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시는 말씀> 111년 세월 흘러 내린 시간의 여울에 갈고 닦여 별처럼 빛나는 숭실의 감성을 응시합니다. 이 가을 낙엽 쌓이는 소리를 들으며 숭실 문학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담론하는 자리에 여러분을 모십니다. 2008. 10. 10. 한국문예연구소 소장 조규익 * 주제 : 숭실 문학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일시 : 2008년 10월 24일(금), 오후 2시~5시 * 장소 : 숭실대학교 벤처관 311호 <순 서> ■ 제1부 사회 : 이금란(한국문예연구소 자료조사팀장) 2:00~2:20 개회사 조규익(한국문예연구소장) 축 사 이효계(숭실대학교 총장) ■ 제2부 사회 : 김인섭(숭실대 문창과 교수) 2:20~5:00 숭실 문학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숭실의 시인들, 시적 특질과 그 의미 <발표1> 2:20~2:50 발표: 강경희(숭실대 강사)/ 토론: 이은봉(광주대 문창과 교수) <발표2> 2:50~3:20 발표: 우대식(시인)/ 토론: 엄경희(숭실대 국문과 교수) <휴 식> 3:20~3:30 □ 숭실의 소설가들, 소설적 특질과 그 의미 <발표3> 3:30~4:00 발표: 방민화․허명숙(숭실대 강사)/토론: 조성기(숭실대 문창과 교수) <발표4> 4:00~4:30 발표: 이금란 ․ 차봉준(숭실대 강사)/ 토론: 김미진(소설가) □ 4:30~5:00 숭실문학의 미래(종합토론) 좌장 : 강형철(숭의대 문창과 교수) 윤지강, 김이정, 양영아, 장혜련, 김태용, 조현, 정우영, 김선아 |
TAG 강경희, 강형철, 김미진, 김선아, 김이정, 김인섭, 김태용, 방민화, 숭실문학, 양영아, 엄경희, 우대식, 윤지강, 이금란, 이은봉, 이효계, 장혜련, 정우영, 조규익, 조성기, 조현, 차봉준, 한국문예연구소, 허명숙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