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4. 1. 14. 12:50

 

 

 


로턴의 호텔방에서 내다 본 석양 모습

 

 


로턴시내의 색다른 스테이크 하우스 '텍사스 로드 하우스'

 

 


식당 문에 매달린 엘크

 

 


대평원 뮤지엄[Museum of the Great Plains]

 

 


부족의 경험과 전설을 젊은이에게 이야기해 주고 있는 인디언 노인

 

 


전장에 나가고 있는 인디언 전사

 

 


소크족[Sauk Tribe] 인디언 추장

 

 


소크족 인디언 부부

 

 


코만치 인디언 톤토 역을 맡은 죠니 뎁

 

 


코만치 족의 방패

 

 


1990에 발행된 코만치 시리즈의 미국우표

 

 


인디언 추장

 

 

 


코만치족의 기마전술

 

 

 


대평원 박물관에 전시된 농기구

 

 

 

카이오와(Kiowa), 아파치(Apache), 코만치(Comanche), 그리고 대평원[Great Plains]의 서사시()

 

 

 

무서운 코만치에서 상식의 미국인으로!()

 

 

 

 

 

 

 

말에 미치다시피 한 코만치족은 코만치 영역 주변에서 대략 2백만 마리에 달하는 방대한 수의 야생마들을 이용하기도 했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에 코만치족은 오늘날의 마이 카(my car)’ 개념처럼 각자 한 마리씩의 말을 소유했다. 물론 전사들은 여러 마리의 말들을 갖고 있기도 했지만. 대략 3~4만의 인구가 몇 배의 말떼를 소유하다 보니, 코만치 족은 추가로 9~12만의 말들을 갖게 되었다.

  말은 전쟁의 결정적인 수단이었다. 싸움은 코만치족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코만치족은 말을 타고 각종 전통 무기들을 쓸 줄 알았으며, 그런 전술을 발전시킨 사람들이었다. 코만치족이 멕시코 인들을 침략할 때면 예외없이 달밝은 밤을 택했는데, 그들은 밤중에도 말을 타고 상대방을 보면서 싸울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코만치 문(Comanche Moon)’이란 바로 거기서 나온 말이었다.

 

현재 코만치족은 주택청[Housing Authority]을 운영하고, 코만치 인들에게 자동차 택(tag)도 발행해주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들 자체의 고등교육부[Department of Higher Education]를 통해 부족원들의 대학교육을 위한 장학금이나 여타 재정적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었는데, 그 재원은 주로 자신들이 운영하는 담배 판매업과 네 개의 카지노 수입 등으로 조달한다고 한다. 그들은 또한 로턴에 2년제 민족 대학인 코만치 네이션 칼리지(Comanche Nation College)’를 설립, 운영하고 있었다. 이것 역시 2세 교육에 재원을 투자함으로써 전통시대의 수준과 의식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이었다.

 

로턴 시내 한 구석에는 상당수의 유명호텔들이 모여 있었고, 우리는 그 가운데 저렴하면서도 깨끗한 호텔을 구할 수 있었다. 깨끗한 호텔들이 제법 모여 있다는 것은 이 도시를 찾는 여행객들이 적지 않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는데, 그 여행객들의 상당수는 코만치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탐방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듯 했다. 호텔에서 1박을 한 다음 우리는 그레이트 플레인 뮤지엄(Museum of the Great Plains)’코만치족 뮤지엄과 문화센터(Comanche National Museum and Cultural Center)[이하 코만치 뮤지엄으로 약칭]’에 들렀다. 그레이트 플레인 뮤지엄에는 오클라호마 주 전체의 인디언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기 위한 콜렉션들이 전시되어 있었고, 코만치 뮤지엄에는 오직 코만치족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컬렉션만 전시되어 있었다. 

 

그레이트 플레인 뮤지엄은 여느 박물관과는 달리 탐험, 발견, 경험, 교육등 폭넓은 목적을 상정하고 만들어진 공간이었다. 그곳에는 인디언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컬렉션들의 진수가 모여 있었고, 배열 또한 정교하여 그것들의 내용이나 의미를 이해하기가 편했. 말하자면 갖가지 콜렉션들을 통해 로턴의 역사를 재인식하게 하고, 원주민들이 그레이트 플레인스에 어떻게 정착했는가를 탐구하여 그 의미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 이 박물관의 컨셉이었다. 1층은 컬렉션들을 일목요연하게 배열전시해 놓은 관람 공간으로, 2층은 인디언들의 생활 자료를 직접 만들어 보는 체험학습장으로 각각 달리 꾸며놓은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이 박물관은 일반인, 학생, 학자 등 모든 분야의 사람들이 찾아와 대평원의 원주민들이 남긴 역사와 문화를 즐기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진 것 같았다.  

 

남부 대평원의 중요 지역인 오클라호마에 인디언들이 들어와 살게 된 과정과 경위 및 분포양상 등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한 코너, 농기계 등 농업관련 코너, 더스트 보울(Dust Bowl)이나 랜드런(Land run) 등 오클라호마가 겪은 역사적 시련들을 보여주는 사진 코너, 각 인디언 부족들의 생활자료 코너, 출토된 화석자료를 통한 대평원 지역의 자연사 자료 코너, 인디언 작가들의 그림이나 인디언들의 삶을 그린 작품 코너 등등. 이 박물관을 한 바퀴만 돌면 이 지역의 역사와 인디언의 정착 및 생활사를 소상히 알 수 있도록 안배된 점이 두드러졌다.

 

이 가운데 압권은 오클라호마의 인디언 정착 과정을 4단계[1830-55/1855-66/1866-89/1889-07]로 나누어 그림과 글로 설명한 코너였다. “문명화된 다섯 부족들은 공식적으로 재배치된 첫 케이스였다. 1830‘Dancing Rabbit Creek’ 조약은 촉토, 치카샤, 체로키, 크릭, 세미놀 등의 부족이 새로운 인디언 구역의 땅을 받기 위해 미시시피 강 동쪽에 있는 그들의 땅을 포기했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고, 그 시기를 기점으로 정치적 이주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동하는 도중 긴 거리의 행렬을 군인들이 몰아대기도 했는데, 그 때 많은 사람들이 길에서 죽기도 했다.”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총천연색 지도를 통해 오클라호마의 각지에 어떤 인디언들이 정착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었다. 다른 부분도 마찬가지였는데, 이 분야에 대한 몇 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관람객들로 하여금 분명히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었다. 

 

박물관 밖에 설치된 열차박물관과 코만치 빌리지 또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공간들이었다. 마지막으로 운행되던 락 아일랜드(Rock Island)’ 노선의 거대한 기관차가 놓여있고, 역사(驛舍) 및 열차관련 컬렉션들로 박물관은 그득했다. 그 옆 벌판에 만들어진 코만치 빌리지 역시 대평원에 살던 코만치의 삶을 상상하기에 충분하도록 만들어져 있었다. 그 다음으로 들어간 곳이 코만치 뮤지엄이었다. 건물의 멋진 외관에 비해 컬렉션의 양과 질이 빈약하고 폐쇄적이라는 점에서 앞서 아파치 시티의 아파치 히스토리컬 서사이어티 뮤지엄과 유사했다.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컬렉션들이 다른 박물관들의 소장품과 겹치고 그 양 또한 많지 않다는 점에서 이 박물관의 한계는 분명했다. 말하자면 아직 완성되지 못한 박물관인 셈이었다. 

 

코만치족 역시 여타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어려운 삶의 고비들을 겪어 왔다. 그러나 오랜 동안 다른 부족들에게 무섭다는 인상을 주었을 정도로 호전적이고 야만적인 성향을 지녀온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것은 다른 부족들과의 생존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한, 그들만의 장점이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서부영화들에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그들의 이미지는 도둑놈’, ‘싸움꾼혹은 잔인한 전략가에 머물러 있는데, 타고난 전투력으로 다른 부족들을 정복하고 그들을 잡아다 노예로 파는 등 비인간적 행태를 지속해 온 역사적 사실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말들을 활용하여 많은 이득을 보았고, 그것이 자신들의 세력 확장과 부흥에 큰 기여를 했지만, 현재와 미래의 삶에 의미 있는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코만치족의 수도라 할 수 있는 로턴에서 코만치족의 정체성을 짐작할만한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한 것은 이곳이 이미 문명화된 미국의 한복판이기 때문이리라. 잔인함과 야만성은 문명에 용해되어 새로운 모습의 시대정신으로 나타날 수도 있었으련만, 아직 의미 있는 징후를 발견하지 못한 것은 그 결정적 시기가 도래하지 않아서인가, 아니면 아예 코만치 정신이 죽어버려서인가. 스쳐 지나가는 나그네의 짧은 안목으로 쉽게 알 수 있는 일은 아니었다. 

 

 


Standard Oil Company의 Tank Wagon[당시 유전에서 생산된 오일을 실어 나르던 탱크]

 

 


코만치족 뮤지엄과 문화센터(Comanche National Museum and Cultural Center)


 

 


코만치족 뮤지엄 휘장

 

 


남자들이 사냥이나 전투에 나갔을 때 티피에 남아 있던 엄마의 위장복과 아기의 크레이들

 

 


코만치족의 남자 인형과 아파치족의 여자 인형

 

 


인디언 전사 그림

 

 


인디언족 말을 그린 현대 미술

 

 


인디언 전사 그림

 

 


인디언 추장의 모습

 

 


2차대전에 참전했던 코만치족 암호해독병 기념메달

 

 


코만치 민족대학 홈페이지

 

 


1855~1866 오클라호마 주 인디언 분포도

 

 


1889~1907년 오클라호마 주 인디언 분포도

 

 


대평원 박물관 곁의 통합운송박물관 뜰에 전시된 Rock Island 노선의 마지막 기관차

 

 


로턴 시가지 지도

 

 


대평원 박물관 앞 공원에서 만난 한 쌍의 프레어리 독(Pairie Dog)

 

 


로턴에서 만난 한국음식점 '부산식당'. 맛있는 한 끼의 점심을 즐겼음.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12. 14. 13:27

 

 

우리도 스토리가 있는 길을 한 번 만들어 봅시다!

 

 

 

-4: 엘 르노 시티(El Reno)커네이디언 카운티 뮤지엄[Canadian County Museum ]’-

 

 

 

 

손 형,

 

엘 르노 시티와 만나게 된 것은 우연이었지요. 유콘 시티의 베테란스 뮤지엄에 들렀다가 돌아가려는데, 큐레이터 리차드 씨가 근처의 엘 르노 시티를 보고 가는 게 좋을 거라고 충고합디다. 그래서 그곳에 들렀는데, 그렇게 하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상당히 퇴락된 느낌이 들었지만, 꽤 유서 깊은 면모를 간직한 도시였어요. 이 도시 또한 66번 도로와 큰 관련을 맺고 있지요. 그 뿐 아니라 열차의 터미널과 수리공장이 있던 곳으로, 말하자면 이 지역의 교통 요지라고 할 수 있지요. 우리가 방문한 박물관은 그 역사(驛舍)와 부지(敷地)를 통째로 개조한 것이었어요.

 

 


엘 르노, 유콘, 오클라호마시티, 에드몬드, 거쓰리, 스틸워터 등이 표시된 지도

 


1891년 엘 르노 시가지의 모습

 

엘 르노 시티는 캐나디언 카운티 청사의 소재지로서 현재 대략 1,8000에 가까운 인구를 보유한 도시이죠. 1889년 랜드러시(land rush)² 직후 인근의 Fort Reno를 본떠 명명된 이 도시는 오클라호마 시 중심가로부터 겨우 40km 정도 떨어져 있을 만큼, 주의 중심부라 할 수 있지요. 특히 오클라호마 시티 표준 도시 통계구역[Standard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¹의 한 부분이라는 점은 이 도시가 이 지역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말해 주는군요. 원래 현재 위치로부터 북쪽으로 8km 정도 떨어진 북 캐나다 강[North Canadian river]’의 제방에 있던 이 도시는 Reno City라는 이름을 갖게 되면서 네바다(Nevada)주의 Reno와 혼동을 일으켜 우편물의 배달 오류 사태가 자주 일어나곤 했다네요. 그래서 시가지가 물에 잠긴 두 번 째의 홍수 이후에 현 위치로 옮겼고, 이름도 El Reno로 바꾸었다는군요.

 

 


엘 르노 시청

 


오클라호마 주와 인디언 구역들

 

이 도시는 오클라호마 주에서 유일하게 다운타운 지역에서 운행되는 전차를 갖고 있다는 점, ‘시카고, 락 아일랜드 및 태평양 철도[Chicago, Rock Island and Pacific Railroad]’ 락 아일랜드(Rock Island)’의 터미널과 수리 시설이 있다는 점 등으로 아직도 오클라호마 주 안에서 중시되고 있었어요. 그런데 불행히도 1975년 이 회사가 파산하는 바람에 많은 사람들이 실직을 했고, 철도부지 역시 공터로 남게 되었다지요? 철도회사의 창고와 건물들은 캐나디언 카운티 역사학회가 사들여 박물관 단지의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고, 우리는 바로 그 박물관을 방문하게 된 겁니다. 기차 역사(驛舍)를 사들여 빌딩을 건축함으로써 엄청난 시세차익을 남기려는 우리와 달리 그들은 박물관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노라니 그들의 여유가 무척 부러워지더군요.

 

 


커네이디언 카운티 뮤지엄

 


락 아일랜드 역사[현재의 카운티 뮤지엄]

 


Bob Kreiger가 기증한, 당시의 달리는 열차 그림.

 

박물관의 중심 컬렉션은 다른 도시의 박물관들처럼 이 지역의 생활사 자료들이 주축이었어요. 그러나 다른 지역과 다른 점은 락 아일랜드역 자체에 관한 풍부한 컬렉션이었어요. 기차와 철로에 관련되는 각종 물건들이 세밀하게 수집되어 있었고, 당시 운행되던 열차의 미니어쳐를 전시실 안에서 실제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박물관에 생동감을 주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었어요. 박물관의 중심 건물 밖에는 당시 있던 학교, 교회 등 공동체의 건물들이 당시의 모습대로 재현되어 있었으며, 창고에는 열차 관련 부품들과 각종 운송수단 및 농기계 등도 전시되어 있었어요. 그 뿐 아니라 역의 사무실은 까페로 꾸며져, 사람들이 당시의 분위기를 느끼며 즐길 수 있도록 개조되어 있더군요. 전반적으로 이들이 쓸모없게 된 물건들이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머리를 많이 썼다는 느낌을 줍디다. 발전의 주기가 짧고 변화 자체가 드라마틱한 우리의 경우도 생활사 자료들을 폐기처분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점을 이 도시에서 특히 강하게 깨달았지요. 당장 우리의 안목이 좀 더 문화적인 폭과 깊이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 미국의 중소 도시들을 몇 군데만 돌아다니면 얻을 수 있는 교훈이었어요.

 

 


커네이디언 카운티 박물관의 사무실 겸 전시장

 


박물관 컬렉션(인디언과 북)

 


박물관 컬렉션(엘 르노의 학교 관련 물품들)

 


박물관 컬렉션(거실의 물품들)

 


박물관 컬렉션(여성용 화장품)

 


박물관 컬렉션(금전등록기)

 


박물관 컬렉션(사무용 비품들)

 


박물관 컬렉션(사무용 비품들과 사진들)

 


1951년 당시 엘 르노 지역 선수들이 사용하던 풋볼의 헬멧

 


당시 역 구내의 매표소

 


전시품 소개문(개척시대의 의사들/가구 공예/철로와 모형열차 전시)

 


Dr. Ernest Ewing 진료실의 진찰 및 치료용 도구들

 

이 도시 역시 엘크나 클린턴, 유콘 등처럼 66번 도로변의 도시, 메인 스트릿(Main Street)’ 공동체이지요. 아시겠지만, 오클라호마 주는 오래전부터 메인 스트릿 프로그램(Main Street Program)’을 실시해 왔고, 엘 르노 시티는 자신들의 프로그램으로 미국 메인스트릿 대상[the Great American Main Street Award]’2006년에 받기도 했다지요. 말하자면 하이웨이의 신설 등 사회 간접자본의 확충으로 퇴락하는 다운타운을 되살리는 작업인 셈인데, 이 도시 역시 철도역을 중심으로 번성하던 숙박업소나 레스토랑, 백화점 등 각종 건물들이 현재는 각종 사적(史蹟)’으로 지정되어 있었고 일부는 그 안에서 영업을 하고 있기도 했어요.

 

 


당시의 농기구 전시실에서

 


당시의 전화기

 


어메리칸 익스프레스 캄퍼니의 취급 항목들(우편환/외국환 어음/여행자 수표/신용장/전신환)

 


락 아일랜드 역의 물품들과 당시 열차의 미니어쳐

 


당시 우체통

 


 소포의 무게를 재던 당시의 저울

 


당시 락 아일랜드 역의 수하물 저울들

 


당시의 저울들과 다른 물건들

 


락 아일랜드 역 관련 물품들

 


까페로 개조한 역사

 


당시에 타고 다니던 수레

 


당시 이 지역의 통나무집

 

다운타운은 여느 도시와 마찬가지로 널찍하게 정비가 잘 되어 있었고, 특히 100년 이상 된 건물들도 이 곳 저 곳에 중후한 모습으로 서 있었어요. 다운타운을 돌아보면서 무엇보다 우리의 눈길을 끈 것은 도심 한 복판에 전몰용사 기념공원을 만들어 놓았다는 점이었어요. 그 가운데는 이 지역 출신으로서 625 때 전사한 젊은이들의 사진과 이름을 새긴 석비도 있었는데, 순간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했어요. 정작 우리는 우리의 혈육들이 그 전쟁에서 몇 명이나 죽었으며, 전사자 가운데 우리 고장 사람들이 있는지조차 알지 못하는 게 사실 아니오? 그런데 미국 사람들은 전사자들을 도시 한 복판에 모시고 항상 추모하며 고마움을 느낀다는 사실이 우리를 감동시킵디다. 우리가 이런 점은 반드시 배워야 한다고 봐요. 세계 곳곳의 전쟁터에서 미국의 많은 젊은이들이 희생되어 왔지만, 국가는 그들의 희생을 한시도 잊지 않고 있다는 메시지를 국민들에게 매 순간 각인시키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부강한 나라로 발전할 수 있지 않았겠어요? 개인주의로 철저히 무장한 미국인들이 일단 애국정신의 기치 아래 뭉치면 천하무적의 집단이 된다는 점. 무섭고도 부러운 면이지요. 이 평범하면서도 쉽지 않은 점을 미국 중서부의 작은 도시 엘 르노에서 발견하게 되었어요. 우리는 과연 언제쯤이나 그렇게 될 수 있을까요?

나머지는 다음번에 말씀드리기로 하지요. 안녕히 계시오.

 

 


1901년에 지어진 상가-엘 르노의 다운타운에서

 


엘 르노 다운타운에서 만난 전몰용사 추모 공원[한국전 관련 비석이 보임]

 


커네이디언 카운티 출신의 전몰용사들

 


전몰용사 추모공원의 담벽

 


박물관 사무실에서 관리인들과 함께

 

 


당시의 초등학교

 


당시의 엘 르노 주류판매점

 


당시의 호텔

 


당시부터 있던 상가 건물들

 


엘 르노 연례행사의 하나인 버거데이 포스터

 

 

¹ ‘표준 도시 통계구역이란 미국에서 대도시 문제를 분석하는 데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만든 개념인데, ‘인구, 도시의 성격, 통합의 정도등을 기준으로 그런 지역은 설정된다.

² 1889년 오클라호마 인디언 구역 안에 백인 정착이 시작되면서 세계 역사에 보기 드문 도시 건설의 기괴하고 혼란스런 일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철로가 인디언 구역을 가로지르고, 아칸사와 텍사스를 잇는 통로들을 따라 여기저기에 증기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급수탑과 여타 설비들이 설치되었다. 인디언 구역이 개방되기 몇 달 전부터 도시구역의 회사들을 대표하는 개인들과 단체들은 이 위치들을 선점하고 이에 따르는 구체적인 계획들을 세우기 시작했으나, 당시 의회는 시민 정부의 어떤 형태도 제시하지 못했다. 당시 5만 여명의 정착민들이 200만 에이커의 땅을 둘러싸고 벌인 투쟁은 랜드 러쉬땅 차지하기싸움으로 기록되었며, 인디언들에게는 비극적인 역사의 단초가 되었다.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