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카'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7.09.30 아, 바이칼!
  2. 2009.07.12 알마티 통신 2 : 알마티에서 만난 고려 시인들 1
글 - 칼럼/단상2017. 9. 30. 15:15

  아, 바이칼!

-고려인들의 한이 서린 산하를 지나며.../5   

                                                                            조규익   

 


우리의 바이칼 탐사는 리스트비양카에서 시작되었다.


식당에서 바라본 리스트비양카 마을 모습


점심 후 들른 스키장(전망대 리프트 출발점)


전망대 가는 리프트 출발점


리프트를 타고 미끄러지듯.


일행 뒷모습


아, 저 숲!


아래를 내려다보니 이쁜 꽃들이! 혹시 구절초인가요?


러시아에만 있다는, '이반차이' 만드는 꽃


체르니셰프스키 전망대에 오르자 드디어 보이기 시작하는 부랴트 족 무속의 증거물


부랴트 족 무속의 증거물


부랴트 족 무속의 뚜렷한 증거물


부랴트 족 무속의 증거물


잠두봉 산악회도 다녀갔군요!

 

 

                                                                                                                        조규익 

    

언제부턴가 바이칼을 만나고 싶었다. 민족의 시원(始源)을 의심하기 시작할 때부터였을까. 호수 물을 쭈욱!’ 소리 나게 들이마심으로써 내 협애(狹隘)한 인식의 천박한 때를 벗겨내고 싶기도 했다. 고려인 강제이주의 발자취를 추체험하는 대장정, 그 한복판에서 바이칼을 만나게 된 것이다.

이르쿠츠크에서 데카브리스트 박물관을 떠난 게 오전 10시 남짓. 한 시간 넘게 달려 바이칼의 한 계곡 리스트비양카(Listvyanka)에 도착했다. 호숫가를 따라 5km나 이어진, 크지만 작아 보이는 마을, 자연과 어울리는 목조 주택들이 정겨운 곳이었다. 언덕배기에 붙여 지은 식당에서 감자를 주 재료로 만든 러시아 음식^^으로 점심을 해결했다. 허나, ‘개똥이 어딘들 없으랴?’ 그곳에서도 고래고래 소리 지르며 행패를 부리는 젊은 중국인 여성과 그 가족을 만났다. 러시아의 한복판에서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음식 값을 내지 않으려 작전을 쓰는 듯한 중국 관광객들을 통해 이제 배 밖으로 삐져나온 중국인들의 간덩이와 몰염치를 그곳에서도 목도했다. ‘러시아에 있긴 하지만 엄청난 바이칼을 친견하고자 온 내겐 시끄럽고 불쾌했으나, 참 볼만한 광경이었다.

 

점심 후 30여분을 달려 국립공원 안의 체르니셰프스키 전망대 행 리프트의 출발지에 도착했다. 겨울에는 스키 객들을 위해, 그 외의 계절에는 바이칼 호 탐승객들을 위해 리프트는 계속 오르내리고 있었다. 앙가라 강이 흘러나오는 지점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체르니셰프스키 전망대에 오르자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바이칼 호수의 진면목이 비록 일부분이지만 드러났다. ‘아름답다는 말은 너무 가벼워 차라리 입을 닫을 수밖에! 굳이 미학으로 따지자면 숭엄미라고나 할까.


전망대에서 호수를 담는 사람들


바다같은 호수가 꿈처럼 펼쳐져 있었다!


김병학 선생이 자신의 감동을 표현했다.


한반도 평화문화제를 지낸다고 했다. 기원의 대상은?


바이칼의 물에 발을 담그는 사람들


호숫가에도 이꽃은 만발해 있었다!


바이칼에서만 산다는 민물고기 오물(omul). 담백한 맛이었다.


구워낸 오물을 안주 삼아 일행과 보드카 한 잔을. 블라디미르 김 선생과 정막래 선생.


호수 물에 흥분한 사람들

 

러시아의 이르쿠츠크와 부랴트 자치공화국의 사이에 위치한, 세계 최고(最高/最古)의 바다 같은 호수. 2,500만 년은 누가 헤아린 역사이며, 최고 수심 1,621m는 누가 헤아린 깊이란 말인가. 주변을 병풍처럼 두른 2,000m 급의 산들은 대체 언제부터 생겨나 호수의 물을 가두고 있단 말인가. 360여개의 강이 흘러 들어오지만, 출구는 앙가라 강 오직 하나 뿐이기 때문일까. 저토록 깨끗한 물은 세계 담수(淡水)1/5에 달하는 양이라고 한다.

 

2,000m 이상의 연봉들로 둘러싸인, 면적 31,722, 길이 620km, 24~79km, 해안선 2,100km 최고 수심 1,642m의 바이칼. 바이칼에서의 우리 민족의 원류를 상상하는 것은 이곳에서 둥지를 틀었다는 인구 40여 만에 달하는 부랴트 족의 샤머니즘과 우리의 그것이 적잖이 겹친다는 이유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누가 매어놓았는지,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산마루엔 형형색색의 끄나풀들이 칭칭 둘러 매여 있었다. 우리가 익히 보아왔던 무당굿의 흔적들이다. 뿐만 아니라 주몽의 탄생지가 이 근처였다는 설들을 귓전으로 들으며, 우리 민족의 발원처가 여기 아니겠느냐는 의문은 확신에 가까운 믿음으로 바뀌어갔다.

 

유람선이 호수 복판으로 다가갈수록 시원의 생명이 풍기는 비린내가 나의 내면으로 차올랐다. 주변의 참한 봉우리들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이곳에서만 산다는 물고기 오물(omul)'은 두껍게 이랑지는 코발트블루를 차고 올라왔다. 조용한 호수의 표면에 팽팽한 긴장이 느껴지는 것도 그 속에 생명들이 깃들어 숨 쉬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람들은 저마다 상념에 젖어 말을 잊어버리고, 호수를 둘러 싼 병풍산들은 흡사 물 한 방울이라도 흘러 나가지 못하게 막으려는 듯 촘촘히도 어깨들을 겯고 있었다. 바람은 살랑살랑 수면을 훑으며 땀에 쩐 여행객들을 위로하고, 저 건너 산 위로 석양은 엷어지고 있었다. 눈 깜짝 사이에 낯선 다음 행선지로 나그네들을 몰아대는 바이칼의 밤이 깊어지고 있었다.


하늘, 구름, 호수


일행들과 함께


물에 비친 산 언덕


물에 비친 산, 그리고 멀리 떨어진 인가들


산, 그리고 물


호수에서 앙가라강이 갈라져 나가는 곳, 그 언저리를 안개가 살짝 둘렀네요! 


고기잡이 배일까요?


호수에서 뒷산을 배경으로...


그 배가 또 오는군요.


호수를 나와 저녁 먹으러 가는 길, 숲에서 티피를 만났다.


사냥꾼들의 티피


여러 채의 티피들이 자작나무 숲에...


돈 받고 말을 태워주는 곳도 있었다.


식당 앞의 즉석 노점상. 주로 차 종류, 열매 종류들이 많았다.


아버지와 함께 노점상으로 나선 이쁜 딸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09. 7. 12. 20:53


까를라가쉬와 헤어진 우리는 한국식당 청기와에서 시장기를 지웠다. 더위에 지친 우리는 천산의 만년설이 잡힐 듯한 곳에 둥지를 틀고 있는 최석 시인을 만나기로 했다. 택시로 30분을 달려 도착한 곳에서 마중 나온 최 시인의 차를 만났고, 함께 하기로 연락된 리 스타니슬라브 시인, 문희권 선생 등을 만났다. 최 시인의 차로 20분 이상을 달려 올라간 산중턱에 빨간 지붕을 한 최 시인의 집이 참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주변엔 과수원이, 저 멀리로 알마티 시가지가, 아득히 펼쳐져 있었다. 알마티 시가지 너머에는 보일락 말락 지평선이 그어져 있고, 발코니에서는 천산의 만년설이 손에 잡힐 듯 가까웠다. 과연 신선이 깃들만한 곳. 아니 내 자신이 신선이 된 듯한 기분이었다. 매연에 절은 인세홍진(人世紅塵)의 추억이 먼 옛날의 일인 듯, 불어오는 바람이 시원하기만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석 시인 집 발코니에서 올려다 본 천산의 만년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석 시인 집 발코니에서 내려다 본 시가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석 시인 집 뜰에 피어있는 아름다운 꽃>

그곳에서 만난 세 시인 모두 고려인 사회의 독특한 존재들이었다. 우선 최석 시인. 논산에서 태어난 그는 1987년부터 무크지『현실시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1989년 시집『작업일지』를 도서출판 청하에서 펴냈으며, 현재 카자흐스탄에서『고려문화』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중견시인이다.

 전남 신안 출생인 김병학 시인은 1992년 카자흐스탄으로 건너와 한글학교 교사, 대학 한국어과 강사, 고려일보 기자 등을 역임했고, 2005년 시집 『천산에 올라』를 도서출판 화남에서 펴냈으며, 2007년에는 『재소 고려인의 노래를 찾아서』Ⅰ과 Ⅱ를 도서출판 화남에서 펴내는 등 카자흐스탄 고려인 사회의 정신적 자취를 발굴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1959년 우슈또베에서 고려인 3세로 출생한 리 스타니슬라브 시인. 그는 1985년 시집 『이랑』을 알마티에서 출판했고, 1997년 제2시집『별들은 재 속에서 간혹 노란색을 띤다』를 출간했으며, 1999년 카자흐스탄 공화국 11학년용 교과서에 그의 시가 수록되었고, 최근 러시아 문학잡지 『유노스찌/청춘』에 그의 시가 실리는 등 문학적 성가를 높이고 있는 중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석 시인 집 발코니에 선 세 시인-왼쪽부터 최 시인, 리 스타니슬라브 시인, 김병학 시인>

보드카의 주향 속에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화의 미래에 관한 이들의 담론들은 무르익어 갔다. 다민족 사회의 소수자인 고려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가, 한글로 문학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고려인들끼리의 갈등을 어떻게 해소해나갈 것인가, 등등. 천산의 만년설은 말없이 굽어보고 있는데, 민족의 미래를 놓고 토론하는 이들의 가슴은 장작불마냥 활활 불타오르고 있었다. 그 불꽃이 걷잡을 수 없이 밀려드는 어둠을 밝히고, 중앙아시아의 평원을 고독하게 걸어가는 고려인들의 앞길을 이끄는 향도가 될 것이다.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