Mountains)과 앨버커키(Albuquerque) 사이의 사막지대

 

 


샌디아 산맥의 보호를 받고 있는 앨버커키 시가지

 

 


앨버커키 인근 스카이시티 가는 길에 만난 황량한 평원

 

 


스카이시티 가는 길에 만난 어도비 건축양식의 천주교 성당

 

 


성당 옆쪽에 마련된 성모상

 

 


애코마(Acoma) 푸에블로(Pueblo) 스카이시티에서 내려다 본 관광안내소

 

 


뉴멕시코를 달리며 찍은 황량한 모습

 

 


뉴멕시코의 황량한 벌판

 

 


뉴멕시코의 끝없는 지평선 너머로 아련한 여운을 남기면서 해가 지고 있다.

 

 

해발 1,619.1 m의 고지대에 위치한 앨버커키에 도착하자 붕 뜬 것처럼 정신이 멍해졌다. 그만큼 기압이 낮은 때문일 것이다. 1박을 한 다음날 찾은 곳은 스카이 시티(Sky City). 예의 그 광활한 평원 한 복판에 잔구 형태의 돌덩어리들과 엄청난 규모의 돌산이 서 있고, 그 위에 만들어진 애코마 푸에블로(Acoma Pueblo) 인디언들의 공동체가 바로 그곳이었다. 황량한 벌판에 서 있는 돌 주거지. ‘그로테스크의 미학이라고나 할까. 그곳에서 상상되는 그들의 삶 역시 우리의 상식을 배반하는 모습이었다.

 

그 다음 날 만난 아름다운 산타 페(Santa Fe) 역시 2,134 m 의 고도(高度)를 자랑하는 도시였다. 앨버커키보다 기압이 더 낮은 때문일까, 자동차에 넣어 갖고 온 과자 봉지가 팽팽하게 부풀어 있었다. 산타페 산맥에 안겨 넓은 평원을 내려다보고 있는 대도시. 이곳 역시 뉴멕시코의 주 건축양식인 어도비(Adobe) 일색의 건물들로 가득 차 있었다. 앨버커키도, 스카이시티도, 산타페도, 타오(Taos), 그 도시들 사이사이에서 만나는 주택들도 대부분 어도비 양식이었다. 어도비란 모래, 진흙, , 막대기, , 동물의 배설물 등 섬유질이나 유기질 재료 등을 섞어서 벽돌을 만들고 햇볕에 말리는 공법으로 짓는 건축양식이다. 볼그레한 땅 색깔과 어울리게 지은 어도비 건축물들이야말로 자연에 맞추어 살려는 이 지역 주민들의 미학이 만들어낸 결과였다. 직선과 기하학에만 익숙해 있던 내게 곡선과 흙빛의 따사로움을 갖춘 이 건축양식이 첨엔 좀 생소했지만, 눈에 익을수록 미학이란 결국 자연과의 위대한 조화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평범한 이치의 깨달음으로 연결되었고, 결국엔 정겨움을 느끼는 수준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비록 일부분이나마 뉴멕시코의 광활한 대지를 누비고 나서야 그곳에 차원 높은 아름다움이 숨어 있음을 깨닫게 된 것이었다. 사실 따지고 보면 그럴 듯한 나무 한 그루 자라지 않는 돌투성이의 사막이 아름다울 수는 없다. 수만 년 웅웅거리며 쓸어오는 바람결 외에 움직임 하나 없는 이 벌판을 전통 미학의 기준으론 추하다고 보는 게 정상일 것이다. 그러나 나는 왜 이 벌판을 달리면서 감동과 함께 울고 싶다는 느낌을 갖게 되었을까. 나는 이미 오클라호마 북부의 오세이지(Osage) 인디언 구역에서 대초원[Tall Grass Prairie]을 만나 연암 박지원의 호곡장(好哭場)’을 떠올린 바 있다. 광대한 요동 들판을 걸어가던 박지원은 그곳을 가히 울어볼 만한 곳이라 말하고, 인간 7(七情)의 발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기도 했다.

 

대초원 앞에 선 나도 연암선생이 느꼈던 그 심정을 이곳에서 다시 떠올리게 되었다. “기쁨이 극에 달하면 울게 되고, 노여움이 사무치면 울게 되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울게 되고, 사랑이 사무치면 울게 되고, 미움이 극에 달해도 울게 되고, 욕심이 사무쳐도 울게 되니, 답답하고 울적한 감정을 확 풀어 버리는 것으로 소리 쳐 우는 것보다 더 빠른 방법이 없다. 울음이란 천지간에 있어 뇌성벽력에 비할 수 있는 것이니, 북받쳐 나오는 감정이 이치에 맞아 터지는 것이 웃음과 다를 게 뭐겠는가.”라는 연암 선생의 논리야말로 뉴멕시코의 대평원 앞에 선 내 감정을 그대로 설명하고 있지 않은가.

 

이런 감정적 여과를 거치고 나서야, 뉴멕시코 대자연의 추함은 결국 아름다움으로 바뀌는 것이었다. 극도의 추함이 아름다움과 합치될 수도 있다는 미학의 상대성이야말로 뉴멕시코의 황량한 사막으로부터 터득하게 되는 진리 아닌가.

 

***

 

잠시 오클라호마에 체류하면서 평원의 아름다움에 눈을 떴고, 텍사스를 보고 나서 그 아름다움의 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뉴멕시코의 사막 벌판을 만나면서 새로운 미학을 덤으로 깨닫게 되었다. 오클라호마의 평원에는 나무가 많고, 돌보다는 기름 진 흙이 많다. 기름 진 흙으로 나무를 키워내는 것이야말로 여성성(女性性)’의 본질 아닌가. 오클라호마의 대지를 달리다 보면 식물을 키우고 인간을 길러내는 지모신(地母神)’의 속삭임을 듣게 된다.

 

이와 달리 돌투성이의 사막, 뉴멕시코의 대지에서는 쩌렁쩌렁 울리는 거친 남성의 포효를 들었다. 뉴멕시코를 달리면서 눈물 나는 감동으로 긴장하다가 오클라호마에 들어오면 마음이 푸근해지고 따뜻해지는 이유를 비로소 알게 된 것이다. 숭고와 비장의 남성 미학적 공간에서 부드럽고 우아한 모성 미학의 공간으로 입사[入社, initiation]했기 때문이리라. 다른 시간대 즉 Mountain Time에서 Central Time으로 넘어가면서 미학적 차이까지 경험하게 된 내 가슴에 희열이 넘치는 순간이다.

 

 


애코마 푸에블로 인디언 스카이시티의 광장에서
(기우 제의에 쓰이는 사다리-세 개의 기둥은 빗줄기를, 상부의 가로막대는 구름을 각각 상징한다 함.
비가 부족한 이곳의 상황을 보여주는 물건임) 

 


스카이시티에 있는 성당[16세기에 스페인 사람들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앨버커키의 푸에블로 문화센터(Indian Pueblo Cultural Center)에서
공연을 마친 푸에블로 남성 무용수와 함께

 

 


앨버커키를 떠나 산타페에 들어가는 중. 멀리 보이는 것이 산타페 산맥이며
그 앞에 널리 퍼진 것이 산타페 시가지임.

 

 


산타페 시내의 산 미구엘(San Miguel) 성당. 미국 최초의 어도비 양식 성당임.

 

 


어도비 양식의 호텔 산타 페 


 


타오(Taos) 시내 어도비 양식의 '아씨시의 성 프란체스코 성당'

 


타오 시내의 '랜처 장로교회[Rancho's Presbyterian Church)

 


타오 시 외곽에 어도비 양식으로 지어진 푸에블로 인디언들의 전통 가옥

 


푸에블로 인디언의 전통가옥. 앞에 있는 둥근 것이 빵을 굽는 화덕임.


타오(Taos)로부터 로건(Logan) 가는 길에 지나온 Angel Fire Mountain 속의 농장 입구

 


타오(Taos)에서 로건(Logan) 가는 길에 지나온 Angel Fire Mountain 속에서 만난 사슴떼.
환상 속의 한 장면 같지요?

 


뉴멕시코의 카운티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10. 30. 07:46

 

2013년 풀브라이트 방문학자 발전 세미나[2013 Fulbright Visiting Scholar Enrichment Seminar]에 다녀와서

 

 

 

 

2일차-대초원[Tall Grass Prairie]에서 멋진 울음 터를 발견하고

 

 

 

 

연암 박지원은 중국에 사신으로 가다가 요동벌판을 만나자 멋진 울음 터로다. 크게 한 번 울어볼 만 하도다!”라고 소리쳤다. <<열하일기>>의 이른바 호곡장(好哭場)’이 그것.

 

8시에 버스 두 대에 분승한 우리들은 2시간여를 달려 드디어 광활한 초원으로 들어섰다. 작은 키, 중간키, 큰 키의 각종 풀들이 끝이 보이지 않는 대지에 깔려 있고, 저 멀리 검고 흰 소떼가 대지에 주둥이들을 박은 채 풀 뜯기에 여념이 없었다. 간간이 관목지대가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로되, 온통 풀밭이었다. 미국인들이 ‘Tall Grass Prairie’[이하 ‘TGP’로 약칭]라고 부르는 자연 초지(草地)였다. 풀만 있는 게 아니었다. 드문드문 원유 채굴기들이 끄덕거리며 서 있고, 땅 속에서 퍼낸 원유와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들도 보였다. 말하자면 땅 위에는 달디 단 젖과 고기를 만드는 영양 만점의 풀이 그득하고 땅 밑에는 인류문명을 지탱하는 또 다른 젖인 원유가 고여 있으니, 이 나라는 대체 어찌하여 이런 복을 타고 났단 말인가.

 


Tall Grass Prairie Preserve 표지판과 뮤지엄

 


털사 시티와 오세이지 보호구역 및 톨그래스 프레이리가 나온 지도

 

연암은 사람들은 오직 슬플 때만 우는 줄 알고, 칠정(七情) 모두에 울 수 있다는 건 모른다네. 기쁨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노여움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슬픔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즐거움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사랑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미움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욕심이 사무쳐도 울게 되지.울음이란 천지간에 우레와도 같은 것. 지극한 정이 발로되어 나오는 것이 이치에 맞아든다면 울음이나 웃음이나 무엇이 다르겠는가.”

 

그렇다. 기뻐도 슬퍼도 울 수 있는 것은 연암 뿐 아니라 인간이면 누구나 마찬가지다. 내가 대초원울음 터로 생각한 것은 나의 왜소함을 비웃는 듯한 그 광활함이 첫 번째 이유였고, 허허로운 듯한 외피 속에 그득 담긴 가멸찬 풍요, 그리고 그로부터 느끼는 상대적인 빈곤이 둘째 이유였다. 60 가깝도록 손바닥만한 풀밭에서 소꿉장난하듯 살아온 인생의 눈에 광대한 대초원에서 느끼는 놀라움과 부러움이 바로 내 울음의 근원이었다. 연암도 그랬으리라. ‘들판에서 해가 떠서 들판으로 지는그 요동벌판을 보며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느끼기도 했겠지만, 그보다는 가난하고 좁디좁은 조선 땅과 백성들을 먼저 생각하지 않았겠는가?

 


대초원의 한복판에서 풀을 뜯고 있는 바이슨 무리


대초원 저편에서 풀을 뜯고 있는 흰소와 검정소들


대초원의 느긋함을 즐기고 있는 long horn cows

 

***

 

두 대의 버스는 호텔로부터 두 시간 가량 달려 TGP로 들어섰다. 까마득히 넓어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는 대초원. 안내자로 나선 자원봉사자의 설명을 들으며 초원 사이로 난 트레일을 느릿느릿 달리는 버스의 창을 통해 그 넓이를 마음으로나 가늠할 뿐이었다.

 

오세이지(Osage) 카운티에 속해 있으며, 포허스카(Pawhuska) 다운타운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TGP. 초원 보호구역으로는 지구상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역사의 현장이자 유물인 셈이다. 원래 텍사스로부터 마니토바(Manitoba)까지 14개 주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도시의 확장과 농지의 전용으로 남아 있는 공간은 원래에 비해 겨우 10% 정도라 한다. 엄청난 크기와 기괴한 표정의 검정 소 바이슨(bison)들이 무리를 지어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는 생태공간이다.

 


                                           톨그래스 프레이리 구역도       

 

TGP의 관문인 포허스카는 19세기 이래 오세이지 부족의 중심역할을 해온 도시인데, 오세이지 족은 갠자스에 있는 보호구역의 땅을 팔고 포허스카를 둘러싼 땅을 새로 사들였다고 한다. 지나면서 얼핏 보기에 새 집들이 많이 들어서 있으나, 이 구역의 오세이지 인디언들은 자신들의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계속해 오고 있다 한다. 그러나 석유의 발견으로 그들은 농업과 목축으로부터 벗어나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민족 그룹들 가운데 하나로 변신하게 되었다는 것. 지금 오세이지 족은 자기들 땅의 광물 채굴권을 갖고 있으며, 특히 석유와 가스는 오세이지 부족원들 뿐 아니라 그들 영역 안에 사는 다른 부족원들에게도 이익을 주는 수입원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TGP 1986년 이래 오클라호마의 웅장한 자연경관과 독특한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활동해 온 미국의 자연 보호 단체 The Nature Conservancy에 의해 만들어졌다. The Nature Conservancy의 오클라호마 지부가 총면적 77,000에이커[120평방 마일]에 달하는 12개의 보호구역을 소유하거나 돌보고 있다 하니 놀라운 일이다.

 

TGP에 들어선 우리는 바이슨 루프(Bison loop)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바이슨 관찰에 나섰다. TGP 본부 사무실보다 4~5마일 앞선 곳에 까마득한 넓이의 면적이 원형의 트레일로 구획되어 있는 곳이 바로 바이슨 루프였다. 풀이 없는 겨울 동안 녀석들이 먹을 건초 덩어리들을 쌓아놓은 건물이 있었는데, 그 앞마당에 모여 있던 수십 마리의 바이슨들이 우리가 다가오는 모습을 보곤 길 건너 풀밭으로 슬금슬금 피해가는 것이었다. 그들 가운데 어떤 녀석들은 길을 건너가면서도 우리 쪽을 흘끔흘끔 뒤돌아보며 무어라 투덜대는 게 분명했다. 자신들의 영역을 침범한 데 대한 불만이었을 텐데, 만약 우리가 다급하게 뒤쫓았다면 그 무서운 뿔을 곧추 세우고 덤벼들 것 같은 위기를 나는 분명 느낄 수 있었다. 그렇게 저 멀리 초원 한복판으로 몰려간 바이슨들은 길게 1자 대형을 유지하며 지평선으로 접근해갔다. 우리의 시야로부터 가물가물 멀어지다가 그들의 대열이 지평선과 합치되면서 우리는 자리를 떴다.

 


풀을 뜯고 있는 바이슨(borrowed from Google.com)


우리를 보며 슬금슬금 물러나고 있는 바이슨 무리


바이슨들이 물러난 자리에 남겨진 엄청난 거름

 

한때 개체 수가 3천만 마리를 상회하던 바이슨은 대초원의 왕이었다. 어깨 높이 180cm1톤이 넘는 체중을 자랑하는 웅장한 체격의 바이슨. 수십 마리에서 수백 마리 규모로 떼를 지어 초원을 배회하는 바이슨은 결코 식물이나 토양을 황폐화 시키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적당히 먹고 계속 움직여 뜯어먹은 곳의 식물을 다시 복원시키기 때문이다. 1800년대 후반에는 1000 마리도 남지 않아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보호에 힘입어 현재는 약 35만 마리 정도로 불어났다고 한다. 멸종의 위기는 벗어난 셈이고, 15000마리는 미국 내 공공의 땅에서, 나머지는 The Nature Conservancy에 의해 사유물로 각각 관리되고 있었다. 지금 The Nature Conservancy는 생태 시스템 복원작업의 한 부분으로 보호구역에 바이슨을 재입식해오고 있는데, 우리의 버스들이 바이슨 루프에서 시속 10마일로 서행한 것도 바이슨에게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서였음을 안내원의 설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바이슨 무리를 좇고 있는 각국의 학자들


인도의 탁월한 농학자 파트로 교수와 함께

 

사실 이 지역에 바이슨만 있는 게 아니었다. 가을이 깊어감에도 야생화들은 화려한 자태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기이한 종류의 풀들이 그득했다. 갖가지 새들은 지천으로 날아다니고, 여우나 토끼 같은 작은 동물들의 개체들도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설명이었다. TGP 조성 이후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아 수질과 토양이 개선되면서 많은 동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환경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인들이 자연에 대한 인간의 빚을 최소한으로라도 갚고 있다는 증거였다.

 

***

바이슨과 이별한 우리가 점심식사를 위해 멈춘 곳은 TGP Research Center였다. 그곳에는 우리의 점심 도시락을 싣고 온 트럭이 이미 도착해 있었다. 배분된 샌드위치 속의 바비큐가 바이슨 고기인지 묻고 싶었으나, 바이슨들의 표정이 떠올라 차마 그럴 순 없었다.

 

점심을 먹으면서 우리는 오클라호마 음악에 미친 복합문화적 영향[The Multi-Cultural Influences of Oklahoma Music]”이란 제목의 강연 겸 공연을 접하게 되었다. 강사는 Dr. Hugh Foley[Professor of Fine Arts at Rogers State University]였고, 그 아들이 특이한 복장으로 나와 인디언 음악을 들려주는 것이었다. ‘새로운옛날 음악을 새파란 젊은이로부터 듣는 것도 이색적이었지만, 무엇보다 부자가 음악으로 통해 있는 모습을 보는 건 참으로 아름다웠다. 아버지가 이론으로 설명하면 아들은 타악기로 직접 반주를 하며 노래를 불렀다.

 


TGP 리서치 센터 강당에서 공연 중인 휴 폴리 교수의 아들


휴 폴리 교수와 그의 아들

 

분명하진 않으나 노래들의 가락이 우리의 전통음악과 상당히 유사하여 인상적이었다. 그들이 설명하고 들려준 건 Red Dirt Music. 우리말로 번역하면 황토음악쯤 될까? Red Dirt Music은 오클라호마에 흔히 보이는 누런 흙에서 그 이름을 얻은 음악장르라 한다. 원래 오클라호마의 스틸워터가 Red Dirt Music의 중심으로 알려져 왔는데, 텍사스에도 Red Dirt Music이 있다는 설명이었다. 한때는 두 장르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있었지만, 2008년부터 그 차이가 소멸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우리의 전통음악, 특히 원시음악과 Red Dirt Music을 비교한다면,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공연 내내 드는 것이었다.

 

점심 겸 공연이 끝난 뒤 랜취 하우스와 뮤지엄, 초원 사잇길 등을 거쳐 들른 곳이 오세이지 박물관[Osage Tribal Museum]이었다. 도착하니 그들은 이미 우리를 맞을 만반의 준비를 갖춰놓고 있었다. 연사는 Kathryn Red Corn. 오세이지 박물관 관장으로서 오세이지 족 출신의 지성인이었다. 그녀는 '오세이지 족의 역사와 TGP에 대한 부족의 흥미'를 주제로 30분 이상 차분하게 설명했다. 설명이 끝나고 질문시간에 나는 현재 다른 부족들과의 관계는 어떻고, 어떤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가? 앞으로 얼마나 부족의 정체성[tribal identity]을 유지해나갈 수 있는가? 유지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가?’ 등을 물었다. 그러나 ‘Government 차원에서 다른 부족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하겠다는 것, 각종 민속행사 등을 통해 부족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등 매우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았을 뿐, 그런 문제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본 적은 없는 것 같았다.

 


톨 그래스 프레이리에서 Dr. Cheryl Matherly와 함께


Tall Grass Prairie 뮤지엄 앞에서

 

미국 최초의 인디언 부족 박물관인 오세이지 뮤지엄은 오세이지 부족의 전통에 따라 생활해왔거나 현대적인 삶을 살아온 사람들 가운데 오세이지의 역사, 전통, 관습 등에 정통한 사람들의 자원봉사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 뮤지엄은 오세이지 부족원들의 역사를 기념하거나 그것들을 배우기 원하는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해 1년 내내 많은 활동들을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족의 대표란 사람이 전통복장으로 행사장에 앉아 있었지만, 흡사 쇼윈도에 앉아 있는 마네킹처럼 생기 없이 인디언 부족의 미래를 대변하는 듯 했다.

 


오세이지 박물관(The Osage Tribal Museum)


오세이지 박물관에서 만난 공주(2013년 선발), 부족대표, 여성명사


오세이지 박물관 안에 붙은 그림


오세이지 박물관 벽을 채운 오세이지족 인물들


오세이지 족이 분배 받은 땅(지적도) 


오세이지 족의 대표와 함께


오세이지 박물관 관장 Kathryn Red Corn과 함께


TGP에서 석유를 채굴하던 옛날의 채굴기(오세이지 박물관 뜰)

 


오세이지 부족 사무소 앞에 세워진 기념 표지판

 

***

 

시간의 단층들이 켜켜이 쌓여 만들어진 역사의 뒤안길을 우리는 단 하루 만에 주파한 셈이었다. 대초원에도, 바이슨의 눈빛에도, 인디언들의 마음에도 그들 과거의 기억들은 화석화 된 채 촘촘히 박혀 있는 듯 했다. 지혜로운 후세의 누가 있어 정을 들고 그 화석들을 캘 날이 있으리라. 종족의 문화와 역사를 복원할 유전자가 그 화석들 속에서 검출되고, 종국엔 이 땅에서 사라진 영광이 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초원과 인디언들이 내게 주는 무언의 교훈이 바로 그것이었다. 우리는 오늘을 살고 사라지겠지만, 내일을 위한 씨앗 정도는 만들어 놓아야 한다는 역사적 책무를, 오늘 톨 그래스 프레이리에서 강하게 느꼈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10. 28. 23:55

 

아메리카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미래의 꿈을 찾다!

 

 

2013년 풀브라이트 방문 학자 발전 세미나[2013 Fulbright Visiting Scholar Enrichment Seminar]에 다녀와서

 

 

         제1일차-치밀한 미국인들

 

 

 

 

풀브라이트의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미국 내 대학을 비롯한 연구기관들에 체류하고 있는 학자들은 기간 중 최소 1회 이상 34일의 발전 세미나에 참석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최근 나는 미리 3회까지의 시기와 주제만을 알려 준 다음, 신청을 받아 배정하는 풀브라이트 측[CIES(Council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Scholars, 국제 학자 교류 위원회’) Enrichment Seminar Team]의 기발한 아이디어에 혀를 내두르게 되었다. 광대한 미국 땅에서 미리 장소를 알려 준다면 대개 한쪽으로 몰릴 수 있기 때문에 고안해낸 지혜였을 것이다. 그들이 제시한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옛날의 서부에서 새로운 서부로: 미국 스토리의 형성에 기여하는 땅의 역할 [Old to New West: The Role of Land in shaping the American Story](10/23-26)

2. 법의 지배: 인권과 정의[Rule of Law: Human Rights and Justice](11/20-23)

3. 사회적 기업가 정신: 혁신하는 비영리 단체들과 발전하는 공동체들[Social Entrepreneurship: Innovating Nonprofits Developing Communities](2014 3/19-22)

 

모두 유익했으나, 그래도 나와 가까운 쪽은 1번이었다. 1번을 1순위, 2번을 2순위로 선택하여 신청했으나, 1번의 지원자가 많아 부득이 나를 대기표에 올렸다는 연락이 왔다. 어쩔 수 없이 2번으로 갈 각오를 하고 있던 차 928일에 털사 전 지구 연합[Tulsa Global Alliance, 약칭 TGA]’에서 이메일이 왔다. 국무성의 지원을 받아 1번을 주제로 자신들이 이번 세미나를 주관하게 되었으니, 신청할 사람은 하라는 연락이었다. 대기표에 올려놓았다던 나에게까지 연락한 것을 보면, 막상 뚜껑이 열려 멀리 떨어져 있는 오클라호마의 털사시티(Tulsa City)가 세미나 장소임을 알게 된 상당수의 사람들이 포기한 모양이었지만, 나로서는 사막 속의 단비인 셈이었다.

 

스틸워터에서 차를 몰고 달리면 1시간 남짓 걸리는 털사가 아닌가. 어차피 풀브라이트에서 비행기 표를 비롯한 모든 비용을 대 주는데 이왕이면 여행하는 셈 치고 먼 곳으로 가는 게 좋지 않으냐는 주변 사람들의 권유도 있었지만, 썩 좋지도 않은 미국 비행기들을 갈아타면서까지 여행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었고, 무엇보다 1번 주제가 내겐 환상이었다. 1012TGA가 보내 준 Overview[행사개요]를 보고는 더더욱 가슴이 설렜다. 이 지역 인디언들의 삶과 문화에 대한 탐구가 세미나 내용의 핵심이었기 때문이다.

 

***

 

모든 것이 결정되면서 주최 측의 주도면밀함이 감지되었다. 미국 전역에 흩어져 있는 참석자들[이번에는 40개국 70명의 학자들]의 교통편과 숙박 및 식사 주선, 세미나 장소 마련, 강사 및 패널리스트 섭외, 자원 봉사자 동원, 이동 차편 마련, 현장 견학 등 행사 전반의 일정을 짜고 조정하는 일들일 텐데, 사실 가까이에 사는 내가 오히려 쉽지 않은 존재였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비행기 표를 사서 보내주고 공항에 픽업을 나가면 그만이지만, 내 경우는 나 스스로 차를 몰고 가거나 주최측이 누구를 보내서 라이드를 해 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사실 나는 내 스스로 차를 몰고 갈 생각을 하고 있었으나, 규정상 그렇게 해서는 안 되는 모양이었다.

 

TGA의 행사 책임자 Bob Lieser씨와 이곳 역사학과 학과장 사이에 몇 번의 이메일이 오고 가는 것 같더니 최종적으로 내게 이메일이 왔다. 스틸워터에 있는 OSU 메인 캠퍼스와 OSU 털사 캠퍼스를 왕래하는 셔틀버스[Orange Big Bus]에 자리를 예약해 놓았고, 털사에 도착하는 대로 Mr. Clark Frayser가 픽업을 나갈 것이며, 세미나가 끝나고 돌아오는 날엔 Dr. Ron Bussert가 스틸워터의 집까지 나를 태워다 준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통보해 주는 것 아닌가. 참으로 한 치의 빈 틈도 보여주지 않는 그들이었다. 내가 만약 이런 행사를 주관했을 경우, 참가자가 스스로 차를 몰고 오겠다고 한다면 얼마나 반가웠을까. 규정과 원칙을 철저히 지키려는 이들의 자세가 첫판부터 범상치 않았다.

 

***

 

23일 오후 310. OSU 털사 캠퍼스에 도착하니 클라크 씨가 차를 대놓고 내가 나타나기만 기다리고 있었다. 그 차로 호텔[Holiday Inn City Center]에 도착하여 등록 후 체크인을 한 것이 330. 방에서 쉬다가 5시 정각에 호텔 2층의 시마론 포이어(Cimarron Foyer)와 테라스 등에서 간단한 음식을 들며 참석자들끼리 환담을 나누다가, 버스를 타고 세미나 장소인 길크리스(Gilcrease) 뮤지엄[미국통신 12 참조]으로 이동했다.

 


TGA에서 만들어 참가자들에게 나누어 준 일정표


세미나 기간동안 패용한 명찰


참가자들의 숙소[Holiday Inn City Center, Tulsa]

 


호텔 방에서 내다 본 털사 다운타운의 모습[가운데 첨탑 건물은 성가족 성당]

 

뮤지엄 강당에서 열린 행사의 내용은 환영사와 기조연설이었는데, 털사 대학교 세계교육 담당 교무 부처장인 셰릴 박사(Dr. Cheryl Matherly), 미 국무성 교육문화국 성인 프로그램 매니저인 레빈(David Levin) , IIE[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국제 교육 연구소]의 캠벨(Kristin Campbell), 털사 대학교의 길크리스 박물관 담당 부총장인 듀안 킹 박사(Dr. Duane King) 등의 간단하면서도 인상적인 환영사에 이어 털사 대학교 역사학과 명예교수인 론다 박사(Dr. James Ronda)로부터 미국 서부의 발견[Finding the American West]’이란 주제의 기조연설을 들었다. 그는 미국 서부의 광범한 역사를 소개한 다음 서부를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한 핵심 장소로 오세이지(Osage) 카운티를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넓은 의미의 서부, 특히 오클라호마가 갖고 있는 무궁한 현실적 의미와 한계를 설파했고, 우리가 내일 보게 될 Tall Grass Prairie[대초원, 이하 TGP로 약칭]가 갖고 있는 인간적물질적 경관의 의미를 이해해 줄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우연이겠지만, 그는 강연 서두에 오클라호마 주를 소개하면서 "Oklahoma State is taller than South Korea."라고 '콕 집어' 말했는데, 미국의 1개 주보다 작은 나라에서 온 나로서는 '우리의 현실'에 대하여 착잡한 마음이 들기도 했고, 작은 나라를 바라보는 그들의 관점이 궁금하기도 했다.]


기조발표를 하는 Dr. James Ronda

 

***

 

730. 우리는 박물관의 비스타 룸(Vista Room)으로 이동,하여 Rick Morton, Nathan Eicher, Isaac Eicher 3인조 스윙밴드(swing band)의 서부 지역 컨트리 뮤직인 블루그라스를 감상하며 첫날의 만찬과 대화를 즐겼다. 그 자리에는 오클라호마 지역의 풀브라이트 동문들, 털사 커뮤니티의 지도자들, TGA 관리 이사들, 기업 회원 등 많은 지역 유지들이 초대되었는데, 그 가운데 이색적인 인사가 바로 인디언 출신의 이 지역 최고 기업가 메슈리 박사[Dr. Dayal T. Meshri]였다. ARC[Advance Research Chemicals, Inc.]CEO인 그는 나를 만나자마자 한국에 대한 좋은 인상을 반복하여 강조했다. 특히 현대자동차를 방문한 일과 부산에서 술을 마시던 추억을 크게 말하며 호탕하게 웃는 그에게 호감을 느낀 것은 그와 나 사이에 어떤 소통의 끈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었을 것이다.


만찬장에서 연주하고 있는 3인조 밴드


만찬장에서 스리랑카의 학자 Dr. Asanthra, 인디언 출신 CEO Dr. Dayal T. Meshri와 함께


만찬장에서  Dr. Dayal T. Meshri, Mr. Clark Frayser와 함께


만찬장에서 TGA 대표 Ms. Becky 및 Mr. Charles와 함께


만찬장에서 Mr. Clark Frayser와 함께


만찬장에서 Dr. Cheryl Matherly, 털사대학교 한국인 학생 김세연과 함께

 

***

 

9시쯤 만찬이 끝났다. 첫날의 몇 시간을 보내며 나머지 일정도 빡빡하게 진행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세미나 기간에 무엇을 배워야 할지 뚜렷한 방향을 잡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40개국에서 몰려든 70명의 학자들이 영어라는 기호 하나로 훌륭하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며 새삼 영어와 미국의 현실적인 힘을 느끼기 시작했고, 덩치와 어울리지 않게 모든 일들을 꼼꼼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미국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보며 나와 우리의 쓸데없이 대범함에 일순 부끄러움을 느끼기 시작했다. 매 순간 톱니바퀴처럼 철저한 정확성을 중시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대충 해!”라는 상투어야말로 나와 우리의 진로를 막는 커다란 돌덩어리임을 깨닫게 된 것은 세미나 첫날에 얻은, 무엇보다 큰 수확이었다.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