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6. 3. 19. 15:53

 

'Giral'[각주:1]떠는 친박도배(徒輩)

 

 

 

특정 정치이념으로 뭉친 결사체가 정당이라면, 한국의 정치 결사체들을 정당이라고 부르기가 망설여지는 게 사실이다. 그 안에 수많은 소그룹들이 있어서 주도권 다툼을 벌이는데, 대부분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모임들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다양한 규모의 도당(徒黨)들끼리 치고받는 싸움들을 통해 결사체의 헤게모니를 잡아가는 것이 현재 한국 정당들의 모습이니, 그런 결사체들을 붕당(朋黨)’이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하리라.

 

새누리(붕)당에는 크게 친박과 비박이란 소그룹이, ‘더불어민주(붕)당에는 친노와 비노란 소그룹이 각각 패권 다툼을 벌이는 중이다. 억지스러움에서 난형난제이긴 하나, 새로운 수장 아래 별 잡음 없이 총선이란 전쟁터를 향하고 있는  친노에 비해 친박은 훨씬 더 밉상이다. 국정을 담당하고 있는 여당으로서 온갖 꼼수를 부리며 패권을 잡으려는, 그 유치찬란하고 미련스러운 작태는 구토를 참기 어려울 만큼 혐오스러운 게 사실이다.

 

공관위인지 공천위인지 알 수는 없지만, 위원장의 완장을 차고 험상궂은 표정으로 이빨 빠진 개작두를 둘러멘 이 모 의원을 보노라면, 한 줌 권력이 무언지 참으로 딱하기만 하다. 온갖 영화로운 작위(爵位)를 거친 그 나이의 인물이라면, 단 한 낱의 덕망이라도 표정에 나타나야 정상일 것이다. 툭하면 짜증스런 말투로 주변 사람들과 부딪치기만 하는 그의 행동거지 하나하나가 혐오감을 불러일으킬 뿐이니, 그는 지금껏 어떤 인생을 살아온 것일까.

 

남을 평가하고 내치려면 공명정대한 기준과 원칙이 있어야 한다. 평가의 공정성과 점수의 정확성에 평가자의 원만하고 따뜻한 인격이 포함될 때 비로소 공명정대함의 가치는 구현된다. 꼼수는 꼼수를 낳고, 둔사(遁辭)는 또 다른 둔사를 낳는다. 멀쩡한 사람에게 현미경을 들이대고 흠을 찾으려 하고, 흠투성이의 사람에게 망원경을 대고 눈까지 감으려는 꼼수 앞에 할 말을 잊는다. 최고 권부의 밀명(密命)을 받았다고 모두들 추측하는데, 본인만은 한사코 원칙대로 한다고 강변한다. 매에 쫓겨 도망가는 까투리가 부리만 땅에 박으면 안전한 줄 안다. 세상 사람들은 그 도당의 속내를 훤히 들여다보는데, 자신들만은 속내를 들키지 않았다고 희희낙락하는 꼴이다.

 

멀쩡하다 못해 훌륭하기까지 한 인물들을 공천에서 배제해 놓고, 배제한 이유를 대지 못한다. ‘최고 권부의 미움을 샀다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하고, 붕당의 정체성 운운으로 둘러대려 한다. ‘붕당에 무슨 정체성이 있을 것이며, 정체성이 있다한들 붕당의 정체성정당의 대의명분과 어찌 같을 수 있단 말인가.

 

제대로 자격을 갖춘 사람만이 판관(判官) 노릇을 할 수 있다. 그 때의 자격이란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을 구분할 수 있는 눈이다. 거기에 더하여 최고 권부가 가당찮은 압력을 가할 때 바른 소리로 깨우치려는 용기와 지혜까지 갖추면 금상첨화다. 좋은 사람을 뽑는 것이 바로 선거(選擧)’. 지금 여당이라고 자처하는 새누리붕당이 보여주는 작태는 골목 깡패들의 행태 바로 그것이다.

 

지금이 어느 때인가. 북한의 김정은이는 핵을 만들어 우리의 심장에 쏘려 하고, 중국과 미국은 패권을 다투는 중이며, 간사한 일본은 식민시대의 영화를 못 잊어 발광하는 중이다. 그 뿐인가. 우리의 아들딸들은 직장을 못 찾아 좌절하며 헤매고 있다국민들이 백척간두(百尺竿頭)에 서서 떨고 있는 것이 지금 우리의 형국이다. 정치를 하겠다고 나선 인간들이 이 시대의 과제가 무엇이며, 무슨 아젠다(agenda)’를 가져야 하는지 등을 알지도 못하면서 권력의 단맛만 추구하고, 최고 권부에 아부나 하려는 것이 과연 온당한 일인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명하노니,

그대들은 이제 향리로 물러가 부디 자숙하며 수양하기 바라노라.

 

 

 

 

 

  1. 본의 아니게 뒷골목의 비속어를 쓰게 된 점, 사과드립니다. 백규서옥 주인 드림 [본문으로]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5. 8. 24. 20:59

 


헤이안 신궁의 웅장한 도리이

 

 


헤이안 신궁의 응천문

 

 


헤이안 신궁의 본전

 

 


헤이안 신궁의 봉물인 각종 술

 

 


헤이안 신궁의 뜰에 세워진 기원 팻말들

 

 


헤이안 신궁의 본전 앞에 세워진 기원 나무들

 

 

나는 어려서부터 일본인들은 귀신들과 함께 산다는 말을 들어 왔고, 일본에 올 때마다 그 말이 빈말이 아니었음을 깨닫는다. 일제 강점기 내내 우리는 그들의 신을 모신 집(즉 신사)에 참배할 것을 강요당했고, 지금도 일본 총리 아베의 신사참배가 세계적인 이슈로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한사코 일본 총리가 신사를 참배하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가 참배하려는 야스쿠니 신사라는 곳이 바로 우리를 괴롭힌 일본 전범들의 영혼을 모아놓은 곳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전쟁의 책임을 자각하고 반성해야 할 일본 정치의 책임자가 오히려 전범들을 참배하다니,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양국에서 하도 성토를 해대니 그도 어쩔 수 없는 듯 가끔 봉납(奉納)’으로 대신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그러나 봉납 즉 사찰(寺刹)이나 신사(神社) 등에 금품을 기부하는 행위야말로 오히려 더 지극한 정성의 표시일 수 있다. 큰 신사들의 앞마당엔 술통들을 몇 단으로 쌓아올려 진열하고 특정 주류회사의 봉납물임을 표시해 놓고 있음을 보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그저 술이나 만들어 떼돈을 버는 그런 회사들이 고약하게도 일본에서는 애국의 결사체임을 자랑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의 공적(公敵)이 되어 있는 아베도 아마 그런 효과를 노렸으리라. ‘주변의 국가들이 하도 성토해대는 바람에 직접 참배는 못하니, 공물로나마 지극한 마음을 표할 수밖에 없다고 말이다. 여기엔 두 가지 노림수가 있을 것이다. 중국과 한국을 적으로 돌림으로써 자기네 국민을 단합시키겠다는 대외 정치적 노림수가 그 하나요, 일본인들이 신처럼 떠받드는재물을 아낌없이 봉납함으로써 자신도 신사의 귀신들에게 보통 국민들 이상의 정성을 표했다는, 대내 정치적 노림수가 다른 하나다. 그러니 그로서는 신사참배 문제로 외국에서 일어나는 논란이 하나도 손해 날 일이 없는 셈이다. 나는 오히려 그가 두 나라의 그런 반응들을 은근히 즐기고 있다고 보는데, 나만의 느낌일까.

 

일본에 와서 놀라는 일이 있다. 개인들의 집에는 개인의 신사가, 공동체에는 공동체의 신사가, 국가에는 국가 규모의 신사가 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개인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그들을 하나로 묶는 정신적 결사체가 바로 신사임을 확인하게 된다. 몇 번 되지는 않으나, 일본에 오면 주택가를 돌며 개인 신사들을 구경하거나 마을 단위 혹은 국가 단위의 신사들을 구경하며 그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 취미의 하나가 되었다. 이번에도 역시 마찬가지. 큰맘 먹고 헤이안 신궁(平安神宮), 야사카 신사(八坂神社), 요시다 신사(吉田神社) 등을 가 보았고, 동네를 걸으며 개인 집의 신사들을 곁눈질하기도 했다. 그 뿐 아니다. 심지어 절에도 신사가 있었으니, 키요미즈 데라(淸水寺)에서 확인한 지슈신사(地主神社)가 그런 예였다. 어쩜 교회에도 있을지 모르는 일인데, 거기까진 확인하지 못했다.

 

 


야사카 신사 입구의 도리이

 

 


야사카 신사의 본전

 

 


키요미즈 데라(淸水寺) 안에 세워진 지슈신사

 

 


요시다 신사

 

 


요시다 신사의 본전에서 기원하는 사람들

 

 


요시다 신사에 딸린 산음신사(요리와 음식의 신을 모셨음)

 

 

그렇다면 그들은 어떤 귀신들을 모시고 사는 것일까. 마을이나 거리를 걷다 보면 작고 큰 도리이(とりい: 鳥居)들이 있고, 그것들을 통과한 안 쪽에 신전이 있었다. ‘鳥居鷄居(にわとりい)’로서 진언종을 설립한 구카이가 신성한 의식공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했다고도 하고, 신도에서 닭을 신의 전령으로 생각하기에 닭이 머무는 자리라는 뜻으로 그런 말을 썼다고도 한다. 그 외에도 여러 설이 있으나, 아직 정설은 없다. 다만, 내 보기에 도리이가 성()의 세계와 속()의 세계를 구분하는 경계로 사용된 것만은 분명하다. 인간의 세계에서 도리이를 통과하면 신의 세계라는 것이다. 개인의 집들에 설치된 개인 신사들에는 도리이를 세울 수 없으니, 어쩌면 그 신사 자체가 외부로부터의 액()을 막아주는 방책 역할을 해온 듯했다. 집안이 산 사람들의 공간이긴 하나 귀신들과 공존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삿된 기운을 막아 주는 신성한 공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리이를 통과한, 이른바 성의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위도 속의 세계를 상징하는 돈으로 철저히 계산되고 있었다. 기복(祈福)이나 제액(除厄), 결혼 등 모든 행위에 돈이 따르고, 돈의 액수에 따라 복의 크기가 계량되는 속의 원리가 충실히 재현되는 곳이었다. 일본인들의 자기모순의 이기적인 행태는 속의 원리로 성의 세계를 재단하려는 데서 나타나고 있었다. 이른바 카오스의 재현, 바로 그것이었다. 아니, 내 관점에서 아직 일본은 본태적 카오스를 벗어나지 못한 공간이었다.

 

사실상 어릴 적부터 신도에 충실한 인간상으로 길러지는 것이 일본인들이었다. 아이들은 수시로 큰 신사에서 복전을 내고 줄을 흔들어 방울소리를 내며 복을 기원하는 부모를 보았을 것이고, 성장한 뒤 그들도 그런 부모가 되었을 것이다. 그 뿐이랴. 어려서부터 집 앞에 설치한 신전에서 나지막한 목소리로 열심히 기원하는 할머니나 어머니의 모습은 일상의 큰 부분으로 마음속에 각인되었을 것이다. 장성한 뒤 짝을 만나 신사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경우가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고 보면 아베를 비롯한 일본의 정치가들이 신사를 찾아 참배하는 것은 자신들이 살아온 삶의 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다만 한사코 전범들을 모아놓은 야스쿠니에서, 그것도 패전일에 참배함으로써 무언가를 노리는, 그 정치적 야욕이 미울 뿐이다. 자신들의 순수한 종교의식을 지키는 일에만 충실하다면야 누가 딴죽을 걸 수 있겠는가. 피해자들의 속마음을 긁어놓으려는 못된 심보가 고약한 것이다.

 

며칠 전 길 가는 도중, 구부정한 할머니를 보았다. 골목 모서리의 빈틈에 세워진 작고 초라한 신사 앞에 꽃바구니를 든 채, 신이 좌정한 곳을 올려다보며 쉼 없이 중얼거렸다. 말뜻은 모르겠으나, 무언가를 간절하게 기구하고 있었다. 굽은 허리와 주름 진 얼굴이 많은 사연을 숨기고 있었다. 그 할머니가 기구하는 것은 궂은일의 해결일 수도, ‘좋은 일에 대한 감사일 수도 있었다. 어느 쪽이든 경건한 그 할머니의 모습에서 신도 신앙의 긍정적인 면을 엿볼 수 있었다. 어엿한 종교이든, 개인 차원의 소박한 믿음이든, 순수하기만 하다면야 굳이 탓할 이유가 없다. 그것들이 국가주의와 결합되어 집단적 야욕 충족의 수단으로 이용될 때, 가공할 정도의 부정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저 할머니야 야스쿠니에 합사된 전범들의 존재나 그걸 이용하려는 정치인 아베의 욕망을 어찌 알겠는가. 필시 자신이나 가족의 문제를 신에게 간구한 데 불과했으리라.


 

 


큰 길가 가게집의 신사


 

 


가게집 신사 내부의 모습

 

 

 

 


동네의 신사


 

 


동네집 신사 내부에 모신 신의 모습

 

 

 

 


개인 집 신사

 

 

 


키요미즈 데라 아랫 동네 개인 집의 신사

 

 

 


길가 신사에 꽃을 바치러 와서 기원을 하고 있는 할머니

 

 

 


호텔 옆에 있던 동네의 신사 '주길신사'

 

 

 

 

 

귀신은 일본 도처에 있었다. 야사카 신사에도 본전을 둘러싸고 많은 잡신들이 별도로 모셔져 있었으며, 요시다 신사에도 본전에서 멀리 떨어진 이곳저곳에 작은 신사들이 흩어져 있었다. 아마 개인들의 신사에는 그들의 조상신이 모셔져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인들에게도 조상신이 전부는 아닌 듯했다. 여러 잡신들이 어우러진 공간이 바로 일본의 신사인 것도 그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의 신사는 로마의 판테온(Pantheon) 같은 곳이 아닌가 싶다. 사실 그들이 모신 존재들이 악한 신령들이 아닌 이상, 그 신들의 이름으로 악한 짓을 저질러선 안 된다. 온갖 귀신들에 사로잡힌 일본이 한 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아집과 편견, 이기의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 아집과 편견, 이기를 보호해주는 것이 귀신들의 임무가 아니라는 점을 빨리 깨달아야 한다. 어릴 적부터 집 앞의 신사, 동네의 신사, 지방과 국가의 신사를 출입하며 꿈을 키웠을 정치인 아베도 이젠 가슴을 열어야 한다. 나 혼자만 사는 게 세상은 아니라는 점, 일본인들을 귀신들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세계시민이 되도록 하는 게 미래지향적 정치인의 의무라는 점 등을 빨리 깨달아야 미구에 닥칠 또 하나의 비극을 면하게 될 것이다.

 

***

 

이번의 일본 행차에서 나는 신사가 일본인들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읽을 수 있는 교과서임을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12. 22. 16:32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학술 심포지엄[ ‘동요하는 경계들: 자연, 기술, 예술’]-오키나와 나고 시

메이오 대학교/2014년 11월 22-23일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 심포지엄 표지


 


다큐멘타리의 내레이터로 등장하여 끝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이시무레 미치코 선생

 

 


다큐멘터리 <꽃의 정토로> 타이틀 화면

 

 


이시무레 미치코의 <<고해정토>>의 영문 번역판

 

 


한국의 전통 생태학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필자

 

 


이시무레 미치코의 「꽃의 정토로(花の億土へ)」에 나타난 '문학이론의 척도'를 발표하고 있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크리스틴(Marran, Christine L.) 교수

 

 


발표를 마치고 같은 세션의 발표자들과 함께

 

 


점심식사 후 대만 담강대학교(Tamkang University)의 황(Huang, Peter) 교수와 함께 

 

 

 

 

*교수신문 760호(2014. 12. 22)에 실린 글을 이곳에 퍼다 놓습니다.

 

 

 

'환경과 문학' 담론, 그 세련화를 지향하며

   학술대회 참관기-문학과 환경학회 국제심포지엄을 다녀와서
2014년 12월 22일 (월) 10:16:58 교수신문 editor@kyosu.net

   
 

 

▲ 해상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헤노코 해변에 설치한 텐트.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심포지엄이 열린 오키나와는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조규익 교수는 바로 이곳에서 일본의 환경론이 보다 심도있게 융합 양상을 띄며 발전하고 있음을 목격했다고 말한다. 사진제공= 조규익

 

 

 
 
이 글은 조규익 숭실대 교수(국어국문학과)가 지난 11월 22일부터 이틀간 일본 오키나와 나고 시의 메이오대에서 열린 2014년 동아시아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 심포지엄[2014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terature and Environment in East Asia[ISLE-EA]/Unsettling Boundaries: Nature, Technology, Art]을 다녀와서 학회 참관기로 보내온 글이다.

 

 


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오키나와 나고(名護) 시의 메이오(名櫻) 대학에서 열린 ‘2014년 동아시아 문학과 환경학회 국제 심포지엄’은 한국·일본·미국·타이완·중국·오스트레일리아·홍콩·캐나다 등 세계 각국에서 모여 든 100여명의 학자들과 수십 명의 대학원생들이 모여 벌인 학술의 난장이었다. ‘동요하는 경계들: 자연, 기술, 예술’이란 주제가 암시하듯 현격하게 다른 분야의 학문들이 환경이란 범주로 융합돼야 하는 당위를 모토로 내건 심포지엄이었다.

 

‘전날 밤의 다큐멘타리 상영/이틀에 걸친 논문 발표/환경 분쟁지역 헤노코(へのこ) 답사’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진행된 심포지엄의 메시지는 명확했다. 환경파괴가 단순히 물리적인 문제이거나 순간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한시적인 문제가 아니며, 세대를 넘어 영원히 지속될 뿐 아니라 인문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의 지혜를 융합해 미연에 방지하거나 해결해야 할 ‘절박한 삶의 문제’임을 천명하는 것이 그 핵심이었다.

 

심포지엄 전날 밤 참여자들을 위해 상영한 다큐멘타리「꽃의 정토로(花の億土へ)」는 이 심포지엄이 지향하는 결론을 미리 암시한 일종의 가설이자 화두(話頭)였다. 자신의 고향 구마모토 현(熊本縣)의 미나마타(水俣)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환경문제를 문학으로 고발해 전 세계에 알림으로써 환경 공해의 고발과 해결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이시무레 미치코(石牟괋道子). 그녀가 주연으로 출연해 미나마타병의 현상과 의미를 심도 있게 설파하고, 시라누이(不知火) 바다의 아름다운 사계를 통해 그 공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시간대의 희망을 그려낸, ‘한 편의 시’와 같은 기록 영화였다.

그 바다가 갖고 있던 본래의 환상적인 아름다움과 공해로 일그러진 현실의 참상이 대비되면서 자연환경의 파괴가 인류의 삶에 무슨 의미를 갖고 있는지 보여주고자 한 듯, 전편에 걸친 ‘환상과 리얼리즘’의 융합적 미학이 두드러진 작품이었다.

 

이시무레 미치코의 삼부작(<<고해정토(苦海淨土)>>, <<신들의 마을>>, <<하늘의 물고기>>)은 이미 환경 문제를 예술로 승화시킨 고전의 반열에 올라 있었으며, 일본 학자들은 물론 서양 학자들도 이시무레 미치코와 그녀의 문학을 ‘환경 혹은 환경문학’의 중심에 올려놓고 그들의 담론을 생산하거나 정제시키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을 보는 순간 아름다운 헤노코 해변을 누구로부터 지켜야 하는지,
난해한 의문이 떠올랐다. 누구의 말대로 ‘세계전략 차원의 폭거를 자행하고
있다’는 미국인가, 아니면 그 미국을 편드는 일본 정부인가, 아니면 일본의
가상적 적대국인 중국이나 북한인가. 그런 것들이 아니라면 개발이란 미명
아래 자연환경을 운명적으로 파괴할 수밖에 없는 우리 자신들인가.

 

 

서구 사회나 일본이 일찍부터 산업화의 길을 걸어온 만큼 환경 파괴의 문제나 삶의 피폐화 등 인간 소외의 문제를 인식하고 자각해온 역사가 길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할만하다. 그런 비극적 현상들을 각종 예술의 소재로 그려내고자 한 것도 충분히 이해할만하다. 그러나 철학이나 종교학을 포함한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그런 것들을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성화되면서 환경론이 보다 심도 있는 융합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한 점은 충격이었고, 그것은 적어도 우리가 갖고 있는 환경인식의 낙후성이나 단편성과 대비되는 그들의 학문적 선진성일 수밖에 없었다. 물론 그들의 경우 이미 담론화된 철학 혹은 인문과학을 환경과 억지로 융합시키려 한다는 혐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는 있겠지만, 아무리 환경이 물적인 객체라 해도 그것이 담론화의 대상으로 이미 편입돼 인식의 한 자리를 점하고 있는 한 그들과 대비되는 우리의 후진성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지막 날 답사한 헤노코(へのこ) 해변을 바라보며, 군사기지 건설의 현실적 필요성과 자연보호의 명분은 양자택일의 문항이 아니라 그 역시 지혜로운 타협과 융합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다는 나름의 판단을 내리게 됐다. 미 해군기지의 증설을 극력 저지하며 투쟁하고 있는 사람들의 텐트 바깥엔 ‘투쟁 3871일째’라는 팻말이 작지만 완강한 모습으로 버티고 서 있었다. 그들을 보는 순간 아름다운 헤노코 해변을 누구로부터 지켜야 하는지, 난해한 의문이 떠올랐다. 누구의 말대로 ‘세계전략 차원의 폭거를 자행하고 있다’는 미국인가, 아니면 그 미국을 편드는 일본정부인가, 아니면 일본의 가상적 적대국인 중국이나 북한인가. 그런 것들이 아니라면 개발이란 미명 아래 자연환경을 운명적으로 파괴할 수밖에 없는 우리 자신들인가.

 

환경론의 인문학적·미학적 승화는 단발적 캠페인이나 저항운동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환경문제를 ‘대를 이어’ 지속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새로운 삶의 원리로 격상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우리가 환경 문제를 문학이나 예술로 고발하고 형상화 할 뿐 아니라 초기 단계부터 교육과 연계시킨다면 ‘미래의 개연적 환경파괴 문제’는 근원적으로 예방될 수 있을 것이며, 예기치 않은 환경문제들도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의 틀을 수월히 마련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역사 발전 원리의 두 축인 당위와 현실은 환경에도 적용돼야 하고, 그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갖춰야 할때임을 깨달은 기회였다.

 

                                                                                     조규익(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오키나와 전도

 

 


오키나와 나하 시 시가지

 

 


나고 시 도착 후 저녁식사를 한 식당

 

 


마을 식당의 소박하고 정갈한 상차림

 

 


저녁 무렵 나고 만에서

 

 


호텔 창 밖으로 내다 보이는 저녁 무렵의 나고 만

 

 


학술 심포지엄이 열린 메이오 대학 정문

 

 


나고 시 시가지

 

 


호텔 근처에서 만난 교회[종교법인 궁리(宮里) 그리스도 교회]

 

 


교회의 내부

 

 


헤노코 해변으로 가는 길에 만난 미군기지[Camp Shwab]

 

 


투쟁단의 텐트에 부착된 구호[새 지사와 함께 열심히 합시다!!]

 

 


헤노코 해변 해상기지 건설 저지 투쟁 3871일째를 알리는 표지판

 

 


헤노코 해변에서 바라본 캠프 슈와브

 

 


헤노코 해변에서 만난 용궁신사

 

 


헤노코 해변의 아름다운 바위

 

 


헤노코 해변의 방파제

 

 


헤노코 해변 방파제 안쪽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4. 7. 29. 00:41

 

 


공항에서 천진외대 국제교류센터에 도착하여

 

 


천진외대 국제교류센터

 

 


천진외대 국제교류센터 앞마당에 설치된 조각상

 

 


천진외대 국제교류처에 걸린 국제학술회의 보도처 표지판

 

 


천진외대 국제교류처 로비에서 안내하는 학생들

 

 


천진외대 국제교류처 호텔방에서 내다 본 천진시가지

 

 


천진외대 국제교류처 호텔방에서 내다 보이는 롯데백화점

 

 


천진시가지에서 흔히 보이는 높은 빌딩들

 

 

 

영욕이 퇴적된, 미래 지향의 역사 도시 천진(天津)을 찾아(1)

 

 

 

 

 

3월 초. 천진에서 국제학술회의가 있으니 발표를 원하는 사람은 신청하라는 연락이 왔다. ‘국제학술회의라 해봐야 중국에서 열리는 만큼 수준이 뻔할 뻔자임을 경험으로 알고 있었지만, ‘천진이 탐났다. 뿐만 아니라 천진에서 학술회의를 마치는 다음 날 열하(熱河)로 이동하는 일정도 들어 있었다. 이미 열하를 다녀온 나로선 흥미가 반감되긴 했으나, 13년의 세월 동안 변했을 열하가 궁금한 것도 사실이었다.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읽으며 연암 박지원의 정신세계를 흠모해 온 게 대부분의 국문학도들일 것이니, 열하는 이번 여행에서 일종의 미끼상품’(?)인 셈이었다. 주최 측이 열하를 끼워 넣은 것도 그 점을 노렸기 때문이리라.

 

 

임오군란 이후 원세개(袁世凱) 일당에게 납치된 대원군이 3년 간 감금의 수모를 당한 곳. 제국주의 열강들에 의한 강제 조차(租借)로 입은 상처가 도시의 핵심부분에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곳, 발해 만에서 북경으로 들어가는 관문, 등등. 천진은 적지 않은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도시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나라에서 가까운 곳이라 언제고 갈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 지금껏 미답(未踏)으로 남겨둔 곳이었으므로, 나는 망설임 없이 참여하게 되었다.

 

 

인류 역사상 가장 부도덕한 전쟁으로 일컬어지는 아편전쟁(1840~1842)이 일어난 곳이었다. 영국과의 두 차례 전쟁에서 모두 패하고, 중일전쟁에서도 패함으로써 완벽하게 주권을 상실하게 된 중국이었다. 오랜 세월 중화주의와 동아시아 중세보편주의의 핵심 공간으로 군림해오던 중국이 아차하는 순간에 역사의 진운(進運)을 놓침으로써 국제사회의 동네북으로 전락된 역사적 비운의 생생한 현장이 바로 천진이었다. 그러면서도 열강 침탈의 역사를 근대화의 역사로 바꾸는 데 성공했고, 어떤 나라처럼 치욕의 현장을 쓸어버리지 않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대인배(大人輩)의 지혜와 금도를 보여 준 미래 지향의 공간이기도 했다.

 

 

우리가 머물게 될 이틀은 턱없이 짧은 시간이지만, 그래도 이 도시를 일별이라도 해야겠다는 욕구를 억누를 수 없었다. 서울 출발 전날 냉방병에 걸려 골골하면서도 장도에 오르게 된 것은 그 때문이었다. 1050분 출발 예정이던 아시아나 항공은 무슨 이유인지 30분 가까이 연발했고, 12시가 훨씬 넘어서야 천진 공항에 도착했다. 도시는 생각보다 크고 깨끗했다. 공항에서 버스에 오른 가이드는 천진이란 말의 유래부터 설명했다. 그 중 천자의 나루터란 설명이 가장 타당한 듯 했다. 즉 명 태조의 아들들 가운데 하나인 영락(永樂)이 황제에 즉위하기 전 남경 홍무(洪武)제의 손자이자 태조의 후계자인 주윤문(朱允炆)에 대항하는 싸움을 시작했는데, 그가 떠난 곳이 바로 이곳의 고강(沽江)으로서 즉위에 성공한 다음 자신이 떠난 곳에 천진이란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 발해로 흘러 들어가 양자강과 황하를 만나는 하이강[The Hai River; 海河]이 질펀하게 흐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물이 많은 도시였다.

 

 

숙소인 천진외대 국제교류처 호텔에서 점심을 먹고 3시가 넘어서야 천진박물관에 들렀다. 하서구(河西區) 은하(銀河) 광장에 있는 천진박물관은 백조가 두 날개를 편 듯한 건축 양식도 일품이었지만, 소장품의 양과 질은 더욱 엄청났다. 50,000의 넓이. 우리 개념으로 15,151평이 넘는 규모에 방대한 중국 전역의 고대미술품들을 소장하고 있는 곳이었다. 서예, 그림, 청동기, 도자기, 옥 공예품, 인장, 벼루, 상나라 때의 갑골문, 동전, 고문서, 근대의 각종 유물 등 20만 점이 넘는 미술품들과 역사유물들을 소장하고 있었다. 박물관의 외형이나 소장품의 규모로는 일개 시립박물관의 수준을 훨씬 뛰어 넘는 수준이었다. 중국의 근대사에서 천진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이 대단했던 만큼 서구 열강들과의 갈등, 전쟁, 식민화 등의 우여곡절과 그 산물인 조계(租界)에 관련된 각종 유물이나 문서, 인물들이 복잡하지만 잘 정리되어 있었다.

 

 

박물관은 매우 넓었다. 세계의 유명 박물관을 두루 돌아본 경험에 미루어, 천진박물관을 대강이라도 섭렵하려면 짧게 잡아도 꼬박 이틀은 필요하다는 것이 내 판단이었다. 고작 두어 시간으로 장강대하 같은 중국사의 유물들을 둘러보는 게 가당키나 한 일인가. 5시가 땡 치자 복무원들은 가차 없이 우리를 쫓아내기 시작했다. 위층엔 올라가 보지도 못한 채 그러지 않아도 주마간산으로 시작한 박물관 투어를 마칠 수밖에 없었다. 밖에 나오니 기념물 같은 주변의 고층건물들 사이로 어둠이 차오르고 있었다. 그렇게 천진에서의 귀하디귀한 하루를 보내고 말았다.

 

 

 

 


천진박물관 입구

 

 


천진박물관 내부

 

 


천진박물관 소장-부두의 노동자들

 

 


천진박물관 소장 생활사 자료-약방

 

 


천진박물관 소장-상나라 시대의 갑골문

 

 


천진박물관 소장품-신석기 시대 홍산문화에서 황옥으로 만든 pig-dragon

 

 


천진박물관 소장품-원나라 때 옥날개 용무늬의 두 귀를 가진 병

 

 


천진박물관 소장품-명나라 때 황남도인이 제작한 익번왕금

 

 


천진박물관 소장품-명나라 때 물고기와 연꽃 모양을 朱砂로 새긴 벼루

 

 


천진박물관 소장품-청나라 때 청동으로 만들어진 달라이라마 상

 

 


천진박물관 소장품-청나라 때, 에나멜로 서양인들이 그려진 비연호(鼻烟壺)

 

 


천진박물관 소장품-청나라 때 바위 모양의 壽山 돌도장
[남산지수(南山之壽: 남산처럼 장수하라)가 새겨져 있음]

 

 


천진박물관 소장품-19세기 초중반 아편을 탐닉하던 중국인들

 

 


천진박물관 소장-9개국 조계 분포도-
오스트리아- 헝가리, 이태리, 일본, 프랑스, 러시아, 미국, 영국, 독일, 벨기에

 

 


천진박물관 소장-북양대신 이홍장과 대화를 나누는
미국 18 대 대통령 그란트(Ulysses Simpson Grant)

 

 


천진박물관 소장-중국의 국부 손문상

 

 


이른 아침 공원에서 태극권을 수련하는 중국인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10. 30. 07:46

 

2013년 풀브라이트 방문학자 발전 세미나[2013 Fulbright Visiting Scholar Enrichment Seminar]에 다녀와서

 

 

 

 

2일차-대초원[Tall Grass Prairie]에서 멋진 울음 터를 발견하고

 

 

 

 

연암 박지원은 중국에 사신으로 가다가 요동벌판을 만나자 멋진 울음 터로다. 크게 한 번 울어볼 만 하도다!”라고 소리쳤다. <<열하일기>>의 이른바 호곡장(好哭場)’이 그것.

 

8시에 버스 두 대에 분승한 우리들은 2시간여를 달려 드디어 광활한 초원으로 들어섰다. 작은 키, 중간키, 큰 키의 각종 풀들이 끝이 보이지 않는 대지에 깔려 있고, 저 멀리 검고 흰 소떼가 대지에 주둥이들을 박은 채 풀 뜯기에 여념이 없었다. 간간이 관목지대가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로되, 온통 풀밭이었다. 미국인들이 ‘Tall Grass Prairie’[이하 ‘TGP’로 약칭]라고 부르는 자연 초지(草地)였다. 풀만 있는 게 아니었다. 드문드문 원유 채굴기들이 끄덕거리며 서 있고, 땅 속에서 퍼낸 원유와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들도 보였다. 말하자면 땅 위에는 달디 단 젖과 고기를 만드는 영양 만점의 풀이 그득하고 땅 밑에는 인류문명을 지탱하는 또 다른 젖인 원유가 고여 있으니, 이 나라는 대체 어찌하여 이런 복을 타고 났단 말인가.

 


Tall Grass Prairie Preserve 표지판과 뮤지엄

 


털사 시티와 오세이지 보호구역 및 톨그래스 프레이리가 나온 지도

 

연암은 사람들은 오직 슬플 때만 우는 줄 알고, 칠정(七情) 모두에 울 수 있다는 건 모른다네. 기쁨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노여움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슬픔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즐거움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사랑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미움이 사무쳐도 울게 되고, 욕심이 사무쳐도 울게 되지.울음이란 천지간에 우레와도 같은 것. 지극한 정이 발로되어 나오는 것이 이치에 맞아든다면 울음이나 웃음이나 무엇이 다르겠는가.”

 

그렇다. 기뻐도 슬퍼도 울 수 있는 것은 연암 뿐 아니라 인간이면 누구나 마찬가지다. 내가 대초원울음 터로 생각한 것은 나의 왜소함을 비웃는 듯한 그 광활함이 첫 번째 이유였고, 허허로운 듯한 외피 속에 그득 담긴 가멸찬 풍요, 그리고 그로부터 느끼는 상대적인 빈곤이 둘째 이유였다. 60 가깝도록 손바닥만한 풀밭에서 소꿉장난하듯 살아온 인생의 눈에 광대한 대초원에서 느끼는 놀라움과 부러움이 바로 내 울음의 근원이었다. 연암도 그랬으리라. ‘들판에서 해가 떠서 들판으로 지는그 요동벌판을 보며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느끼기도 했겠지만, 그보다는 가난하고 좁디좁은 조선 땅과 백성들을 먼저 생각하지 않았겠는가?

 


대초원의 한복판에서 풀을 뜯고 있는 바이슨 무리


대초원 저편에서 풀을 뜯고 있는 흰소와 검정소들


대초원의 느긋함을 즐기고 있는 long horn cows

 

***

 

두 대의 버스는 호텔로부터 두 시간 가량 달려 TGP로 들어섰다. 까마득히 넓어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는 대초원. 안내자로 나선 자원봉사자의 설명을 들으며 초원 사이로 난 트레일을 느릿느릿 달리는 버스의 창을 통해 그 넓이를 마음으로나 가늠할 뿐이었다.

 

오세이지(Osage) 카운티에 속해 있으며, 포허스카(Pawhuska) 다운타운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TGP. 초원 보호구역으로는 지구상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역사의 현장이자 유물인 셈이다. 원래 텍사스로부터 마니토바(Manitoba)까지 14개 주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도시의 확장과 농지의 전용으로 남아 있는 공간은 원래에 비해 겨우 10% 정도라 한다. 엄청난 크기와 기괴한 표정의 검정 소 바이슨(bison)들이 무리를 지어 주인 행세를 하고 있는 생태공간이다.

 


                                           톨그래스 프레이리 구역도       

 

TGP의 관문인 포허스카는 19세기 이래 오세이지 부족의 중심역할을 해온 도시인데, 오세이지 족은 갠자스에 있는 보호구역의 땅을 팔고 포허스카를 둘러싼 땅을 새로 사들였다고 한다. 지나면서 얼핏 보기에 새 집들이 많이 들어서 있으나, 이 구역의 오세이지 인디언들은 자신들의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계속해 오고 있다 한다. 그러나 석유의 발견으로 그들은 농업과 목축으로부터 벗어나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민족 그룹들 가운데 하나로 변신하게 되었다는 것. 지금 오세이지 족은 자기들 땅의 광물 채굴권을 갖고 있으며, 특히 석유와 가스는 오세이지 부족원들 뿐 아니라 그들 영역 안에 사는 다른 부족원들에게도 이익을 주는 수입원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TGP 1986년 이래 오클라호마의 웅장한 자연경관과 독특한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활동해 온 미국의 자연 보호 단체 The Nature Conservancy에 의해 만들어졌다. The Nature Conservancy의 오클라호마 지부가 총면적 77,000에이커[120평방 마일]에 달하는 12개의 보호구역을 소유하거나 돌보고 있다 하니 놀라운 일이다.

 

TGP에 들어선 우리는 바이슨 루프(Bison loop)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바이슨 관찰에 나섰다. TGP 본부 사무실보다 4~5마일 앞선 곳에 까마득한 넓이의 면적이 원형의 트레일로 구획되어 있는 곳이 바로 바이슨 루프였다. 풀이 없는 겨울 동안 녀석들이 먹을 건초 덩어리들을 쌓아놓은 건물이 있었는데, 그 앞마당에 모여 있던 수십 마리의 바이슨들이 우리가 다가오는 모습을 보곤 길 건너 풀밭으로 슬금슬금 피해가는 것이었다. 그들 가운데 어떤 녀석들은 길을 건너가면서도 우리 쪽을 흘끔흘끔 뒤돌아보며 무어라 투덜대는 게 분명했다. 자신들의 영역을 침범한 데 대한 불만이었을 텐데, 만약 우리가 다급하게 뒤쫓았다면 그 무서운 뿔을 곧추 세우고 덤벼들 것 같은 위기를 나는 분명 느낄 수 있었다. 그렇게 저 멀리 초원 한복판으로 몰려간 바이슨들은 길게 1자 대형을 유지하며 지평선으로 접근해갔다. 우리의 시야로부터 가물가물 멀어지다가 그들의 대열이 지평선과 합치되면서 우리는 자리를 떴다.

 


풀을 뜯고 있는 바이슨(borrowed from Google.com)


우리를 보며 슬금슬금 물러나고 있는 바이슨 무리


바이슨들이 물러난 자리에 남겨진 엄청난 거름

 

한때 개체 수가 3천만 마리를 상회하던 바이슨은 대초원의 왕이었다. 어깨 높이 180cm1톤이 넘는 체중을 자랑하는 웅장한 체격의 바이슨. 수십 마리에서 수백 마리 규모로 떼를 지어 초원을 배회하는 바이슨은 결코 식물이나 토양을 황폐화 시키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적당히 먹고 계속 움직여 뜯어먹은 곳의 식물을 다시 복원시키기 때문이다. 1800년대 후반에는 1000 마리도 남지 않아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보호에 힘입어 현재는 약 35만 마리 정도로 불어났다고 한다. 멸종의 위기는 벗어난 셈이고, 15000마리는 미국 내 공공의 땅에서, 나머지는 The Nature Conservancy에 의해 사유물로 각각 관리되고 있었다. 지금 The Nature Conservancy는 생태 시스템 복원작업의 한 부분으로 보호구역에 바이슨을 재입식해오고 있는데, 우리의 버스들이 바이슨 루프에서 시속 10마일로 서행한 것도 바이슨에게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서였음을 안내원의 설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바이슨 무리를 좇고 있는 각국의 학자들


인도의 탁월한 농학자 파트로 교수와 함께

 

사실 이 지역에 바이슨만 있는 게 아니었다. 가을이 깊어감에도 야생화들은 화려한 자태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기이한 종류의 풀들이 그득했다. 갖가지 새들은 지천으로 날아다니고, 여우나 토끼 같은 작은 동물들의 개체들도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설명이었다. TGP 조성 이후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아 수질과 토양이 개선되면서 많은 동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환경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인들이 자연에 대한 인간의 빚을 최소한으로라도 갚고 있다는 증거였다.

 

***

바이슨과 이별한 우리가 점심식사를 위해 멈춘 곳은 TGP Research Center였다. 그곳에는 우리의 점심 도시락을 싣고 온 트럭이 이미 도착해 있었다. 배분된 샌드위치 속의 바비큐가 바이슨 고기인지 묻고 싶었으나, 바이슨들의 표정이 떠올라 차마 그럴 순 없었다.

 

점심을 먹으면서 우리는 오클라호마 음악에 미친 복합문화적 영향[The Multi-Cultural Influences of Oklahoma Music]”이란 제목의 강연 겸 공연을 접하게 되었다. 강사는 Dr. Hugh Foley[Professor of Fine Arts at Rogers State University]였고, 그 아들이 특이한 복장으로 나와 인디언 음악을 들려주는 것이었다. ‘새로운옛날 음악을 새파란 젊은이로부터 듣는 것도 이색적이었지만, 무엇보다 부자가 음악으로 통해 있는 모습을 보는 건 참으로 아름다웠다. 아버지가 이론으로 설명하면 아들은 타악기로 직접 반주를 하며 노래를 불렀다.

 


TGP 리서치 센터 강당에서 공연 중인 휴 폴리 교수의 아들


휴 폴리 교수와 그의 아들

 

분명하진 않으나 노래들의 가락이 우리의 전통음악과 상당히 유사하여 인상적이었다. 그들이 설명하고 들려준 건 Red Dirt Music. 우리말로 번역하면 황토음악쯤 될까? Red Dirt Music은 오클라호마에 흔히 보이는 누런 흙에서 그 이름을 얻은 음악장르라 한다. 원래 오클라호마의 스틸워터가 Red Dirt Music의 중심으로 알려져 왔는데, 텍사스에도 Red Dirt Music이 있다는 설명이었다. 한때는 두 장르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있었지만, 2008년부터 그 차이가 소멸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우리의 전통음악, 특히 원시음악과 Red Dirt Music을 비교한다면,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공연 내내 드는 것이었다.

 

점심 겸 공연이 끝난 뒤 랜취 하우스와 뮤지엄, 초원 사잇길 등을 거쳐 들른 곳이 오세이지 박물관[Osage Tribal Museum]이었다. 도착하니 그들은 이미 우리를 맞을 만반의 준비를 갖춰놓고 있었다. 연사는 Kathryn Red Corn. 오세이지 박물관 관장으로서 오세이지 족 출신의 지성인이었다. 그녀는 '오세이지 족의 역사와 TGP에 대한 부족의 흥미'를 주제로 30분 이상 차분하게 설명했다. 설명이 끝나고 질문시간에 나는 현재 다른 부족들과의 관계는 어떻고, 어떤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가? 앞으로 얼마나 부족의 정체성[tribal identity]을 유지해나갈 수 있는가? 유지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가?’ 등을 물었다. 그러나 ‘Government 차원에서 다른 부족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하겠다는 것, 각종 민속행사 등을 통해 부족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등 매우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았을 뿐, 그런 문제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본 적은 없는 것 같았다.

 


톨 그래스 프레이리에서 Dr. Cheryl Matherly와 함께


Tall Grass Prairie 뮤지엄 앞에서

 

미국 최초의 인디언 부족 박물관인 오세이지 뮤지엄은 오세이지 부족의 전통에 따라 생활해왔거나 현대적인 삶을 살아온 사람들 가운데 오세이지의 역사, 전통, 관습 등에 정통한 사람들의 자원봉사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 뮤지엄은 오세이지 부족원들의 역사를 기념하거나 그것들을 배우기 원하는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해 1년 내내 많은 활동들을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족의 대표란 사람이 전통복장으로 행사장에 앉아 있었지만, 흡사 쇼윈도에 앉아 있는 마네킹처럼 생기 없이 인디언 부족의 미래를 대변하는 듯 했다.

 


오세이지 박물관(The Osage Tribal Museum)


오세이지 박물관에서 만난 공주(2013년 선발), 부족대표, 여성명사


오세이지 박물관 안에 붙은 그림


오세이지 박물관 벽을 채운 오세이지족 인물들


오세이지 족이 분배 받은 땅(지적도) 


오세이지 족의 대표와 함께


오세이지 박물관 관장 Kathryn Red Corn과 함께


TGP에서 석유를 채굴하던 옛날의 채굴기(오세이지 박물관 뜰)

 


오세이지 부족 사무소 앞에 세워진 기념 표지판

 

***

 

시간의 단층들이 켜켜이 쌓여 만들어진 역사의 뒤안길을 우리는 단 하루 만에 주파한 셈이었다. 대초원에도, 바이슨의 눈빛에도, 인디언들의 마음에도 그들 과거의 기억들은 화석화 된 채 촘촘히 박혀 있는 듯 했다. 지혜로운 후세의 누가 있어 정을 들고 그 화석들을 캘 날이 있으리라. 종족의 문화와 역사를 복원할 유전자가 그 화석들 속에서 검출되고, 종국엔 이 땅에서 사라진 영광이 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초원과 인디언들이 내게 주는 무언의 교훈이 바로 그것이었다. 우리는 오늘을 살고 사라지겠지만, 내일을 위한 씨앗 정도는 만들어 놓아야 한다는 역사적 책무를, 오늘 톨 그래스 프레이리에서 강하게 느꼈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2. 8. 1. 09:29

중국은 무도(無道)한 깡패국가, 세계 평화의 최대 걸림돌이다.

 

                                                                                                                                           백규

 

근자 중국의 마수(魔手)로부터 가까스로 풀려나 귀국한 김영환 씨에 의해 중국의 치부가 만천하에 폭로되었다.

 

중국을 다녀 왔거나 그들과 공식적인 거래를 해본 사람들은 대충 알고 있겠지만, 그들이 아직 원시적 야만의 의식수준에서 헤매고 있음은 분명하다. 세계에서 국가 공권력이 공공연하게 고문을 자행하는 나라의 대표적 사례가 북한과 중국이다. 공자와 맹자, 주자와 같은 훌륭한 선조를 모시고 있는 나라의 못난 후손들이 벌이고 있는 야만적인 폭거는 그들의 행태로 미루어 앞으로 몇 세기가 흘러도 청산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미개국을 이웃으로 두고 있는 대한민국. 그냥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체념해야 할까. 툭하면 잡아다 고문을 해도 모르는 척 하면서 '잡혀 들어간' 우리 국민의 '기민하지 못함'만 탓해야 할까. 어떻게든 덩치만 큰 '깡패국가' 중국의 못된 '버르장머리'를 고쳐 놓아야겠는데, 당장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없다. '정신 바짝 차리는 것'만이 그나마 그런 깡패들에게 일방적으로 당하지 않도록 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우리 모두 함께 지혜를 짜 내야 한다.

 

2005년도에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 지금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선 김문수 지사가 국회의원으로 있던 당시였다. 그가 중국에서 탈북자 문제인가로 기자회견을 가졌는데, 그 현장에서 무도한 중국의 공권력으로부터 테러 비슷한 폭행을 당했다. 한 나라의 독립된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은 어느 나라에 가서든 최소한 외교관과 같은 대우를 받아야 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럼에도 그들이 김 의원을 잡범 다루듯 한 일은 국제법의 관례상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 더욱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은 당시 우리나라에서 김 의원을 탓하는 분위기가 압도적이었다는 사실이다. 중국의 무도함을 먼저 탓했어야 할 이 땅의 정치인들 혹은 지식사회가 억울한 김 의원을 비난한 것은 뿌리 깊은 '노예근성'의 발로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그들이 바로 오늘날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  '종북주의자들'이었음을 비로소 깨닫게 된다.

 

 필자는 당시 분노를 금치 못하고 아래와 같은 칼럼을 <<조선일보>>(2005. 1. 17.)에 기고한 바 있다. 그 글을 통해 위정자들에게 '민족의 자존심'을 세울 수 있는 최소한의 방책이라도 마련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그로부터 7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 나라를 이끌어 간다고 하는 위정자 그룹의 '대책없음'이 우리를 분통 터지게 만드는 요즈음이다. 지금 여야를 막론하고 대권을 꿈꾸는 이른바 잠룡(潛龍)들은 무엇보다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을 갖고 있어야  한다. 깡패국가의 볼모로 전락한 국민이나 국가의 대통령이 된들 무슨 영광이겠는가? 얻어 맞으면서도 배만 부르면 그만인 '돼지'로 만족할 것인가?

 

당시의 글은 아래와 같다.  

 

 

 

******* 

 

 

 

민족의 자존심

 

 

▲ 조규익 교수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이 중국의 공권력에 폭행을 당했다. 국가 간의 이해(利害)가 개입된 문제라고는 해도 ‘때린 놈’이나 ‘맞은 놈’ 모두 우습게 되었다. 더욱 희한한 일은 때린 놈의 역성을 드는 집단이 우리들 속에 엄연히 존재한다는 점이다. 아무리 점잖다 해도 ‘불량배에게 맞고 들어온 자식’을 꾸중하는 부모는 없다.

 


사실 중국을 지렛대로 북한을 움직이려면, 중국과 우리의 이해관계가 맞아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란 어렵다. 북한의 체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면서 남한으로부터 경제적 이득까지 챙기려는 중국인들의 계산법은 천하공지(天下共知)의 사실이다. 분단된 우리 민족을 뒤에서 조종하며 실익을 챙기자는 그들의 ‘꼼수’를 우리는 민족사 최대의 수치로 받아들여야 정상이다.

 

따라서 이번 일을 국제화 시대의 나라들 간에 일어날 만한 외교적 사건으로 단순화 시킬 수는 없다. ‘민족적 자존심’의 원칙적 잣대는 어느 나라와의 관계에서도 최우선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특히 중국에 대해서는 그 잣대가 좀더 복잡하다.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380년 전의 일을 떠올려 보자. 반정(反正)으로 인조(仁祖)를 옹립한 서인(西人) 정권은 정통성을 인정받아야 했다. 중국으로부터 고명(誥命)과 면복(冕服)을 받지 못하면 국내에서 반대파를 누르고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었다.

 

누르하치의 기세가 바야흐로 명(明)나라의 숨통을 끊어갈 무렵이었다. 이덕형(李德泂)을 정사(正使)로 하는 주청사(奏請使)가 명나라 조정에 파견되었고, 그들은 넉 달 가까이 북경에서 온갖 수모를 겪는다.

 

 

한 나라를 대표하는 정사가 ‘시랑(侍郞)’ 정도의 관리들에게 농락을 당하기 일쑤였고, 자신들의 뜻을 요로에 전하기 위해 뇌물을 밥 먹듯 써야 했다. 북경의 혹심한 겨울 추위를 무릅쓰고 새벽부터 길거리에 꿇어 엎드려 출근하는 각로대신(閣老大臣)들에게 손을 비비던 노구(老軀)의 정사는, 바로 역사 속에 그려진 우리 민족의 자화상이다.

 

 

그뿐인가. 천신만고 끝에 각로들을 만난 정사. 그들의 괜한 트집으로 섬돌에 내동댕이쳐져 울부짖던 그 참상을 다시 무슨 말로 표현할까.


 

역사에서 가정(假定)은 부질없다지만, 우리 민족의 자존심을 무자비하고 철저하게 ‘농락해 온’ 저들의 무례함을 제때 제대로 징치(懲治)했더라면 현대사는 좀더 다른 방법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현실적으로 ‘징치’까지는 바라지 않더라도 우리가 ‘자존심’을 세우는 방법만이라도 강구했었다면 지금 이렇게 온 국민이 참담함을 되씹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망해가는 명나라에게 빌붙어 국내에서 권력을 장악하려던 일부 무리들의 ‘꼼수’는 결국 민족의 자존심을 망치고 그후 조선에 잦은 전란을 초래한 원인의 하나가 된 것만 보아도, 통치 집단의 지혜로움은 분명 민족사 전개의 향방을 가르는 지표로 작용하는 게 사실이다.


 

역사는 반복된다. 세상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겉모습은 달라져도 본질은 변할 리 없다. E H 카(Carr)의 말처럼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가 역사임에도, 우리는 역사로부터 배운 것 없음을 만천하에 보여주고 말았다. 특히 21세기 초입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집단들이 매우 우매(愚昧)하고 게으르다는 점, 국민으로서는 그것이 못내 통분하다.

 

 

역사책의 한 쪽만 넘겨 보아도 우리가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할 진실은 그득하다. 지금 중국은 남북의 분단 상황을 지렛대로 삼아 그 사이에서 철저히 이익을 취하고 있다. 그 와중에 농락당하는 건 남북한 모두의 자존심이다.

 

 

조규익·숭실대 국문과 교수

 

<조선일보, 2005. 1. 17.>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