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21. 2. 6. 19:24

 

 

조규익

 

 

페이스북은 무성산의 은둔자 백규가 세상과 소통하는, 작지만 큰 창이다. 그 창을 열면 반가운 이들의 따스한 미소가 보이고 다정한 음성이 들린다. 내게 손짓하는 반가운 이들 가운데 두어 명의 시인들이 있다. 이른바 ‘페친’들. ‘페이스북의 친구’들이란 뜻일까. 그러나 그 시인들을 감히 ‘친구’라고 부를 수는 없다. 나는 그분들로부터 세상에서 지금까지 배우지 못한 것들을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페친’보다는 ‘페사’란 말이 옳으리라. ‘페이스북 사부(師傅)’란 뜻이다. 그 시인들은 세상의 창 페이스북을 통해 내가 만나는 ‘싸부님들’이다. 긴 세월 비싼 등록금 내고 학교를 다니며 시를 배웠으나 아직도 시가 무엇인지 모르고, 시를 통해 삶의 진실을 깨달을 수 있다는 사실은 더더욱 깨우치지 못했는데...그러나 지금 나는 설레는 마음으로 매일 페이스북의 문지방을 넘는다. ‘공짜 학생’ 백규는 오늘도 삶의 진실을 깨달을 수 있다는 설렘으로 페이스북에 자리를 펴고 앉아 있는 시인들을 만난다. 귀하고 얻기 어려운 게 진실임을 세상살이에서 깨달았다. 그것을 진부한 말과 이론으로 깨닫기는 더더욱 어렵다는 걸 알았다. 장강대하처럼 흘러내리는 세상의 말들을 보라. 욕망과 거짓, 증오와 간계를 숨기기 위한 레토릭이 대부분 아닌가. 그 어느 갈피에 한 오리라도 진실이 숨어 있단 말인가. 힘을 탐하고 물질을 탐하며 남을 거꾸러뜨리기 위해 오도독 이를 갈며 거미줄을 치기에 분주한 세상의 말들에서 무슨 진실을 느낄 수 있단 말인가.

 

내 소중한 페사 중의 한 분이 바로 나동환 시백이다. 나 시백을 포함한 내 페사들은 내게 시로 말을 건다. 나는 시를 통해 인간세상의 진실을 배운다. 진실과 사실은 다르다. 사람들이 치고받으며 찾아내려 하고 또 찾아냈다고 억지 쓰는 ‘사실’, 어쩌면 ‘시장의 우상’ 숭배자들을 뛰어 넘어 사실 아닌 진실을 추구하는 존재들이 페이스북의 내 ‘싸부들’이다. 세상 사람들의 말이 모두 다르듯 두어 분의 ‘페사들’의 어조는 다르다. 그 어조의 다름을 좀 더 분명히 보여주려는 배려였을까. 나 시백이 시집 <<겨울바다 관찰자>>를 보내 오셨다. 페이스북의 라운지에서 ‘불경스럽게도’ 커피를 마시며 ‘눈팅’을 해온 그 어조가 활자로 변신하여 다시 한 번 내 감성과 이성의 촉수를 자극한다. 아, ‘페사’ 나 시백은 꾸준히도 존재의 근원을 성찰해 오셨구나! 시공에 한정시킨 존재가 아니라, ‘어디까지라도 언제까지라도’ 확장되거나 공유될 수 있는 ‘존재의 진실’을 추구하셨구나!

 

표제시 <겨울바다 관찰자>를 보자.

 

 

시뻘건 아침 해가 동에서 서로 서서히 시간이동을 합니다.

 

스스로를 달구고 또 두들겨 판금처럼 만들고 해 질 무렵 휘어진 낫처럼 정형을 찾고 나서야 치지직 바닷물 속에 담가내오 뿌연 겨울 달 하나 차가운 밤하늘에 비스듬히 걸어놓습니다

 

물고기들은 까만 해수면에 비늘 겉옷을 벗어 던져 놓은 채 바닷물 속으로 깊이 잠들러 갑니다

 

잠의 깊이만큼이나 비늘 겉옷은 짙은 어둠속으로 분해되어 수많은 별들처럼 밤하늘에 박히고 잠든 물고기들의 알몸에는 뿌연 겨울 달빛이 비늘 겉옷처럼 어립니다.

 

까만 해수면 경계의 끝점에서는 생성과 소멸의 거룩한 신의 섭리가 별빛처럼 고요히 아른거립니다.

 

<

나는 어느덧 어슴푸레 겨울 바다 관찰자가 됩니다

 

겨울 바다는 내 존재의 가냘픈 가슴속으로 끊임없이 순환하는 생성과 소멸의 파도를 몰고 옵니다

 

 

쉼 없이 들레이는 바다를 보며 시인은 순환의 고리를 건져 올린다. 시인이 보기에 생성과 소멸은 1회로 마무리되는 단순지속이 아니었다. 소멸은 또 다른 생성의 모태가 되고, 그 생성은 또 다른 소멸을 낳고, 그 소멸 또한 ‘또또다른’ 생성을 낳는다는 순환. 한 순간도 쉼 없는 순환의 연속이 바다에서 일어나고 있지 아니한가. 그 고리를 몸으로 현시하는 것이 바로 시간의 지속이고. 나같이 어리숙한 독자를 깨우치기 위함이었을까. 태양과 달, 별, 그리고 물고기 등을 출연시켜 그 감동적인 순환과 지속을 보여주고 있으니, 시인의 상상력은 우주적 스케일로 펼쳐진다. 그러나 바다에 펼쳐지는 순환과 지속이 아무리 우주적 스케일이라 해도 결국 ‘내 존재의 가냘픈 가슴속으로 끊임없이 순환하는 생성과 소멸의 파도를 몰고 올’ 뿐이라는 것이다. 이 순간에 시인은 자잘한 세상의 얽매임에서 놓여나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시뻘겋게 해 뜨는 아침부터 별빛 고요히 아른거리는 밤까지 바다를 관찰하고 분석한 시인의 결론은 무엇인가. 수많은 생성과 소멸의 순환이 반복되는 무한대의 공간을 아예 가슴 속에 품음으로써 자잘한 존재의 한계를 넘어야겠다는 깨달음 아닌가. 바다는 시인에게 모습을 드러낸 텍스트였고, 시인은 그 텍스트로부터 생성과 소멸의 순환법칙을 얻어 내게 보여주고 있는 것 아닌가. 그래서 이 시는 아니 이 시집은 바다라는 성소(聖所)에서 시인 혼자 벌인 비의(秘儀)의 기록이라 할 수 있지 않겠는가.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20. 11. 5. 22:06

 

 

<중앙일보> 2020년 11월 4일자 기사

 

 

아침 일찍 초코와 동네 한 바퀴 산책을 마치고 거실에 들어오는 순간, ‘까톡!’소리가 울렸다. 대학 동기들 단톡방에 스크랩된 신문기사 한 건이 친구 이대구[전 충남교육청 정책개발담당 장학관]의 멘트와 함께 올라오는 것이었다.

 

무슨 일이지? 안경을 찾아 쓰고 찬찬이 살펴보니, 경현이에 관한 기사였다. 삼성에서 제정한 ‘AI 연구자상’의 첫 수상자로 경현이를 포함한 다섯 명의 세계 학자들이 선발되었다는 내용이었다. ‘유일한 한국인 수상자 조경현’이 중심에 들어 있는 것은 한국 신문의 기사이기 때문일 것이다. 어쨌든 내 놀라움은 컸다. 그간 열심히 노력하여 AI 분야[특히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의 ‘탁월한 연구’로 인정받아 온 것은 사실이고, 그 덕분일까. 세계적인 명문대학 NYU[뉴욕대학교]에서 불과 4년 만에 테뉴어십[종신교수 직위]을 받는 영광도 누린 바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기업 삼성이 ‘AI 분야의 전도유망한 연구자들에게 주는 상’의 첫 수혜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친구들의 제보로 알게 된 것이 우선 어이없는 일이려니와, 무엇보다 불과 이틀 전의 통화에서도 부모에게 전혀 귀띔조차 하지 않은 녀석의 ‘무심함’은 대체 무어란 말인가.

 

단톡방 '공주사대 국어교육과 27회 동기회'

 

정신을 차리고, 친구들의 축하인사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 다음 여러 매체들에 실린 기사들을 검색해보고 나서야 그것이 매우 영광스러운 상임을 알 수 있었다. 어쨌든 점심 무렵 간신히 전화 연결이 된 녀석으로부터 대수롭지 않다는 듯한 답변을 받고서야 그동안 부모에게 한 마디의 귀띔도 없었던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다. 좀 쑥스러운 일이긴 하지만, 이 사실을 다음과 같이 페이스북에 올렸다.

 

<중앙일보> 2020년 11월 4일자 기사를 링크하고 포스팅한 글

 

나도 초년 교수 시절 몇 건의 상들[성산학술상/한국시조학술상/도남국문학상]을 받은 일이 있어서, 그 때의 기억을 떠올려 보았다. 사실은 그 때의 나도 그다지 흥분하지 않았었다. 솔직히 흥분보다는 오히려 부담이 컸다. 내가 상을 받을 만큼 ‘충분히 훌륭한가’에 대하여 자신이 없었고, ‘이런 기조를 얼마나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자신도 없었다. 지금 생각하면, 당시 내게 상을 안겨주셨던 학계의 어른들은 내가 ‘완성되었다’는 판단보다는 ‘약간의 싹이 보이니 좀 더 노력해보라’는 다그침의 뜻을 갖고 계셨을 것이다. 그런 깊은 속을 알지도 못하고, 으레 ‘상이란 완성된 자에게 주는 것’이라는 짧은 생각에 마냥 부담스러워 했던 것이 사실이다. 내 경우를 비추어 보니, 경현이의 반응도 충분히 납득할만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단순하게 생각하면, 상 받는 것처럼 기분 좋고 신나는 일이 어디에 있으랴. 작게는 한 집단의 발전을 이루는 데서, 크게는 문명의 진보와 고양을 꾀하는 데서 상이라는 제도가 발휘하는 힘이야말로 그 얼마나 큰가. 상을 받기 위해 일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일의 놀라운 진척이나 발전에서 동기부여의 힘이 절대적이고, 동기부여의 가장 큰 수단이 상이라는 사실은 동서고금이 다를 수 없고, 미래세라고 지금과 달라질 수 없다. 그래서 상은 많이 줄수록 좋고, 많이 받을수록 좋은 것이다. 아들이자 학계의 동료인 조경현 박사에게 진심어린 축하의 말을 보내고 싶은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2020. 11. 4.>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8. 10. 9. 11:25

 

 

 

 

 

*누군가의 글에서 빌려 온 사진. 매우 감동적이어 페이스북에 올리고, 다시 이곳에 퍼다 붙입니다. *

 

 

70년대 이전 우리 어머니들의 고뇌가 압축되어 있는 광경입니다.

 

아궁이의 불은 가난, 속 썩이는 남편과 자식들, 구박하는 시부모 등으로 늘 가슴 태우던 마음 속의 불을 상징하고요. 매캐한 연기는 신산(辛酸)한 삶을, 그 연기로 인한 눈물은 소리 죽여 우시던 우리 어머니들의 슬픔을 상징하지요.

 

그런 어려움 속에서 지어낸 밥을 자식들의 입에 넣어 주시면서 잠시 시름을 달래곤 하셨지요. 지금 세대들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어머니의 고난'이 이 한 장의 사진에 압축되어 있습니다.

흙과 돌멩이를 뭉치고 다져 만든 부뚜막, 간신히 걸어놓은 가마솥, 축축하게 젖은 검부나무, 울퉁불퉁 흙바닥, 연기 안 빠지는 쪽문, 등 없어 컴컴하고 비좁은 공간...

 

우리 어머니들의 슬펐던 삶은 불과 40년 전에도 우리의 고향에 뚜렷이 남아 있었습니다.

 

우리를 키우신 어머니들의 눈물, 잊어도 되나요?

 

                                                                 <조규익 페이스북>에서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17. 12. 31. 15:16

 

조경현 박사(뉴욕대 교수/페이스북 AI 연구 과학자)Bloomberg에서 2018년에 주목해야 할 50인 가운데 1인으로 선정되었다.

 

추천인인 제프리 힌턴(Geoffrey Hinton)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조 박사는 자연 언어 처리 즉 번역 앨고리즘을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한 디자인 과정으로 불리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는 기계번역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쳐 왔습니다.”

 

Kyunghyun Cho

Assistant professor, NYU; research scientist, Facebook AI Research

Nominated by Geoffrey Hinton

Cho works in a sub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ll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designing processes to make translation algorithms faster and more accurate. “He’s had a huge impact on machine translation,” Hinton says.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