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6. 1. 26. 21:09

 

게리를 하늘나라로 보내며

 

 

 

잠자리에서 일어나 스마트 폰을 켠 게 불찰이었을까.

이메일 함에 레슬리(Lesley) 교수의 이름과 함께 떠오른

‘Very sad news’란 세 단어가

화살처럼 날아와 가슴에 꽂혔다.

게리(Gary Younger)가 죽었다는 소식이었다.[각주:1]

그의 어머니와 함께 휴스턴에서 스틸워터로 돌아가던 중 교통사고로 죽었다는 것.

갑자기 캄캄해진 눈앞에서 추억의 필름 한 통이 스륵스륵 돌기 시작했다.

가도 가도 끝이 없던 오클라호마와 텍사스의 고속도로들.

주변의 경관들이 단조롭고 광활해서 짜증나던 곳.

풀을 뜯던 목장의 소들이 물끄러미 바라보며 되새김질에 몰두하던 곳.

사마귀 모양의 원유 채굴기들이 끄덕거리며 열심히 원유를 퍼내던 곳.

그런 한가한 도로에서 웬 교통사고?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상상할 수 없는 일 아닌가.

 

오클라호마 주립대학(Oklahoma State University) 역사과.

2013년 풀브라이트 방문 연구원으로 한 학기를 지낸 곳이다.

그곳에서 박사과정을 이수하던 그를 만났다.

고등학교 교사를 몇 년 지낸 뒤 진학했기 때문일까. 나이가 들어보였다.

한국 현대사, 그 중에서도 한미외교사에 큰 관심을 갖고 있던 그였다.

자주 내 연구실을 찾아와 물었고,

우리는 꽤 긴 시간 한국의 역사와 정치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한국 문제에 관한 논평을 내곤 하는 미국의 전문가들이 있었는데,

알고 보면 대부분 중국이나 일본통이었다.

가끔 내가 너를 미국 최고의 한국 전문가로 만들어 주겠다!’

가당찮은 너스레를 떤 것도 그 때문이었다.

 

귀국 무렵 그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차세대 한국학자프로그램에 지원하게 했고,

귀국 후 얼마 만에 한국에서 그를 만날 수 있었다.

한국에서 그는 열심이었다.

한국말도 열심히 배웠다.

연구기관과 도서관을 돌아다니며 자료도 열심히 수집했다.

내 말대로 몇 년 안에 미국 내 최고의 한국 전문가가 되려고 했던 것일까.

정말로 열심이었다.

술자리에선 미국인답지 않게 소주를 잘 마시고 삼겹살도 잘 씹었다.

‘1년 만에 한국사람 다 되었다는 농에 식당 가득 파안대소를 터뜨리기도 했다.

 

그런데 오늘 아침, ‘하늘나라로 갔다는 그의 부음을 받은 것이다.

그는 어디로 갔을까.

미국 내 최고의 한국 전문가가 되려는 꿈을,

이승 아닌 어디서 펼치겠다는 것일까.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박사 후 과정을 하겠다는 그 계획을 어디 가서 이루겠다는 것일까.

어학능력도, 분석력도, 아시아 역사에 대한 지식도 출중한 그였다.

그래서 앞으로 10. 아니 사실은 10년까지 갈 필요도 없을 그였다.

미국의 일본이나 중국 전문가들이 곁다리로 내 뱉는 한국 관련 논평들이 못마땅하여

그가 제대로 된 한국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기원해온 나였다.

지금 30대 초반이니, 어쩜 40대 초반에는 미국의 실력 있는 한국 전문가로 성장하여

내 속을 후련하게 해줄 수 있었을 텐데...

그는 그렇게 가고 말았다.

흔적도 없이, 누구 말대로 나 이제 갑니다라는 말도 못한 채

그는 그렇게 가고 말았다.

 

지금 이 순간

죽음보다 삶의 덧없음, ‘수포로 돌아간 삶의 계획,

아무 약속도 할 수 없는 공허함이 두려운 것이다.

그가 가꾸어 온 꿈과 삶의 흔적들은 모두 어디로 날아간 것인가.

저 숲속의 늠름한 나무들은 못 된다 해도

하다못해 길 가의 못난 띠 풀로라도

하다못해 보이지 않는 메아리로라도

모습을 바꾸어 남아 있어야 할 것 아닌가.

그래야 잠시 고갤 숙여 내려다보면 보일 것이고

잠시 귀를 기울여 들어보면 들릴 것 아닌가.

그렇게도 열심히 꿈을 보듬어가며 살아온 인생인데...

 

게리여,

부디 이 땅의 하찮은 꿈 따윈 접어두고

그곳에 맞는 새 꿈을 가꾸며

행복한 삶을 누리시라!

머지않아 찾아갈 그대의 동료들을 위해

그대만의 멋진 영역을 잘 가꾸어 놓으시라!

 

 

2016. 1. 26.

 

게리 영거의 부음을 듣고

 


숭실대 교정에서

 

 


올림픽 공원에서

 

 


백규 연구실에서 게리와 세바스티안

 

 


백규 연구실에서

 

 


숭실대 교정에서

 

 


학교 앞 식당에서

 

 


선무치료학 전문가 이선옥 박사 및 이 박사의 지인들과 함께

 

  1. *레슬리 교수로부터 온 이메일의 번역문과 원문// 조박사님께 얼마 전부터 박사님께 편지를 쓰려고 마음먹고 있었는데, 이제 급한 일이 생겨 연락드리네요. 오늘 아침 일찍 게리 영거와 그의 모친이 휴스턴에서 스틸워터로 오는 길에 자동차 사고로 죽었다는 끔찍한 뉴스를 접하게 되었어요. 자세한 건 모릅니다만, 저는 우리 학과에서 지금까지 가장 우수한 학생들 중의 하나를 잃었다는 사실에 비통해하고 있습니다. 그는 항상 명랑했고 열심히 공부했으며 자신의 공부에 관하여 열심히 말했답니다. 그래서 우리 모두는 그가 한국 역사의 뛰어난 학자가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었지요. 그는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매우 친절하고 너그러웠으며, 그래서 전 학과가 모두 슬픔에 빠져 있습니다. 저는 박사님께서도 그에 관하여 똑같은 느낌을 갖고 계시리라 믿어요. 특히 박사님과 그가 한국에서 얼마동안 함께 계시기도 했잖아요? 그는 박사님이 OSU를 방문해주신 점에 대하여 매우 고맙게 생각했어요. 글쎄요. 유감스럽게도 제가 나쁜 소식을 전한 사람이 되었네요. 저는 박사님께 저의 위로를 보냅니다. 게리의 죽음이 박사님께도 굉장한 상실이겠지요. 레슬리 림멜 드림 Dear Dr. Cho, I've been meaning to write to you for some time, but now there is something else that is rather urgent. Earlier today I learned the horrible news that Gary Younger and his mother were killed in a car accident on their way to Stillwater from Houston. I don't know any details, and I am heartbroken about the loss of one of the best students we have ever had in our department. He was always so cheerful and eager to work and to talk about his work; we were all certain that he was going to be an outstanding historian of Korea. He was also so kind and generous to others, and the whole department is in mourning. I am sure that you felt the same way about him, especially as you and he spent time together in South Korea. He so appreciated your visit to OSU. Well, I am sorry to be the bringer of bad news. I send you my condolences; this must be a great loss to you, too. Sincerely, Lesley Rimmel [본문으로]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6. 1. 22. 17:09

김무성 대표와 정의화 의장의 경우

-‘말의 힘아니면 말의 덫’-

 

 

 

인간의 행동 가운데 정치적이지 않은 게 없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 단 두 사람의 관계에서도 정치적인 계산이 작용하기 마련이다. 심지어 가장 가까운 가족들 간에도 정치적 긴장이 존재함을 누가 부인할 수 있는가. 그러니 가정과 직장, 각종 모임 등을 넘나들며 살아가는 오늘날의 사회인들이 정치적일 수밖에 없음은 당연하다.

 

실패로 돌아갔지만, 내가 탈정치의 삶을 실천해보려 한 것도 그 이유다. 처음엔 현실 정치인들과 그들의 말을 무대 위에서 펼치는 배우들의 대사(臺詞)와 연기(演技)’로 받아들이곤 했었다. 매체를 통할 수밖에 없으니 비평가들의 비평안을 거친 연극을 보아온 셈인데, 가끔은 엉성하고 약삭빠른 기자들이나 시사평론가들의 눈이 한심할 때도 적지 않다. 그들이 던져주는 설명들의 행간에서 정치인들의 마음을 읽고자 나름대로의 잣대를 들이대는 것도 그 때문이다.

 

최근 눈여겨 본 두 인물이 김무성 대표와 정의화 의장이다. 두 사람을 보며 과 같은 말의 힘을 발견한다. 애당초 김 대표는 전략공천은 없다고 단언했고, 정 의장은 원칙에 없는 일은 하지 않는다고 했다. 김 대표의 이른바 오픈 프라이머리가 지금은 상향식 공천으로 바뀌었고 인재 영입은 없다는 부대설명이 붙긴 했지만, ‘상향식 공천에 의한 선거 혁명의 소신은 분명한 것 같다. 국회법에 없는 직권상정은 할 수 없다는 정 의장의 말도 어쩌면 그의 소신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원이 되겠다고 찾아온 젊은 인재들을 소개하면서 구차하게 이들이 제 발로 찾아왔다는 김 대표의 구차한 추가멘트나, 시종일관 대통령과 여당의원들의 요구를 강하게 받아치면서 국민들을 의아하게 만드는 정 의장을 보면서 처음에 내뱉은 말에 꽁꽁 묶여 있는 그들의 일그러진 모습을 보는 것은 나만의 느낌일까. 정의장의 그런 모습이 '정치인의 신념' 아닌 '필부의 옹고집'으로 보이는 건 혹시 나의 편견일까.  그들이 내세운 이런 말들이 과연 자신들의 철학이나 신념에서 나온 것일까.

 

매체들이 보도하는 것처럼, 김 대표는 전략공천에 관한 자신의 트라우마와 대통령의 공천 개입 가능성에 대한 불안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대권의 꿈을 갖고 있는 그로서는 의회권력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자신을 경계하는 대통령의 보이지 않는 한 수가 두려울 것이다. 그래서 첫판부터 전략공천은 없다단언(斷言)’으로 못을 박았으리라. 또 다른 입장에서 대통령과 거리를 두고 있는 정 의장은 매체들의 표현대로 사사건건 어깃장을 놓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원칙대로 한다는 말만큼은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첫말을 그대로 지켜야 한다는, 일종의 강박증 비슷한 것이다. 정 의장 자신의 고집을 통해 이익을 얻는 야당이나 일부 국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대권으로 가는 수레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분석하는 일부 매체들도 있는데,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인간은 그의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초시간적인 실체를 갖고 있지 않다. 그의 육체도 심리도 끊임없이 변화하는 흐름이며, 따라서 초시간적인 실체로서의 동일성은 없다. 따라서 인간이 그의 자연적인 상태에 있다면, '오늘의 나'는 벌써 '내일의 나'가 아니다. 이러한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오늘과 내일 사이에 동일성이 없기 때문에 미래를 위한 약속은 있을 수 없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약속을 하고 지키고 그 약속을 믿곤 한다. 이것은 인간이 그의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없는 초시간적인 실체를, 약속을 지키고 그의 입에서 떨어진 말에 책임을 지는 윤리적인 노력을 통해서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속의 말을 지키는 것은 인간이 그의 자연적인 상태의 필연적인 흐름을 초월한 불변의 실체를 이룩하고 그의 윤리적인 인격의 동일성을 지키는 것이 된다.”

 

이규호 선생의 저서 <<말의 힘>>에 설명된 말의 힘이다. ‘남자가 말을 한 번 내뱉었으면 목에 칼이 들어와도 지켜야한다는 것은 그가 내 뱉은 말의 순수성, 정당성 혹은 윤리성이 담보되는 경우다. 어떤 불순한 목적이 전제되었을 경우 그 말은 불순할 수밖에 없으며, 불순한 말을 지키기 위해 고집을 부리는 것은 공동체의 재앙이다. 말이 진정한 힘을 지니려면 일종의 초월적 윤리성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것. 그게 바로 이규호 선생의 설명이다.

 

김 대표나 정 의장의 말이나 고집이 과연 순수하고 정당하며 선한 윤리의식으로부터 나왔다고 할 수 있는가. 그 두 사람에게 과연 불변의 실체를 담보하며 윤리적 인격의 동일성을 지키는 보루일 수 있는가. 지금 두 사람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관찰이 왜 이렇게 부정적이고 회의적인가. 차라리 애당초 내뱉은 말이 잘못 되었음을 깨닫는 즉시 잘못 되었음을 시인하는 게 정답이다. 명분 없이, 혹은 어떤 의도를 이루기 위해 자신의 첫말을 지키려 한다면, 필연코 둔사(遁思)와 꼼수를 쓸 수밖에 없다. 둔사와 꼼수를 반복하다간 필연코 퇴로 없는 덫을 만나, 꼼짝없이 걸려들게 되어 있다. 세상이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음을 두 분은 이쯤 깨달을 필요가 있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6. 1. 21. 15:27

<추천의 말>

 

존재의 자각, 그리고 간절한 신앙고백

 

 

조규익 

 

조물주는 인간에게 영혼과 육신을 허락했으나, 영혼에 비해 육신은 덧없고 허망하다. 대부분의 인간은 영적으로 성숙되기 이전에 육신을 잃고 만다. 인간의 삶을 이끄는 주체는 영혼이고, 그 영혼의 완성이나 구제는 신의 영역이다. 육신은 욕망의 근원이므로 육신에 집착하는 자에게 육신은 굴레(bondage)’일 뿐이라는 것이 철학자 스피노자의 말이다. 과연 인간은 육신의 욕망을 탈각하고 정결한 영혼의 세계에서 노닐 수 있을까. 그래서 우리는 신의 손길을 갈망한다. 신의 손길만이 절망의 나락에 빠진 인간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머지않아 닥쳐 올 심판의 시간을 외면한 채 육신과 욕망의 노예가 되어 방황하는 인간들의 어리석음을 보라.

 

 

지금 이 순간, 시인 백승철의 신앙고백이 눈물겹도록 귀하다. 그는 몸을 불사르며 영혼의 완성을 간구하는 삶을 살고 있다. 그래서 그의 삶은 구도자의 그것이고, 그의 시는 편편이 신앙고백이다. 종교 역사 상 가장 뛰어난 신앙고백 <사도신경>의 핵심을 그의 시에서 발견한다. 전능하신 조물주와 그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빌라도의 박해 속에서 육신의 감옥을 벗어나 성령으로 임재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조만간 도래할 심판과 영생에 대한 믿음 등등. 그래서 그는 필사적이면서도 의연하다. ‘박해의 쓴 잔을 물리치지 않고 부활의 기적을 보이신 예수님만 바라보기 때문인가. 그 역시 육신을 짓부순 고통에 좌절하지 않고 영혼의 완성에 매진한다. 육신보다 영혼의 불멸을 믿기 때문일 것이다. 영혼의 구원에 대한 믿음이 그로 하여금 육신의 굴레를 간단히 뛰어 넘을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 내뱉는 그의 말들 모두가 절절한 신앙고백인 것도 그 때문이다. 말하자면 <사도신경>, 아니 성서 자체의 패러프레이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수님의 삶을 우러르며, 스스로의 삶 갈피갈피 묻어나는 고통과 회한을 순화시켜 가는 구도자의 고백이다. 그것이 바로 백 시인의 시편들이다. 다음과 같은 그의 시는 얼마나 처절한가.

 

 

그래

아무리 밉다 곱다 해도

된서리에 쪼그라들어

비굴해진다 해도

뿌리 하나만큼은

꿋꿋이 뻗치고 있으니

또 어찌어찌

견디게 되겠지

오롯이 살아지겠지

혹독한 겨울을 딛고

한 치라도 더 파고들어

이 세상

한 줌 흙이라도 되겠지

 

-<겨울나기> 전문-

 

 

우리는 흔히 겨울나기월동(越冬)’이라 말한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 두 말의 내포가 사뭇 다르다. 어쩌면 우리가 심상하게 일컫는 월동이란 겨울을 뛰어넘은 그곳에 당연히 기다리고 있을 봄을 상정하거나 기대하는 말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백 시인의 겨울나기는 절망의 심연 그 자체다. 절망에 빠져 허우적대면서도 어떻게 견디게 되겠지라는 실오리만한 희망을 가져보기로 한 것이다. 매서운 추위에 줄기와 가지는 얼어 죽어도, 뿌리는 남아 있기에 나무는 새로운 부활을 꿈꿀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래서 결국 이 세상 한 줌 흙이라도 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가져보는 것이다. 그 희망은 믿음이다. 절망의 심연에 빠져 본 사람 만이 희망의 소중함을 알 수 있다. 백 시인은 지금 빠져 나오지 못할 줄 알았던 지난 시간대의 모진 겨울을 회감(回感)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백 시인의 그 희망이 도타운 신앙의 심지가 되어 커다란 횃불로 타오르고 있는 모습을 이 시는 내포하고 있다.

 

 

학창 시절의 백 시인은 과묵했다. 말을 걸어도, 빙긋 웃을 뿐 끝내 말문을 열지 않았다. 대신 그의 말은 시가 되어 나왔다. 누에고치에서 비단실 풀려나오듯 그의 시들은 늘 빛나고 단정했다. 교단생활을 거치며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시의 폭은 넓어졌고, 신을 발견하면서 신앙고백으로 상승했다. 자아성찰을 바탕으로 신을 바라보는 그의 시안(詩眼)이 견고하다. 흡사 <사도신경>을 자신의 말로 풀어내려는 듯 그의 필치는 거침이 없다. 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되었고, 결국 신을 의지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고통을 통해서만 성장할 수 있고, 고통 속에서만 신에게 다가갈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그에게서 확인한다. 고민과 고통 속에 허우적대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백 시인의 시를 읽으며 막힌 가슴을 뚫어볼 일이다. <2015. 12. 30.>

 

 


백승철 시집 표지

 

 


약력

 

 


아름다운 삶이고 싶다

 

 


식장에서 백 시인

 

 


발표와 낭송을 하고 있는 백 시인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6. 1. 19. 05:36

방귀쪽지

 

 

신문을 읽다가 모처럼 포복절도하고 말았다.

주변 누군가의 (소리 없는) 방귀로 인해 괴로움을 당하고 있던 비행기 안의 한 승객.

참지 못하고 냅킨에 적어 여승무원에게 기내방송을 요구했으나 결국 방송되지 않았고쪽지는 나중에 그 승무원의 아들에게 전해져 소셜 미디어에 공개된 모양이었다. 다음은 쪽지의 내용.

 

I don’t know if you can make an announcement, but if you can you should say that whoever is farting in the area of rows 10 to 12 should definitely see a doctor because they might have ass cancer.

 

이 문장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을 해주실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가능하시면 10열과 12열 구역에 있는 누군가 똥꼬 암에 걸렸을지도 모르니 (비행기에서 내린 뒤)반드시 의사를 찾아보라고 해 주세요.”

 

냅킨을 사용한 걸 보면, 아마 식사 시간 혹은 그 바로 뒤였으리라. 오죽 괴로웠으면 승무원에게 이런 냅킨 쪽지까지 보냈을까. 아마 그(그녀)도 설마 승무원이 그 쪽지를 기내방송으로 공개해 주리라 기대는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미 여러 차례(?) 도둑 방귀를 뀌어댄 마당에, 기내방송을 한다고 '방귀 혐의자'가 선뜻 커밍아웃할 위인은 아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쪽지 작성자는 누구였을까. 비행기가 크냐 작으냐의 차이는 있겠지만, 10~12열 구역에 있는 사람들이래야 10명 내외였을 것이다. 분명 냄새는 풍겨나는데 범죄자’^^가 누군지 모르니, 어쩌면 그 구역 사람들 모두 서로들을 혐의자로 의심하고 있었음에 틀림없다. 그러다가 그들 중 가장 비위가 약하거나 결벽증이 강한 사람이 이 쪽지를 작성했을 것이다. 방귀 냄새를 못 견뎌한 사람이거나, 자신은 분명 뀌지 않았는데 혐의자들 가운데 하나로 몰리는 것이 억울하고 걱정된, 이른바 도덕적 결벽증의 소유자였으리라. 분석심리학에서 일컫는 이른바 자기방어기제(self-defence mechanism)’의 발로라고나 할까? 아니면, 더 적극적으로 방귀 뀐 놈이 성낸경우일 수도 있으리라.

 

***

 

누가 되었든, 참 재미있는 일 아닌가. 오죽 독했으면, ‘똥꼬 암에 걸렸을지도 모른다고 표현했을까?^^ 무엇보다 화장실을 지척에 두고도 적진에 침투하여 화생방 작전하듯그런 방귀를 좌석에서 몰래 풀어놓은 당사자의 후안무치(厚顔無恥)’야말로 금메달감이라 아니 할 수 없을 터. 이 유머, 우울한 시점에 만난 한 잔의 탄산소다라 할 수 있으리라. 그의 증상이 부디 똥꼬 암이 아니었기를...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6. 1. 18. 02:33

선생을 존경해야 나라가 산다!

 

 

 

그는 멀리 가는 내 차에 처음으로 동승했다.

묵직한 체구에서 울려나오는 저음으로

긴 교단 생활의 아픈 마음을 내게 덜어 건넸다.

무엇보다 교육계에 대한 걱정이 많았다.

정년을 3년 앞둔 그였다.

학생들이 도무지 말을 들어먹지 않아

마지막 3년을 어떻게 견뎌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지금의 학생들, 무서운 게 없다고 했다.

 

 

언젠가 학생의 도가 지나쳐 뺨을 친 교사가 있었다 한다.

그런데, 학생 녀석도 달려들어 교사의 뺨을 쳤고,

결국 난투극이 벌어졌다 한다.

충격을 받은 그 교사, 결국 명퇴로 통한의 교단생활을 마무리하고 말았단다.

 

 

학생들이 잘못을 저질러 매 한 대 맞으면,

당연한 일이지!’가 지난 시절 한국인들의 반응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쇼팽이 피아노 치듯 잘도 놀리는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을 눌러

잽싸게 부모에 경찰에 신고하는 게 그들이란다.

나를 낳아 주신 분은 부모지만,

나를 인간으로 만들어주신 분은 선생님이라고 말하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부모가 돈을 내서 먹여 살리는 존재가 선생인 세상이다.

내 덕에 살아가는 존재가 선생이라는 것이다.

툭하면 학부모가 찾아와 교사들의 멱살을 잡거나 뺨을 치고

뻔질나게 경찰차가 교문을 드나드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돈 없고 빽 없는 놈은 국립사범대학에나 가야한다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고,

가난에 찌들어 있던 나는 미련 없이 그곳으로 갔다.

들어가서 책으로나마 페스탈로치의 철학도 배웠고,

그의 철학과 삶을 통해 내 선택을 정당화 시키고자 노력도 했다.

 

 

고백하건대, 학교 시절 맘에 드는 선생님들은 거의 없었다.

괜찮은가 싶다가도 여지없이 인간적인 면을 드러내는 분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도 선생님이니 존경하는 게 맞다고 늘 나 자신을 눌렀다.

그 시대엔 누구나 그랬다.

선생도 역시 사람이라는 것,

그래도 교직이 다른 직종보다는 수시로 잘못을 자책하게 하는 분야라는 것,

그래서 교사는 결정적 흠결이 상대적으로 적을 가능성이 농후한 존재들이라는 것.

이렇게 나는 나를 포함하여 선생들이 갖고 있는 존재론적 진실을 깨닫기까지

50년의 세월이 소요되었다.

 

 

정치인들과 정치인들 뺨치게 정치적인 교육감들이 표를 의식해서였을까.

이른바 학생인권조례라는 걸 만들어 학교를 해방구로 전락시켰다고들 한다.

집에서도 밥상머리 교육이 사라진지 오래다.

자식이 잘못 했을 때 꾸중하는 부모도 별로 없다.

사회에서 누군가 내 자식을 꾸짖을 때

그 어른을 탓할 뿐 자식을 꾸짖는 부모는 거의 없다.

가정교육을 제대로 받은 아이들이 많지 않은 것도 그 때문이다.

 

베이비부머.

625 직후부터 1960년대 초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이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사회의 의식을 지금의 그것으로 전환시킨 장본인들,

부모에게 효도하고 선생님을 존경해왔으면서 정작 자식들에게는

그걸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장본인들이다.

이들의 자식들이 자식들을 낳아 학교에 보내게까지 되었으니, 학교의 꼴은 불문가지다.

선생이 특정학생에게 언성만 높여도 부모로부터 득달같이 전화가 걸려오고,

심하면 찾아와 멱살잡이와 폭력이 이어지는 시절이다.

 

 

지금의 아이들은 무서운 것도, 존경할 대상도 없다.

부모들도 아이들에게 무서움과 존경을 가르치지 않는다.

요즘 부모들은 입만 열면 아이들 기 죽이지 말라!’고 고함을 지른다,

그러나 제멋대로 굴게 만드는 힘는 아니다.

기에는 정기(正氣/精氣)와 사기(邪氣)가 있다.

불의에 굴하지 않는 기개’, ‘바른 자세로 매진하는 기개가 정기(正氣/精氣),

사람을 속이고 공동체를 교란시키며

제멋대로 구는, 삿된 기운이 사기(邪氣).

요즘 부모들이 아이들의 기를 세우려 한다지만,

그 상당수의 경우는 삿된 기운일 뿐이다.

그래서 지금의 아이들은 또래들로부터 왕따 되는 것만 무서울 뿐,

도대체 무서운 게 없다.

잘못을 저질러도 부모가 나서서 감싸주고 경찰이 나서서 보호해주기 때문이다.

요즘 들어 군대에 십 수만 명의 관심사병이 상존(常存)하는 것 역시

이런 교육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논리가 그럴 듯한 것도 그 때문이다.

결국 빗나간 자식사랑이 교육을 망치고, 군대를 망치고,

사회를 망치고, 나라까지 망치고 있는 것이다.

 

***

 

아이들에게 존경할만한 대상’, ‘무서운 대상을 만들어줘야 한다.

선생님으로부터 꾸중 받고 전화를 걸어왔을 때 득달같이 학교로 찾아가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선생님의 멱살을 잡지 말고,

머리가 땅에 닿도록 조아리며 가정교육 부실에 대해 사죄한 다음,

전화 걸어온 자식을 매섭게 꾸짖을 순 없을까.

제대로 된 교육은 그 지점부터 시작될 것이고,

이 사회와 국가는 그 지점부터 바로 잡힐 가능성이 보일 것이다.

이제 베이비부머들과 그 자식들은 한참 빗나간 자식들을 밥상머리로 끌어들여

무서운 대상존경할 대상을 알게 해야 한다.

그 길만이 우리 모두가 사는 길이다.

 

 


페스탈로치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6. 1. 13. 12:11

 

가짜 영웅 전성시대

 

 

 

 

모수자천(毛遂自薦)’이란 고사가 있다.

()에 포위된 조()나라 왕이 합종을 위해 초()나라 왕에게 평원군을 파견했을 때였다.

평원군은 모사와 책사들로 20명을 데리고 가려 했으나, 마지막 한 명이 모자랐다. 그 때 식객 중 모수란 자가 스스로 나섰고, 결국 그가 일을 성사시켰다는 내용이다. 처음 모수의 정체와 능력을 의심한 평원군과 모수 사이에 오간 대화가 바로 낭중지추(囊中之錐)’. 대저 어진 사람이란 주머니 속의 송곳 같아 가만히 있어도 드러나는 법인데, 식객으로 있던 3년 간 모수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는 것이 평원군의 물음이었고, 그동안은 주머니 밖에 있었으니 이제 주머니 속에 넣어달라고 응수한 것이 모수의 답변이었다. 그래서 결국 모수는 공을 세웠고, 그로 인해 어려울 때 스스로 나서서 일을 해결하려한다는좋은 뜻으로 쓰여온 것이 '모수자천'이란 말이다. 그러나 지금은 부끄러움을 모르고 스스로 나서려 한다는 부정적인 말로 쓰이고 있다.

 

***

 

너도 나도 민의를 받들어 나라를 경영해보겠노라 동분서주하고 있다. ‘모수자천식으로 등장한 인물들의 병아리 셈법이 참말 가관이다. 땅 덩어리 크기가 능사는 아니겠지만, 우리나라는 미국 텍사스 주의 7분의 1, 캘리포니아 주의 4분의 1도 안 되는 작은 나라다. 이 작은 나라에 서너 명의 고만고만한 인물들(방송에서 하도 떠들어대니 새삼 나까지 손목 아프게 이들의 실명을 이곳에 기록할 필요는 없으리라)이 등장하여 돌아다니는 모습을 날마다 보고 있노라면, 기가 찰뿐이다.

 

이들이 갖고 있는 건 원대한 포부나 숭고한 뜻이 아니다. 내가 보기엔 당장 국민의 눈을 호려보자는 고식지계(姑息之計)’가 전부인 듯하다. 누구의 말대로 현대판 천명(天命)’이라 할 수 있는 민의(民意)를 왜곡하여 새로운 지도자를 참칭(僭稱)하는 중이라고나 할까. 시대를 읽는 눈이나 천하 질서의 재편을 노리는 전략이 있는 것도 아니요, 하다못해 우리 같은 장삼이사들의 아픔을 읽는 동정심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니 자신들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소인배들의 아첨과 계략에 갇혀 옴짝달싹 못하는 골목대장에 지나지 못하는 존재들이 바로 이들 아닌가.

 

***

 

제갈량(諸葛亮)은 천하를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자신의 주군인 유비로 하여금 그 한 나라를 차지하게 했다. 이른바 천하삼분지계(天下三分之計)’가 그것이다.[각주:1] 그도 궁극적으로는 천하 통일의 대업을 노렸겠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단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터. 천시(天時)를 타고 난 조조, 지리(地利)를 차지한 손권과 달리 유비는 인화(人和)의 장점을 갖고 있다고 본 것이 제갈량의 생각이었다. 영웅이 되려면 천하를 호령할만한 권능을 지녀야 하고, 책사가 되려면 모름지기 주군의 장점을 꿰뚫어 보는 제갈량의 안목과 배포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처럼 착안과 전략은 대국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그 실천은 작은 데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백성들은 살려 달라 아우성치고 세계는 국익에 따라 혼란스럽게 요동치는데, 눈앞의 식어가는 잿밥에만 눈이 먼 술사(術士)들이 자신들의 암매한 주군을 모시고 조막만한 권력을 차지하겠노라 동분서주하는 것이 이 나라의 현실이다. 이번에야말로 천명이 자신들의 주군에 내려졌다고 믿는 것일까. 세속적 욕심 그득한 평원의 필부들을 영웅으로 둔갑시켜 내세운 채 만인의 눈을 속이려 하는 것도 그 때문이리라.

 

***

 

지금 이 시대에 누가 영웅이란 말인가. 바야흐로 가짜 영웅들의 전성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 이 소극(笑劇)이 언제 어떻게  끝날지 두고 볼 일이다.

 

 

                                                     
                                                                          제갈량

 

 

 


유비

 

  1. 혹자는 필자가 이곳에 언급한 제갈량의 '천하삼분지계'를 안철수의 신당 창당과 결부시키려 할지도 모르나, 단언컨대 그건 아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새 글에서 다시 언급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 [본문으로]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