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궁기'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03.01 춘궁기의 대학들을 위한 변명
  2. 2008.06.09 단옷날에...
글 - 칼럼/단상2010. 3. 1. 10:39
최근 일부 대학들의 ‘호화 입학식’이 경향각지의 언론매체들로부터 연일 뭇매를 맞고 있다. 학교 밖에서 연예인들을 동원하여 축제 형식으로 벌이는 입학식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대학본연의 정신면에서도 결코 용인될 수 없다는 것이 대체적인 여론이다. 사실 적게는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억대의 돈을 들여 축제나 공연형식으로 입학식을 벌이는 현실을 곱게 보아줄 사람은 그리 많지 않지만, 도에 지나친 비판도 없지 않은 듯하다. 누구 못지않게 셈이 밝다고 자부하는 대학의 경영자들이나 교수 직원들인들 대학 밖에서 내세우는 원칙론을 모를 리 없다. 불행한 것은 드러내놓고 말하기 어려울 만큼 복잡한 사정이 현실의 이면에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지금 대학을 바라보는 자가당착적인 시선 하나가 대학인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시대가 바뀌었으니 대학도 적자생존의 논리가 지배하는 무한경쟁의 무대에 과감히 나서야 한다는 논리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그런 사람들일수록 대학의 자유나 자율에는 일정한 선을 긋기 일쑤다. 무한경쟁을 강요하면서도 자신들이 그어놓은 금을 넘어서면 매섭게 나무라는 것이 우리 사회의 모순된 모습이다. 그들은 걸핏하면 선진국 특히 미국의 잘 나가는 대학들로부터 빌려 온 잣대를 들이댄다. 선진국의 대학들과 다른 우리 대학들의 모습을 무조건 비판하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지식인들의 행태다. 미국 사회가 대학들에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얼마나 큰 지원을 하는지는 슬쩍 외면하고, 풍요 속에서 대학의 본질을 추구하는 그들의 행보를 따르지 못하는 우리의 대학들만 나무란다.


한국의 대학들에게 2월은 피를 말리는 ‘고난의 계절’, 일종의 ‘춘궁기(春窮期)’다. 최상위 대학은 예외이겠지만, 그 나머지 대부분의 대학들은 신입생들의 ‘대이동’으로 큰 괴로움을 겪는다. 학생 교육이라는 본연의 업무 외에 수시로 전국을 돌며 입시설명회를 갖는다거나 비싼 이미지 광고로 천문학적인 돈을 쓰는 것이 대학 1년 농사의 큰 부분이다. 그러나 수확이 제법 쏠쏠하다고 생각하는 순간 신입생들은 사정없이 상위 랭킹 대학들로 빠져나가고, 아래쪽에서 올라온 학생들이 그 빈 곳을 채워 나가는 대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교사(校舍) 건축 등 요긴한 곳에 쓰려고 매년 예산을 아껴 모아둔 적립금도 ‘형편 좋은 돈놀이’ 쯤으로 매도되는 현실에서, ‘잡은 토끼들’을 눈 뜨고 놓쳐야 하는 일이 대학으로서는 이만저만 곤혹스럽지 않다. 이른바 ‘미끼학과’가 등장하고, ‘이벤트성 입학식’이 나올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이런 상황이다. 그것이 일견 하지하책(下之下策) 같아 보이지만, ‘어떻게 하면 맘에 드는 인재들을 안 놓치고 내 품 안에 가두어둘 수 있을까?’ 고심 끝에 나온 본능적 전략일 것이다. 틈만 나면 분명히 빠져나갈 줄 알면서도, 그들과 정서적 유대를 맺음으로써 ‘심리적으로나마’ 위안을 얻으려는, 궁핍한 대학가의 곤혹스런 선택일 수밖에 없다.


동시에 그것은 변화되고 있는 이 시대의 문화의식을 암시하는 일이기도 하다. 대중문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라난 신세대들을 붙잡아 두기 위해서는 그들이 대학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올 때 느낄 수 있는 생소함을 최소화 시켜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들이 ‘안온함’을 느낄 때 비로소 소속감을 갖게 된다는 것은 시대의 변화를 체감하고 있는 대학인들만이 본능적으로 알 수 있는 사항이다. ‘저급한 유흥문화의 연장’이라는 논리로 이벤트성 입학식을 무턱대고 비판할 수도 있지만, 대학의 문화와 대중의 유흥문화를 구분하는 일은 화이트(David Manning White)의 말대로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를 구분하는 전통적 엘리트주의자의 편견에 불과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 한국의 대학들은 신자유주의의 냉혹한 현실과 대학의 전통적 본질을 요구하는 사회의 기대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딱한 처지에 놓여있다. 고급문화의 생산자이어야 할 대학이 사회로부터 역류해 들어온 유흥문화의 소비처로 전락해간다는 사실조차 깨달을 여유가 없을 만큼 대학은 생존의 기로에 서 있다. 체질을 강화시키기는커녕 ‘빠져 나가려는’ 인재들을 붙잡아두기 위해 동분서주해야 하는 대학의 현실, 그 복잡한 이면을 읽어주지 못하는 사회인들의 편견이 대학들을 더욱 곤혹스럽게 만드는 요즈음이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08. 6. 9. 21:16
 


 내 생애 쉰 두 번째의 단옷날이다.

분주하게 살다보면 깜빡하는 수도 있으나, 대개 하루해가 저물기 전에 단옷날임을 알게 되고, 내 젊음이 허무하게 지나가고 있음도 깨닫게 된다. 이 날만 오면 반드시 한 토막씩 행사소식이나 기사를 내 보내는 언론 매체들 덕분이다.

 어릴 적 이맘때쯤은 이른 보리 베기와 모내기가 대충 마무리되는 시점이다. 산에 들에 살진 고사리며 수리취 등이 지천으로 자라긴 하나 집집마다 쌀독들은 밑바닥을 드러내던 때이기도 했다. 이른바 보릿고개.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사람들 얼굴에 허옇게 버짐 피어오르는 춘궁기가 바로 이 때였다. 제사 때 메를 지어 올릴 요량으로 숨겨 두었던 몇 홉들이 쌀도 죽음 문턱의 허기에는 남아날 재간이 없었다. 밥 굶지 않을 정도의 집들에서는 거칠거칠한 수수로 수수팥떡을 만들어 아이들로 하여금 생일을 기억하게 하거나, 나처럼 단옷날에 태어난 친구들은 간간이 수리취떡을 얻어먹는 수도 있었다. 가뭄이 들어 모내기를 못하는 해에는 그나마도 생략하는 게 관례였다. 지금 4, 50대 이전 세대들의 어린 시절 이야기,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이야기다.

 50의 문턱을 넘고도 작은 언덕 둘을 넘었다. ‘무정함’이 아니라 ‘무서움’으로 탓할 만한 시간의 빠름이다. 이루는 것 없이 앞뒤로 몇 번 두리번거리다 보면, 뚝딱 한 해가 저 멀리 사라지곤 한다. 읽어야 할 책들은 안두(案頭)에 쌓이는데 눈은 침침해지고, 채워야 할 원고지의 칸들은 빈 바둑판처럼 정연한데 펜 잡은 손에 힘이 빠지고 있으며, 술잔으로 챙겨야 할 친구들은 늘어서 있는데 몸의 나약함은 술을 이기지 못한다. 이기지도 못할 술을 마셔놓곤 “어허 이것 봐라 하늘이 도는구나/뱅글뱅글 물매아미같이/하늘이 돈단 말이/저 놀랍고도 새로운 천문학적 진실 위에/세대의 윤리는 성좌같이 찬연하다”고 너스레를 떤 시인 김동명.   그 역시 술의 힘을 빌려 덧없는 세월의 시름을 달랜 것이나 아니겠는가.


***


 이번 생일엔 제자 아들의 돌잔치에 들렀다가 강화도 전등사를 찾았다. 묘한 대조였다. 터질 듯 말랑말랑한 아가의 볼은 무한한 미래를 잉태하고 있었다. 그러나 꺼칠한 내 볼은 공동체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약속할 수 있단 말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버린 내 청춘을 조상(弔喪)하듯, 여름 장마 같은 궂은비에 흙탕물이 튀었다. 날아갈 듯 호젓한 전등사의 대웅전은 옛날 보던 그대로였다. 세월의 때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빛바랜 단청. 소박하고 솔직해서 좋았다. 그 대웅전은, 칠이 벗겨지기 시작하자마자 냅다 원색으로 덧칠해대는 우리네의 천박함과 달랐다. 이 절의 주지는 누굴까. 그는 어쩌면 그 속진(俗塵)의 굴레로부터 멀리 벗어난 존재인지도 모를 일이었다. 비 오는 날 오후여서였을까. 그 흔한 목탁소리조차 들려오지 않았다. 비에 젖어 몸을 떠는 까치들의 울부짖음만이 가끔 빗소리의 고즈넉함을 깨고 있었다.

 경내 안의 찻집을 찾았다. ‘참 좋은 인연’이라든가, 이름 한 번 그럴 듯 했다. 통나무를 어슷비슷 잘라내어 만든 다탁과 의자에는 선남선녀들이 마주앉아 속삭이고들 있었다. ‘솔바람차’를 시켰다. 그 이름은 누가 지었는지. 수면에 어렸다가 풀어지는 솔향기가 가슴을 적셨다.

 찻집의 인테리어를 뜯어보며 마음속으로 열심히 설계도를 그리는 아내. 새 집 지을 꿈에 부풀어 있으리라. 배산임수의 명당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토방 있는 다실(茶室)을 만들겠노라는 푸진 꿈을 솔향기 속에 갈무리하고 있었으리라. 모처럼 우리는 호사스런 백일몽을 즐길 수 있었다.


***


 50대의 생일은 어떠해야 할까. 선배들은 50대의 생일을 어떻게들 보냈을까. 이 물음들의 해답을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은 우리네 삶의 무게가 갈수록 더해지기 때문이다. 내가 짐 지고 걸어온 길. 자식들에겐 더 큰 짐을 지워주고 싶은 욕망. 아니 그들에게 그런 욕망을 강요하는 우리네 삶. 내 몸에 얽힌 삶의 사슬이 무자비하고, 그들의 어깨 위에 걸린 삶의 무게가 안쓰럽다. ‘훌훌 털고 가볍게 살다 가자!’고 무소유의 삶을 주창한 어느 노 선사를 아는가. 지금 과연 그는 가벼움을 즐기고 있을까. 무거운 짐들을 잔뜩 지고 길 가득 걸어가는 중생들의 땀 흘리는 얼굴을 보며, 과연 그는 홀가분함을 즐기고 있을까.


 갈수록 두 어깨의 짐은 무게를 더하고, 길의 끝 부분 저 먼 곳이 자꾸만 궁금해지는, 내 삶의 기울어버린 한낮이다. (2008. 6. 6.)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