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10. 6. 17. 14:0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성훈 박사의 『해녀 노 젓는 소리 연구』와 조규백 박사의 『텅 비니 만 가지 경지가 다 담기네-소동파 시선집(상)』이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15/16)로 출간되었습니다.

 

 

이성훈 박사(숭실대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한국문예연구소 정보팀장)가 『해녀 노 젓는 소리 연구』를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15호)로 펴냈다. 해녀는 제주도에만 있는 존재로, 해녀들이 물질을 마치고 물 밖으로 올라와 가쁘게 내쉬는 숨소리인 이른바 ‘숨비소리’를 휘파람 소리인데, 해녀들이 물질작업장까지 노를 저어서 오갈 때 불렀던 노동요 <해녀노젓는소리>를 유희요 <뱃노래>로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가 하면 해녀들의 겉모습만 보고 그들의 삶을 추정하거나 섣부른 예단을 하는 경우도 이따금씩 본다.

 

그간 <해녀노젓는소리>는 제주도에서 채록한 자료를 중심으로 음악학적, 민속학적, 문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더러 있었지만 개별 학문의 입장에서 이루어졌을 뿐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해녀노젓는소리>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본토 해안지역에서도 전승되고 있는 만큼 본토에서 채록한 자료도 연구 자료로 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 결과 <해녀노젓는소리>의 총체적 실상을 규명하지 못했다.

이 책은 목차에서 보듯이 <해녀노젓는소리>의 총제적 실상을 규명하기 위해서 집필되었다. <해녀노젓는소리>의 형성 과정과 전승 양상, 가창 방식과 율격, 사설의 분류와 교섭, 가창자의 생애와 의식 등을 현장론적 측면과 작가론적 측면에서 밝히는 것이 바로 이 책을 집필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와 본토에 정착한 해녀들로부터 채록한 해녀의 생애력과 <해녀노젓는소리> 사설을 주요 자료로 삼았고, 옛 문헌의 기록은 참고 자료로 이용하였다. 특히 본토에서 전승되는 <해녀노젓는소리>와 해녀의 생애력을 수집한 자료는 이 책의 필자가 2000년 9월부터 2007년까지 강원도 속초시․삼척시, 경상북도 경주시․포항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사천시․통영시․거제시․남해군 일대를 두루 답사하여 조사한 결과물이다.

 

머리말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의 검토

3. 연구 방법

 

Ⅱ. 형성 과정과 전승

1. 형성과 본토 전파

2. 가창 기연의 소멸

3. 사설 변이와 전승양상

 

Ⅲ. 사설의 분류와 교섭

1. 사설의 분류와 유형

2. 사설의 교섭양상

3. 구연상황과 현장성

 

Ⅳ. 가창 방식과 율격

1. 가창 동기

2. 가창 방식

3. 율격 구조

 

Ⅴ. 사설의 수집과 정리

1. 수집 및 정리의 통시적 양상

2. 제1기:단편적인 자료 수집 및 소개

3. 제2기:본격적인 자료 수집 및 정리

4. 제3기:체계적인 자료 수집 및 정리

5. 사설의 오기와 어석의 오류

6. 편저와 웹사이트 자료의 오류

 

Ⅵ. 가창자의 생애와 의식

1. 가창자의 생애

2. 가창자의 특성

3. 가창자의 의식

 

Ⅶ.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

 

조규백 박사(한국외대 강사/한국문예연구소 연구원)가 『텅 비니 만 가지 경지가 다 담기네=소동파 시선집(상)』이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16호)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소동파의 전기(前期) 시(詩) 161수를 번역한 것으로, 각 시기의 체제와 내용, 풍격에 있어 대표성을 띤 작품들을 포괄하고 있다.

 

一. 중국

 

. 청(淸)나라 심덕잠(沈德潛)은 “소동파의 가슴에는 커다란 용광로가 있어 금, 은, 납, 주석 등이 모두 그 안에서 용해된다. 그 붓이 초광(超曠)하여 천마(天馬)가 굴레를 벗어나고 하늘을 나르는 신선이 노니는 듯 종잡을 수 없이 변화무쌍하다.”라고 평했다.

 

. 청나라 조익(趙翼)은 소동파의 시에 대해, “평심(平心)으로 소동파의 시를 읽어보니, 그는 재사(才思)가 넘쳐흘러 부딪치는 곳마다 생기가 일어나고, 흉중에 서권(書卷)이 가득하여 그때그때 두루 응용할 수 있어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없다.”고 하였다.

 

二. 고려 ․ 조선시대

 

. 서거정(徐居正)은 “고려 문인은 오로지 동파를 숭상하여, 과거 급제자의 방이 나붙을 때마다, 사람들이 ‘33인의 동파가 나왔구나’라고 하였다.”(『東人詩話』, 卷上) 이에 대해 이규보(李奎報)는 “고려시대 문인들이 과거급제 전에는 과거시험 준비 때문에 풍월을 일삼을 겨를이 없다가, 과거 합격 후에야 부담 없이 시 지시기를 배우는데 그 가운데 소동파의 시를 더욱 좋아하게 된다.”고 하였다.

서거정은 이어서, “고려 고종, 원종 연간에, 송나라 사신이 시를 요구하자, 학사(學士) 권적(權適 )이 시를 지어 주었다. 그 시에,

‘소동파의 문장은 해외까지 알려졌건만

송나라 천자는 그의 글을 불태웠네.

문장은 불에 태워 재로 만들 수 있겠지만

천고의 꽃다운 이름은 불태울 수 없다네.’

라 하니, 송나라 사신이 탄복하였다.”(『東人詩話』, 卷上)

 

. 고려 고종 23년, 몽고 침입의 와중에서 전주에서 동파문집을 중각(重刻)했던 사실에서도 당시의 소동파 열기를 짐작하게 해 준다.

 

. 이인로는 『파한집(破閑集』卷上에서, “소동파와 황산곡에 이르러서는 고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정밀하게 되어 뛰어난 기운이 멋대로 나오니, 구를 다듬는 묘함이 두보와 나란히 할 만하다.”라고 했다.

 

. 이규보는 동파의 시(詩)「泛潁」의 시구에서,

“갑자기 물결이 비늘처럼 일어

나의 수염과 눈썹을 산란하게 하네.

동파가 백 사람으로 분산되었다가

순식간에 다시 제자리에 있구나.”

라 한데, 느낌이 일어,

 

“시내 위에 어정거리며 맑은 물결 희롱하니

그림자 춤추고 몸 흔들려 괴상도 하구나.

갑자기 소동파가 영수(潁水)에서 놀던 일 생각나네

수염과 눈썹 흩어져 백 명의 동파가 되었다네.”

(「溪上偶作」시)

라고 읊었다.

 

. 이제현(李齊賢)은 소동파의 초상화에 대해,

“대궐에 출입하는 것 영광이 아니거니

장기(瘴氣)어린 해변인들 무엇이 두려우랴.

야인의 차림새에 누런 빛 갓을 쓰고

천고를 굽어보며 긴 휘파람 불고 있네.”

(「蘇東坡眞贊」)

라 했다.

. 이색(李穡)은 “큰 소나무 그늘 속에서 동파의 시를 읽었더니, 머문 물 같은 고담(古談)은 마치 황하를 터뜨린 듯 하였네.”(「過三角山>시)

이색은 또,

“심한 더위와 가을바람은 본래 때가 있는데,

평소에 즐겨 동파노인의 시를 읽었네.

누구의 마음이 물과 같이 맑기에,

옥을 녹이고 쇠를 녹아내리는 더운 여름을 다 알지 못하는가.”(「卽事」시)

라 했다.

 

이색은 또,

“내가 마시는 술은 한 그릇도 안되지만

반쯤 취하면 맛이 더욱 좋네.

동파노인은 뜻이 커서

만장(萬丈)이나 되는 불꽃처럼 세차네.”

(「廉東亭席上醉歌」시)

라 했다.

 

. 조선시대에 많은 문인이 소동파의 「적벽부(赤壁賦)」를 애호하여 각지에서 “적벽선유(赤壁船遊)의 기풍을 재현하기도 했고, 조선후기 시인들이 ‘소동파를 숭배하는 모임(拜坡會)’를 만들어 소동파의 생일을 기념하는 시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 조선시대 문인이 소동파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동파의 인품이나 문장의 수준이 큰 흡인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2. 조선시대의 문예숭상 사조와 조선이 송나라를 입국(立國)의 주된 모델로 삼은 점, 그리고 문학적으로 당송팔가문을 중시한 점 때문이다.

일부 순유(純儒)들은 학파나 사상의 차이로 비판적, 선택적으로 수용하기도 하였다.

3. 조선시대 문인들은 동파와 유사하게 사화(士禍), 당쟁, 전쟁 등을 겪어, 그러한 처지의 유사성으로 인해 동파의 위인과 문학에 공명할 수 있었다.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8. 12. 22. 00:37
 

인간의 냄새가 스며든 선취(禪趣)의 서정
--무의자(無衣子) 혜심(慧諶)의 시와 구도(求道)미학--

                                                                        조규익


1. 버리고 떠남, 그리고 얻음

 버리고 떠나는 것은 불가(佛家)의 상사(常事)다. 버리지 못하면 번뇌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집착의 뇌옥(牢獄)에 갇혀버리고 만다. 버리거나 떠나지 못하는 것은 ‘현재 이곳에 존재하는 물질’에 미혹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근본원인은 ‘참된 나’를 발견하지 못하는데 있다. 참된 나를 찾기 위해 사유(思惟)하고 수득(修得)하는 것이 선(禪)이라면, 그것은 욕계의 오온(五蘊)으로부터 생겨나는 모든 악을 버림으로써 공덕을 쌓게 되는 관문이다. 마음을 하나의 경계에 두고 사려(思慮)하며 욕계의 번뇌를 여의는 것이 바로 사유수(思惟修)다.
 사실 인간의 탈을 쓰고 있는 한 욕계의 중생들이 벗어나기 힘든 굴레가 번뇌다. 번뇌를 여의어야 해탈의 문에 들어설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번뇌를 벗어나면서 만나게 되는 해탈의 경지는 탈속과 초월을 대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것이 고해 중생들에게는 어렵고 멀기만 한 경지다. 무조건 ‘해탈하라, 초월하라, 떠나라!’는 외침이야말로 고해 속의 범인들을 좌절시키기 쉬운, 지엄한 명령일 뿐이다. 쉽게 따르기 어려운 그런 명령들이 오히려 범부들을 무명(無明)의 미로로 빠져들게 하는지도 모른다. 오히려 삶 속에서 얻어진, 평범하고 일상적인 서정의 문법으로 그런 명령들을 표현할 수만 있다면, 좀 더 많은 범부들을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할 수 있으리라.
 그런 점에서 난해한 선시(禪詩) 그 자체가 범부들에게는 마음의 짐일 수 있다. 깨닫지도 못할 암호를 바라보며 ‘깨닫지 못함’에서 오는 좌절이나 죄의식을 갖게 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깨달은 자’의 오만일 수 있다. 게문(偈文), 선시(禪詩), 선문답(禪問答)의 어려움은 바로 여기에 있다.
  불교 수행 과정의 오도적(悟道的) 체험을 형상화한 선시는 선종의 법통을 전수하는 과정에서 더욱 세련되었다. 선시가 오래 전수되는 동안 일반 문인들의 시풍에까지 영향을 주어 선취의 시작품들이 많이 나왔으며, 우리의 경우 본질적인 선시는 이 글의 대상인 무의자 혜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문염송(禪門拈頌)』을 지은 혜심 이후 원감(圓鑑), 일연(一然), 경한(景閑), 태고(太古), 나옹(懶翁)으로 이어지면서 고려조 선시가 완성되었고, 조선 전기에 이르러 기화(己和)·일선(一禪)·영관(靈觀)·휴정(休靜)·선수(善修)·보우(普雨) 등이 조선 선시의 기초를 확립했으며, 경헌(敬軒)·인오(印悟)·태능(太能)·언기(彦機)·수초(守初)·처능(處能)·수연(秀演)·지안(志安)·해원(海源)·최눌(最訥)·의순(意恂) 등 조선 후기의 선사들에 이르러 조선조 선시의 법통은 완성되었다.
 고도의 상징성과 압축성, 절묘한 비유를 특징으로 하는 선시는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하려는 선불교의 종취와 가장 잘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선시의 그러한 특징은 시의 본질과도 일치한다. 언필칭 ‘시선일여(詩禪一如)’를 내세우는 것도 본질적인 면에서 시와 선의 같음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문헌에 나타난 것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무의자 혜심이야말로 우리나라 선시의 개조(開祖)다. 그 증거가 바로 30권 10책의『선문염송』이다. 무의자가 조계산 수선사(修禪社)에 있던 고종 13년(1226년)에 편집한 것이 이 책이다. 무의자는 선문학의 개조이면서도 어느 후학보다 작품의 양과 질에서 두드러진다. 물론 일종의 문자취미라 할 수 있는 선문학의 창작이 선의 본질에 비추어 볼 때 타당치 않을 수도 있다. 원래 선의 본질은 ‘불립문자(不立文字)’에 있다. 그러나 문자로 정착시키지 않고는 그 지혜를 전달할 길이 없다. 따라서 무의자 스스로 자신의 선적 지혜를 문자로 남긴 것은 부득이한 일이었다. 말하자면 그 지혜는 전수받고 나면 버려야 할 방편에 불과했던 것이다. 무의자 스스로도 『선문염송』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석가세존과 가섭 이래 대대로 서로 이어 등불이 다하지 않았으며, 서로 은밀하게 당부한 것을 정전(正傳)으로 삼았다. 그 바로 전하고 은밀히 당부한 곳에 말과 뜻을 갖추지 않은 것은 아니나 말이나 뜻으로는 족히 미칠 수 없다. 그러므로 비록 가리켜 진술하려는 게 있어도 문자를 세우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할 따름이었다. 호사자들이 억지로 그 자취를 기록하여 책에 실어 지금까지 전하니 그 거친 자취가 실로 족히 귀하게 여길 것이 아니다. 그러나 흐름을 찾아 근원을 얻고 말단에 의거하여 근본을 아는 것도 무방하다.

 그러니 그가 선사의 입장이었음에도 깨달음을 문자로 남겨 놓은 것은 바로 후학들의 교육을 위해서였다. 이 책이 그의 시집과 함께 중시되는 것은 초창기의 선문학을 보여줄 문헌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그 수준 또한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처럼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선사(禪師) 무의자 혜심(1178~1234)은 전라남도 화순 출신으로 속명은 최식(崔寔), 휘(諱)는 혜심이며, 무의자는 그의 호다. 부친 사후 출가하고자 했으나 모친의 강권으로 유학에 입문했고, 모친 사망을 전후하여 그에게 닥쳐온 불연(佛緣)으로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의 문하에 나아가 계를 받았다. 스승 지눌에게서 의발을 받고도 굳이 사양한 그였으나, 스승이 입적하고 난 다음에는 수선사를 계승할 수밖에 없었다. 고종으로부터 대선사의 지위를 받은 그는 서울로 올라오라는 명을 받아들이지 않다가 56세로 끝내 수선사에서 입적했다. 이규보(李奎報)는 무의자의 비명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어린 나이부터 문장에 종사하는 것을 업으로 삼아 얼마 후 선비의 관문에 뽑혔으니 학문이 정교하지 않은 게 아니고 운명 또한 불우하지 않았다. 조금만 더 참았더라면 대과에 올라 유명한 사대부가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오히려 거의 성취할 이름을 버리고 일찍 세속에 물드는 걸 떨치지 못함을 한스러워 했으니, 그 초연히 세상을 벗어나는 마음을 이에서 가히 징험할 수 있다.

 이규보가 재치 있게 요약한 그의 삶을 보면, 그가 세상살이의 요리(要理) 또한 제법 터득한 상태로 불도에 입문했음을 알 수 있다. 불도수행에의 의지가 더욱 강렬했던 것도 그 때문이었을 것이다. 말하자면 세속의 경험이 불도의 수행에 방해가 되기보다는 오히려 세속에 대한 미련을 끊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그가 불도에 깊이 들어갈 수 있었던 이유도 그 점에 있다.
 세속에서 유도(儒道)를 닦다가 불도에 입문했고, 세속의 부름을 거부하며 선의 세계에 노닐다가 입적한 그였기에 고승의 품위를 잃지 않을 수 있었다. 그래서 그의 선문학에는 사람의 냄새, 세상의 냄새가 어려 있다. 그러나 사람과 세속의 냄새는 그것을 떠나 초월하라는 가르침을 극적으로 끌어내기 위한 도구적 의미가 있다. 추한 세속의 냄새가 아니라, 사람들을 편안하게 만드는 아름다운 서정의 향기를 그의 선시에서는 맡을 수 있는 것이다.
 
2. 집착과 공허, 그리고 채움과 비움

 세간의 사물과 애욕에 고착되어 떠나지 못하는 것이 집착이다. 범부는 명문(名聞), 이양(利養), 자생(資生)의 도구에 집착하여 안신(安身)하는데 힘쓴다는 것이「보리심론(菩提心論」의 말씀이다. 명예욕, 현실적인 이익, 먹고 사는 문제 등에 사로잡혀 제 한 몸 편안히 하는데 힘쓰는 존재가 범부들. 그들로 하여금 세속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집착이다. 그러나 집착으로부터 한 걸음만 벗어나 보면 ‘아무 것도 없음’을 확인하게 된다. 집착의 대상이 그림자이었음과, 욕심을 채우려다 채우지 못하고 결국 깨친 다음에야 비우는 것이 지혜임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불법(佛法)에
뜻을 두고 사모하와,
찬 재 같은 마음으로
좌선을 배우나니.

공명(功名)이란
하나의 깨어질 시루이고,
사업이란
목적을 달성하면 덧없는 것.

부귀도
그저 그렇고,
빈궁도
또한 그런 것.

내 장차
고향마을 버리고,
소나무 아래에서
편안히 잠이나 자려네.
       <유영봉 역>


 <출가할 때 집을 하직하며 지은 시>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불법을 그리워 해 좌선을 배우게 되었다는 것이 첫연의 내용이고, 출가하여 산 속에서 수도하고자 한다는 것이 마지막 연의 내용이다. 2연과 3연은 첫 연과 마지막 연의 근거로 제시된, 이 시의 주지(主旨)라 할 수 있다.
 공명과 사업, 부귀와 빈궁은 세속의 일들이다. 무의자는 공명을 ‘깨어질 시루’로, 사업을 ‘목적을 달성하면 덧없어지는 것’으로 각각 보았다. 부귀와 빈궁도 모두 그러하다고 했다. 세상사 어느 것이나 다 허무하고 가치 없다는, 진리의 깨달음이다. 대부분의 범부들은 공명과 사업에 목을 맨다. 빈궁을 벗어나 부귀해지려고 애쓴다. 그러나 그런 것들에 집착할수록 그 뒤에 찾아오는 공허는 더욱더 커지는 법. 세속의 일은 채울수록 더 채워야 하고, 집착할수록 더 집착하게 된다. 그러나 집착을 벗어버릴수록, 욕심을 비워낼수록 내면은 더 넓어지고 여유로워진다.
 무의자는 고향마을을 ‘버린다’고 했다. 고향은 세속적인 것들의 출발이다. ‘금의환향(錦衣還鄕)’ 의식은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로 하여금 세속적인 것에 집착하게 하고, 욕심을 내게 한다. 세상 사람들이 범부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 부귀와 공명은 최고의 목표일 수밖에 없다. 부귀로는 곳간을 채울 수 있고, 공명으로는 허세를 채울 수 있다. 부귀와 공명을 집착할 경우 잘 되면 곳간과 허세를 얼마간 채울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을 채우려는 욕망에는 한계가 없다. 채우고 채우다가 삶을 마치고, 그렇게 삶을 마치면서도 헛되다는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의 범부들이다. 그런 점에서 무의자의 출가는 ‘떠남과 비움’을 상징한다. 떠남과 비움은 몸과 마음을 가볍게 하고, 가벼운 몸으로 소나무 아래서 즐기는 낮잠은 그 무엇에도 비길 수 없는 기쁨이었으리라. 
 

미혹의 바람이 깨달음의 바다를 동요하니
깨달음의 바다에 부질없이 물거품만 이네.
부질없는 물거품처럼 삼유(三有)에 붙어 있는 것
삼유에 잠시 멈추어 머물러 있을 뿐이네.
바람 고요하니 물결도 절로 고요하고
물거품 사라지니 그 생긴 까닭도 없어지네.
담담히 물가에서 멀리 떨어져
돌아보건대 물결만이 아득히 흘러가네.
               <이상미 역>


<현담에게 보이며(示玄湛)>라는 게송이다. 내용의 핵심은 ‘미혹의 바람(迷風)’, ‘깨달음의 바다(覺海)’에 있다. 미혹의 바람은 세속적 영화에 대한 집착이다. 세속적 영화는 부귀의 소유로 이루어진다고 믿는 것이 범부들의 생각이다. 말하자면 소유에 대한 집착이 ‘미혹의 바람’인 것이다. 미혹의 바람이 거세면 ‘깨달음의 바다’를 움직일 수 있다. 물론 미혹의 바다에 흔들릴 정도의 ‘깨달음’이라면, 깨달음의 수준이 보잘 것 없다고 할 수도 있으리라. 그러나 깨달음의 바다에 미혹의 바람이 일으켜 쳐 올리는 물거품은 덧없는 순간의 것이다.
 짧디 짧은 인간의 삶[삼유 : 태어나는 순간, 나서 죽기 전까지의 일생, 죽는 순간]만큼이나 덧없는 것이 집착의 물거품이다. 욕망을 여의면 미혹의 바람도 스러지고 깨달음의 바다는 저절로 고요함을 얻게 되는 법. 그런 순간에 도달하면 소유의 집착을 초래한 원인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조차 알 수 없으니, 그 집착이 지배하는 찰나야말로 공(空)이요 허(虛)일 뿐이다. 미혹의 찰나는 욕망을 채우기 위해 아등바등하는 범부의 시공(時空)이고, 깨달음의 영원은 욕망을 비우고 비워 냄으로써 이루어지는 진공(眞空)의 세계다. 그러니 집착이 공허로 바뀌고, 채움이 비움으로 바뀌는 일이야말로 무의자가 추구한 수행의 보람일 것이다.


시내에 이르러선
내 발을 씻고
산을 보면서는
내 눈 맑게 한다오.

한가하게 영욕을
꿈꾸지 않으니,
이밖에 다시
구할 것이 없어라.
 <유영봉 역>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에서 어부는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빨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겠다’고 했다. 말하자면 자신의 행동을 세상의 추이에 맞추겠다는 뜻일 것이다. 이에 비해 ‘시내에 이르러서는 내 발을 씻고, 산을 보면서는 내 눈 맑게 한다’는 무의자의 생각이야말로 세상을 떠난 곳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어부사>의 모티프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것이다. ‘한가하게 영욕을 꿈꾸지 않는’ 무의자이기 때문에, 이 시 속의 시내와 산은 세상 밖의 사물이요 공간이다. 말하자면 세속적인 영욕이나 소유로부터 떠나 ‘텅 빈’ 무욕의 삶을 영위하는 모습은 가득 채우려던 집착과 욕심의 곳간을 비워냄으로써 ‘집착해서는 안 된다’는 궁극의 깨달음을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3. 깨달음과 자유로움, 그리고 사물 이미지

 무의자의 입장에서 어렵지 않게 성취할 수 있었던 세속의 부귀와 영화를 물리치고 세상을 떠난 것은 그것들이 집착의 근원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그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워지고자 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그는 상당한 고민의 과정을 거쳐 ‘운수행각(雲水行脚)’의 길로 나선 것이다. 운수 즉 ‘행운유수(行雲流水)’란 흐르는 구름이나 물처럼 걸림 없이 다니면서 불성을 추구하는 선림(禪林)을 일컫는다.


 스님을 전송하며

출가하면
모름지기 자재(自在)해야 하거늘
몇 번이나
조사관(祖師關)을 깨쳤는가?

호젓하게
세상 밖을 노닐면서,
고결한 마음으로
속세를 비웃누나.

한 조각 구름에
몸뚱어리 쾌활하고,
구름 걷힌 달님에
마음은 맑고도 한가로워.

바루 하나에다
떨어진 한 벌 승복으로,
수없이 많은 산을
새처럼 날아 넘네.
  <유영봉 역>


 중의 입장에서 중을 말한 시다. 그 중이 무의자 자신은 아니로되 자신의 모습을 비춰 보인 거울이긴 했을 것이다. 첫 연은 중의 도력(道力/道歷)에 대한 의문이다. ‘출가’는 세속을 떠나는 일이다. 세속을 떠나면 반드시 자재(自在)해야 한다고 했다. ‘자재’란 속박이나 걸림 없이 마음대로인 상태를 말한다. 무엇엔가 속박되거나 걸림이 있다는 것은 아직도 세속적 욕망의 포로가 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아무리 수행을 해도 마음이 자유롭지 못한 것은 세상에 대한 집착이 강하기 때문이다.
 화자는 몇 번이나 ‘관(關)’을 깨쳤느냐고 묻는다. 수행의 정도나 진정성에 대한 깨우침일 것이다. 그러나 그 물음이 그 중에 대한 것이라기보다 오히려 자기 자신에 대한 것이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 관은 조사관(祖師關) 혹은 선관(禪關)이다. 조사는 불법을 창시한 석가모니, 조사관은 그 조사의 위(位)에 들어가는 관문이다. 선관은 선법의 관문이니,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 참선의 본의라면, 의미상 선관이나 조사관은 마찬가지인 셈이다. 말하자면 첫 연에서는 수행의 과정을 말한 셈이다.
 나머지 연들은 출가수행의 결과로 얻어진 무상(無上)의 즐거움이나 무욕의 가벼움을 노래한 부분이다. 방외(方外) 즉 세상 밖에 노닐면서 ‘고결한 마음으로 속세를 비웃는다’고 했다. 이것 또한 그 중에 대한 꾸지람이나 깨우침의 말이면서 스스로에 대한 그것들이기도 하다. 속세가 아무리 부정적인 공간이라 해도 진정 깨달은 자라면 그곳을 비웃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무의자의 상대는 어쩌면 법력(法歷)이 일천한 스님이었지도 모른다. 1연과 2연의 수행을 거쳐 도달할 수 있는, 자유로운 경지를 3연과 4연에서는 노래했다. 즉 세속적인 영욕으로부터의 초연함과 걸림 없는 자유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경지를 보여주기 위해 도입한 이미지가 구름, 달, 새 등이다. 하늘에 둥둥 떠가는 구름은 흐르는 물과 함께 ‘걸림 없는 자유’와 무상(無常)의 이미지로 쓰여 온 소재이며, 달은 원융무애(圓融無碍)의 불교 이념을 구현하는 이미지로 도입되었다. 더욱이 ‘구름 걷힌 달님’은 무명(無明)을 벗어난 지혜의 빛을 상징한다. 그것은 시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맑고도 한가로운’ 마음이다.
 새는 자유를 표상하는 이미지다. 높은 산을 자유자재로 날아 넘을 수 있기 때문에 새는 ‘걸림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새가 가볍고 걸림 없는 것은 현실적인 욕망에 집착하지 않기 때문이다. 새는 똬리를 틀고 앉아 한 곳에 집착하는 존재도, 욕망에 눈이 뒤집혀 한사코 쪼아대기만 하는 존재도 아니다. 그런 까닭에 무의자는 가볍게 땅을 박차고 날아올라 이곳저곳을 막힘없이 날아다니는 새에 ‘바루 하나에다 떨어진 한 벌 승복’으로 운수처럼 이곳저곳 막힘없이 떠도는 스님을 스스럼 없이 비유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이 시에서 길 떠나는 스님을 바라보며 느낀 점을 표현했지만, 따지고 보면 그것은 불도에 입문하여 진리를 찾아 나선 자신의 모습을 그린 것이기도 하고, 그렇게 되어야겠다는 이상이나 의지를 표출한 내용이기도 하다.
 조선조의 선명(善鳴)인 송강 정철도 이와 비슷한 분위기의 노래를 지어 부른 바 있다.

 
  물 아래 그림자 지니 다리 위에 중이 간다
  저 중아 게 있거라 너 가는 데 물어 보자
  막대로 흰 구름 가리키며 돌아 아니 보고 가노매라

 
운수처럼 흘러가는 중이라면, 어떤 물음에도 대꾸할 턱이 없다. 그 중은 어쩌면 묵언(默言) 수행 중이었을지도 모르나, 그렇지 않다 해도 부질없이 말을 나눌 필요까진 없다고 보았을 것이다. 여기서의 묵언은 초탈과 자유를 내포한다. 가는 곳을 물어보는 말에 막대로 흰 구름을 가리킨 행위는 부처와 가섭 사이에 오고간 ‘염화시중(拈華示衆)의 미소’ 같은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말을 건넨 속인이 그 뜻을 알 리는 없었을 테지만 말이다. 그 속인이 막대 끝을 보았는지 막대가 가리키는 흰 구름을 보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출세간의 중으로서는 그 나름의 의사 전달은 했다고 할 수 있다. 분위기로 보아 송강 정철의 이 노래와 부합하는 무의자의 시는 또 있다.

그림자를 마주하고

 
 못 가에
 홀로이 앉았다가,
 못 아래서
 우연히 중 하나를 만난다.

 묵묵히 웃으며
 서로를 바라보나니,
 그대 말 걸어도
 대답하지 않을 걸 나는 안다네.
                 <유영봉 역>

 
무의자 시에 그려지거나 감도는 것은 참선의 분위기다. 운수처럼 말없이 떠도는 중에게서 조용한 웃음으로 표출되는 ‘웅변’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것이 실제 중의 웃음이라기보다는 무의자 스스로 슬며시 드러내는 법열(法悅)의 웃음이라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소요곡(逍遙谷)

 대붕(大鵬)의 바람치는 날개는
 몇 만 리를 난다지만,
 굴뚝새의 숲속 둥지는
 나뭇가지 한 가지로 족하다네.

 길고 짧음 비록 다르나
 모두가 자적(自適)하노니,
 닳아빠진 지팡이와 헤진 장삼은
 응당 서로 어울리리.
      <유영봉 역>


 이 시에서 대붕과 굴뚝새를 대조시킨 것은 『장자』「소요유」편에서 붕새와 비둘기[鳩] 혹은 메추라기를 대조시킨 데서 나온 것이고, 그것은 안분(安分)하고 자적(自適)하려는 시인의 의도를 잘 나타내는 설정이기도 하다. 대붕이 비록 걸림 없는 기개와 초월적 위력을 지닌 존재이긴 하지만, 시인은 그것을 세속의 부귀영화를 거머쥔 영웅의 상징으로 받아들인 것 같다. 중요한 것은 양자가 규모나 배포에서 큰 차이를 보이면서도 모두 자적한다는 점이다. 아무런 속박도 받지 않고 편안히 즐기는 것이 자적이다. 굴뚝새에게 숲속의 나무둥지 하나면 충분하듯 자신은 닳아빠진 지팡이 하나와 헤진 장삼 한 벌이면 자적할 수 있다는 뜻이다.
 대붕과 굴뚝새의 이미지를 이용, 세속의 부귀영화에 대한 탐착을 끊고 자유로워지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그런 의지는 깨달음을 전제로 한다. 그런 부귀영화의 헛됨을 깨닫고 스스로의 분수에 맞추어 자적하는 삶을 추구한 무의자의 인생관이 이 작품에는 진하게 배어있다.


 한가위에 달을 보다가

밝은 구슬, 흰 구슬이
인간 세상 있다면,
세도가가 빼앗고 권력가가 다투어
한가롭게 버려두질 않으리라.

물에 비친 저 달 만약
세상의 보배가 되었다면,
어찌 궁벽한 산골까지
비추도록 두었겠나?
  <유영봉 역>

 
달은 원융무애한 불교정신을 상징하는 사물이다. 이 작품에서는 달을 보는 세속의 관점과 산중의 관점을 대비시켜 읊고 있지만, 달에 대한 묘사가 주된  목적은 아닐 것이다. 세도가와 권력가는 세속의 부귀영화를 움켜 쥔 사람들로서 끝없는 탐욕에 집착하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무의자 자신을 포함하여 출세간의 수도자들은 세간의 영욕에 대한 집착을 단진(斷盡)한 채 산중에 숨어 지내는 자들이다. 이 작품에는 ‘세간 : 산중’, ‘탐욕 : 무욕’의 상반되는 요소들이 대립되어 있는데, 그런 발상 자체가 세간 영욕의 헛됨에 대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출가하여 불문에 귀의한 무의자는 떠나온 세속에 미련을 갖고 있지 않음을 스스로 다짐하려고 했던 것일까. 때마침 떠오른 달을 사이에 두고 자신이 몸담고 있는 ‘궁벽한 산골’과 세속을 대비시켰다. 그 대비를 통해 세속적 욕망의 덧없음과 출세간의 긍지를 강조하는 효과를 거두고자 한 것이나 아닐까.


4. 사람냄새 스며든 서정적 조화

 무의자의 시에서는 노선사(老禪師)의 죽비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용맹정진(勇猛精進)을 채근하는 무거운 말투도 들려오지 않는다. 작은 시내가 돌돌돌 소리 내며 흐르듯, 하얀 뭉게구름이 뉘엿뉘엿 흘러가듯 솜털처럼 부드러운 음성만이 귓전을 간질여줄 뿐이다. 무의자가 시 말고도「죽존자전(竹尊者傳)」과 「빙도자전(氷道者傳)」 등 가전 작품을 남긴 것도 그의 그런 시풍과 무관치 않다.
 가전은 사물을 의인화 시켜 전기(傳記)의 형태로 서술한 문학인만큼 우언적(寓言的)이고 가공적(架空的)인 특질을 갖고 있다. 말하자면 강하고 단단한 직설보다는 부드럽게 에둘러 풍자하려는 작의가 짙은 문학 형태라는 것이다. 또한 그의 시들에는 선적인 관조를 바탕으로 조용한 깨달음이 형상화 되어 있기도 하다. 그런 만큼 그의 서정은 따스하고 인간적이다.

  
  봄을 아쉬워하며

 봄이 장차 저무는 걸
 남 몰래 슬피 여겨,
 조그만 꽃밭에서
 시 한 수를 읊노라.

 잎사귀에 바람 부니
 놀란 듯 푸르름이 날리고,
 꽃잎에 비 내리니
 나풀대며 붉은 빛이 떨어진다.

 나비란 놈은
 붉은 꽃술 물고 가고,
 꾀꼬리란 놈은
 푸른 버들눈을 맞아 온다.

 향긋하니 보드랍고
 따스한 봄날 일,
 새순들은 솔잎과 댓잎처럼
 차고도 담박한 모습일세.
       <유영봉 역>

 
도력 높은 선사의 작품이라 할 수 없을 만큼 섬세하면서도 잔잔한 서정이 묻어나는 작품이다. 세속의 영욕에 매여 사는 필부필부들 가운데 누군들 가는 봄을 아쉬워하지 않겠는가. 짧고 덧없는 인생이 지는 봄꽃과 함께 늙어간다고 생각하면 슬프지 않은 선남선녀가 없으리라. 그래서 무의자도 봄이 저물어 가는 걸 보며 ‘남몰래 슬피’ 여긴 것이다. 그 남 모르는 슬픔을 시로 엮어 놓은 것이다. 2, 3, 4연에는 관찰의 세밀함과 탁월함이 드러나 있다. 푸른  빛과 붉은 빛이 어울리는 색깔의 조화 또한 현란하고, 시인의 감정이 이입(移入)된 나비와 꾀꼬리, 새순과 솔잎, 댓잎 등 미세한 묘사는 가히 압권이라 할 만하다. 선사임을 내세워 선취(禪趣)를 드러내고자 하지 않았고, 덧없는 세상의 이치를 깨달은 자만이 가질 수 있는 근엄함을 내비치고자 하지 않았다. 그저 세상 사람들 모두 가질만한 잔잔한 서정을 꾸밈없이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선가(禪家)의 정맥인 지눌의 사상을 조술(祖述)했을 뿐 아니라, 위로는 왕으로부터 갓 출가하는 자들까지 가까이에서 법문을 듣고 싶어 했던 고승이 바로 무의자였다. 당시까지 이어지고 있던 불교의 누습(陋習)을 타파하고 개혁하려 했던 점도 무의자가 지니고 있던 지도적 비전의 한 측면이었다. 그런 무의자에게서 계곡을 쩌렁쩌렁 울려대는 사자후(獅子吼) 대신 도란도란 들려주는 이웃집 아저씨의 다정한 말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은 후학들이 만나게 된 행운이다. 그의 시작품들 속에 사람냄새가 스며있다고 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Posted by kicho
자료 - 전공자료2007. 4. 21. 08:01
 

戟巖            극암              창바위

北嶺巉巉石  북령참참석    북쪽 산마루 우뚝솟은 저 바위를

邦人號戟巖  방인호극암    사람들은 모두 창바위라 부른다네.

逈樁乘鶴晋  형장승학진     까마득 멀어 선학타고 오르려하나

高刺上天咸  고자상천함    가파으게 높아 하늘 찌를듯 하구나.

揉柄電爲火  유병전위화    자루꽂아 휘두르며 번갯불 번뜩이고

洗鎽霜是鹽  세봉상시염     창끝 씻으면 서릿발 같이 예리하다오.

何當作兵器  하당작병기    어느때 이를 병기로 만들어서

敗楚亦亡凡  패초역망범    교활한 오랑캐를 남김없이 섬멸할까   해석: 숭실대교수 조규익


상기의 해석과 다소 차이가 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세재 문학비

 

 북쪽 산마루 높이 깎아지른 암석을

 옆사람이 창바위라 부르는데

 아득히 말뚝같이 뻗질러 학을 타고 가야겠고

 높이 솟아 하늘을 찌를 듯하 네

 자루를 휘면 번개로 불을 붙이고

 칼끝의 서리 씻으면 소금이겠는데

 어찌 반드 시 병기가 되게 하여

 초나라를 패멸하 고 또 범을 망치는가.


출처  http://www.andongkwon.or.kr/

       

3행의 晋:학을 탄 왕자 진-주나라 영왕의 태자로, 피리를 잘 불렀으며 신선이되어 학을타고 하늘로 올랐다 한다.

4행의 咸:중국 황제시대의 무당인 계함-季咸을 말함

8행의 凡:옛 주공-周公의 아들을 봉했던 하남성-河南省에 있던 나라.



상기 극암을 읽고 송나라 사람이 탄복을 하여

"지금 이사람이 살아 있는가? 지금 무슨 관직에 이러렀는가?

송나라에 이와같은 시를 짓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관직을 준다.

이 詩는 여한-餘閑에 지은 제영-題詠이 아니고 거의 남이 어려운 운자-韻字를 주어 -즉석에서- 짓게 강작한것일 것이다."

실지로 이시는 고의로 어려운 운자를 하여  즉석에서 지었다고 한다.

출처:대동운부군옥 8 - 한국학술진흥재단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18.



오 세재-吳 世才 (인종 11년.1133) ~ (명종 17년.1187).

            고려 중기 명종 때의 학자·문인. 본관은 고창(高敞). 자는 덕전(德全).



한림-翰林 학린-學麟의 손자이며, 세공-世功, 세문-世文의 아우로 문장가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무신란이후 집안이 몰락하여 궁색하게 되었다. 의종(1151)에 진사에 오르고,

명종12년(1182) 때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성격이 소루-疎漏, 준철-俊哲하여 검속-檢束함이 적어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였고,

친우 이인로-李仁老가 세번이나 추천하였으나 끝내 벼슬에 오르지 못하였다.

그는 당시 18세였던 이규보-李奎報에게 53세의 나이로 망년지교-忘年之交를 허락하였고,

이른바 해좌칠현-海左七賢: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이인로 등과 시주-詩酒로 즐겼다.

만년에는 외할아버지의 출생지인 동경-東京:지금의 慶州-으로 제고사-祭告使의 축사-祝史가 되어

역마를 타고 가 이내 그곳에 살면서 서울로 돌아오지 않았고, 마침내 가난에 시달리다 죽고 말았다.



<주역>을 암송하고 다른 육경 서적을 박통할 정도로 유학 경전에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작품도 당시에 상당한 평가를 받았으니, 이규보는 그의 시를 '준매경준-遵邁勁俊'이라 하였고,

최자(崔滋)는 ‘풍섬혼후(豊贍渾厚)’라고 평한 바 있다. 또한 글씨에도 뛰어났으니,

경기체가 <한림별곡 翰林別曲> 제3장에서 말한 바,

"오생,유생 양선생 위 주필경 하여-吳生劉生 兩先生 偉 走筆景 何如-"에서 오생은 바로 오세재를 가리킨다.

결론적으로 그는 명종시대 문신수난기를 통하여 현실에 타협 내지는 조화하지 못하고



문학과 시주에 탐닉하므로써 자신의 고민을 해소하려 한 것이다.

그러한 그에게 이규보는 나이를 떠난 진정한 벗이었으며,

이규보 역시 그의 재주를 아끼고 삶을 애석히 여겨 <오선생덕전애사 吳先生德全哀詞>를 지어 추모하였다.

여기에서 이규보는 그를 복양선생이라 부르고,

친구 아닌 문하생의 입장에서 사사로이 현정선생-玄靜先生이라 시호하여 영전에 바쳤다.



현재 전하는 작품으로는 <동문선-東文選>에 오언율시 2편, 칠언율시 1편이 있다.

파한집-파한집, 보한집-보한집, 고려사, 동경지-東京誌등에

극암-戟巖, 병목-病目, 혜정시-惠政詩, 풍의종미행시-諷毅宗微行詩, 자서-自敍,

차운김무적견증-次韻金無迹見贈등 일부가 전해진다.

시호는 현정-玄靜, 호는 복양-濮陽.



참고문헌 

東國李相國集, 高麗史. <朴魯春〉 출처:엠파스

2001.10

한국문학비건립동호회 세우고 숭실대교수 문학박사 조규익 짓고 한성대  외래교수 농산 정충락 쓰다.

경북 경주시 황성동 황성공원에 있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

노래중에 2절 죽림칠현(임춘. 오세재. 이인로. 조통. 황보황. 이담지. 함순)에 나온다.


출처-블로그  항구가 사는 이야기(http://blog.empas.com/pyo7803/12045457)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