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4. 2. 13. 03:58

 

 


터키 괴레메 지역의 오픈 에어 뮤지엄(Open Air Museum)

 

 

 

 


터키 괴레메 로즈밸리(Rose Valley)의 한 암벽 동굴집을 찾아
현장에서 만난 베컴, 허이준, 허이훈 형제 등과 차를 마시며[2005년 12월]

 

 

 

 


터키 괴레메의 로즈밸리 지역

 

 

 

 


터키 괴레메 인근 언더그라운드 시티(Underground City)의 거실에서 만난 맷돌 아래 짝

 

 

 

 


터키의 셀르메 지역에서 만난 암벽 동굴들

 

 

 

 


터키 우흘라라 계곡의 암벽동굴 집에서 만난 프레스코화

 

 

 

 

 

 

 

암굴 속에 서린 생존 의지, ‘반델리어 국립 유적지[Bandelier National Monument]’의 말 없는 외침

 

 

 

 

9년 전 유럽 여행 중 터키 카파도키아의 괴레메 지역에서 만난 암굴 주거지는 지금까지도 큰 충격으로 남아 있다. 화산활동으로 생긴 다양한 모양의 암석과 암봉들에 침식작용으로 구멍이 뚫려 있었고,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그 안에 거주한 흔적들이 그 때까지도 생생하게 남아 있었다. 특히 카이마클르의 지하도시와 으흘라라 계곡, 셀르메 계곡 등 네브셰히르 코스에는 바로 어제까지 사람들이 살고 있었던 듯 온기까지 느껴졌다. 페르시아와 아랍인들의 침입으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하기 위해 6세기부터 10세기까지 8층 깊이[높이가 아닌]로 뚫린 카이마클르의 언더그라운드 시티(Underground City)에는 각 층을 연결하는 가파르고 좁은 통로가 설치되어 있었고, 각 세대마다 거실과 침실은 물론 와인을 제조하고 저장하던 시설, 공동 주방 및 식당, 교회 등은 물론 까페도 있었다. 으흘라라와 로즈 계곡 등 지상에 서 있는 암굴 주택들의 벽과 천정에는 기독교 관련 프레스코화들이 그득했다. 참으로 경이로운 일이었다. 그 정도는 아니지만, 그 놀라움을 미국에서도 경험하게 된 것이다.

 

산타페의 박물관들을 주마간산 격으로 스킴하고 멋지게 꾸민 이탈리아 식당에서 시장기를 달랜 후 우리는 반델리어 국립 유적지[Bandelier National Monument]’를 향해 쾌속으로 달렸다. 욕심도 과하지! 그곳을 본 다음 우리는 부랴부랴 멀고 먼 귀로에 올라 뉴멕시코를 벗어날 작정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산타페에서 반델리어 가는 길은 지금까지의 어떤 길보다도 만만치 않았다. 84[285] 하이웨이를 타고 산타페로부터 한 시간 가까이 사막지대를 달리다가 퍼와이키(Pojoaque) 턴파이크에서 502번으로 갈아탄 다음 더욱 높아진 산록 도로를 통해 몇 십 분을 더 달렸다. 제법 큰 도시의 모습을 갖춘 로스 알라모스(Los Alamos)부터는 가파른 산길이었다. 길은 그런대로 넓었고 노면 상태 또한 괜찮았으나, 왼쪽은 천 길 낭떠러지! 잔뜩 구름 낀 하늘엔 커다란 독수리가 선회하고 있었다. 범접하기 어려울 정도의 음산한 분위기가 계곡 아래쪽으로부터 스멀스멀 기어오르고 있었다. ‘무슨 이유였는지 모르지만, 그 옛날 이곳에 정착하기 위해 등짐을 진 어른들과 올망졸망 어린 것들이 길도 없는 이 등성이들을 넘었겠구나! 넘다가 실족하여 저 아득한 낭떠러지로 떨어져 내린 삶들도 좀 많았으랴!’ 생각하니, 삶에 대한 집착과 허무 사이의 드넓은 간극에 갑자기 콧마루가 시큰해졌다.

 

구불구불 산길을 넘어 오후 3시가 다 되어서야 비지터 센터에 도착했다. 추운 겨울, 비수기라서인지 우리를 포함 이곳을 찾은 사람들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긴 코스와 짧은 코스가 있었지만, 시간 때문에 우리는 짧은 코스를 택했다. 사실 짧다 해도 충분히 둘러보려면 1시간 반 정도나 걸리는 코스였다. 비지터 센터를 떠나 본격 트레일에 접어드니 거대한 넓이로 땅 밑을 파낸 두 종류의 유허(遺墟)가 나타났다. 이른바 빅 키바(Big Kiva)’ 즉 푸에블로 인들의 지하 예배장이 아래쪽에 있었고, 그 위쪽에는 음식 저장고로 쓰이던 400개의 방을 가진 2층 구조물 즉 츄웨니[Tyuonyi]가 있었다. 그 주변에는 가옥으로 추정되는 지상 건축물들의 터가 많이 남아 있고, 거기서 올려다보니 주택 혹은 주택의 일부로 사용되던 벌집 모양의 암봉이 거대한 모습으로 버티고 있었다그곳이 바로 푸에블로 인들의 암벽 주거지[Cliff Dwellings]’였다.

 

이 구역의 암벽 주거지는 두 군데였다. 하나는 짧은 코스에 있는 것들이고 또 하나는 그 위쪽의 긴 주택[Long House]’들이었다. 우리는 짧은 코스의 것들을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이미 터키에서 정교하게 꾸며진 암굴(巖屈)들을 자세히 본 바 있는 내 입장에서 그리 놀랄 일은 아니었으나, 미국에도 이런 유형의 집들이 있을 줄은 꿈에도 몰랐던 것이다. 화산암[volcanic tuff]에 뚫린 동굴들은 그 자체가 좋은 집이나 안락한 방의 역할을 한 공간들이었다. 사다리를 타고 안에 들어가니 대부분의 벽들은 불 냄새가 느껴질 정도로 까맣게 그을려 있어 누군가 이 안에서 불을 피우고 살았음이 분명했다. 암벽을 둘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작은 구멍들이 나 있었는데, 이것은 통나무들을 그 구멍에 끼운 다음 암벽에 의지하여 지어낸 푸에블로 전통가옥들의 흔적이었다. 구멍의 숫자로 보아 전성기 때는 매우 많은 세대의 집들이 이곳에 있었던 것으로 보였다.

 

 

 


반델리어 국립 유적지 가는 교통망

 

 


반델리어 국립 유적지의 위치

 

 

 


반델리어 지역 표지판

 

 

 


반델리어 지역 푸에블로 인들의 합동 예배장 유허

 

 

 


동굴집들이 있던 거대한 암벽

 

 

 


동굴집들이 있던 거대한 암벽

 

 

 


동굴집들이 있던 거대한 암벽

 

 

 


동굴집으로 들어가기 위해 설치한 사다리

 

 

 


암벽 동굴집들과 벽에 잇대어 집을 지었던 흔적으로 남아 있는 작은 구멍들,
그리고 암벽화[pictograph]

 

 

 


암벽동굴집들과 그 주변에 덧붙여 지은 집의 유허

 

 

 


암벽 동굴집 아래쪽에 있던 주택가의 유허

 

 

 


암벽 동굴집 아래쪽에 있던 주택가와 각종 시설들의 유허

 

 

 


암벽 동굴집 아래쪽에 있던 주택가와 각종 시설들의 유허

 

 

 


암벽 동굴집 내부[벽이 온통 그을려 있음]

 

 

 


암벽 동굴집에서 내다 본 바깥 풍경

 

 

 

 

그렇다면 그들은 이 깊고 척박한 산중에서 무얼 먹고 살았을까. 대략 12세기 중반에서 16세기 중반에 걸쳐 이곳에서 살았던 () 푸에블로[Ancestral Pueblo]’ 인들은 메사(mesa)의 위쪽에 있던 들판에 농작물들을 재배했던 것으로 보인다. 옥수수, , 호박 등은 그들의 주식이었으며, 자생식물들과 우리가 현장에서 발견한 사슴, 토끼, 다람쥐 등의 고기도 영양분을 보충하기에 요긴했을 것이다. 그 뿐 아니라 그들의 집 주변에서 기르던 칠면조로부터는 깃털과 고기를 얻었을 것이며, 개를 이용한 사냥도 가능했던 것으로 보였다.

 

반델리어에 인간이 깃들기 시작한 세월은 10,000년이 넘는다. 메사와 계곡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야생 조수(鳥獸)들을 따라 다니던 수렵채취 부족들이 바로 그들이었다. 그러나 서기 1,150년에야 선 푸에블로인들은 반영구적인 주거지를 짓기 시작했고, 1550년에는 이곳을 떠나 리오 그란데(Rio Grande) 강가로 주거를 옮겼다. 코치티(Cochiti), 산 펠리페(San Felipe), 산 일데폰소(San Ildefonso), 산타 클라라(Santa Clara), 산토 도밍고(Santo Domingo) 등이 그들의 새로운 주거지역이었다.

 

그 후로 4백여 년 간 이 땅에는 사람들이 없었으며, 설상가상으로 심한 가뭄까지 닥쳐오게 되었다.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았으나, 이들의 구비전승[口碑傳承, oral tradition]에 의하면, 리오 그란데 강을 따라 남쪽과 동쪽에 위치한 코치티 푸에블로와 산 일데폰소 푸에블로가 프리올레 캐년에 집을 짓고 살던 이들의 가장 가깝거나 직접적인 후손들로 보인다고 한다.

 

비지터 센터에는 박물관과 함께 이들의 생활사를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영화관이 있었다. 거기서 확인하게 된 흥미로운 사실들 중의 하나는 이들이 구비전승을 통해 조상들과 연결했고, 그에 의존하여 삶의 지혜를 얻거나 적응해 나왔다는 점이다. 푸에블로의 구비전승은 자신들의 믿음, 이야기, 노래, , 생활 속의 기술 등 모든 것을 포괄한, ‘옛날과 현재의 대화E.H. 카아의 말대로 역사였다. 따라서 구비전승은 선대 푸에블로의 생존에 기본적인 텍스트였고, 오늘날에도 푸에블로로 하여금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해 나갈 수 있게 하는 필수적인 지식의 창고라 할 수 있었다. 그래서 푸에블로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의 활동이 묘사되어 있기도 하고 교훈이 기록되어 있기도 하여, 대대로 그것을 가르쳐 왔음은 물론 그 안에 들어 있는 생생한 정보들을 공유하기도 했다. 대부분 구비로 전승되어 왔지만, 개중에는 그림, 암각화, 혹은 춤으로 묘사되기도 한 모양이었다. 내가 그들의 주거지 주변에서 목격한 암각화도 그 사례들 가운데 하나였다.

 

1,700년대 중반 스페인 정부가 불하해준 땅을 소유한 스페인 정착자들은 프리욜레 캐년(Frijoles Canyon)에 자신들의 주거지를 만들었고, 1880년 코치티 푸에블로의 호세 몬토야(Jose Montoya)는 고고학자 반델리어[Adolph F. A. Bandelier, 1840. 8. 6.~1914. 3. 18.]를 프리욜레 캐년으로 데리고 가 조상들이 살던 고향땅을 보여주었다. 그 때부터 반델리어는 이 지역을 연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반델리어는 스위스 베른 출신의 미국 고고학자인데그의 이름을 따서 이 유적지의 명칭으로 삼았을 정도로 그는 이 지역에 관한 전문가였다. 그는 젊은 시절 미국으로 이주하여 노동을 하며 힘들게 살았다. 당시 대단한 인류학자 모건(Lewis Henry Morgan)의 지도 아래 그는 미국 남서부, 멕시코, 남아메리카 등지의 미국 원주민들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는 멕시코의 소노라(Sonora), 애리조나, 뉴멕시코 등지에서 연구를 시작하여, 이 지역 연구를 선도하는 권위자가 되었고, 쿠싱(F. H. Cushing) 및 그의 후계자들과 함께 선사 문화 분야의 선도적인 학자가 되기도 했다. 그의 이름을 딴 곳이 바로 이 구역이었다.

 

1916반델리어 국립 유적지법령이 만들어지고 윌슨(Woodrow Wilson) 대통령이 서명했으며, 1925년에는 에벌린 프라이(Evelyn Frey)와 그의 남편 죠지(George)가 이곳에 도착하여 1907년 애벗 판사(Judge Abbot)가 건립해온 ‘10 엘더스 랜취(the Ranch of the 10 Elders)’를 이어받게 되었고, 1934년과 1941년 사이에 민간 자원 보존단[Civilian Conservation Corps]’의 노동자들이 프리욜레 캐년에 만들어진 캠프에서 작업을 하는 등 최근까지의 노력으로 지금의 유적지는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암벽 주거지를 거쳐 내려오는 길은 지난여름 이 일대를 휩쓸었던 것으로 보이는 홍수의 현장이었고, 근년에 일어나 아름드리 소나무들을 태워버린 무서운 자연 화재의 현장이기도 했다. 무수한 나이테들을 몸에 새기고 벌렁 누워있거나 아직 청청하게 버티는 소나무들은 그 옛날 이곳에서 살아간 푸에블로 인들의 역사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아무도 접근할 수 없는 이 계곡에서 먹고 자고 사랑하며 생존의 나날을 버텨내던 푸에블로 인들은 벌써 오래 전에 이 계곡을 떠났다. 그러나 리오 그란데 강줄기를 따라 새로운 터전들을 일군 그들은 변함없이 옛날이야기들 속에 숨어 있는 조상들의 지혜를 이어가며 오늘과 내일을 살아가고 있는 중이다. 마음속에서 메아리치는 프리욜레 계곡의 거센 냇물 소리를 기억하며...

 

 

 


당시 이곳 주민들이 잡아먹고 살았을 다람쥐

 

 

 


당시 이곳 주민들이 잡아먹고 살았을 사슴들[Mule Deer]

 

 

 


당시 이곳 주민들이 따 먹고 살았던 잣나무 열매[piňon nuts].
지방과 단백질의 공급원이었음.

 

 

 


당시 이곳 주민들에게 비타민과 무기질을 공급했을 선인장 열매들

 

 

 


당시 이곳 주민들이 동굴집 주변에 남긴 암각화[pictograph]

 

 

 


스페인 이주자들로부터 받은 영향을 암시하는 암벽 위의 십자가

 

 

 


열매를 갈아 식량을 확보하던 당시 여인들의 삶[비지터 센터 박물관 그림]

 

 

 


당시 이곳 주민들이 사용하던 바구니와 갈돌, 그리고 화살촉[비지터 센터 박물관]

 

 

 


당시 이곳 주민들이 사용하던 도자기와 각종 생활 도구들[비지터 센터 박물관]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11. 2. 14:02

2013년 풀브라이트 방문학자 발전 세미나[2013 Fulbright Visiting Scholar Enrichment Seminar]에 다녀와서

 

 

 

마지막 날-좀 더 커진 마음을 안고 다시 스틸워터(Stillwater)!

 

 

 

짧았지만, 참으로 긴 여정이었다. 4일 만에 이 땅에서 일어난 수백년 격동의 역사를 추체험하는 일이 어찌 간단하겠는가. 종족과 종족이 맞붙어 수백 년 삶을 이어온 터전을 뺏고 빼앗기는 투쟁이 바로 이 땅에서 계속되어 왔고, 지금도 그 불씨는 꺼지지 않은 채 내연(內燃)하고 있음을 우리는 목격했다. 이 땅의 많은 학자들이 현장을 밟으며, 연구실에서 이들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분석하고 예측하며 바람직한 방안을 연구해오고 있지만, 누가 그 정답을 알겠는가. 그 옛날 해저(海底)가 융기하여 하늘을 찌르는 산이 된 것처럼 어느 순간 역사의 주인은 바뀔 수도 있고, 수백 년 차별의 질곡에서 신음하던 자들이 채찍을 손아귀에 쥐는 순간도 있을 것 아닌가. 웅웅거리는 바람을 안고 누워 우리에게 겸허를 일깨워 주는 대초원[Tall Grass Prairie]의 드넓은 가슴을 보라.

 

***

 

큰 일정 대부분을 마무리한 토요일 아침. 이 날이 마침 36년째 이어지고 있다는 털사 시민 마라톤의 날이었다. 어디서 그렇게들 모여들었는지 평소에는 한산하던 도로가 사람들로 가득했다. 호텔 바로 앞이 출발선이기 때문인지 적지 않게 시끄러웠다.

 


호텔 창 밖으로 보이던 성가족 성당


시민 마라톤 대회를 축하하기 위해 공연 준비를 하는 악단(City of Tulsa Pipes & Drums) 


악단의 드러머 매튜씨[Mr. Matthew] 


출발선에 그득히 모여 신호를 기다리는 시민들 


출발신호와 함께 달려나가는 시민들

 

 

한 시간 늦게 아침식사를 하고 마무리 토론과 정리를 위해 호텔 2층의 시마론 볼룸(Cimarron Ballroom)에 모였다. 모두 개운한 표정들이다. 10여 개 조로 나뉘어 지난 며칠간의 경험들을 통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토론을 벌였다. 이곳에서 얻은 견문에 각자의 모국을 결부시켜 바람직한 방안을 찾는 것이 핵심이었다. 모두들 자기 나라의 형편이나 상황을 설명하기에 열을 올렸다. 따지고 보면 땅덩어리나 자원, 인재 등 모든 것을 두고 보아도 미국만한 나라가 어디에 있을까. 그럼에도 참석자들 모두 자기 나라의 장점을 부각시키기에 여념이 없었다. 객관적으로 큰 의미는 없겠지만, 그 모두는 애국심에서 우러나온 것이었으리라. ‘자신의 나라도 미국처럼 이랬으면 좋겠다는 소망적 사고의 표출이었으리라. 마지막 토론을 주관한 베키[Becky Collins, President and CEO, Tulsa Global Alliance], 마캄 박사[Dr. J. Markham Collins, Professor of Tulsa University], 덕 프라이스 박사[Dr. Doug Price, Dean of Global Education, Tulsa Community College]도 참석자들의 말들을 정리하고 요약하면서 연신 고개들을 끄덕거린다. 각국의 사례들이 그들에게 큰 참고가 되는 모양이었다. 그렇게 토론과 보고의 마무리 과정도 끝이 났다.

 


마무리 토론에 참여한 참가자들

 

***

 

방에서 짐을 꾸려 내려오니 스틸워터까지 나를 태워 가기로 약속한 론 박사[Dr. Ron Bussert, Vice President for Administration and Finance]가 벌써 로비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티룸으로 모시고 가 커피 대접을 하며 통성명을 했다. OSU 털사 캠퍼스에 근무한다는 그 분의 집은 털사 시내에 있었다. 그러니 나를 집에 내려 준 다음 다시 그 길을 되짚어 와야 하는 상황이었다. 참으로 송구스럽기 짝이 없었다. 더구나 나보다 나이가 많다고 하니 더욱 몸 둘 바를 모를 지경이었다. 그래서 급한 대로 하나의 약속을 받아냈다. 론 박사도 점심 전이고 나도 내 아내도 점심 전이니 스틸워터에 도착한 다음 점심 대접을 하겠다는 제의를 했고, 그 제의를 그 분이 흔쾌히 받아들임으로써 미안감이 약간은 덜해졌다. 그 순간부터 이곳 풍습에 따라 편안한 마음을 갖기로 했다. 스틸워터의 집까지 오는 데 1시간 남짓 걸렸으나, 서로가 궁금한 게 많아서 끊임없이 대화를 주고받다 보니 어느 새 집 앞이었던 것이다. 아내를 불러내 그 분과 함께 괜찮은 레스토랑 프레디폴스(Freddi Paul’s)’로 직행했다. 토요일 점심이라선지 식당은 한산했고, 음식은 달았다. 나지막한 어조로 자상하게 대화를 이어가는 론 박사는 참으로 편한 상대였다. 나누는 대화도 맛이 있고, 먹는 고기 맛도 일품이었다. 하이클라스 미국인들이 갖고 있는 교양의 정도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인물이었다. 우리는 두 시간 가까운 식사 동안 서로의 흉금을 털어놓을 수 있었고, 훗날을 기약할 수 있었다. 가벼운 피로가 기분 좋게 몰려드는 토요일 오후였다.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마치고 Ron 박사와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마치고 Ron 박사와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9. 17. 08:59

 


장영배 교수 자택 앞에서


장영배 교수 댁 거실


장영배 교수의 빛나는 따님 혜나 양


장영배 교수 부녀와 함께 맛있는 점심을

 

 

미국에서 만난 고마운 사람들-2

 

Dr. Chang, Young-Bae

 

 

 

미국에 도착한 지 3주가 다 되어가는 오늘. 한국에서부터 읽기 시작한 박계영(Kye-Young Park)의 책 <<The Korean American Dream>>을 다 읽었다. 마지막 장을 덮고 나자 그가 만들어 사용한 어구 하나가 !’ 하고 떠올라 눈앞에서 아른거린다. 바로 ‘anjŏng ideology’란 말.

 

그는 그 말의 동의어로 ‘Establishment, Security, Stability’ 등을 제시했는데, ‘(생활기반의) 구축, 안전, (지속적) 안정성쯤으로 번역될 수 있으리라. 말하자면 미국으로 이민 온 한국인들이 추구하는 안정 이데올로기란 바로 먹고 사는 방도의 모색, 각종 위해(危害)나 병으로부터 자신과 가족을 지키는 일, 외부의 충격이나 환경의 변화에도 흔들림 없는 기득권의 지속성등이 아메리칸 드림의 핵심이라는 뜻일 것이다.

 

그러나 이게 어찌 이민들에게서 비로소 시작된 정신이랴. 까마득한 옛날 우리의 조상들은 거친 황야와 강줄기들을 넘어가며 해가 뜨는 동쪽으로 이동해 왔고, 드디어 한반도에 정착함으로써 정착민으로서의 안정 이데올로기를 추구해온 것 아닌가. 그러니 어딜 가나 한 곳에 뿌리박고 편안한 삶을 추구하는 생활 습관은 조상 때부터 시작되어 오늘날의 한국인들에게 일종의 이데올로기로 굳어졌다고 봐야 한다.

 

남의 땅에서 아예 뿌리박기로 작정하고 떠나 온 이민들 뿐 아니라 우리처럼 단 몇 개월 혹은 1년 동안 머물려고 이 땅에 온 사람들에게도 안정 이데올로기는 무엇보다 중요한 삶의 철학이다. 더구나 단 시간 내 안정 이데올로기를 구현해야 하는 단기 체류자들로서는 도착하자마자 시차 적응을 못 해 휘청거리면서도 안정을 추구하기 위해 백방으로 뛸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

 

15년 전의 경험으로 미루어, 안정적인 주거, 이동 및 통신수단의 확보 등은 미국 생활에서 가장 긴요하면서도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나마 한국인들이 많아서 한 다리 건너면 아는 사람들이 있는 LA와 달리 드넓은 평원 스틸워터에서 도움을 줄 한국인을 만나기란 쉽지 않았다.

 

시차로 비몽사몽 하루 이틀 지내면서 우리는 점점 한계에 가까워지기 시작했다. 한국에서 가져 온 비상식량도 밑바닥을 보이기 시작했고, 무엇보다 40도에 육박하는 햇살 아래 걸어 다니면서 무언가를 해결하기가 불가능했다. 그래서 예전에 OSU의 학부생으로부터 한두 번 받은 이메일을 뒤지다가 몇몇 한인 교수의 이름을 발견했고, ‘밑져봐야 본전이라는 심정으로 그 가운데 한 분인 장영배 교수[OSU 기계공학과])’를 찍어 전화를 드렸다.

 

간단히 내 소개를 하고나자 그 분이 대뜸 내가 연락을 해야 하는데, 먼저 연락 주셔서 고맙다고 말씀하시는 게 아닌가. 재미한인들의 상위 1%안에서도 최상위에 위치하는 성공적인 직종이 전문직, 그 가운데서도 성공적인 직종이 미국 대학의 한인 교수들이다. 미국에 온 한국인들로부터 연락 받기를 꺼려하는 사람들이 대개 미국 대학의 한인 교수들이라는 어떤 선배의 귀띔을 기억하고 있던 터라, 내 스스로 그 분들에게 연락하기를 꺼려하고 있었다. 그래서 좀 어안이 벙벙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 통화를 시작으로 장 교수님은 기꺼이 나서서 우리의 정착을 돕기 시작했다. 장 교수님은 사모님과 함께 우리를 멋진 호숫가의 레스토랑으로 초대하여 점심을 대접해 주셨을 뿐 아니라 수시로 차를 몰고 와서 우리의 시장보기를 도와주셨고, 소개해 주신 한국인 학생의 도움으로 전화를 개통했으며, 결국 몸소 우리를 차에 태우고 에드몬드 시에 가서 자동차를 사게 하심으로써 정착의 대미를 장식하게 되었다.

 

그 분의 도움으로 자동차를 사는 과정에서 우리는 참 많을 것을 배우게 되었다. 나 같으면 대충 후보차종을 고른 다음 이 차 사는 게 어때요?’라고 권할 법 한데, 그 분은 그러지 않으셨다. 우선 우리로 하여금 사이트를 통해 후보 차종을 몇 개 고르고 조건들을 모두 확인하도록 하신 다음, 다시 각종 사이트들을 알려 주시면서 여러 가지 지표들을 통해 그것들을 세밀히 비교하게 하셨다. 그런 다음 각 차종의 문제점들이 보고되어 있는 다른 사이트를 통해 해당 차종들을 또 한 번 스크린하게 하셨다.

 

그 과정에서 섣불리 결정하지 마세요라는 충고를 빈번히 건네시는 것이었다. 차를 사게 하신 것은 물론 보험사까지 꼼꼼하게 챙겨주신 장 교수님. 그 과정에서 성미 급한 나로서는 약간 답답하기도 했지만, 참으로 귀한 가르침이었음을 나중에서야 깨닫게 되었다. 그 가르침이 단순히 차 사는 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인생사 자체의 소중한 지표가 될 수도 있음을 알게 된 것이다. 실력 있고 열정적인 교수로서의 학교생활, 다정다감한 가장으로서의 가정생활, 실천적 목자이자 신도로서의 신앙생활을 성공적으로 해 나가시는 장 교수님 덕에 생면부지의 땅 스틸워터에서 이제 막 시작된 가을과 함께 행복한 나날을 보내게 되었다.

 

***

 

남을 돕는다는 것. 특히 해외에서 조건 없이 동포를 돕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다. 평소 닦아 온 신앙의 힘과 사랑의 정신이 아니라면, 어찌 그런 일이 가능하겠는가.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