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예연구소 학술지『한국문학과 예술』3집 발간
한국문예연구소에서는 학술지 『한국문학과 예술』3집을 발간했다. 이 학술지는 반 년 간으로 간행되는데, 이번 호에는 허명숙 박사 등 6인의 논문과 정우영 시인 등 4인의 토론문, 송재룡 교수 등 7인의 서평이 실려 있으며, ‘김일근본 거창가’에 대한 조규익 교수의 소개문과 자료 영인이 실려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논문>
1. 숭실문학의 견인차, 그들의 소설적 성취--허명숙
2. 삶의 결, 문학의 결-이효석⋅황순원⋅황석영--방민화
3. 숭실의 시인들-현실 저항의 시에서 존재론적 시에 이르는 숭실 시문학의 여정-강경희
4. 1980년대 이후 숭실의 시인들--우대식
5. 1980년대 이후 숭실 문학인의 동향--이금란
6. 한국 최초의 대학 ‘숭실’이 한국문학에 남긴 영향--차봉준
<서평>
1. 비판과 성찰적 지성의 기독교적 體化-박정신의 『역사학에 기댄 우리 지성사의 인식』
을 읽고- : 송재룡(경희대 교수)
2. 인간의 미적 가치와 삶의 본질에 대한 천착-김광명의 『인간에 대한 이해, 예술에 대
한 이해』를 읽고- : 김대식(숭실대 강사)
3. 조선조 후기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적 성찰-하정식의 『태평천국과 조선왕조』를 읽고
- : 유장근(경남대 교수)
4. 고려인 정체성 찾기의 괄목할 업적-김보희의 『소비에트 시대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음
악활동』을 읽고- : 이명재(중앙대 명예교수)
5. 이효석 문학의 총체성 복원을 위한 시도-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의 『가산 이효석
의 삶과 문학세계』를 읽고- : 정주아(서울대 강사)
6. 음악과 문학이 어우러진 가곡의 역사-김영운의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을 읽고- : 이윤정(한양대 강사)
7. 생존과 실존 사이에 있는 시의식-오정혜의 『중국 조선족 시문학 연구』를 읽고- : 박
선영(숭실대 강사)
<자료소개>
김일근 소장 <아림별곡(娥林別曲)>에 대하여 : 조규익(숭실대 교수)
2009. 3. 학고방, 정가 20,000원
TAG 강경희, 김광명, 김대식, 김일근본 거창가, 박선영, 방민화, 송재룡, 아림별곡, 우대식, 유장근, 이금란, 이명재, 이윤정, 정우영, 정주아, 조규익, 차봉준, 학고방, 한국문예연구소, 한국문학과 예술, 허명숙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