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3. 11. 11. 12:52

 

66번 도로[Route 66]에 살아 있는 역사의 공간, 유콘 시티(Yukon City)

 

 

 

 


66번 도로 가의 Arcadia Round Bahn에 전시 중인 66번 도로 표지판

 

 

우리가 유콘을 찾은 것은 112()이었다. 사실은 66번 루트에서 비교적 유명한 오클라호마시티 남쪽 엘크(Elk) 시의 국립 66번 도로 박물관(National Route 66 & Museum)’, ‘옛 마을 박물관 단지(Old Town Museum Complex)’, ‘농업 및 목축업 박물관(Farm and Ranch Museum)’ 등 세 박물관들을 돌아보기 위해 집을 나선 길이었는데, 오클라호마시티에 들어오니 시곗바늘은 이미 11시 반을 넘고 있었다. 그런데 우리의 목적지는 스틸워터로부터 달려 온 만큼의 시간을 그로부터 더 달려야 하는, 100마일이나 먼 거리에 있었다. 도착하면 오후 2시쯤 될 것이고, 점심을 먹고 나면 3시쯤 될 것 아닌가. 난처했다. 박물관 하나를 겨우 보고나서 다시 되돌아 와야 하고, 되돌아오는 길 또한 300마일쯤이나 될 것이니, 오밤중이나 넘어서야 집에 들어 갈 수 있을 것이었다. 끔찍하게 드넓은 미국 땅. 그 중에서도 끝없이 펼쳐진 벌판의 왕국 오클라호마를 얕본 우리의 실책이었다.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출발했어도 쉽지 않을 거리였는데, 느직이 일어나 아침을 다 챙겨먹고 나선 길이니 여유롭게 돌아보고 오기란 엄두도 낼 수 없었다.

 

그래서 하는 수없이 하이웨이의 출구를 빠져나와 주유소와 푸드마트, 구멍가게 등을 겸한 휴게소에 들렀는데, 마침 66번 도로가 그 휴게소 옆을 지나고 있었다. ‘작전 상 후퇴아닌 시간 상 노정 변경이었다. 마트에 들른 그 지역 사람들에게 물으니, 하나같이 유콘시티를 추천했다. 그래, 오늘은 유콘을 탐사하기로 하자. 그렇게 해서 우리는 66번 길가에 묻혀 있던 유콘을 찾아낸 것이다.

 

***

 

시내에 들어서자 저 멀리 도시 입구 쪽의 메인 스트릿 양 옆에 원통형의 거대한 건물들이 서 있었다. 이 도시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는 듯 그 건물들의 위압적인 모습이 범상치 않았다. 다가가 보니 두 건물 모두 제분공장이었다. 문은 굳게 닫혀 있고 그 사이를 지나는 철길도 녹이 슬어 있어 이 제분공장에서 밀가루가 만들어지고 있는지 알만한 단서는 아무데도 없었다. 퇴락한 옛날의 영화들이 건물 벽의 각종 글씨들에만 흐릿하게 남아 있었다. 이 정도 규모의 제분공장들이라면 아마 이 근동 사람들이나 먹여 살리는 데 만족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기차에 실려와 조달된 밀을 가루로 만들고, 그것을 다시 그 기차로 다른 지역에 실어다 팔기도 했을 것이다. 나중에 보기로 하고 우리의 1차 관심처인 유콘 역사박물관[Yukon Historical Museum]’을 찾기로 했다.

 


유콘 제분소[Yukon Mill]-"유콘의 최고 밀가루"란 문구가 눈에 띈다


맞은편에 있는 또 하나의 제분소


유콘 역사박물관[Yukon Historical Museum]

 

그러나 작은 도시의 메인 스트릿을 오르락내리락 하며 박물관을 찾았으나 눈에 보이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책자에 소개된 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규정상 미리 예약을 해야 볼 수 있으나, 오늘은 그냥 보여주겠다, 젊고 아름다운 여성의 목소리였다. 설레는 마음으로 달려가니 80대로 보이는 깨끗한 할머니가 기다리고 있었다. 이름은 캐롤(Carol Knuppel). 이른바 자원봉사 큐레이터였다. 건강은 좀 안 좋아 보였으나 맑고 지성적이며 자신들의 향토 역사에 대단한 자부심을 갖고 있는 지식인이었다.

 


유콘 역사박물관의 큐레이터 캐롤


대화를 나누고 있는 캐롤과 백규 

 


생활사 관련 소장품을 설명하고 있는 캐롤


캐롤과 전직 소방관인 남편, 그리고 백규

 

폐교된 초등학교를 1 달라에 주 정부로부터 불하받아 개관한 박물관이었다. 우리가 이미 목격하고 온 밀가루 공장 유콘 밀(Yukon Mill)을 중심 컨셉으로 박물관의 콜렉션은 이루어져 있었다. 캐나디언 카운티(Canadian County)에 속한 유콘은 1891년 스펜서(A. N. Spencer)에 의해 세워졌으며, 오클라호마시 인접 도시로 존속되어 왔다. 캐나다 카운티의 유콘 구역에서 있었던 골드러쉬(gold rush)를 바탕으로 명명된 유콘 시티가 지금은 오클라호마시티 직장인들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고 있지만, 원래는 이 지역 농업의 중심지로서 대규모 제분작업이 이루어지던 곳이었다. 그런 역사적 바탕 위에서 비로소 우리는 Yukon Mill의 존재를 이해할 수 있었다.

 

유콘의 시민들은 Yukon Mill에 대단한 프라이드를 갖고 있다는 말로 큐레이터 캐롤의 설명은 시작되었다. 보헤미아에서 이민 온 체코인들의 자본으로 세워진 것이 이 제분소들이었다. 1891년 이 도시가 세워지고 철도까지 부설되자 이 도시는 급속히 번성하게 되었다. 1898년에 이르자 이 도시는 체코 이민자들의 보금자리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유콘은 '오클라호마의 체코 수도'로 알려질 정도였다.

 


박물관에 통째로 기증된 이발소


박물관 행사를 후원한 지역의 기업들


박물관 소장 사무용품


통째로 기증받아 전시하고 있는 치과의원


유콘시에 관한 신문기사들을 스크랩해 놓은 자료들


통째로 기증받아 전시하고 있는 잡화상 콜렉션

  

1893년에는 소규모 제분공장인 유콘 제분 곡물 회사[Yukon Milling and Grain Company]가 사업을 시작하여 급속히 성장했고, 1915년에는 해외로 곡물을 수출까지 하게 되었다. 그 첫 제분소는 없어진지 오래지만, 대형 곡물창고는 지금도 66번 도로와 철로가 만나는 지점에 서 있었다. 지금도 건물 북쪽의 외벽에는 유콘 제분소[Ykon Mills]”, “유콘 최고의 밀가루[Yukon’s Best Flour]” 등의 글자들이 선명하게 빛을 발하고 있었으며, 동쪽에는 유콘 최고의 밀가루[Yukon’s Best Flour]/미국 최고급 근대 제분소[No finer or more modern mills in America]/유콘 제분 곡물 회사-유콘 오케이/유콘은 오클라호마의 체코 수도[Yukon Czech Capital of Oklahoma]” 등의 글귀들이 새겨져 있었다. 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 정부는 이 회사로부터 많은 밀가루를 사다가 굶주린 동맹국들을 도왔다는데, 그 덕에 이 회사는 더욱 성장할 수 있었다고 한다.

 


유콘밀 관련 자료들과 설립자들


유콘밀 관련 자료들

 

유콘 제분소를 중심으로 하는 이 지역 산업과 경제 관련 생활사 콜렉션들을 설명한 다음, 캐롤은 우리를 1층으로 인도하여 이 학교를 거쳐 간 졸업생들과 교사들의 사진이 가득한 방을 보여주었다. 사진은 물론 각종 교과서, 학용품, 학교 비품, 생활기록부 등 학교와 학생들에 관한 생생한 자료들이 방 안에 그득하였다. 일종의 살아있는 아카이브(archive)였다.

 


학교 졸업생 관련 자료들


학교 졸업생 관련 자료들


1959년 교사들 사진

 

***

 

박물관은 작았지만, 그곳의 콜렉션들은 1세기 이상 지속되고 있는 이 도시의 삶을 보여주는 스토리의 원천이었다. 설명을 들으며 폐교를 비싼 값에 매각, 처분하는 우리나라가 문득 생각났고, 무사려한 처사가 나를 많이 안타깝게 했다. 이곳에서는 폐교를 단 1달라에 이 지역 사람들에게 넘기고, 그 공간을 박물관으로 개조하여 쓰도록 도와주고 있다 한다. 이미 썩어버렸거나 엿장수들의 손에 엿 값으로 넘어가 지금은 모조리 사라진 우리 고향의 각종 생활사 자료들을 보관, 전시할 지역 박물관을 폐교에 만들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아무리 비까번쩍한건물로 우리의 외면을 치장한들 무엇 하랴. 역사와 스토리가 빠진 도시는 영혼이 빠져나간 인간의 육체나 마찬가지! 그런데 이들은 폐교를 활용하여 자신들이 스스로 모은 생활사 자료들을 박물관으로 만들고, 이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고 있었다. 주민들은 자원봉사 큐레이터 역할을 함으로써 선대로부터 이어온 삶의 모습과 문화를 계승, 보존하며 후대로 이어주고 있었다. 자신들의 삶에 대한 자부심과 철저한 역사의식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66번 도로의 역사성과 유콘 시티에 대한 부러움을 함께 느끼며, 우리는 아쉬운 발길을 돌렸다.

 


입구 쪽 코너에 세워놓은 박물관 간판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11. 5. 11:47

 

누구 혹시 이 소녀를 아시나요?

 

 

 

 

오클라호마를 관통하는 옛 길 하나가 있다. 이른바 66번 도로[Route 66]. 이 길의 역사성이나 문화적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거론하기로 한다. 언제부턴가 우리는 이 길에 주목해왔다. 토요일인 어제도 우리는 차를 몰고 이 길의 탐사에 나섰고, 그 길을 따라가다가 외견상 약간 퇴색되긴 했지만 아름다운 도시 유콘시티(Yukon City)를 만났다.[유콘 시티에 관한 글은 다음 기회에 싣는다] 이 도시의 유콘 퇴역군인 박물관[Yukon Veterans Museum]’에서 우리는 코끝이 찡해오는 슬픔과 가슴 멍한 감동을 만나게 되었다.

 


유콘시 역사박물관[이 박물관의 3층에 퇴역 군인 박물관이 있음]

 

***

 

박물관[Yukon Historical Museum]을 찾지 못해 안내서에 적힌 번호로 전화를 하니, 전화를 받는 여성이 찾아오는 길을 자상하게 설명해주었다.[Yukon Historical Museum에 대한 글은 미국통신 27로 싣는다] 이 박물관의 맑고 품위 있는 할머니 큐레이터 캐롤[Carol Knuppel]의 안내로 소중한 생활사 컬렉션을 두루 살펴 본 다음, 같은 건물 3층에 마련된 퇴역군인 박물관을 우연히 찾게 되었고, 거기서 일을 보고 있던 톰[Mr. Tom Thomas]을 만나게 되었다. 그의 도움으로 박물관 안을 둘러보다가 우리는 색깔은 바랬으나, 낯설지 않은 몇 장의 사진을 목격하게 되었다.

 


유물을 들어 보이고 있는 톰 씨


한국전 코너 표지판

 

, 그것은 625 전쟁의 포화 속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우리네 누이와 아주머니의 힘겨운 모습이었다. 칭얼대는 동생을 광목 포대기로 감아 업고 배고픔을 달래던 우리 누이, 전쟁 통에 죽었거나 끌려가 부재중인 남편 대신 산에서 땔감을 산더미처럼 지고 오던 이웃 아주머니, 비누도 제대로 없던 시절 냇가에서 빨래방망이를 두드리던 동네 아주머니들, 덜컹대던 버스, 동산만큼 무거운 짐을 실은 리어카를 활기차게 끌고 가는 어떤 장년 남자, 자신의 사진을 찍는 사람의 동작을 흉내내는 듯한 코흘리개 남자아이, 서울 수복의 감격이 짙게 배어 있는 서울시청, 그 때까지만 해도 웅장한 자태로 서 있던 동대문 등등. 그런데 이 사진들을 과연 누가 찍었을까. 사연을 알아보니 유콘에 살던 퇴역군인의 아들로부터 기증받은 것들이란다. 원판 화질이 안 좋았으나 우리로서는 그 사진들을 우리의 카메라로 다시 촬영하는 수밖에 없었다.

 


누구 혹시 이 소녀를 아시나요? 


누구 혹시 이 아줌마를 아시나요?


누구 혹시 이 아줌마를 아시나요?


서울시내 어딘가에서 리어카를 끌고 가는 남자


1954년 당시 서울시청


누구 혹시 이 아이를 아시나요?


1954년도 서울시내 한 곳 


1954년도 서울시내 한 곳의 한옥


1954년 당시 버스

 

그렇게 찍은 사진들이 혹시 사라질세라 카메라를 소중하게 부여안고 다른 노정들의 방문은 생략한 채 2시간 가까운 거리를 달려 집에 도착했다. 도착하여 컴퓨터 화면에 띄우는 순간 가슴이 철렁했다. 그 사진들 모두의 화질이 너무 안 좋았기 때문이다. 하는 수 없이 톰에게 전화를 하자 다음날[일요일, 즉 오늘] 12시에 사진 기증자가 이곳에 오니 다시 오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오늘 우리는 Yukon Veteran's Museum을 다시 찾았고, 거기서 이 사진을 찍은 퇴역군인의 신원을 알게 되었으며, 기증자의 아들인 Mr. Richard Cacini를 만날 수 있었다. 그 역시 미 육군에서 30여년을 근무한 군인이었고 그의 아들 또한 군인이었으므로, 이탈리아계 이민인 카치니 가문은 3대가 군에서 복무한 모범적 사례였다. 우리는 어제 같은 실수를 다시 범하지 않기 위해 카메라와 스마트 폰으로 사진들을 다시 찍고, 휴대용 스캐너로 일일이 스캔하여 별도의 파일로 보관하기도 했다. 리차드 씨의 흔쾌한 협조로 열 장이 넘는 사진들을 송두리째 우리의 가슴에 담을 수 있었다.

 


Mr. Rick Cacini


Mr. Rick Cacimi와 처음 만나서


Mr. Rick Cacini, 백규, 그리고 Mr. B Mac[미 해병 출신]


김대중 전 대통령이 보낸 감사의 편지


퇴역군인의 날 행사 포스터

 

 

미 육군의 하사관으로 한국에 파견되었던 카치니는 각각의 사진들 뒷면에 장소와 연도를 표기했는데, 연도가 모두 1954년인 점으로 미루어 전쟁 직후의 우리 땅[의정부, 서울]에서 찍은 것들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내 눈시울을 촉촉하게 한 것은 사진을 찍은 사람의 따스한 시선으로 어려운 시절의 우리 모습을 잘도 잡아냈다는 점이었다. 의정부에서 찍었다는 나뭇짐 지고 가는 여인사진 뒷면엔 다음과 같은 메모가 적혀 있다.

 

당신이 혹사당한다고 말하지 말라. 이 여인은 200~400파운드 무게의 짐을 져 나르고 있다. 그녀가 내려놓았을 때 나는 그 지게를 들 수조차 없었다.[Don’t tell me you are overworked! This lady is carrying between 200 and 400 pounds. I could not even lift the ‘A-Frame’ when she put it down.]”

 

그는 산더미 같은 나뭇짐을 지고 가던 가냘픈 여인을 만났고, 삶의 무게가 그의 마음에 감동과 동정의 파문을 일으켰을 것이다. 어쩌면 이 여인의 모습을 통해 한국인이 당하고 있던 현실적 고통을 큰 소리로 세계인들에게 알리고 싶었을 것이다.

 

동생을 업고 있던 작은 소녀의 사진 뒤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 있다.

 

이 작은 소녀는 겨우 여섯 살인데 몇 달 동안 애보개의 역할을 해오고 있다. 거의 모든 어린이들은 등에 아기들을 끈으로 묶어 업고 다닌다.[The little girl is six and has been a ”baby sitter“ for many month. Nearly every youngster has another strapped on his back]”

 

여섯 살 난 여자애가 동생을 업고 있는 모습에 사진사의 시선이 꽂히는 순간이다. 한 집에 일곱 여덟씩의 아이들이 북적대던 우리 어린 시절, 젖먹이 아이들을 업어 키우는 일이야 당연히 형이나 누나들의 몫이 아니었던가. 그런 일을 미국인으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사진의 앵글이나 초점과 메모의 내용을 결부시키면, 사진사의 단순한 호기심보다 따스한 동정과 연민의 정이 느껴지지 않는가.

 

***

 

이 소녀와 아줌마는 지금쯤 이 땅을 떠났거나 고령의 여인으로 어딘가에서 살고 있을 것이다. 어쩜 지금까지도 어떤 미군이 자신에게 카메라를 들이대던 그 시절의 기억을 놓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무슨 인연으로 우리는 이 먼 미국 땅에서 사진으로나마 그들을 만나게 되었을까. 누군들 알았겠는가. 다른 지역에 비해 한국인들이 적은 오클라호마의 잊혀져가고 있는 소도시 박물관에서 사진으로 만나는 우리의 어제가 이토록 내 유년기의 상처를 건드릴 줄을. 1111일 이곳 박물관에서 열리는 퇴역군인의 날[Veteran’s Day]에 우리는 초대를 받았다. 반드시 그들을 만나서 지금의 우리는 기적처럼 일어나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 되었음을 알려주리라. 그들의 마음에 고착되어 있는 625의 기억을 지우고 새로운 대한민국의 이미지를 심어주리라.

 

***

 

다시 한 번 여쭙건대, 어딘가에 살아 있을 이 소녀와 아줌마를 누구 혹시 아시는 분 없으신가요?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