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1. 7. 26. 06:51



*사진 위로부터 코펜하겐 공항 구내에서 만난 덴마크의 '열린 마음', 차창 밖으로 보이는 코펜하겐 거리, 인어공주상, 게피온 분수대에서, 뉘하운 항구의 재즈공연장(현재 재즈페스티벌 중), 아마리엔보 궁전, 코펜하겐 항구 DFDS 선상에서 바라본 크루즈선, 코펜하겐 크라운 플라자 호텔에서의 아침식사, 크라운플라자호텔 인근에서 만난 친환경 아파트(옥상까지 자전거로 올라갈 수 있다 함), 프레데릭 보르 성1, 프레데릭 보르 성2



자연 속에 영글어 온 인간의 꿈, 덴마크



헬싱키 공항에서 비행기를 바꾸어 타고 7월 7일 오후 다섯 시쯤 도착한 코펜하겐 공항.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코펜하겐의 상공엔 흰 구름이 덮여 있었고, 항구엔 하얀색의 크루즈선들이 정박해 있었다. 풍력발전기의 바람개비들은 바다 위에 한 줄로 늘어서 돌고 있고, 그 사이를 날아다니는 갈매기들이 한가로웠다.

‘밖에서 잃은 땅, 안에서 찾자!’고 외치며 실의에 빠진 조국을 구한 달가스(Enriko Mylius Dalgas), 국민교육으로 조국을 구한 그룬트비(N.Fs Grundtvig), 동화를 통해 어린이들의 꿈을 키워준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 실존주의 철학자 키엘케골(Kierkegaard, Soren Aabye) 등. 그들이 만든 나라에 온 것이다. 북위 55도. 우리로 치면 ‘끔찍한 북쪽’이다. 그런데 날씨는 산산하고 밤 11시까지 지지 않는, 대낮 같은 백야의 석양 속에 길거리는 차분했다. 시내 일식집에서 한식으로 저녁을 해결하고 크라운 플라자 호텔에 짐을 풀었다. 꽤 높은 호텔 창밖으로 바다와 시가지가 어우러져 보였다. 호텔의 수돗물은 그대로 마셔도 무방하다는 그곳. 무엇보다 공기가 달았다. 그런데, 물가는 살인적이었다. 동행한 노선생은 자판기의 생수가격을 예로 들었다. 17크로네! 작은 생수 한 병이 우리 돈으로 3,400원이 넘었다. 껌 한 통이 2유로에 가깝다니, 북유럽은 ‘껌값’이란 말도 통할 수 없는 곳인가.

북유럽의 날씨를 보여주려는 듯 다음 날은 종일 비가 내렸다. 빗속에서 김동규가 ‘간지 나는’ 저음으로 들려주는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를 들으며 덴마크를 친견하게 된 흥분을 겨우 잠재웠다. 호텔을 나서자 야산 하나 보이지 않는 평원과 푸른 숲이 끝없이 이어졌다. 해발 170m라니! 아예 산은 없는 셈이다. 남한의 3분지 1밖에 안 되는 땅, 530만 인구에 380여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나라. 대체 굴뚝 하나 안 보이는 숲속 어디에서 87,000달러의 1인당 국민소득이 만들어져 나온단 말인가. 멀리 아름답게 디자인된 건물 사이로 솟은 굴뚝 하나가 보였다. 놀랍게도 쓰레기 소각장이란다. 버스가 뚫고 지나는 녹색의 숲이 덴마크의 오늘과 내일을 보여주는 현장이었다. 평평한 대지에 그득한 삼림, 그 속에 숨듯이 앉아 있는 아름다운 건물들이야말로 그들이 추구해온 그린 프로젝트(Green Project)의 현주소 아닐까.

삼림을 뚫고 나간 곳, 힐레뢰드에 프레데릭스 보르성[프레데릭 2세의 여름별장]이 있었다. 오늘날의 국립역사박물관으로, 1800년대 유명한 칼스버그 맥주회사의 CEO가 재건하여 덴마크 문화재단에 기부한 곳이란다. 눈만 뜨면 변칙 상속, 비자금 조성 등으로 영일이 없는 우리나라 재벌들을 생각나게 하는 곳이었다. 수천억의 재산을 갖고 있으면서도 못 사는 사람들의 것까지 빼앗아야 만족하고,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려 온갖 탈법을 자행하는 우리나라의 재벌들은 이들에 비하면 ‘나무를 갉아먹는 벌레들’일 뿐인가. 프레데릭 보르 성을 보며 ‘많이 벌면 나누어야 한다’거나 ‘문화가 없으면 관대하지 못하다’는 덴마크 재벌들의 철학이 오늘날의 이 나라를 이루었음을 절감한다. 덴마크를 포함한 북유럽 사람들의 행복지수가 세계 최고인 것도 돈과 문화에 대한 열린 사고 덕분이리라.

외레순 해협을 따라 펼쳐진 해안을 따라 조촐하고 조용하게 사는 이 나라 부자들의 실상을 차창으로나마 목격할 수 있었다. 날 좋으면 요트를 타고 바다로 나가 갈매기와 바닷물을 관조하며 혼자 즐기고, 날 궂으면 집 안에서 파티를 즐기는 그들의 단순하면서도 자연친화적인 삶이 차분한 색깔의 집들과 어울렸다. 덴마크의 세계적인 음악가 에드워드 그리그가 30년을 산 마을도 보았고, 우리의 서낭당과 비슷한 문화를 지녔다는 스코스보 마을도 지났다.

그런 다음 우리는 코펜하겐 시내에 로코코 양식으로 지어진 1800년대의 주거지를 보았고, 100년 전 칼스버그 사장이 돈을 내고 조각가 에릭슨과 합작으로 만들어 세운 인어 아가씨도 만났다. 1m 60cm의 아담한 체구인 그녀는 당시 에릭슨의 여친이었던 궁정 발레리나를 모델로 만들어졌다나? 그러나 어릴 적 동화책 속의 그 ‘인어공주’가 내게 심어준 ‘슬픈 아름다움’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뉘하운(Ny havn) 항구는 빗속에서도 붐볐다. 재즈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는지 가설무대에서는 재즈 가수들의 힘찬 노래에 정열적인 몸짓과 타악기ㆍ관악기의 분방한 소리들이 끊임없이 터져 나왔다. 재즈가 미국에서 나왔으나 무대에 올린 건 덴마크가 처음이라니, 그럴 법 해 보이는 순간이었다. 항구의 운하로 관광객을 실은 배들은 쉼 없이 드나들고, 갈매기들의 호위 속에 노천 주점의 서정이 무르익는 곳. 북유럽의 문화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서정적 공간, 뉘하운이었다.

우린 이제 D.F.D.S. SEAWAYS 크라운호[길이 170m, 넓이 28m, 무게 35,498톤, 2,026명의 승객과 450대의 차량을 싣고 덴마크의 코펜하겐과 노르웨이의 오슬로를 왕복하는 페리]에 몸을 싣고, 잔잔한 발트해를 꿈결처럼 미끌어져 갈 것이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09. 6. 25. 05:32


2009년 6월 25일. 타고난 반공주의자(?) 백규의 출현을 알고나 있었던 것일까. 모스크바의 하늘은 잔뜩 흐려 있었다. 6·25의 원흉 구소련은 러시아로 이름을 바꾼 채 목하(目下) 자본주의의 실험을 펼치고 있는 중인데, 백규 일행은 그 심장부 모스크바에서 과거를 발판으로 미래의 가능성을 탐지하고자 이리저리 뛰고 있었다.

***

오전엔 전쟁기념관을 찾아 러시아의 오늘을 있게 한 역사의 질곡들과 만났고, 오후에는 트레챠코프 미술관을 찾아 러시아 미술의 진수를 확인했다. 그리고 저녁에 ‘최후의 고려인’ 정상진 선생과 열망하던 만남을 갖게 되었다. 6·25날에 그 전쟁의 한 당사자였던 인물을 만나게 된 것은 한민족의 일원으로서 쉽게 말할 수 없는 ‘역사의 아이러니’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택에서 정상진 선생과 백규>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함께 살고 있는 따님과 정선생, 그리고 사위>

모스크바 외곽의 울리쨔에 있는 그 분의 아파트로 찾아간 시각이 오후 5시쯤. 함께 살고 있는 사위가 문을 열어주었다. 우리는 반색을 하며 맞아주시는 선생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민족, 이념, 문학을 중심으로 살아온 이야기와 살아갈 이야기들이 그 중심이었다. 그리고 그 핵심은 고려인들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거울삼아 한민족 공동체가 꾸려나가야 할 미래였다.

***

북한의 문화선전성 차관을 지냈고, 6·25에 참전했던 그 분이 김일성으로부터 숙청을 당하여 소련으로 귀환한 뒤, 카자흐스탄 인으로 살아온 세월은 우리 민족의 디아스포라를 몸으로 보여준 사례였다. 사실 그는 2세 고려인으로서 고려 말을 구사할 수 있는 최후의 1인으로 남아있는 셈이었다. 그래서 그런가. 20여 년 간 수십 차례 한국을 왕래하며 한국의 지식인들과 교유해오고 있는 선생임에도 당신의 거처로 찾아온 한국의 교수들에게 하실 말씀이 많은 듯 했다. ‘공산치하에서 살아본 사람은 결코 공산주의자가 될 수 없다’는 그 분의 말씀은 역으로 공산주의를 경험해보지 못한 우리 사회의 이른바 ‘관념적·이상적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경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대들을 만난 오늘이 내 명절이야!’를 반복하시는 90 노구의 지식인으로부터 비로소 ‘탈이념의 민족혼’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 정수를 얻어들을 수 있었다. 고려 말을 하는 고려인들은 모두 사라졌지만, 고려 정신을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바로 지금부터 고민해야한다는 말씀은 큰 울림으로 전해져 왔다.

그것만이 아니었다. 꿈을 키우기 위해 북으로 왔다가 시련을 당한 많은 문인, 예술인들의 삶을 통해 그 체제가 갖고 있던 허위와 기만, 그리고 역사의 아이러니를 고발하고자 하는 의지 또한 읽을 수 있었다. 그러면서 선생은 대한민국에서 누리는 무한한 자유와 민주의 즐거움을 부러워하며, 그것만큼은 소중하게 지켜주기를 소망했다.

***

선생은 2005년에 펴낸 <<아무르 만에서 부르는 백조의 노래>>를 통해 해방공간과 6·25, 대규모 숙청사건에 이르는 북한사회의 이면사를 보여준 바 있다. 선생은 조만간 그 책의 수정·보완판을 내고자 한다 했다. 매우 절제된 구술을 통해 이미 보여준 그 시절의 이면사에 덧붙이고 싶은 말들이 많은 것일까. 아마 ‘덧붙임’ 자체도 극도의 절제를 벗어나지 못할 것임은 ‘정확하지 않은 말’은 모두 잘라버리는 선생의 결벽증으로 미루어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노소(老少) 간에 왕래하는 정담은 좀처럼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가슴을 훑어 내리는 보드카의 주향(酒香)만이 지성의 칼날을 더욱 날카롭게 벼리는 백야(白夜)의 한밤이었다.

2009. 6. 25.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