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3.07.18 민족혼 지켜온 고려인 예술단
  2. 2007.05.20 노학자와 서귀포의 밤
출간소식2013. 7. 18. 15:10

 

 
<2007년 카자흐스탄 고려극장 창립 75주년 기념공연 <춘향전>-연합뉴스 2013. 7. 18.>>


<최근 카자흐스탄 고려극장에서 공연된 <춘향전>의 한 장면>


<고려극장의 <심청전> 포스터>
     <소련군 장교 구락부 무대에 출연한 돌린스크시 조선 소인예술단 단원 신동식, 김진화, 노태석, 김해인, 윤상순 등 (1952년 10월 17일 돌린스크시)>


<한인-러시아인 합동예술단> 


<고려극장 창고에 가득 쌓인 연극대본들>

 

 

 

 

조규익 교수, '…소인예술단과 전문예술단의 한글문학' 출간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내년이면 이주 150년을 맞는 고려인의 역사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조선 후기 빈곤과 기아를 피해 연해주 등지로 내몰렸고 1937년 스탈린의 강제이주 정책으로 다시 중앙아시아로 쫓겨갔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이곳저곳으로 돌아다니며 끊임없이 먹고 살기의 고단함과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이들의 애환을 조금이나마 달래주고 실낱같은 민족정신의 명맥을 이어가게 한 것은 바로 예술이었다.

조규익 숭실대 교수가 펴낸 'CIS 지역 고려인 사회 소인예술단과 전문예술단의 한글문학'(태학사)은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에 사는 고려인들이 향유했던 공연예술의 텍스트를 통해 이들의 문예미학을 살펴본 책이다.

고려인 사회 대중 공연예술의 두 축은 집단농장과 같은 생산현장이나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활동하던 '소인예술단'과 정부가 관장하던 '전문예술단'이었다.

아마추어 예술집단인 소인예술단은 주로 집단농장에서 증산(增産)을 독려하기 위해 활용됐다. 후렴구는 대부분 공산주의 체제 선전구호를 방불케 할 정도였다.

그러나 소인예술단에서 활동하던 고려인들은 사회주의 사상을 내용으로 하는 노랫말에 민요를 비롯한 우리 전통노래들의 음곡을 붙여 부르는 방식 등으로 민족 정서의 끈을 놓지 않았다.

대표적인 전문예술단인 고려극장은 1932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설립된 후 카자흐스탄으로 자리를 옮겨 지금까지 200편이 넘는 연극을 무대에 올렸다.

구소련의 폭력적인 동화정책 속에 잊혀가는 모국어를 무력하게 바라봐야 했던 지식인과 예술인들은 고려극장의 연극을 통해 박탈감을 보상받으려 했다.

조 교수는 "고된 생산의 현장에서 괴로움을 달래준 동시에 민족적 동질감을 확인시켜준 무명 예술인 집단이 소인예술단이었고 탁월한 예술적 재능으로 민족의 애환을 대신 표출함으로써 고려인들을 정서적으로 결집시킨 것이 전문예술단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심부, 즉 고국에 다가갈 날만 기다리면 변방, 즉 구소련 지역에서 열심히 자신들의 민족예술을 가꾸어오던 고려인 예술인들은 진정한 민족주의자"라고 평가했다.

 

mihy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2013/07/18 10:43 송고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07. 5. 20. 00:20
 

노학자와 서귀포의 밤


                                                                         조규익



 제주 민속 혹은 문학기행에 나선 숭실 국문인 135명. 에머럴드빛 바닷물 넘실대는 서귀포 해안에 올려 지은 제주대학 연수원은 고요하고 청수(淸秀)했다. 쉼 없이 울려대는 파도소리와 솔잎을 비벼대는 바람소리만 빼곤 적막 그 자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강의중인 현용준 선생

 우리가 제주에 온 것은 공부를 위해서였다. 첫날 저녁 제주 민속연구의 대부이신 현용준 선생을 모셔 이른바 ‘제주학’강의를 들었다. 금년 76세의 무거운 연세와 썩 좋아 보이지 않는 건강에도 육지에서 찾아온 우리를 위해 서귀포까지 한 시간 여의 거리를 달려 오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주대학 연수원 뒷편 해안의 바위들

 형형하신 눈빛이 예사롭지 않은 선생은 자리에 앉자마자 제주의 풍토, 제주인의 삶, 그리고 민속을 천천히 말씀하셨다. 우리는 이미 제주시에서 탐라국의 단초를 보여주는 삼성혈(三姓穴)을 보았고, 삼사석(三射石)도 만났다. 어느 씨족이나 민족을 막론하고 조상들의 출자(出自)는 신성하고 경이로운 법. 제주라고 예외일 수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성혈 유적의 정문

 선생의 말씀대로 본토의 시조들이 대부분 하늘에서 내려온 반면, 삼성의 시조들은 땅에서 용출(湧出)된 점이 다를 뿐이었다. 땅에서 솟은 세 젊은이가 벽랑국에서 건너온 세 처녀와 결혼하여 탐라국을 건설했다는 삼성신화. 그것은 제주도에 편재해 있는 당신화(堂神話)의 모티프와 연결되어 있다고 노학자는 강조하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살이 박힌 세 개의 돌덩이를 보관하고 있는 삼사석지

선생은 ‘안거리(안채)와 밖거리(바깥채)’로 나뉘어 있는 제주 가옥의 이중구조와 혼성(混姓)의 마을구조, ‘이레잔치’로 표현되는 혼속(婚俗), ‘해녀 노 젓는 소리’를 비롯한 민요 등을 중심으로 제주 민속의 특징과 제주의 역사, 그리고 제주인들의 의식을 하나하나 설명해 나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주 보는 두거리 집(제주 민속촌)

 두 시간 가까운 강의 말미에 학생들로부터 질문을 받은 노학자는 하나의 화제를 갖고도 많은 말씀을 이어나가셨다. 제주에서 태어나 제주와 함께 자라고, 제주를 연구해온 노학자의 저력이 빛나는 순간이었다.

           ***

제주의 ‘맛집’들을 탐사하여 신문에 소개해온 허남춘 교수(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장)의 안내로 찾아간 ‘쌍둥이식당’(서귀포시 서귀동 274-3/064-762-0478). 앞 바다의 섶섬을 바라보는 그곳에 제주의 미각은 꿈틀대며 살아 있었다. 음식 상 앞에서도 현선생은 당신의 학구시절을 회상하셨고, 우리는 말씀들의 갈피마다 숨어있는 노학자의 학계에 대한 ‘노파심’을 읽을 수 있었다. 세대를 초월한 학자들의 정담은 끝없이 이어지고, 그렇게 서귀포의 밤은 깊어가고 있었다.

                                                                      <2007. 5. 16.>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