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15. 2. 10. 07:32

등재후보지 <<한국문학과 예술>>15집에 게재할 논문을 공모합니다.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에서는 한국문학과 예술 전문학술지인 <<한국문학과 예술>> 15집에 게재할 논문을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사계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다음 ◈



1. 공모 분야: 한국의 문학과 예술 및 문화 전반에 관련된 분야로, 독창적인 연구결과이거나 그러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논문을 대상으로 합니다.
(현대와 고전문학을 포함한 국문학, 한문학, 전통시대의 음악ㆍ무용ㆍ미술 등 문화예술을 대상으로 하며, 학제 간 연구결과도 환영합니다.)


2. 투고 방법

① 투고하실 분은 논문투고신청서, 연구 윤리 확약서, 논문을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편집위원회에 다음과 같이 전자우편으로 제출하셔야 합니다.
o 전자우편: ktla@ssu.ac.kr(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② 논문은 200자 원고지 150매 이내(국문요약, 영문초록, 참고문헌 포함)로 하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문학과 예술>>의 논문 작성 형식을 참조해 주십시오.

투고 시 투고자의 성명, 소속, 주소, 연락처(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이 기재된 신청서를 별도의 파일로 첨부하셔야 합니다.(첨부 참조).


3. 발간 일정

o 논문 투고 마감: 2015년 2월 21일(토) 24:00

o  <<한국문학과 예술>> 발간일(연 2회)

- 제15집 : 2015년 03월 31일(발간예정)
- 제16집 : 2015년 09월 30일(발간예정)



4. 기타

o 한국연구재단 KCI 등재후보지
o 심사료 및 게재료 없음
o 투고일로부터 20일 안에 심사결과 공지
o 게재본, 별쇄본 무료송부


5.  <<한국문학과 예술>>15집의 논문투고에 관한 문의

o 전화 : 02-820-0846, 010-6799-4670
o E-mail : dull-baram@hanmail.net
o 우편 (우)156-743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한국문학과 예술>> 편집위원회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커밍홀 311호)
02-820-0846 / 02-820-0326

Posted by kicho
알림2012. 5. 21. 20:23

 

“한국문예에 반영된 서울의 형상”

 

2012년도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전국 학술발표대회

 

일시 2102. 6. 8.(금) 10:00~18:00

장소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센터 311호

주최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소장 조규익 교수)에서는 2012년 6월 8일(금요일) “한국문예에 반영된 서울의 형상”이란 주제로 2012년도 전국학술발표대회를 갖는다. 문학과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서울의 형상을 찾아 보는 논문들 7편이 발표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조강연) 고문헌 참색의 길에 만난 <한양가> : 박순호(원광대 명예교수)

2. <한양가>에 나타난 한양 경관과 장소애착성 : 최은숙(경북대)

3. <한양오백년가>에 나타난 역사인식 : 박연호(충북대)

4. 이본 대조를 통한 <한양오백년가>의 텍스트 고찰 : 정영문(숭실대)

5. <천변풍경(川邊風景)>과 <삼대(三代)> 속의 서울방언에 대하여 : 유필재(울산대)

6. 1970-90년대 서울 관련 대중가요를 통해 본 서울 풍경 : 장유정(단국대)

7. 조선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국도(國都) 명승의 재인식 : 조규희(서울대)

 

Posted by kicho
알림2012. 3. 2. 13:59

  <이번에 발간된 책 <<경천아일록>> 표지>

  <김경천 장군의 아버지 김정우. 그는 35살의 늦은 나이에 일본에 유학하고 돌아와 대한제국 육군군기창장으로 일했다.(1900-1908년)>

  <1921년 3월 연해주 공산당 지역중앙위원회 고려인 부서의 제안으로 아무르 주 크라스노야르 마을에서 개최된 연해주 빨치산 활동가들의 제1회 모임. 여기에서 고려인 빨치산 부대들을 통합하여 연해주 인민혁명군 소속으로 합병시키자는 결의가 나왔다. 맨 뒷줄 왼쪽에서 세 번째가 김경천. 당시 김경천은 만주에서 연해주로 건너온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아직 별다른 전투를 치르기 전이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데다 또 공산당원이 아닌 탓에 맨 끝줄에 서있다. 하지만 이듬해 여름에 연해주 혁명군사위원회가 그를 뽀시예트 및 훈춘 구역 빨치산 총사령관으로 임명할 정도로 용맹한 군인으로 이름을 떨쳤다.둘째 줄 왼쪽부터 첫 번째는 창의회에서 활약한 안희재(1885-1943), 두 번째는 나중에 선봉신문 농업부장을 역임한 황동훈(1903-1938), 세 번째는 연해주 한인독립운동 지도자 이동휘(1873-1935), 네 번째는 한인 지도자로서 소비에트 당국에 한인의 권리를 적극 주장했던 한명세, 여섯 번째는 1930년대 뽀시예트 구역 당서기장을 역임한 김 아파나시, 셋째 줄 오른쪽에서 첫 번째가 1924년 니시 고려사범학교, 1931년 해삼고려사범대학을 설립하고 이듬해 조선극장 창립에도 관여하는 등 한인 문화교육부문에 지대한 공헌을 한 김만금, 넷째 줄 왼쪽(오른쪽)에서 다섯 번째는 중국과 한국에서 신문을 발행하고 지하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서울 서대문 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던 채 그리고리(1891-1926), 맨 뒷줄 오른쪽에서 첫 번째는 제76 고려인 포병부대 정치교육장교를 역임한 김광택(1898-1957)이다.


  <간첩죄로 체포된 김경천 장군이 카자흐스탄 까라간다 유형소에 들어와 머리를 깎이기 전(1939년)>

  <간첩죄로 체포된 김경천 장군이 카자흐스탄 까라간다 유형소에 들어와 머리를 깎인 후(1939년)>

  <1918-1922년 연해주 한인빨치산 군인들의 복장. 김경천 부대의 부대원들도 이와 똑같은 복장을 착용하고 전투를 치렀다>.

     <김경천 장군의 자식들.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맏딸 지리, 셋째딸 지란, 막내딸 지희, 맏아들 수범>



연해주 지역 항일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의 일기

<<경천아일록(擎天兒日錄)>> 출간!!!

연해주 지역 항일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의 일기 <<경천아일록>>이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자료총서 1권으로 출간되었다. 함경남도 북청에서 무관 가문의 막내아들로 태어난 김 장군의 본명은 김현충(金顯忠)⋅김광서(金光瑞)이며, 후에 신팔균⋅지청천과 함께 별명으로 '하늘 천(天)'자를 넣어 지은 김경천(金擎天, 金警天 또는 金敬天)⋅김응천(金應天) 등의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김 장군의 아버지인 김정우는 일본에 유학을 다녀온 구한국 육군의 엘리트 인사였는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릴 적부터 군인이 되기를 꿈꾸었고, 한성부에서 중학교를 마친 뒤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1911년 일본 육사를 제 23기로 졸업하고 도쿄에서 기병 장교로 근무하다가 1919년 기미 독립 선언 직후 지청천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청년단에 가입해 활동했고, 서간도의 신흥무관학교에서 교관으로 근무했다.

1919년 김경천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 머물면서 의용군을 모집하여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중국인 마적단과 싸웠으며, 창해청년단 총사령관으로 시베리아 일대에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1921년에는 수청의병대의 지도자가 되었고 러시아의 혁명 세력과 연합하면서 연해주 지역의 조선인 지도자로 소련의 인정도 받게 되었다.

1922년 수청의병대는 대한혁명단으로 개칭하고, 김경천은 사령관을 맡았으며, 그해 말 고려혁명군이 조직되어 김경천은 동부사령관을 맡았다. 1922년 이후 블라디보스톡 극동고려사범대학에서 강의를 하였고 국경경비대의 장교로 일하다가 1937년 스탈린 정권 하에서 간첩죄로 체포되었고, 1939년 재차 체포되어 두 차례 복역했다.

이 일기의 번역 및 정리자 김병학 선생은 이 책 출간의 당위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제시했다.
 첫째, <<경천아일록>>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 이후 전투에 참가한 군 지휘관이 현장에서 쓴 유일한 일기다. 현대적 의미의 최고급 군사전문가 중 한 사람인 김 장군의 지략과 용맹이 유감없이 드러나 있어, 동서양 전쟁사에서 그 유례를 찾기가 어렵다.
 둘째, 광복 60년이 지나도록 친일유산의 청산이 되지 않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서 김 장군의 행적이야말로 후손들에게 귀감이 될 만하다.
 셋째, 이 일기가 국내 역사학자들의 단편적인 논문에만 인용되고 말기에는 그의 삶 자체가 너무나 눈물겹고 장대하고 아름답다.
 넷째,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에 흩어져 살고 있는 김 장군의 후손과 뜻 있는 고려인들이 이 일기가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그 분들이 일기를 러시아어로 읽으려면 먼저 번역이 가능한 현대 한국어로 정리되어야 한다. 국한문에 드문드문 알아보기 어려운 문체로 기록된 <경천아일록>이 한국에 알려진지도 벌써 다섯 해가 넘었는데, 그 분들을 더 이상 기다리게 하는 것도 도리가 아니다.

 이 책의 출간은 한국의 독립운동사가 보완되고, 더욱 새로워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강호제현의 일독을 고대한다.


                        2012. 3. 1.


              한국문예연구소  소장   조규익



조선일보 관련기사 링크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10. 6. 16. 17:45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 연구소 학술총서들 가운데 아래와 같은 두 건이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었습니다.

  1. 조규익, <<고전시가와 불교>>, 학고방, 2010.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14

  2. 이정석, <<재일 조선인 문학의 존재양상>>, 인터북스, 2009.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12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10. 4. 15. 10:33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6, 『카자흐스탄 초원 시인 아바이 시선집 : 황금천막에서 부르는 노래』출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자흐스탄 초원 시인 아바이 시선집 : 황금천막에서 부르는 노래』(김병학 역 / 인터북스, 2010. 4.)가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6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의 위대한 시인이며 사상가인 아바이 꾸난바이울릐는 시대가 급변하던 19세기에 홀연히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그가 남긴 글들은 카자흐스탄 전역에 깊은 감동을 주었으며, 지금도 카자흐스탄 전 국민의 가슴에 그침 없는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아바이 시인의 존재는 카자흐스탄 사람들의 자부심이자 카자흐 문학의 상징입니다.  

동양과 서양의 교차로에 위치한 카자흐스탄의 유목문화가 이질적인 요소들을 융합해냈듯이 아바이 시인도 광활한 초원의 정신에 바탕을 두고 대자연과 유목민의 삶을 포용하며 기쁨과 슬픔과 희망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는 카자흐 고유의 전통 및 서구의 합리성과 종교적 영성을 동시에 추구했으며 이는 현대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이 바람직한 미래로 나아가는데 더욱 더 긍정적인 빛을 던져주고 있습니다. 

이 시집은 제1부(자연에 대한 서정시), 제2부(철학의 서정시), 제3부(사랑의 서정시), 제4부(비애의 서정시), 제5부(8행시), 제6부(풍자시) 등 여섯 부분으로 나뉜다. 이것은 1909년 처음 발간된 아바이 시집의 테마별 분류를 바탕으로 하여 약간 바꾼 것입니다.

올해는 한국의 ‘카자흐스탄의 해’입니다. 조만간 카자흐스탄의 나자르바예프 대통령과 사절들이 한국을 방문할 것입니다. 한국의 뜻 있는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카자흐스탄의 독특한 유목문화와 시인 아바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길 바라며, 일독을 권합니다.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10. 3. 30. 20:29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려인 디아스포라 서정의 진수, 이 스따니슬라브 시집 출간!!!

 

현재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카자흐스탄의 고려시인 이 스따니슬라브의 시집 <<모쁘르 마을에 대한 추억>>이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5로 발간되었다. 우리는 현지 김병학 시인의 유려한 필치로 번역된 이 시집을 통해 러시아어 권 고려인 서정의 높은 경지를 비로소 훔쳐볼 수 있게 되었다.

원작에는 시 제목대신 번호만 달려 있는 점이 특이한데, 번역자는 전체 67수의 시들을 4부로 나누었다. 제1부[되돌아가지는 못 하리 언젠가 두고 떠나온 해변으로], 제2부[초원에 피어난 진달래꽃], 제3부[안개 위의 영원한 꿈 마냥…], 제4부[바람에 흔들리는 이삭들] 등의 표제에서 보듯이 스따니슬라브의 시들에는 고려인 특유의 민족 정서가 디아스포라 의식과 어울려 차원 높은 서정으로 승화되어 있다. <시 23>을 보자.

 

조상들의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라

시(詩)를 가지고서.

타향살이

힘들다 터져 나오는

흐느낌이나

울음이 아닌 시로써.

허나

내가 태어나고 자란

이 땅이

어찌 타향이란 말인가?

또 어릴 적부터

어울려 함께 자란

사람들이

어이 타인이란 말인가?

하지만 그래도

여기 카자흐스탄 땅과

이 시구를 채우는

러시아 말에

용서를 구해야 하리.

조상들의 고향으로

나 돌아가고 싶어라

오직 시(詩)만 가지고서라도.

머나먼 고국에서

태어나 살아갈

그런 운명 나 받지 못했느니…

 

스따니슬라브는 카자흐스탄에서 태어난 고려인 3세다. 러시아어를 모어(母語)로 받아 자라났지만, 고려 말도 제법 잘 한다. 고려인들 모두 “고려 말은 아무 쓸모도 없다”고 버렸지만, 그는 유독 고려 말에 집착을 갖고 있다. 이 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민족정신의 끈을 놓지 않은 그가 디아스포라의 시혼을 가꾸어 온 것은 당연하다. 그는 어쩌면 ‘고향 찾기’를 화두(話頭) 삼아 카자흐스탄의 광야에서 여전히 서사적인 삶을 이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니 “고난의 삶, 사연 많은 디아스포라의 삶 자체를 주신 선조들께 그렇게 감격해 하는 것 같다”고 지적한 번역자 김병학 시인의 말이 정곡을 찔렀다고 할 수 있으리라. 언제 끝날지 모르는 유랑의 세월을 감내하고 있는 시인의 다음과 같은 말은 디아스포라의 초입에도 못 가 본 우리로서는 가슴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디아스포라는 누구나 고국과 연결되고 싶은 강한 열망을 품고 살아갑니다. 디아스포라에게 고국이란 언젠가는 돌아가야 할 마음의 고향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제가 고국과 시를 통해 연결되는 기쁨은 다른 어떤 기쁨이나 행복과 비교할 수 없이 큰 것입니다. 무수한 역사적 비극과 비운을 이기고 살아온 재소 고려인의 후손으로서 저에게 고국은 무엇보다도 절실하고 뜨겁게 만나야 할 근원입니다.”<‘지은이의 머리말’에서>

 

스타니슬라브와 같은 해외의 피붙이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강호제현의 일독을 권한다.

 

이 스따니슬라브, 김병학 역, <<모쁘르 마을에 대한 추억>>, 인터북스, 2010. 값 10,000원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