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20. 7. 5. 23:01

백규서옥의 옥호[은사 연민 이가원 선생님의 유작/연민체]

 

 

                                                                                                                     조규익

2020. 6. 30. 무성산 끝자락 조용한 곳에 그동안 내 환상 속에만 존재해 오던 백규서옥을 드디어 실물로 완공했다. 만 5개월 동안의 큰 역사(役事)였다.^^ 50여 년 전 대여섯 살 무렵, 당시 젊은 부모님께서 나무와 흙으로 지으시던 고향집의 추억이 아련히 남아 있는데, 마음속의 그 그림 위에 '내 집'을 덧 지은 것이다.

 

무성산의 용맥(龍脈)이 흘러내려 혈(穴)을 맺은 곳. 그 안온한 곳을 내 최후의 은거처(隱居處)로 삼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간 제법 많은 곳들을 떠돌아다녔고, 정처 없이 그려온 노마드(nomad)의 궤적 속에 내 알량한 내면은 무거운 피로감으로 절어 온 게 사실이다. 마무리해야 할 공부들은 아직도 수두룩한데 세상은 내 뜻처럼 움직여 주지 않고, 내 사고방식이나 삶의 양식은 더 이상 세상의 추이(推移)와 맞지도 않음을 절감한다. 그럴 경우 굴원(屈原)이 그려낸 <어부사(漁父辭)> 속의 어부처럼 방향을 틀어 세상에 맞추거나 조화를 가장한 아부라도 떨어야 마땅한 일이나, 그렇게 하고서야 내 성격에 어찌 단하루인들 맘 편히 살 수 있겠는가. 내가 핍박했고 나를 핍박해온 사회에서 내 불만과 불행의 원인을 찾으려는 게 아니라, 안으로 돌이켜 나를 반성하는 데서 내 자아와 본래 면목을 찾으려는 것이니, 저 석문(釋門)의 이른바 ‘회광반조(廻光返照)’ 정신과 다름이 없을 것이다. 내 자아를 다시 찾기 위해 지금 이 자리에서 허둥대지 않고, 이미 어긋난 세상과 나를 일치시키기 위해 궤변과 아부를 농하려 하지 않는 것도 그 때문이다. 애당초의 출발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그런 생각으로 집을 짓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올해 그 거사에 착수할 수 있었던 것은 학교로부터 받은 마지막 연구년 덕이었다. 그러나 일을 시작한지 몇 발짝 만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를 강타했다. 하루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집을 짓는 일’이 난감했고 남 보기에도 미안했지만, 내친걸음을 돌이킬 수 없었던 것은 ‘원래의 나로 돌아가는 일’은 대안 없는 선택지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나를 철석같이 믿고 있는 가족들을 태운 채 달리던 내 차의 핸들을 급히 꺾을 수 없었기 때문이고, 어려운 시기 잠시라도 내게 와서 자신의 기술을 제공하겠다고 나선 장인(匠人)들의 모습이 너무 안타깝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공사 기간 동안 참으로 성실하고 실력 출중하며 성격 좋은 분들을 많이 만났다. 담건축사사무소 남궁 담 대표, 임전수 감리사, 김병호 대목장(大木匠), 천명선・이종식・양승만・김수남・김창례 목장(木匠), 이재필 전기장(電氣匠), 고현용 조적장(組積匠), 상량문을 써 주신 서예가 우공(愚工) 이일권 선생, 나를 대신하여 모든 관리업무를 총괄해주신 유수근 사장 등 각 분야의 뛰어난 전문가들과, 레미콘・타일・벽돌・기와・철근・창호・각종 장식 돌・각종 건재・중장비・미장・설비・용접・난방・목공・페인트 등을 제공한 거래처와 도움을 아끼지 않으신 전문가들의 수를 헤아릴 수 없으며, 단계마다 노역을 제공해주신 분들의 이름도 일일이 열거할 수 없다. 그 뿐인가.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봇대를 세우고 전선을 이어주신 전력회사 직원들과 엔지니어들, 인력들의 맛있는 점심을 늘 시간에 맞게 제공함으로써 일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해주신 부흥식당 정연희 사장도 잊을 수 없다.

 

백규서옥의 기념 동판

 

백규서옥을 지으며, ‘집을 짓는 일’이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영혼을 일깨우는 종합예술임을 알게 되었다. 건축주와 장인들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재료들에 숨결을 불어넣고, 그 숨결이 음표로 바뀌어 생명을 노래하고 춤추는 마술임을 알게 되었다. ‘집을 짓는다’는 건 자기만의 세계와 자아의 존립근거를 마련하는 일이다. 집이 없으면 정주(定住)할 수 없고, 정주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들과 공존할 수 없으며, 자신의 변함없는 존재를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앞에서 말한 대로 그동안 백규서옥은 내 환상 속에만 존재해 왔다. 은사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선생님께서 내려주신 이 옥호(屋號)의 이면에는 이상을 품고 노력하여 그것을 현실 속에서 구현해보라는 지엄한 명령이 들어있다. 시류(時流)에 영합하여 세상 사람들과 이해를 다투지 말고, 자신의 흠결을 갈아내기 위해 수양할 것이며, 항상 근원을 추탐(推探)하여 내 존재의 본질을 꿰뚫어보라는 것이 그 명령의 핵심이다. 그러기 위해서라도 조용한 곳에서 주경야독(晝耕夜讀)을 통해 자아의 본래면목을 깨달을 필요가 있었다. 세상의 극심한 혼란 속에서 건축을 강행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이것이 ‘무성산 백규서옥 건축’의 정신적 바탕이다. 바야흐로 그 생각을 실행에 옮길 때가 되었다.

 

정면에서 바라본 백규서옥

 

백규서옥 문앞에서 백규

 

 

백규서옥 기념동판 앞에서 포즈를 취한 관계자들[왼쪽부터 임미숙・임효수・대목장 김병호・백규・총관리 유수근・목장 이종식・전기장 이재필・목장 김창례. 중앙에 유 사장의 상추도 함께 했다.]

 

 

 

Posted by kicho
알림2012. 7. 23. 18:09

 

2012 제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취지문

살아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The Living Ocean and Coast)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를 기념하는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를 개최한다. 2009년 제1회 목포대회를 시작으로, 2011년 삼척시와 울릉도 일대에서 개최된 제2회 대회에 이어 세 번째 여수대회를 추진한다. 두 차례의 대회 동안 250여명의 해양문화학자들이 모여 도래하는 신해양 시대를 화두 삼아 학술난장을 펼쳤다. 제2회 삼척대회는 이사부축제와 연계하여 이사부와 장보고를 재조명하면서 독도 문제에 대한 법적, 문화적, 국제 관계적 이슈를 한반도 주변 섬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환기시키기도 했다.

이제 2012년 제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에서는 “살아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이라는 여수세계박람회 슬로건을 전체 주제 삼아 전체회의, 분과회의 및 융합토론, 공동답사를 진행하게 된다. 우리는 이 대회를 통해 해양문화의 중요성과 해양강국의 위상을 다시 점검해보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기존의 해양문화 분야 외에 해양자원, 기후변화와 대응, 연안보존과 개발의 이슈, 해양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개발, 해양환경의 보전, 해양산업의 발전, 해양과학기술 및 신재생에너지 등의 테마들을 통해 왜 이 시대 우리가 총체성으로서의 해양문화를 말해야 하는지 그 해답을 추적하게 될 것이다. 해양이 그리고 해양문화가 인류의 미래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는 참가자 전원이 발표와 토론에 참여하는 열린 학술대회(Open Forum)이다. 기왕의 대회에 참여하였던 학자들은 물론 그 외의 학자들의 참여도 환영한다. 이 시대 해양문화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그 학술적 난장을 공유하고자 하는 모든 학자들이 이 대회의 주인공이다. 우리는 이미 도래한 신해양시대의 문턱에 서있다. 여기서 논의되는 다양한 주제들은 필경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으로 승화될 것이다. 전체 주제는 여수세계박람회 슬로건으로 정해져 있지만, 분과 주제는 자유다. 도서해양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의제면 족할 뿐 발표주제 설정의 자유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회준비위는 다만 자리를 깔 뿐이다. 세 번째 맞는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에 참여하여 도서해양 중심의 학술난장을 이끌어주시길 소망한다.

 

제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조직위원회

 

 

<행사 내용>

전체회의

 8월 2일(목) 13:00~18:30/전남대 산학연구관 국제학술회의장

대주제 : “살아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

 

기조발표 : 동북아 바다의 갈등과 화해

발표 : 정재정(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주제발표 1 : ‘도서해양’에 대한 인식의 굴곡과 변천

발표 : 강봉룡(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장), 토론 : 하우봉(전북대 교수)

주제발표 2 : 해양민속자원의 콘텐츠 현황과 과제

발표 : 정연학(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토론 : 이창식(세명대 교수)

주제발표 3 : 도서해양관광의 제약 요인과 발전 방안

발표 : 김성귀(KMI 선임연구위원), 토론 : 양길승(호남대 관광경영학과 교수)

주제발표 4 : 해안 서식지 소실에 따른 조개 자원과 음식문화의 위기

발표 : 제종길(도시와자연연구소장), 토론 : 홍선기(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주제발표 5 : 수산자원과 음식

발표 : 신종암(전남대 교수), 토론 : 임여호(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장)

주제발표 6 : 섬의 법적 지위와 우리나라의 도서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발표 : 박성욱(한국해양연구원 해양기술부장), 토론 : 신순호(목포대 교수)

종합토론 좌장 : 이영일(여수지역사회연구소장)

  

분과회의

8월 3일(금) 09:00~15:00/전남대 산학연구관 세미나실, 제3공학관 강의실

 

해양사 1 : 해양문화로 본 문명⋅고대⋅고고학 / 좌장 : 최성락(목포대), 발표 13명

해양사 2 : 중세의 해양사 / 좌장 : 윤용혁(공주대), 발표 14명

해양사 3 : 근대 전환기 해양사 / 좌장 : 김병호(여수지역사회연구소), 발표 14명

해양사 4 : 20세기 이후의 해양사 / 좌장 : 이근우(부경대), 발표 14명

해양민속 1 : 해신과 해양신앙 / 좌장 : 이용범(안동대), 발표 11명

해양민속 2 : 도서해양의 의례, 놀이, 예능 / 좌장 : 이경엽(목포대), 발표 15명

해양민속 3 : 도서해양의 구비전승과 민속문화 / 좌장 : 나경수(전남대), 발표 11명

해양사회⋅인류 : 도서해양의 생업과 제도, 기술 / 좌장 : 이창언(영남대), 발표 13명

해양문학 : 도서해양의 삶과 문학 / 좌장 : 조규익(숭실대), 발표 11명

해양생태⋅정책 : 도서해양의 지속가능성과 정책 / 좌장 : 오장근(국립공원), 발표 15명

해양관광⋅문화콘텐츠 : 해양의 축제, 관광, 콘텐츠,

레저 좌장 : 유철인(제주대), 발표 15명

특별분과 : 여수의 섬과 바다 / 좌장 : 성낙준(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여수세계박람회 답사

8월 3일(금) 15:00~18:30

여수 금오도 답사

8월 4일(토) 08:30~15:00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