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10. 11. 4. 13:38



모시는 말씀

여름내 가꾸어온
우리의 꿈이 여물어
야문 낱알들로 넉넉한 이 가을

이 시대의 선명(善鳴) 고은 시인과 함께
낭만의 따스한 연못에
흠뻑 빠져보려 합니다.

옷깃을 여미고
캠퍼스를 거닐며
시와 인생을 담론하는 자리에
부디 오셔서
우리의 꿈과 사랑을 이야기해 봅시다.

경인년 11월 첫날
뒹구는 낙엽을 바라보며
인문대 학장 조규익 드림


일시 : 2010년 11월 17일 수요일 15:00~
장소 : 숭실대학교 한경직 기념관 김덕윤 예배실
연사 : 고은 시인
연제 : 처음으로 만난 詩-문학과 인문학, 그리고 시대정신을 찾아-

연락처 : 820-0304, 820-0326  http://www.ssu.ac.kr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0. 10. 11. 08:35

‘노벨상’ 강박증

 

2010년 10월 7일 오후 8시.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시각이었다. 며칠 전부터 언론 매체들이 고은(高銀) 시인의 수상 가능성을 확신하는 듯 떠들썩하게 기대치를 높여 왔던 만큼, 사람들은 몸이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흡사 고 시인의 노벨상 수상이 민족적 ‘비원(悲願)’이라도 된다는 듯, 사람들은 그 시각이 가까워지자 입을 모아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그러나 아쉽게도 올해 역시 그 예측은 빗나갔고, 기원은 허사로 돌아갔다. 다시 기다려야 할 1년을 지루하게 느끼며 사람들은 노벨상에 대한 관심을 접어 둔 채 조용해졌다.

 

이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일본이 화학 분야에서 공동 수상자를 배출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누구의 표현대로 ‘민족적 모욕’에 견줄만한 일이 벌어졌으므로, 우리는 쓰라린 가슴을 접어 눌러야 했다. 21세기에 접어든 이후만 해도 일본은 10명의 노벨 수상자를 배출했는데, 그들 모두 기초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이다. 우리가 물리학이나 화학, 생리학, 의학, 경제학 등은 꿈도 꾸지 못한 채 겨우 문학 분야 하나에만 목을 매다시피 하고 있는데, 그들은 이미 가와바타 야스나리(1968년)와 오에겐자브로(1994) 등 두 명이 문학상을 받은 바 있고, 기초과학과 평화상까지 합하면 총 18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그간 해온 방식대로 올해도 몇몇 언론매체들은 일본과 한국의 교육을 비교하는 데서 원인을 찾아 제시하는 것으로 전 국민적 실망감을 누그러뜨리고자 하는 듯하다.

 

그러나 문제는 그것으로 끝이라는 점이다. 언론의 분석은 이유가 궁금한 대중들의 갈증을 우선 풀어줄 ‘한 컵의 물’일 뿐이다. 좀 더 근본적인 요구는 국가차원의 정책과 실천일 텐데, 국가나 국민 모두 아마추어리즘의 언저리에서 맴돌고 있는 것이 우리의 한계다.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않고, 노벨상 보기를 집중적으로 대표선수 몇 명 길러 금메달을 따내는 올림픽 대하듯 한다. 사실 ‘올림픽의 금메달’이 스포츠의 최종적인 목적은 아니다. 사람들로 하여금 생활 속에서 즐기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스포츠의 본질이다. 지난 시절 사회주의권 국가들이나 저개발 국가들에서 특정 분야의 뛰어난 선수들만을 돈 들여 키우는, 이른바 ‘엘리트 체육’이 성행했는데, 그것은 체육인구의 저변확대를 통한 선수육성이라는 본질과 거리가 멀다. 당분간 금메달은 따오겠지만, 그것으로 그 나라의 총체적인 수준을 평가할 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의 분석과 처방을 거치지 않고, 특정 분야 특정 선수 한 두 사람에게 노벨상을 받아올 것을 기대하는 우리의 ‘대책 없는 노벨상 기대심리’는 오히려 ‘엘리트 체육’보다도 못한 셈이다. 설사 내년에 고 시인이 노벨 문학상을 탄다 해도, 후속 수상자의 배출은 다시 ‘요행’이나 ‘기적’에 기댈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고 시인 급(級)의 ‘잠재적 노벨상 수상 후보자들’ 수십 혹은 수백 명이 우글거리도록 만들자면 길게 보고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문학교육을 제대로 시키고, 다양한 외국의 인재들을 불러다 제대로 된 우리 문학의 번역자로 키워야 한다. 기초과학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하려면 지금과 같은 교육과 학문의 토양을 완벽하게 바꾸는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자면 많은 시일과 돈이 필요할 것이니, 상당 기간 우리는 노벨상의 존재를 잊어야 한다. 투자와 노력도 안 하면서 노벨상에 모든 것을 거는 듯한 행위는 국가적 차원의 ‘파렴치’일 뿐이다.

 

노벨상은 목표가 아니라 우리 노력의 부산물이어야 한다. ‘문학과 학문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다 보니 노벨상 수상자도 나오더라’는 말이 정답이다. 문학이든 기초과학이든 노벨상이 전부는 아니다. 1964년 프랑스의 문호 장폴 사르트르는 노벨문학상을 거부했다. 그 이유가 무엇이었든, ‘노벨문학상이 아니라도 자신의 문학이 최고’라는 자부심을 그는 견지했을 것이고, 또 사실이 그렇다. 수준 높은 문학과 학문을 가꾸어 나가고, 그에 대한 스스로의 자부심을 높여 나갈 때 비로소 우리는 ‘노벨상 강박증’을 극복할 수 있다.

 

조규익(숭실대 국문과 교수/인문대 학장)

 

Posted by kicho
출간소식2009. 9. 30. 21: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병학 디아스포라 에세이,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서울, 인터북스, 2009) 가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3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재소고려인들이 사는 나라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열여덟 해를 살아오고 있는 김병학 시인이 그동안 고려인들과 어울려 살면서 보고 느끼고 체험한 이야기들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9월 20일 도서출판 인터북스에서 발행한 김병학 디아스포라 에세이,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서울, 인터북스, 2009)가 바로 그것이다.

  김 시인은 지난 1992년 카자흐스탄으로 건너가 우스또베광주한글학교 교사, 알마아타고려천산한글학교장, 알마틔대학교 한국어과 강사, 구소련 고려인들의 민족지 <고려일보> 기자 등을 역임했다. 이와 같은 독특한 경력이 말해주듯이 김 시인은 누구보다도 고려인들과 가까이 어울려 산 한국인이다. 그는 그렇게 고려인들 속에서 살면서 그들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꾸준히 <고려일보>에 글로 남겼고 그 글들이 모여 오늘의 에세이가 되었다.

  책 머리말에서 저자는 “여기에 소개하고자 하는 글들은 필자가 중앙아시아에서 내디딘 조그만 발자취의 기록이다. 머나먼 중앙아시아에도 <고려일보>라는 모국어 신문이 있어 바람처럼 떠도는 삶의 노래를 기록으로 남길 수 있었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 모른다. 더욱이 필자는 그 신문사의 부름을 받아 두 번이나 기자로 일하는 행운을 누리기도 했다.

  …한데 모아놓고 보니 중앙아시아에 거주한 지 어느 덧 열여덟 해나 되는 필자의 개인사에서 가장 중요한 굽이 길을 <고려일보>라는 모국어신문사에서 편력했음을 깨닫는다.” 라고 고려일보에 대한 인연을 강조하고 있다.

  책은 크게 나누어 순수한 사념의 글, 고려인 ․ 고려일보 ․ 고려일보 기자에 대한 단상, 그림전시회나 음악공연 등을 감상하거나 취재한 글, 국제신문에 쓴 디아스포라 칼럼, 카자흐스탄 거주초기에 쓴 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글마다 고려인들과 맺은 저자의 깊은 고뇌와 끈끈한 애정이 배여 있어 이를 읽는 독자들은 가슴 시린 감동을 받을 것이다. 특히 강제이주세대 선배들을 기린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나 고려일보의 운명을 고민한 ‘과연 고려일보에 장래가 있는가?’, 그리고 사라져가는 세대들의 삶의 궤적을 하나하나 찾아 기록한 여러 글들에서 독자들은 저자의 고려인에 대한 애정과 사색의 깊이를 가늠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고은 시인은 다음과 같이 이 에세이를 극찬하고 있다. “이곳의 여러 인연을 버리고 그곳에 가서 그곳의 사라져가는 삶의 자취들을 하나하나 지켜내는 일을 마다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시인 김병학 형이 바로 그 사람이다. 이 김병학 디아스포라 에세이는 그래서 역사의 의미가 해체되어 가는 오늘 삶이 역사가 되고 역사가 삶이 된다는 진리를 번개쳐 보여주기에도 알맞다.

  나는 이 실기적(實記的) 에세이를 읽고 눈물을 흘려야 했다. 그뿐 아니라 우리 한민족은 한반도 역내에만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저 연해주와 중앙아시아에도 또 하나의 한민족으로 엄연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나는 이 책 속에서 잃어버린 나를 만나고 있는지도 모른다.”

  과연 이 김병학 디아스포라 에세이는 저자가 머리말에서 그렇게 썼듯이 “끊길 듯 끊기 지 않고 이어지는 그 시절의 고뇌와 보람의 흔적들이 자꾸만 넓은 세상과 소통시켜달라고 소리치는 것만 같다.”

  김 시인은 2005년에 시집 『천산에 올라』를, 2007년에 재소고려인 구전가요를 집대성한 『재소고려인의 노래를 찾아서 I ․ II』를 편찬해 국내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는 현재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고 살리는 일을 하고 있다.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