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7. 3. 20. 08:17

어리석은 대한민국 외교부

 

 

 

강대국들 사이에 끼여 굴욕을 당해 온 역사가 참으로 길다.

21세기 초반에 들어와서도 상황이 호전되기는커녕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이른바 정치를 한다는 자들의 전략 없음, 소신 없음, 센스 없음때문이다.

대통령이란 자가 뻘짓을 하다가 쫓겨나 국가를 누란(累卵)의 위기에 몰아넣은 지 몇 달.

그 공백을 장관과 관료들이라도 메워가며 급한 불은 꺼야 할 것 아닌가.

 

최근 미국의 국무장관이 다녀갔다.

한탄스러운 일이지만, 미국과 중국만큼 우리 생사문제의 키를 쥐고 있는 강대국이 있는가.

그리고 미 국무부 만큼 우리 이해관계의 키를 쥐고 있는 부서가 있는가.

 

그 장관이 와서 우리의 정부 요인들과 첫 대면을 했는데, 공식적인 회담만 하고 만찬을 하지 않았다는 보도가 있었다. 더욱 가관인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미국의 장관이 거절했다하고, 그 쪽에서는 한국에서 제의조차 없었다고 밝힌 점이다. 둘 다 맞기도 하고, 둘 다 틀리기도 할 것이다. 아마 우리 쪽에서는 슬쩍 지나가는 말로 저녁 한 번 하실래요?”라는 제의 겸 인사치레의 말을 건넸을 것이고, 그것을 만찬 제의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미국 쪽에서는 그것을 공식 의전절차 아닌 가벼운 인사치레 정도로 여겼을 것이다.

 

참으로 우려스런 일이 이어서 벌어졌다. 엊그제 미 국무장관은 일본은 가장 중요한 동맹국이고, 한국은 중요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한다. 미국과 유럽인들이 일본을 중시하고 좋아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나 같은 민초도 느껴서 알고 있는 일이다. 그러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그들 장관의 입으로 이런 말을 내뱉게 해야 하는가? 그들 마음속으로야 무슨 생각을 하든 나로서는 알 수도 없고, 알고 싶지도 않다. 그러나 그런 내심이 공식적인 멘트로 나온 원인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다. 보라, 지금 벌어지고 있는 '북한의 핵 장난이 우리로서는 초미(焦眉)의 급한 불 아닌가.

 

일본에서 잘 대접 받았으나, 한국에서는 제의조차 없었다는 그 저녁 한 끼 때문에, 틸러슨 장관의 그 말이 나왔으리라 믿고 싶진 않다. 그러나 세상사 작으면 작은 대로, 크면 큰 대로 모든 일은 사람의 기분에서 출발한다는 것이 그동안의 내 경험이다. 저녁 한 끼 대접하는 것이 무에 그리 어렵더란 말이냐? 상대방이 예의상 사양한다 하여 그럼, 잘 됐네. 돈 굳었네!’라고 쾌재를 부르며 물러섰더란 말이냐? 운동장만큼 큰 회담 테이블에서 핑퐁처럼 주고받는 말들은 그야말로 외교적 언사들일 뿐이다. ‘진짜 협상은 밥상머리에서 이루어진다는 상식 만 외교부 당국자들이 알고 있었어도 이런 바보 같은 짓은 저지르지 않았으리라. 그들은 대통령이 없다고 자신들의 일을 그렇게 대충대충 해치운 것일까.

 

외교부 당국자들이여! 1950110일 미 국무 장관 애치슨이 무슨 짓을 했는지 알고나 있는가.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이 알래스카-일본-오키나와-필리핀 선임을 대외적으로 천명해버린 것이다. 이른바 애치슨 라인’. 북한이 오판하여 625를 일으킨 결정적 계기였다. 한국이 미국의 태평양 방위권에서 제외되었으니, 안심하고 침공한 것이다.

 

그 애치슨과 지금의 틸러슨이 무슨 차이가 있는가. 똑 같은 미국 국무장관이고 똑 같이 일본을 좋아하되, 한국에 대해서는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의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다. 그저 밥 한 그릇 함께 먹는 것이 세계사를 논하는데 무슨 문제가 있느냐고 반문하려는가? 지금의 한국이 가장 중요한 동맹아닌 중요한 파트너란 말을 잘 해석해 보라. 만약 그들이 선택의 기로에 선다면, ‘버릴 수 있는 대상으로 추락할 수도 있다는 속뜻이 숨어 있음을 모른다면, 외교부 당국자들은 당장 옷을 벗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찔리는 바는 있었는지, 외교부에서는 의미 부여할 내용 아냐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한다. 가관이다.

 

큰 불은 작은 불씨에서 시작되고, 제방의 붕괴는 실낱같은 누수에서 시작되는 법이다. 미국 새 행정부의 국무장관이 중요한 사명을 갖고 동북아를 순방하는데, 우리 국익을 지키기 위한 밥상머리 협상조차 성사시키지 못한 외교부 장관은 당장 물러나야 한다. 그러지 않아도 쫓겨난 대통령의 가장 큰 오점이 인사의 난맥이었는데, 외교부에서 그 실체를 확인하는 순간이다.

 

제발, 정신들 좀 바짝 차려 달라.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4. 28. 10:37

 

 

 


제이슨 가족이 살고 있는 대학 아파트[Morrison]

 

 


제이슨 부부와 함께 저녁 식사 중에[Freddy Paul's에서]

 

 


식사 후 제이슨 가족과 함께

 

 


제이슨 집을 방문하여 그의 아들 그레이선[Grayson]과 함깨


 

 

 

탁월한 젊은 영어 교육자, 제이슨 컬프(Jason Culp)

 

 

 

2013827일 저녁. 이미 어둑발이 내리기 시작한 저녁 일곱 시쯤 숙소인 대학 아파트 윌리엄스[Williams]’에 도착했다. 평화로운 초원 위에 조용히 앉아 있는, 그림 같은 아파트였다. 아파트 관리소 FRC[Family Resources Center]의 사무실을 찾아가니 훤칠한 훈남한 사람이 친절하게 우리를 안내했다. 나중에 그가 우리 아파트의 위층에 사는 OSU 대학원생 제이슨임을 알게 되었다. 그는 초등학교 교사인 아내와 함께 그 아파트에 살며 FRC에서 파트 타임으로 일하고 있었다.

 

제이슨과의 인터뷰



 

우리는 종종 그를 만났다. 아파트에 문제가 생겨도, 우편물이나 택배 수령에 문제가 있어도, 우리는 그를 불렀다. 학교에서도 내 연구실에서도 나는 그와 자주 만나 스스럼없이 대화를 나누는 사이가 되었다. 실제 나이를 가늠할 수 없는 게 미국인들인데,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입장에서 교제할 수 있는 상대가 미국인들이기도 했다. 그와 친구로 만나면서 나는 자연스럽게 한국문화와 한국인들의 삶을 말해주었고, 그는 그간 우리가 모르고 있던 남부 미국인들의 삶과 의식(意識)을 설명해주었다.

 

그와 만나는 과정에서 그가 TESOL[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외국어 사용자들을 위한 영어 교육]을 전공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의 영어가 매우 명료하면서도 정확하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한국 사람들이라고 모두 표준 한국말을 명료하고 정확하게구사하지는 못하듯, 미국 사람들이라고 모두 표준 영어를 구사하지는 못한다는 사실을 나는 이미 알고 있었다. 영어만으로 분류할 경우 미국에서 만난 미국인들은 대충 네 부류로 나뉘었다. 짤막하면서도 느릿느릿한 영어로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 주는 어른들, 진한 사투리 억양으로 상대방을 갸웃거리게 만드는 사람들, 입에 오토바이 엔진을 단 듯 숨넘어가게 지껄여대는 학생들과 젊은이들, 제이슨처럼 교과서적인 영어로 호감을 주는 소수의 지식인들. 가끔 방송에서 목격하는 오바마 대통령, 전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 현 백악관 대변인과 미 국무성 대변인 등의 대중 스피치를 통해 미국 지도자들이나 상류층의 덕목 가운데 언어의 명료성과 모범성이 큰 자리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제이슨에게서 그런 스피치의 전형을 확인하게 된 것이었다.

 

지금 한국에는 많은 원어민 영어교사들이 활약하고 있다. 모두 훌륭한 자질을 갖춘 사람들이지만, 각기 다른 그들의 특징과 개성을 뛰어 넘는 표준성과 모범성을 제이슨에게서 발견했다. 흡사 입술과 내면에 부드러운 모터(motor)를 달아놓은 듯, 그에게선 늘 명료하고 기분 좋은 영어가 솔솔 흘러나오는 것이었다. ‘이런 사람이 우리나라의 대학이나 공공기관에서 한국인들에게 영어를 가르칠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생각을 늘 갖게 하는 그였다. 그 역시 한국 같은 나라에 나가 영어를 가르칠 수 있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갖고 있었다.

 

***

 

제이슨 부부와 식사를 함께 한다거나 차를 마시면서, 풋볼 경기를 관람하면서, 새로 태어난 아기를 축하하기 위해 그의 집을 방문하면서, 우리는 서로의 사이에 개재하는 문화의 차이를 초월하여 상통하는 동질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름을 넘어 같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힘은 바로 언어였다. 대화를 통해 서로의 다름을 평평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소통의 힘이었다. 우리는 그와 그의 가족을 만나면서 미국 체류 기간 내내 행복했다. 타향에서 마음을 주고받을 수 있는 친구가 이웃에 살고 있는 것처럼 든든한 일이 어디에 있을까. 비록 우리에 비해 나이는 어렸지만, 지구촌에 대하여 그가 갖고 있던 식견만은 어느 기성세대보다 월등했다. 그리고 글로벌화 된 세계에서 좀 더 멋진 삶을 살기 위해 우리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은 무엇인지 분명히 깨닫게 해준 그였다. 조만간 한국에서 그를 만날 수 있게 되길 기대하면서, 그들과의 행복했던 몇 개월을 회상해보는 요즈음이다.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