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4. 8. 19. 23:36

 

 


판카 시티 입구의 'Pioneer Woman 상[1930년 Bryant Baker 작/청동 상]'앞에서

 

 

 


판카 시티 입구의 멋진 집들

 

 

 


판카 시티 'Pioneer Woman Museum' 입간판

 

 

 


'Pioneer Woman Museum' 의 소장품[인디언 의상 및 소품들]

 

 

 


'Pioneer Woman Museum' 소장품[피리 부는 인디언 추장]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의 소장품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 의 소장품

 

 

 


'Standing Bear Museum and Education Center'의 소장품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판카 부족과 가까이 지내던 인디언 부족들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Park' 표지

 

 

 


'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스틸워터의 이웃동네에서 만난 판카(Ponca)인디언들

 

 

 

작년 가을 무렵. 스틸워터에 정착한 지 한 달 반이 지나자 거주지 주변의 것들이 하나하나 마음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멀지 않은 곳에 판카 시티(Ponca City)’가 있다는 말을 들어오다가 캐나다에서 날아 온 큰 아이와 함께 답사에 나섰다. 원래 우리는 폰카로 발음했지만, ‘판카혹은 팡카로 발음하는 이곳 사람들을 따라 판카로 바꾸었다. 집을 나서서 177번 하이웨이에 접어든 후 정북 방향 직선으로 대략 한 시간 반 정도의 거리에 있는, 아름다운 곳이었다. 울창한 나무숲에 숨듯이 들어선 집들은 모두 고급스러워 대체 어디에 판카 인디언들이 있다는 건지 어리둥절할 정도였다. 아칸사 강(Arkansas River)이 감돌아 흐르고 호수[Lake Ponca]가 고여 있어 풍광도 이고, 인구 또한 많지 않은지 거리는 대체로 한산했다.

 

판카 족은 수어족[Siouan-language group] 가운데 데기한 어[Dhegihan language]를 사용하는 사람들인데, 캔자스 주 오세이지 카운티의 오세이지 족네브라스카의 오마하 사람들오클라호마와 네브라스카의 판카 사람들이 사용하던 수어가 바로 데기한 어다. 미 연방정부가 인정한 두 종의 판카 족이 있는데, 네브라스카의 판카 족과 오클라호마의 판카 인디언들이 그들이다. 후자가 바로 우리가 만나러 간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한 부족으로서 원래 오하이오 강 계곡에 살다가 사냥터를 찾아 서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이었다. ‘Ponca’는 칸사(Kansa), 오세이지(Osage), 쿼포(Quapaws) 사이의 한 클랜 명칭으로서 어원상 살인자[Cut Throat]’란 무시무시한 뜻을 갖고 있다 했다. 

 

이 부족 역시 여타 인디언들과 마찬가지로 백인 강제이주 정책에 의한 희생의 역사를 갖고 있었다. 판카 족의 역사는 꽤 길어서 구비전승에 따르면, 컬럼버스가 미 대륙으로 오기 전에 미시시피의 동쪽 지역으로부터 이주했다고 한다. 뉴욕 주에 살던 이로쿼이(Iroquois) 족의 침략을 받아 북쪽에 있던 전통 거주지역을 버리고 오하이오 강 지역으로 밀려났던 것이다. 그 후 거기서 서쪽으로 이동했다는 것인데,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는 것이었다. 1701년 지도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서양 상인들과의 교섭을 지속해 오다가 중간에 천연두가 창궐하여 800여 명 되던 인구가 200으로 줄었으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다시 700으로 회복되었다 한다. 평원에 사는 대부분의 다른 인디언들과 달리 이들은 옥수수와 채소들을 재배했고, 바이슨 사냥을 하며 살았다.

1817년의 평화조약을 필두로 1865년까지 판카 족은 미국정부와 여러 차례 조약들을 맺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자신들의 주권과 영역을 지키기 위해 애썼다. 특히 조약을 맺는 과정에서 미국의 실수로 자신들의 땅을 다 잃어버리게 되는 위기를 맞게 되자 이들은 미국 정부의 방침에 대항하여 집단 거주지로 이주하지 않는 방법을 쓰게 된다. 미 의회가 1876년 강제로 북쪽의 여러 인디언 부족들을 현재 오클라호마의 집단 거주지로 옮기기로 결정했음에도 새 보호구역이 농사에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거부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결국 강제로 옮겨야 했고, 새 땅에서 판카 족은 말라리아와 더운 날씨, 식량 부족 등으로 고생하다가 첫해에만 25%의 부족원들이 세상을 떠나는 비극을 당하기도 했다.

 

1877년 인디언 구역의 쿼포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된 뒤, 판카 족은 아칸사와 솔트 폭 강에 접한 자신들의 땅으로 이주했으며, 동친혈연(同親血緣) 주민들은 티피(tipi) 마을을 구성했고, 혼혈 주민들은 치카스키아 강 언저리에 정착하게 되었다. 판카 지도부가 미 정부에 맞서는 동안 미국 정부는 커티스 법(Curtis Act)으로 부족의 정부를 해체하고 타 부족들과의 동화를 강요하면서 1891년과 1892년의 도스 법(Dawes Act) 아래 개개 구성원들에게 보호구역의 땅을 나누어 주었고, 분양 후 남은 땅은 인디언 아닌 사람들에게 팔 수 있도록 했다. 오클라호마 주가 성립된 후 나머지 판카 땅들은 풀려서 101개의 목장의 주인들에게 팔렸고, 판카 주민들은 이곳에 고용되기도 했다. 1911년 판카 족의 땅에서 원유가 발견되면서 수익을 얻었으나, 정유공장들이 아칸사 강에 폐유를 방류함으로써 환경에 재앙을 입기도 했다. 1950년에는 오클라호마 인디언 복지법에 의거, 판카 족은 새 정부를 만들었고, 같은 해 920일에는 부족 헌법을 만들기도 했다. 판카 족 행정의 중심은 오클라호마 주의 화이트 이글(White Eagle)에 있으며, 현재 판카 족 인구는 4,200명에 달한다.

 

현재의 판카 족이 안정을 찾기까지 미국 정부와의 투쟁에서 중심 역할을 한 인물이 바로 스탠딩 베어(Standing Bear)라는 인물이었다. 사실 판카 족을 찾아 온 우리도 그의 행적과 모습이 궁금했다. 여느 인디언 추장도 마찬가지였겠지만, 그 역시 강제이주에 격렬히 저항했다. 심지어 그의 큰 아들이 죽을 때 그는 부족의 조상 땅에 묻어주겠다는 약속을 할 정도였고, 실제로 그는 보호구역에서 판카 족의 고향으로 되돌아가다가 체포되어 포트 오마하에 구금되기도 했다. 미국 정부의 허락 없이 보호구역을 이탈했다는 이유였다. 그의 체포와 구금에 많은 사람들이 법정 투쟁으로 그를 도왔고, 뛰어난 두 명의 변호사가 무료로 소송을 대리해 주기도 했다. 1879년 네브라스카의 오마하에서 열린 재판에서 미 연방 지방법원은 사상 최초로 미국 인디언들도 미합중국 법 안의 사람들임을 인정하게 되었고, 그 결과 그들은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쟁취하게 된 것이다. 말하자면 스탠딩 베어가 보여준 불굴의 저항 덕분에 결국 그들은 자신들의 법적인 권한을 얻게 되었던 것이다.

***

과연 우뚝 서서 내려다보고 있는 스탠딩 베어의 모습에서 비장함이 느껴졌다. 미합중국 정부의 부당한 명령에 목숨을 걸고 항거함으로써 자신의 부족은 물론 여타 인디언들이 보편적인 생존권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그는 인디언 사회의 진정한 영웅이었다.

석양을 등지고 서서 주변을 압도하는 그의 거대한 동상을 바라보며 특정 부족이나 민족의 미래를 개척하는 지도자의 온당한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백인들과 여타 부족들이 섞여 살아가고 있는 그 공간에서 스탠딩 베어의 정신 덕에 판카 족은 인디언 사회로부터 존경받고 있음을 진하게 느낄 수 있었다.

 

 

 


Standing Bear 상-'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오세이지 족에 대한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물건 명칭-'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물건 명칭-'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어 문장과 뜻-'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부족 서사시-'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톤카와 부족의 문장-'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오세이지 네이션의 문장-'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판카 족에 대한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스탠딩 베어에 대한 전자 설명-'Standing Bear Native American Memorial Park'

 

 

 

 


Waynoka에서 일박을 한 체로키 인

 

 

 

 


웨이노카 숙소 앞의 소박한 식당-Cherokee Station

 

 

 

Cherokee Station의 저녁식탁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1. 8. 17:26

 

 

 

 


영화 <아파치 요새>의 포스터

 

 


영화 <론 레인저>의 포스터

 

 

 
<아파치 요새>에서 좌측이 헨리 폰다(Henry Fonda), 우측이 죤 웨인(John Wayne)

 

 


<아파치 요새>의 한 장면

 

 

 
영화<론 레인저>의 한 장면. 왼쪽이 쟈니 뎁(Johnny Depp), 오른쪽이 아미 해머(Armie Hammer)

 

 


<론 레인저>의 한 장면

 

 

 

 

 

서부지역 인디언들과 대평원[The Great Plains]

 

 

 

 

하이틴 시절부터 이 나이까지 영화를 그리 많이 접하지는 못했지만, 그나마 그 가운데 기억나는 것들은 헐리웃에서 만들어진 서부영화들이다. 이름을 다 기억할 수 없는, 비슷비슷한 내용들이었으나, 관통하는 서사구조는 단 하나 선악의 대결이었고 주제는 미국 판 권선징악이었다. 선을 대표하는 백인들은 늘 당당하고 정의로우며 멋있었던 반면, 악을 대표하던 인디언들은 늘 무지(無知)무명(無明)무뢰(無賴)의 저급한 무리들이었다. 미국 인디언들에 대한 세계인의 편견과 무지는 이처럼 대부분 서부영화들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넓고 아름다운 땅에서 평화롭게 살던 그들을, 어느 날 웬놈들이 밖에서 뛰어 들어와 채찍을 휘두르며 한 구석으로 몰아넣고, 그들의 땅을 차지해 버린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천추만대 원한에 사무칠 일인데, 전 세계의 코흘리개들도 다 보는 영화에 가해자인 백인들은 정의의 사도로, 피해자인 자신들은 몹쓸 불한당(不汗黨)으로 그려냈으니, 그 통탄스러움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내 기억으로는 20055월에서야 미국의 상원은 인디언 6천만 학살에 대한 사과를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들의 죄가 어찌 사람 죽인 일뿐일까. 당시로서는 몹쓸 땅에 그들을 짐승처럼 몰아넣은 점까지 계산하면, 그 죄가 하늘에 닿고도 남을 백인들이었다. 나찌 독일이 죽인 이스라엘 사람들이나 왜인들이 전쟁터로 광산으로 징발하거나 허물을 뒤집어 씌워 죽인 우리 민족의 숫자도 엄청나지만, 당시 총인구 5천만~1억을 헤아리던 인디언들 가운데 살해된 비율이 80~90%라니, 아무리 컴퓨터가 발달했다 한들 미국 백인들의 끔찍한 죄악을 어떻게 계산해낼 수 있단 말인가.

 

그럼에도 그런 사건으로부터 무려 2백년이나 지나서야 이제 사과나 해볼까?’하고 궁시렁 거리며 나섰고, 그로부터 5년의 세월이 더 흐른 2010년에 이르러서야 공식적으로 사과하기에 이르렀으니, 만시지탄(晩時之歎)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워싱턴 D.C. 의회 묘지에서, 체로키촉토무스코기포니시스턴와페톤오야테 등 5개 부족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캔자스 출신의 공화당 상원 샘 브라운백 의원이 사과결의문을 낭독함으로써 의회 차원의 공식적인 사과를 했다. 그 전 해 11월에도 오바마 대통령은 564개 부족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디언들에 대한 그동안의 횡포와 잘못된 정책에 대하여 사과하고 그들로 하여금 아메리칸 드림을 이룰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과거에도 정부로부터 무수한 약속을 받았으나 그 약속이 한 번도 지켜진 적이 없음을 잘 알고 있는 인디언들로서는 이번에도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있을 것이다.

 

나는 이 글에서 미국 정부가 인디언들에게 진작 공식적으로 사과를 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게 아니고, 사과를 늦게 한 데 대하여 문제 삼으려는 것도 아니다. 그렇게 억울한 세월을 보내고 있는 인디언들을 눈곱만큼이라도 배려했다면, 각종 매체에 등장하는 그들의 이미지라도 진실에 가깝게 만들거나 긍정적으로 묘사했어야 하건만, 서부영화 같은 매체들에서 보듯이 그들의 모습은 스테레오 타입이라 할 정도로 왜곡되어 온 게 사실이다. 그 점이 제삼자인 내가 보기에도 지나치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이다. 미국에는 현재 나바호(Navajo), 체로키, (Sioux) 등 규모가 큰 종족들을 포함, 564개 종족에 3백만 이상의 인디언들이 살고 있다. 그 가운데 비교적 소수부족으로서 서부영화들에 단골로 등장한 종족이 아파치(Apache)와 코만치(Comanche).

 

대부분의 독자 여러분은 <아파치 요새(Fort Apache)>라는 영화를 보신 적이 있을 것이다. 1948년 죤 포드(John Ford) 감독이 만들었고, 죤 웨인(John Wayne) 및 헨리 폰다(Henry Fonda) 등 명 배우들이 출연한 영화인데, 인디언에 대하여 비교적 따스한 관점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서부영화들과 구별된다고 한다. 감독은 주인공인 요크 중령[죤 웨인]을 통해 아메리카 인디언 특히 아파치 족에 대한 인간적 관점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말하자면 이 영화는 종래 사납고 공격적이며 대화가 통하지 않는아파치를 동정적포용적 관점에서 바라 본 사례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오래 전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인디언을 바라보는 시선이 비교적 긍정적인데, 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이 영화를 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또 하나. 미국으로 떠나오기 직전인 작년 7월 하순 경, 한국에서는 론 레인저(The Lone Ranger)’란 영화가 상영되고 있었다. 쟈니 뎁(Johnny Depp)이 열연한 주인공 톤토(Tonto)는 바로 코만치 인디언이었고, 영화의 배경은 캘리포니아유타콜로라도 애리조나뉴멕시코 등이었는데, 이 가운데 콜로라도와 뉴멕시코는 그레이트 플레인즈에 포함되는 공간이었다. 악령을 몰아내는 능력을 지닌 톤토는 죽기 직전의 외로운 레인저존 레이드(John Reid)를 살려냄으로써 결국 그들은 환상의 콤비를 이루게 된다. 거칠 것 없는 드넓은 황야에서 그들이 보여주는 현란한 액션들은 코만치 인디언인 톤토와 백인 레인저 존 사이에 교감되는 우정의 깊이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백인들과 인디언들이 함께 살아갈 수 있다는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코만치 추장 빅베어(Big Bear)의 말[‘우리 시대는 사라졌네. 백인들은 그걸 발전이라 부르는 모양이네만.’]이 추가되면서 그간 스테레오 타입으로 고착된 백인과 인디언의 이미지 혹은 양자관계의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한다는 반성이나 의식 또한 새롭게 제기된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리라.

 

***

 

인디언을 찾아다니기 몇 달 만에 대평원의 주인공 아파치와 코만치, 그리고 카이오와를 만나게 되었다. 이들이 바로 대평원의 주인들이었다. 오클라호마 동북쪽에 '대초원[Tall Grass Prairie]'이 있다면, 서남쪽에는 '대평원[The Great Plains]'이 있다. 그렇다면 대평원은 어떤 공간인가. 알버타(Alberta), 새스캐치원(Saskatchewan), 매니토바(Manitoba) 등 캐나다 남부를 포함, 몬태나(Montana)노쓰 다코타(North Dakota)사우쓰 다코타(South Dakota)와이오밍(Wyoming)네브라스카(Nebraska)콜로라도(Colorado)캔자스(Kansas)뉴멕시코(New Mexico)오클라호마(Oklahoma)텍사스(Texas) , 로키산맥(Rocky Mountains)과 미시시피강(Mississippi) 사이의 미국 땅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남북 간 길이는 3,200 km, 동서의 폭은 800 km, 면적은 1,300,000 이니, 남한 면적[99,538 ]13배에 달하는 거대한 공간이다. 오클라호마의 경우 대평원은 주 전체 면적의 60%나 차지할 만큼 거대하다. 그 안에 카이오와, 아파치, 코만치 등의 집단 거주지가 있었다. <다음에 계속>

 

 


워싱턴 D.C.의 미 의회 묘지 

 


캐나다에서 미국 남부까지 걸치는 대평원(The Great Plains)

 

 


대평원의 한 부분

 

 


대평원 한 가운데를 달리는 하이웨이

 

 


대평원의 바이슨 무리

 

 


대평원의 한 부분

 

 


카이오와, 아파치, 코만치의 집단 거주지를 찾아.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12. 30. 14:37

 

 

 

교육으로 일어선 촉토 족의 어제와 내일(1)

 

 

 

치카샤 땅인 티쇼밍고를 거쳐 촉토 땅인 듀랭(Durant)에 들어섰다. 이곳 사람들은 듀랭이 오클라호마 시티나 털사 이외의 지역들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도시들 가운데 하나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특히 도심으로부터 겨우 10마일 이내에 미국 최대 인공호수들 중의 하나인 텍소마 호수(Lake Texom)가 있어 매년 8백만~1천만의 관광객이 몰리며, 해마다 메모리얼 데이에 이어 열리는 목련 축제에도 대규모의 관광객들이 밀려들 만큼 매력적인 도시라고 했다. 무엇보다 우리가 찾는 촉토 네이션의 본부[headquarter]가 있었으며, 규모 또한 촉토 네이션 안에서는 맥컬레스터[McAlester] 다음으로 큰 도시였다. 특이한 점은 주 의회에 의해 오클라호마 목련의 수도로 지정되었다는 점인데, 목련 축제 역시 그런 공식적인 인정에 의해 열리는 행사였다. 이곳에 있는 남동부 오클라호마 주립대학[Southeastern Oklahoma State University]’의 캠퍼스는 천 개의 목련꽃 캠퍼스[The Campus of a Thousand Magnolias]’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이 도시는 오클라호마 주 안에서 목련꽃의 본고장인 셈이었다.

 


듀랭의 다운타운

 


듀랭 시가지에서 만난 의자. '듀랭'이란 글자를 아래쪽 햇살무늬와 어울리게 디자인한 점이 돋보임.

 

그러나 도시의 첫인상은 그리 밝거나 윤택하지 못했다. 한켠에 괴물처럼 서 있는 엄청난 규모의 회색 공장[정확한 것은 아니나 시멘트 공장 같은 느낌을 주었음]은 도시를 우중충하게 만들었으며, 다운타운의 상당수 비어있는 건물들도 기름기가 빠져 부분적으로 폐허와 같은 느낌을 주었다. 중소도시들의 경기가 나빠지자 사람들이 대도시로 이사 간 뒤 남겨진 집들을 처리하지 못한 까닭일 것이다. 관리되지 않는 빈 집은 도시 전체의 활력을 갉아먹고 있었다. 어떤 건물은 전통음식점으로 탈바꿈 되어 생명을 이어가는, 다행스런 모습도 보였으나, 전체 분위기를 추스르지는 못했다. 비교적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서 있는 신시가지의 호텔에 잠자리를 정하고, 그 인근에서 저녁 한 끼를 해결한 우리는 이 도시에 큰 기대를 하지 않기로 했다. 아침 일찍 인근의 포트 와쉬타(Fort Washita)삼강 계곡 박물관[The Three Valley Museum]’을 본 다음 다시 1박을 하게 될 아이다벨(Idabel)로 달려가기로 한 것이다.

 

사실 치카샤와 마찬기자로 촉토도 넓은 땅이었다. 원래의 면적을 반분하여 치카샤에게 넘겨 주고 남은 땅이었고, 평원뿐인 오클라호마 주에서 보기 드물게 산악[그렇다고 아주 높거나 험준하지 않은] 지역이 많다는 점 또한 특이했다. 대표적으로 Fort WashitaFort Towson 등의 군사기지들이 있을 만큼 고지대였고, 동북쪽으로 이어지는 산악을 따라 수많은 호수들, 계곡들을 기반으로 하는 주립공원들이 집중된 곳이 바로 촉토 네이션이었다. 촉토는 이런 지형을 가진 11개의 카운티[휴즈(Hughes)/코울(Coal)/아토카(Atoka)/브라이언(Bryan)/피츠버그(Pittsburg)/하스켈(Haskel)/래티머(Latimer)/푸쉬마타하(Pushmataha)/촉토(Chocktaw)/르 플로어(Le Flore)/맥커튼(McCurtain)]에 총 인구 256,598, 29,594 km, 치카샤에 비해 인구는 적으나 면적은 약간 큰 규모였다.

 


최신 지도에 표시한 촉토 네이션 관내 카운티들

 


촉토 네이션 내 각 카운티 분할도

 


촉토 네이션의 강, 호수. 도시 등이 표시된 지도

 


촉토 네이션의 관내 카운티 표시 지도

 


1800년 당시 촉토 족 영역

 

***

 

그렇다면 촉토 족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치카샤 지역에서 만난 어떤 지식인은 촉토 족이 원래는 자신들과 동조동근(同祖同根)이었다가 나중에 갈라졌다고 했으나, 나는 아직 문헌으로 확인하지 못했다. 그들은 무스코기 어족[Muskogean Linguistic Family]의 일원이고, 유럽에서 건너 온 백인들과 접촉하기 전까지 천년 이상을 미시시피 강에서 번성하던 마운드 빌딩[mound-building, 무덤이나 흙 둔덕을 남긴 선사시대 북미 인디언 제 부족의 건축양식]’옥수수 주식 기반[maized-based]’ 사회에 뿌리를 둔 부족이었다. 그들 역시 치카샤와 마찬가지로 에르난도(Hernando de Soto)가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와 피나는 싸움을 벌이기도 했으나, 그로부터 2세기 뒤에는 유럽의 무역상들을 받아들여 거래하기 시작했다. 당시는 워싱턴 대통령이 인디언 부족들을 통합하여 유럽계 미국인 문화에 적응시키고자 했고, 많은 촉토인 들도 이미 백인들과 결혼하기 시작했으며, 기독교를 신봉하거나 백인들의 관습으로 전환하기도 했다. 이런 이유로 촉토는 체로키, 치카샤, 크리크, 세미놀 등과 함께 문명화된 다섯 종족[Five Civilized Tribes]’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당시 촉토족의 오두막집

 


1830년대 이전 촉토족의 움집

 

다른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역시 눈물의 여정[Trail of Tears]’을 겪었다. 촉토는 1786호우프웰의 조약[Treaty of Hopewell]’을 시작으로 남북전쟁 이전 이미 미국정부와 9개의 조약을 맺은바 있었다. 물론 모두 미국과 촉토족 사이의 경계를 확정하거나 평화적인 관계를 수립하자는 것이 그 조약들의 공통된 목적이었다. 그러나 그 후 미국 정부는 촉토와의 경계선을 재조정하거나 심지어 촉토로 하여금 수백만 에이커의 땅을 포기하도록 강요하기도 했다. 결국 1830년 미국 정부는 조상 대대로 물려 내려온 촉토 땅을 빼앗고, 미시시피 강 서쪽 인디언 구역에 그들을 몰아넣고 말았다. 그곳으로 옮기는 과정이 바로 눈물의 여정이었고, 그 여정 중에 2,500여명이 죽었다. 그런 쓰라림을 겪은 그들이었지만, 그들의 심성은 모질지 않았다. 새로운 땅에서 필사적인 노력으로 생업을 일으켰고, 자신들의 새로운 헌법과 자치제도를 만들었다. 학교와 교회들을 세웠고, 감자 흉년으로 기근이 들었을 때에는 돈을 거두어 고통을 함께 하기도 했다.

 


촉토족이 겪었던 '눈물의 여정' 그림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들이 미국정부를 원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혼이나 교육을 통해 미국인이 되기 위해 노력했고, 1차 세계대전에는 많은 부족의 젊은이들이 참전하여 큰 전공을 세웠으며, 한국전에도 많은 젊은이들이 참전하여 이들 중 전사한 사람도 16명이나 된다는 것이었다.[‘미국통신 41’ 참조] 특히 1차 세계대전에는 촉토어가 연합군의 암호로 채택됨으로써 암호 해독병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활약했으며, 그 중 다섯 명은 대통령의 훈장까지 받게 되었다고 한다.['미국통신 41' 참조]

 


1차대전에 참여하여 큰 공을 세운 촉토 족 암호해독병 기념 메달

 

***

 

우리는 아침 일찍 포트 와쉬타(Fort Washita)를 찾아 이곳에서 같은 국민들이 편을 갈라 싸운 전쟁의 참화와 비극을 확인하기로 했다. 다운타운에서 진지까지 30분 정도 걸리는 길은 호수와 숲이 어우러진, 환상적인 경관의 연속이었다. 전적지 문을 들어서자 사방에 밑동만 남은 채 당시의 건축물들은 대부분 사라지고 없었다. 사무실로 들어가자 안내원이 남군과 북군으로 갈려 싸우던 당시의 상황을 특유의 남부 사투리로 실감나게 설명했다.

 


포트 와쉬타 정문

 


포트 와쉬타 전시 및 행정실


안내원의 설명을 듣고나서

 

설명을 들은 후 우리는 전쟁의 폐허를 직접 만져 보기로 했다. 참호들, 중대 막사, 포대, 주방 등이 곳곳에 널려 있었고, 전몰자들을 묻은 공동묘지가 한켠에 있었다. 그리고 골드 러쉬(Gold Rush)’ 당시 캘리포니아 행 열차가 이곳에서 출발했음을 알려주는 객차 한 량도 전시되어 있었다. 드넓은 황야에서 돈을 캐러몰려다니던 당시 백인들의 충혈된 눈동자가 폐허들 곳곳에 박혀 있는 듯 했다. 전쟁 당시 이곳 인디언들은 남부 연합군에 소속되어 있었고, 그들 가운데서 장군까지 배출되었다. 돈이 많고 대오(隊伍)가 정렬되어 있던 북군과 달리 옷도 장비도 시원치 않고 무엇보다 훈련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을 남군의 초라한 모습이 벽면 가득 그려져 있었다. 이 진지에도 인디언의 흔적은 그렇게 남아 있었다.

 


남북전쟁 당시 북군의 복장

 


남북전쟁 당시 남군의 복장

 


유적지에서 나온 연장들

 


남북전쟁에서 전사한 용사 Darrel Lamar의 묘

 


남북전쟁에 참여한 벨크납(W.M. Belknap) 장군의 묘와 기념비

 


골드러쉬 당시 캘리포니아로 떠나던 열차의 한 부분.

 


전쟁 당시 사용하던 우물

 


남북전쟁 때 남부연합군의 더글러스(Douglas Hancock Cooper)장군이 기거하던 집

 


남북전쟁 때 남군의 중대 막사


 

우리는 듀랭의 다운타운으로 귀환하여 앤틱 풍의 식당에서 이곳 전통음식으로 시장기를 지운 뒤 삼강계곡 박물관[Three Valley Museum]’을 찾았다. 삼강(三江)이란 ‘Blue River, Red River, Washita River’ 등인데, 1976년 개관한 이 박물관의 이름은 듀랭에 관한 맥 크리어리(McCreary)의 책 “Queen of Three Valleys”에서 따왔다고 한다. 듀랭 역사학회에 의해 운영되는 이 박물관의 핵심 컬렉션은 생활사 자료들이었다. 1873년에 시작된 브라이언 카운티와 듀랭을 대표하는 박물관을 만드는 것이 이 학회의 목표로서, 이곳에 소장전시된 모든 컬렉션들은 시민이나 관광객들, 연구자들이 모두 즐기고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는 것이 안내원의 설명이었다. 그러나 안내원의 설명에 비해 실제 컬렉션들은 우리가 이미 보아 온 지역의 어느 박물관에 비하더라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낫다고 할 만한 것들이 없었다. 그런 실망감 속에 박물관을 떠나 촉토 네이션 본부와 다운타운을 둘러 본 다음 듀랭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계속>

 


듀랭의 다운타운에서 만난 이 도시의 전통음식점[Main Street Barbecue]

 


Main Street Barbecue에서 주문을 받고 있는 종업원 Hailey양. 매우 친절하고 상냥하고 명랑했음.

 


듀랭 다운타운의 '삼강계곡 박물관'[Three Valley Museum]

 


박물관에 전시된 농기구

 


박물관에 통째로 기증, 전시되고 있는 'J.R.Jarrell & Co.'사무실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 옛날 우체통

 


박물관에 전시중인 옛날 솜틀기계

 


듀랭에 있는 촉토 네이션 본부

 


듀랭에 있는 Bryan County 청사

 


전 세계의 전장에서 죽은 이 지역 군인들의 명단을 새겨 놓은 비석

 


전몰용사들을 추모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 브라이언 카운티 재향군인회

 


포트 와쉬타 전시실에서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