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자'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5.06.10 21세기에 ‘염병’을 치르며
  2. 2007.04.10 자율과 자유
글 - 칼럼/단상2015. 6. 10. 06:47

21세기에 염병을 치르며

 

 

내가 얼굴도 못 뵌 외할머니는 1940년대 초 이 땅을 휩쓴 염병[染病, 장티푸스]의 와중에 동네사람들을 간병하다 돌아가셨다. 당시 염병이 돌자 마을 바깥에 천막을 쳐 놓고 고열과 설사로 신음하던 동네 사람들을 모아놓고 간호하시다가 그 병에 감염되신 외할머니. 모두가 존경하던 여장부이셨다. 그러나 정작 할머니는 누구의 간호도 받지 못한 채 40대 중반에 세상을 뜨셨다. 병원도, 약도, 정부의 도움도 없던 그 시절. 자고나면 사람들이 픽픽 쓰러지던 참상이 몰고 온 건 공포와 절망이었을 것이다. 앞치마를 두르고 가마솥에 물을 끓이시며 마을 밖으로 격리시킨 환자들을 돌보신 것도 어쩌면 그 절망과 공포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일념 때문이었으리라. 토하고 설사하는 환자에게 뜨거운 물이라도 마시게 하고, 배설물로 더러워진 그들의 몸을 닦아내며, 그들이 벗은 옷을 가마솥에 푹푹 삶아 말리시던 할머니. 지금껏 어머니는 눈물을 글썽이시며 그 광경을 말씀하곤 하신다.

 

***

 

2015년의 한 복판에서 우리는 또 다른 얼굴의 염병을 만났다. 물론 그 양상은 당시의 몹쓸 병인 염병과 다를 것이다. 병원도, 약도, 정부의 도움도 없던 그 시절. 식민지 시절 면사무소에 가려 해도 4, 5십리 산길을 족히 걸어야 했다. 그러나 문 열고 나서면 병원 간판들이 즐비하고, 허깨비 같긴 하지만 대통령과 장관들이 있는 이 시절에 감기 비스름한 메르스를 그 옛날 염병앓 듯 하고 있으니, 참으로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날마다 자고 일어나면 메르스 환자의 수를 헤아리기 바쁜 언론 매체들이다. 노란 점퍼에 큼지막한 마스크를 쓴 대통령과 정부 요원들, 하얀 방제복에 모자와 마스크를 참하게 착용한 의료요원들이 화면 가득 일렁대는 모습에서 그 옛날 외할머니의 모습을 찾기란 어렵다. 가마솥에 물을 끓이시며 환자들의 이마를 짚어 주시던 그 모습은 전설이 되어 내 곁에 머물고 있을 뿐이다.

 

햇살에 안개 퍼지듯 우리의 공포심이 사라지면서 이 병도 곧 잡힐 것이다. 역사상 우리는 많은 역병(疫病)들에 시달려 왔다. 나라가 거덜 날 정도로 심한 경우도 많았다. 역병을 경험한 뒤 <<동의보감>>을 만드신 허준 선생 같은 분도 있긴 하지만, 사실 그런 역병들을 극복한 것은 의사나 의료기술이 아니었다. 민중의 마음을 헤아리고 그들의 이마를 짚어주던 무명의 착한 손들이었다. 내 외할머니는 어떤 기록에도 남을 수 없던 시골 아낙이었다. 그저 쓰러져 죽어가는 동네 사람들을 보며 그 공포와 절망감을 떨쳐내야겠다는 마음 하나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여장부였을 뿐이다.

 

***

 

지금 내 외할머니의 훌륭함을 자랑하려 이 글을 쓰는 것이 아니다. 환자가 확인된 뒤 십 며칠 만에 남의 일처럼메르스를 언급했다는 대통령이나 일 처리를 제대로 못 해 허둥대는 정부관리들을 바라보며, 그 한심함에 치가 떨려 몇 자 적고 있을 뿐이다. 외할머니가 마을 밖에 쳐 놓은 차일 안으로 동네 환자들을 옮기고, 가마솥에 물을 끓여 그들을 간호하신 것은 인간에 대한 애정과 공동체에 대한 근심의 발로였으리라. 그 외할머니의 모습에 박근혜 대통령을 갖다 붙이려 해도 자석의 N극과 S극처럼 서로 멀어지기만 하는 것은 왜일까. 우리가 언제나 되어야 '굼뜨지 않고 멍청하지 않은지도자를 만날 수 있을지, 절망감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나날이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07. 4. 10. 15:34
 대학은 국가와 사회의 지도자를 육성하는 곳이다. 지도자란 공동체의 이상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앞서서 사회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경륜과 통찰력을 지녀야 한다. 그런 존재가 되려면 많은 세월이 필요하겠지만, 그 출발점은 대학 교육에 두어야 한다.
 
사실 지금은 원하기만 하면 누구나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말하자면 대학 교육의 대중화가 실현된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대학교육이 대중화 되었다지만, 여전히 대학에 사회 지도자 육성의 책임과 사명을 떠맡기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그러나 책임을 떠맡겼으면 그에 걸맞은 자율을 보장해야함에도 지금까지 역대 정권은 대학을 통제의 대상으로만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정권이 돈이나 각종 제도적 장치들을 통해 대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어온 점에서 대학정신의 퇴보는 당연한 업보라 할 수 있다.
 
우리에게 창립 1세기를 넘는 대학들도 여럿 있으나, 본격적인 대학사의 시작은 반세기 정도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대학을 제대로 발전시켰다면 기간으로 보아 지금쯤 제 구실을 하는 상당수의 대학이 등장할 때가 되고도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대학들이 늘 파행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더 말할 필요도 없이 그동안 정권으로부터 지나친 간섭과 통제를 받아왔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대학 경영의 독자적인 철학을 가질 여유가 전혀 없었던 것이다. 그저 정부가 시키는 대로 정권의 입맛에 맞는 교육만 시켜오다 보니 대학들은 홀로서기를 할 필요도, 할 이유도 없었다.
 
심하게 말하면 정권의 위탁을 받아 타율적인 교육을 해온 게 그간의 현실이었다. 정권의 지시를 외면할 경우 받아야 할 유형무형의 압력과 재정적 손실 앞에서 의연할 수 있는 대학이란 과거에도 없었고, 지금도 없으며, 앞으로 상당기간 없을 것이다. 입시 면접 문항의 내용까지 세밀히 따지는 등 학생 선발부터 졸업까지 현미경을 들이대고 감시하는 상황에서 대학의 자율성을 운위할 수는 없다.
 
철학 없는 신자유주의의 맹신이 대학교육의 황폐화를 가속시키는 현실이나 그 연장선에서 획일적인 잣대로 전국의 학과들을 서열화하겠다는 발상 등을 보라. 이제 대학은 스스로의 진로조차 잡기 어려워진 단계에 접어들었다. 사실 대학은 일종의 ‘성역’이어야 한다. 무한의 책임이 전제된 자유가 자율이다. 자율이 신장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파행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은 성숙의 과정에서 겪어야 할 성장통일 뿐이다. 대학은 자율 속에 커야 한다. <숭실대신문 921호, 4. 17.>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