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09. 3. 22. 14:50

1월 30일 오전 8시 마드리드의 젬마 호텔을 나섰다. 날씨는 쌀쌀했으나 하늘은 맑았다. 마드리드 인근 세고비아(Segovia)를 찾아가는 길. 설레는 마음 한 구석으로 서운함이 슬며시 찾아들었다. 스페인에서의 마지막 날. 그간 숨겨 두었던 보물, 세고비아로 향하게 된 것이다.

 호텔로부터 1시간 남짓 달렸을까. 거대한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가 나오고, 그 중심에 그림처럼 아름다운 도시가 참하게 앉아 있었다. 한때 서고트 왕국의 수도였던 해발 1000m 고도(高度)의 고도(古都)였다. 이곳이 양모 산업의 중심이라 하나, 주변에는 밀밭과 보리밭이 드넓게 펼쳐져 있었다.

 맨 처음 찾은 곳은 로마 수도교(水道橋). 유럽 곳곳에 남아있는 수도교들 가운데 가장 아름답다고 평가된다는데, 길이 728m, 높이 28m의 거대한 규모였다. 오늘날처럼 시멘트를 사용하는 대신 화강암 블록만을 2단의 아치형으로 쌓아올려 만든 다리인데, 기원 1세기경 트라야누스 황제시대에 만들었다 하니 그 기술수준의 놀라움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멀리 보이는 푸엔프리아 산맥에서 발원되는 아세베타 강물을 이곳 세고비아로 끌어들였으며, 지금도 수로로 이용되고 있다고 한다. 그들의 놀라운 지혜와 기술이여!

 수도교 앞에는 이곳에서 4대째 이어오는 ‘아기 통돼지 찜 요리’로 유명한 식당이 있었다. 이곳 말로 ‘꼬치니조’라 불리는 요리는 하몽, 빠에자, 아세이뚜나(올리브 절임) 등과 함께 스페인에서 맛보아야 할 4대 요리라 한다. 시내의 시외버스 주차장 광장에는 이 집의 창시자가 동상으로 남아 있었다.

 수도교를 구경한 우리는 비좁은 구시가의 골목을 지나 마요르 광장에 도착했다. 마요르 광장 한쪽에는 카테드랄이 우아하면서도 압도적인 자태로 서 있었다. 카테드랄은 1521년 코무네로스의 반란에 의해 크게 파괴되었으나 그로부터 4년 뒤 카를로스 1세가 재건을 시작해 1577년 완공되었다. 후기 고딕양식으로 전면에 걸쳐 우아함이 넘쳐났다. 구시가의 중심가에서는 이 성당 말고도 로마네스크 양식의 산 미안 성당, 산 에스테반 성당 등이 보였는데, 모두 이 도시를 대표하는 건축물들이었다. 산 미안 성당은 12세기 초에 건축된 것으로 초기 로마네스크 양식을 대표하며 산 에스테반 성당은 13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로마네스크 양식인 점은 마찬가지였다. 특히 산 에스테반 성당의 경우 높이 53m나 되는 종루가 두드러졌다.

 무엇보다 우리를 감탄하게 만든 것은 알카사르의 아름다움이었다. 디즈니의 <백설공주>에 등장하는 성의 모델이라 할 만큼 세고비아의 알카사르는 빼어나 보였다. 에레스마 강과 클라모레스 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우뚝한 바위산에 서 있는 알카사르. 13세기에 축성된 이래 여러 차례의 증․개축이 이루어져 왔다. 원래는 왕실의 중심되는 성으로서 아사벨 여왕의 즉위식과 펠리페 2세의 결혼식이 열리기도 했으며, 후대에 들어와 감옥으로 쓰이기도 하고 무기 제작소로 쓰이기도 했다.

엄청나게 깊은 해자를 건너 알카사르에 들어가니 역대 제왕들의 호화로운 삶이 한 눈에 들어왔다. 언덕 아래의 강물이 아득하게 실낱처럼 보일 정도로 이 성은 전략적 요충이기도 했다. 돈 후안 탑에 오르자 세고비아의 거리와 오고가는 사람들이 또렷이 보이고, 멀리로는 과달라마 산맥이 한눈에 들어오기도 했다.

 멀리 보면 동화 같은 성채가 가까이 다가가 보면 온갖 영화와 우여곡절을 함축한 서사적 문맥으로 인식되는 까닭을 알 수가 없었다. 인간사 모든 것이 ‘보는 거리에 따라’,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이곳 세고비아의 알카사르에서 비로소 깨닫는다.

  ***


스페인에서의 마지막 날이기 때문이리라. 모를 때는 그다지 마음 당기지 않던 곳이었으나, 막상 와 보니 매력적인 곳이 스페인이었다. 곳곳에 널려 있는 역사의 흔적들과 문화의 적층(積層)은 유럽의 어느 국가에 비해서도 뒤지지 않았다. 지중해에서 불어오는 온난하고 습윤한 바람 때문인가, 사람들의 마음을 달뜨게 만드는 매력이 물씬 풍겨났다. 따지고 보면 스페인에 대한 갈증 만 키운 며칠이었다. 그런 스페인을 오늘로 이별한다. 피카소를 낳았고, 세르반테스를 낳은 나라. 많은 예술가들과 문학가, 탐험가들을 낳아 키운 나라. 역사의 도정에서 잠재된 정열을 간혹 활화산처럼 무섭게 터뜨려온 나라. 무적함대로 대양을 누비며 세계를 제패했던 나라...

나는 여기서 무엇을 보고 느꼈는가. 스페인에서 찾아낸 우리의 미래를 생각하며 한동안 고민해야 할 것이다.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위로부터 세고비아 시내 이정표, 세고비아 시가지 원경, 세고비아 로마 수도교, 세고비아 꼬치니조(아기 통돼지 찜)의 원조, 세고비아 대성당, 세고비아 알카사르, 알카사르 앞마당의 John 2세 동상, 알카사르, 알카사르 해자 앞에서, 알카사르, 알카사르 아래 쪽에서, 알카사르 아래쪽에서, 마드리드 시내에서 만난 스페인 남자와 강아지, 프라도 박물관, 프라도 박물관의 고야 동상, 프라도 박물관의 노점상, 마드리드 하몽 전문식당, 마드리드 하몽 전문식당에서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09. 1. 26. 17:20
 

스페인 기행 2-1 : 똘레도의 감동, 그리고 질기게 따라붙는 동키호테



1월 24일. 호텔 레스토랑에서 이른 아침을 먹고 똘레도로 출발했다. 인구 6만 정도의 소도시이지만, 한때 마드리드를 위성도시로 거느리던 스페인의 수도였다. 이슬람 시절에 쌓아올린 가파른 성벽을 금대(襟帶)처럼 타호강이 에둘러 흐르고, 복잡한 시가지 안에는 고급 문화유산으로 그득했다. 스페인이 보유한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은 대충 헤아려도 39점이나 된다. 그 중 35점이 문화유산, 2점은 자연유산, 그리고 나머지가 복합유산이다. 이곳 똘레도는 시가지 전체가 문화유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똘레도 대성당의 대시계문, 아래는 정면>

마드리드에서 버스에 오르니 1시간 10분 만에 똘레도의 웅장한 성채가 눈에 가득 들어왔다. 좁은 언덕길에 올라 버스에서 내리니 붉은 색 벽돌집들이 골목에 빽빽했다. 타호강은 허리띠 혹은 오그린 두 손바닥처럼 사람들의 삶과 온갖 문화유산들을 감싼 채 흐르고 있었다. 그 가운데 굵직한 것들만 꼽아도 대성당, 엘그레코 산또 토메 교회, 산후안교회, 의사당, 산타크루즈 미술관, 알카사르 요새 등등 숨이 차오를 정도. 우리가 찾은 곳은 대성당과 엘그레코 산또 토메 교회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엘 그레코 산토 또메 교회>

 예상대로 대성당은 똘레도의 중심에 있었다. 대성당을 중심으로 광장이 이루어져 있고 그 주변에 상가와 주택가가 질서정연하게 늘어서 있는 모습은 유럽의 다른 나라들에서 확인한 대로였다. 똘레도가 이슬람의 지배로부터 벗어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227년 페르디난도 3세가 착공하여 1493년 알폰소 8세가 완성한 전형적인 고딕식 건축물이 대성당이다. 길이 120m, 폭 60m의 어마어마한 규모에 아연할 수밖에 없었다. 정면에는 하늘을 찌를 듯이 90여m의 두 탑이 세워져 있고, 그 안에 18톤에 달하는 종이 매달려 있다 한다. 수리 중이라 들어갈 수 없는 이 탑은 스페인이 낳은 위대한 화가 엘 그레코의 아들 조르쥬 마누엘(Gorge Manuel)이 세웠고, 내부의 프레스코화나 스테인드 글라스 등은 엘 그레코와 고야 등 거장들의 작품이라고. 

 수리 공사 중인 정문으로는 들어갈 수 없었고, 뒤쪽의 대시계문(Puerta del Reloj)으로 입장한 우리는 장엄한 내부에 또 한 번 놀라게 되었다. 내진(Capilla Mayor), 성가대석(Coro), 참사회 회의실(Sala Captular), 보물 보관실(Tesoro), 성구실(Sacristia), 예배당(Capilla), 회랑(Claustro) 등으로 이루어진 내부는 고전적이면서도 화려했다. 스페인 천주교의 중심인 수석 대교구 성당이 바로 이곳이었다.

 성구실에는 엘 그레코의 <성의의 박탈>, 고야의 <그리스도의 체포>, 모랄레스의 <슬픔의 성모> 등 대작들이 전시되어있어 질적으로 큰 미술관에 못지않았다. 그 옆의 의상실에는 중세 성직자들이 입었던 수직(手織)의 화려한 미사복들이 전시되어 있는데, 역사와 시간을 뛰어넘은 그 모습이 우리에게 큰 감동으로 다가왔다.

 소예배당의 보물 보관실에 전시된 성체 현시대는 또 하나의 놀라운 물건이었다. 금은보배로 장식된 구조물이 대성당에 생명을 불어넣고 있었다. 성현일에 이 성체 현시대를 둘러메고 거리를 순례하는 행사는 지금도 반복된다니, 놀라운 일이다.

 대성당을 나온 우리는 꼬불꼬불한 골목길들을 돌아 산또 토메 성당으로 갔다. 엘 그레코의 명화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을 친견하기 위해서였다. 이 성당을 재건한 오르가스 백작. 그의 장례식에 아우구스티누스 성인과 스테파노 성인이 오르가스 백작의 시신을 안장하는 모습, 그 뒤에 배열한 참배객들의 슬픈 표정들, 정면을 응시하는 화가 자신의 모습, 그림의 뒤쪽에 천국에서 예수와 성모 마리아가 백작의 영혼을 맞이하는 모습 등 매우 인상적이며 감동적이었다. 한 사람의 죽음을 둘러싸고 천국으로부터 두 성인이 강림하고, 하늘나라에서 예수와 성모 마리아가 죽은 자의 영혼을 영접하는 모습 등은 오르가스 백작의 죽음을 둘러싸고 일종의 기적을 염원하는 독실한 신심의 발현이라 아니할 수 없었다. 오르가스 백작이 재건한 산토 또메 성당은 이 그림이 있어 생명력을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똘레도는 중세정신이 살아있는 보물 창고였다. 성채를 빠져나와 바라보니, 타호강 너머에 앉아있는 똘레도 자체가 하나의 요새요 금성철벽이었다. 사실 똘레도의 존재를 전투와 관련시키려면 알카사르 요새를 들지 않을 수 없다. 1538년 카를로스 1세에 의해 개축이 시작하여 1551년 요새의 원형이 이루어졌고, 1936년 스페인 내란 당시 프랑코 파의 주둔지가 되었던 곳. 프랑코파가 인민 전선군에 강하게 저항하던 곳이 바로 알카사르 요새였던 만큼 똘레도는 종교와 함께 정치, 군사적으로 의미가 큰 지역이었다. 우리는 그곳에서 스페인 역사의 영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점심으로 하몽(돼지 넓적다리를 염장한 식품)을 먹은 식당 라 쿠바나는 타호 강을 경계로 똘레도 요새의 맞은편에 있었다. 딱딱하고 맛깔스러운 스페인 빵과 짭짤하고 고소한 하몽 한 점으로 스페인 역사의 질곡을 맛보게 되었다면, 과장인가.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