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다리 짚어온 대학개혁
우리는 개혁을 지나치게 좋아한다. 개혁이 무언지도 모르면서 개혁이라면 사족을 못 쓴다. 마누라만 빼고 모두 바꾸어야 한다고 열을 올리는 사람도 있다. 가관인 것은 개혁의 대상이 주체를 자처하고 나서는 일이다. ‘남의 눈에 든 티는 보면서 제 눈에 든 대들보는 보지 못하는’ 사람들이 칼자루를 휘두르는 세상이다.
노무현 정권이 들어서고 나서 부쩍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항간에는 이 정권의 풋내기들이 할 줄 아는 것이 ‘개혁’ 이란 말밖에 없다고 비판한다. 그래서 우리에게 개혁은 이미 ‘한물 간 유행가’로 전락했다. 대학에 몸담고 있으면서 지겹게 듣는 구호가 ‘대학개혁’이다. 흡사 개혁 강박증에 걸린 사람들처럼 자고 나면 개혁해야 한단다.
모조리 새 것으로 바꾸자는 말일 텐데, 정작 버려야 할 자신들만은 예외로 두는 그 논리가 고약하다. 그러니 해가 갈수록 대학사회는 개혁과 멀어진다. 우리는 정말로 대학이 무엇을 개혁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저 ‘남이 장에 간다고 하니 거름 지고 나서는’ 격이다.
결론부터 말하자. 지금 대학에서 개혁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구성원들이 제 자리만 찾으면 된다. 총장은 총장의 할 일을, 교수는 교수의 할 일을, 직원은 직원의 할 일을, 학생은 학생의 할 일을 제대로만 하면 된다. 요즘 들어 우리나라 대학들은 비전이나 구호 내걸기를 좋아한다. ‘구호 좋아하는 놈’ 치고 제 일 제대로 하는 놈, 역사에 있어본 적이 없다. 제 일 제대로 못하면서 남들 보고 잘 하자고 외치는 놈 치고 변변한 인간 없다는 게 고금의 진리다.
대학을 대학답게 놔둔 역사가 없었다는 것, 대학을 대학답게 지켜낸 대학인들이 없었다는 것, 제 일 제대로 하는 대학인들이 없다는 것. 이것들이 우리의 문제다.
중세 말엽 유럽에서 대학은 시작되었고, 대학의 이념이나 정신 또한 그 시기에 싹을 보였다. 그들의 정신은 자율과 자치를 바탕으로 한 보편성의 추구에 있었다. 완벽한 자유를 전제로 하는 자율이나 자치, 그것이 변함없는 대학정신이다.
그러나 지금 오도된 신자유주의 탓에 대학은 어설픈 교양인만 양산하고 있다. 젊은이들을 전인(全人)으로 키우는 것이 대학의 사명이고, 무한한 가능태의 인간상이 전인이다. 최근 일부 기업들이 대학에 '맞춤형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그야말로 대학의 정체성에 대한 놀라운 도전이며 대학 말살의 흉계다. 전인을 만들기는 어렵고 시간도 많이 들지만, 기능인은 단 기간에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런 기능인들을 끌어다 한동안 써먹곤 쓰레기처럼 버리는 것이 한국의 기업들이다.
상당수의 대학인들은 기업의 요구에 맞추어 주는 것이 대학개혁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의 입맛과 눈치를 살피느라 전전긍긍이다. 그러면서 열심히 헛구호, 헛 비전만 남발한다. 빈 수레가 요란한 격이랄까. 대학개혁이란 별 게 아니다. 그동안 교수노릇 잘 못 했으면,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가르치고 연구하면 된다. 직원 노릇 잘 못 했으면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학교 행정에 헌신하면 된다. 잘 하는 교수·직원들 포상하고 연구비나 ‘삥땅 쳐 먹는’ 교수라면 가차 없이 자르는 것도 총장의 할 일이다.
수십 년 간 부르짖어온 대학개혁이 허사였다면, 바로 정신 못 차린 우리에게 그 원인이 있다는 점을 깨달아야 비로소 개혁의 꿈★은 이루어진다.
우리는 개혁을 지나치게 좋아한다. 개혁이 무언지도 모르면서 개혁이라면 사족을 못 쓴다. 마누라만 빼고 모두 바꾸어야 한다고 열을 올리는 사람도 있다. 가관인 것은 개혁의 대상이 주체를 자처하고 나서는 일이다. ‘남의 눈에 든 티는 보면서 제 눈에 든 대들보는 보지 못하는’ 사람들이 칼자루를 휘두르는 세상이다.
노무현 정권이 들어서고 나서 부쩍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항간에는 이 정권의 풋내기들이 할 줄 아는 것이 ‘개혁’ 이란 말밖에 없다고 비판한다. 그래서 우리에게 개혁은 이미 ‘한물 간 유행가’로 전락했다. 대학에 몸담고 있으면서 지겹게 듣는 구호가 ‘대학개혁’이다. 흡사 개혁 강박증에 걸린 사람들처럼 자고 나면 개혁해야 한단다.
모조리 새 것으로 바꾸자는 말일 텐데, 정작 버려야 할 자신들만은 예외로 두는 그 논리가 고약하다. 그러니 해가 갈수록 대학사회는 개혁과 멀어진다. 우리는 정말로 대학이 무엇을 개혁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저 ‘남이 장에 간다고 하니 거름 지고 나서는’ 격이다.
결론부터 말하자. 지금 대학에서 개혁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구성원들이 제 자리만 찾으면 된다. 총장은 총장의 할 일을, 교수는 교수의 할 일을, 직원은 직원의 할 일을, 학생은 학생의 할 일을 제대로만 하면 된다. 요즘 들어 우리나라 대학들은 비전이나 구호 내걸기를 좋아한다. ‘구호 좋아하는 놈’ 치고 제 일 제대로 하는 놈, 역사에 있어본 적이 없다. 제 일 제대로 못하면서 남들 보고 잘 하자고 외치는 놈 치고 변변한 인간 없다는 게 고금의 진리다.
대학을 대학답게 놔둔 역사가 없었다는 것, 대학을 대학답게 지켜낸 대학인들이 없었다는 것, 제 일 제대로 하는 대학인들이 없다는 것. 이것들이 우리의 문제다.
중세 말엽 유럽에서 대학은 시작되었고, 대학의 이념이나 정신 또한 그 시기에 싹을 보였다. 그들의 정신은 자율과 자치를 바탕으로 한 보편성의 추구에 있었다. 완벽한 자유를 전제로 하는 자율이나 자치, 그것이 변함없는 대학정신이다.
그러나 지금 오도된 신자유주의 탓에 대학은 어설픈 교양인만 양산하고 있다. 젊은이들을 전인(全人)으로 키우는 것이 대학의 사명이고, 무한한 가능태의 인간상이 전인이다. 최근 일부 기업들이 대학에 '맞춤형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그야말로 대학의 정체성에 대한 놀라운 도전이며 대학 말살의 흉계다. 전인을 만들기는 어렵고 시간도 많이 들지만, 기능인은 단 기간에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런 기능인들을 끌어다 한동안 써먹곤 쓰레기처럼 버리는 것이 한국의 기업들이다.
상당수의 대학인들은 기업의 요구에 맞추어 주는 것이 대학개혁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의 입맛과 눈치를 살피느라 전전긍긍이다. 그러면서 열심히 헛구호, 헛 비전만 남발한다. 빈 수레가 요란한 격이랄까. 대학개혁이란 별 게 아니다. 그동안 교수노릇 잘 못 했으면,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가르치고 연구하면 된다. 직원 노릇 잘 못 했으면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학교 행정에 헌신하면 된다. 잘 하는 교수·직원들 포상하고 연구비나 ‘삥땅 쳐 먹는’ 교수라면 가차 없이 자르는 것도 총장의 할 일이다.
수십 년 간 부르짖어온 대학개혁이 허사였다면, 바로 정신 못 차린 우리에게 그 원인이 있다는 점을 깨달아야 비로소 개혁의 꿈★은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