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0월 10일 숭실대학교 조만식 기념관 앞 잔디밭에서 기념식수를 마치고
숭실 재직 20년만에 한 그루의 나무를 심으며
2007년 10월 10일. 숭실대학교 110주년 기념식장에서 ‘근속 20년’의 포상을 받았다. 하루 종일 식장안팎에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격려와 박수를 받으면서도 마음 한 구석 겸연쩍음을 금할 수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내 나이 이제 50이니 어느 곳으로든 뻗어나갈 수 없음을 위로라도 하려는 것일까. 아니면 그간 내가 진짜로 남들이 할 수 없는 일을 이곳에서 해왔다는 말일까.
숭실에서의 삶을 시작한 1987년은 무척 혼란스런 시기였다. 폭력적인 5공 정권이 종말을 고할 즈음이었고, 88 서울 올림픽의 열기가 달아오르기 시작하던 때였다. 사람들은 정의와 불의의 경계선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었으며, 약아빠진 자들과 미련한 자들의 세속적 득실(得失)이 하늘 땅 만큼 벌어지고 있던 때이기도 했다. 독재정권을 종식시킨다는 대의명분으로 강의보다 무단휴강일수가 훨씬 많았고, 교수들의 나약한 목청이 강의실 앞에서 고성능 마이크로 선동하는 목소리들을 어쩌지 못하던 좌절의 계절이었다.
늘 새로운 것을 찾아 헤매는 것이 학문의 세계이자 대학의 본질이라면, 한 대학에서 20년을 근속했다는 것이 크게 자랑스러울 것은 없다. 어쩌면 새로운 세계를 추구하지 못하고 한 곳에 ‘처박혀’(?) 온 사실이 학자나 교수로서는 일종의 수치일 수도 있으리라. 수치를 느끼지 못한다면, 그건 안일과 타성의 덫에 가위눌려 있으면서도 늘 무언가를 찾아 몸부림치고 있다는 착각 때문일 것이다.
그간 20년, 30년 근속하신 선배들을 뵈며 한편으로 연민의 정을 느껴왔다. 철없던 시절의 내 치기어린 안목이 빚어낸 실수였다. 아니, 그 분들의 주름 진 얼굴에서 아무런 가치도 읽어내지 못한 것은 전적으로 나의 오만함 때문이었음을 지금 비로소 깨닫는다. 나도 이제 그 때 그 분들의 연세에 도달했다. 그 분들이 서서 축하의 인사를 받던 그 자리에 올라 겸연쩍은 표정으로 다시 옛날 내 또래의 후배들로부터 축하의 인사를 받으면서 비로소 나를 응시하게 된다. 나는 과연 누구였으며, 앞으로 누구의 얼굴로 살아갈 것인가.
전공 강의실. 얼굴에 제법 어른 티가 오르기 시작한 학생들에게 ‘1987년’을 물었다. 모두 한 목소리로 ‘한살 때’였단다. 그래, 내가 이곳에 부임하던 1987년이 그대들은 세상에 갓 태어나 첫돌을 맞이하던 때였구나! 끔찍한 세월이 흘러 그 때의 한 살 박이들과 마주 한 지금. 왜 나는 내 내면의 나이테를 헤아릴 자신이 없는 걸까. 잘 못 돌린 카메라의 하얗게 바랜 필름처럼 그간의 궤적이 깡그리 사라졌단 말인가.
그래서 오늘 다시 한 그루의 나무를 심는다. 오늘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가치 있는 삶의 궤적’이 또렷한 나이테로 내 마음에 각인되길 간절히 바라며, 내 사랑하는 학생들과 소망의 흙을 삽질한다.
2007. 10. 10.
조만식기념관 옆 잔디밭에서
백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