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4. 2. 15. 07:15

 

 


 

 

 


뉴멕시코의 푸에블로 부족 분포도

 

 

 


타오 시내 역사구역 도

 

 

 

 


타오 신 시가지 안의 '아씨시의 성 프란체스코 교회'

 

 

 

 


타오 신 시가지 안의 장로교회

 

 

 

 


타오 신 시가지 안의 침례교회

 

 

 

 

 

 

 

 

부드러운 어도비, 완강한 타오 푸에블로인디언들

 

 

 

 

 

반델리어 유적지가 자리 잡은 프리욜레 계곡을 벗어난 시각이 오후 4시에 가까워져 있었다. 뉴멕시코를 벗어나기로 한 애당초 계획을 버리고 별 수 없이 로스 알라모스의 한 부분인 화이트 락(White Rock)에서 1박을 하며 반델리어의 감동을 정리하기로 했다. 창밖으로 산타페 산맥의 연봉들이 아스라이 보이는, 아름다운 호텔이었다. 다음날 호텔에서 챙겨주는 아침을 먹은 다음 프런트의 아가씨에게 일기예보와 타오(Taos) 에 관해 물었다. 눈 올 확률은 20%. 그러나 타오는 반드시 들러 가야 할 곳이라고 강추했다. 에라, 모르겠다. 눈이 쌓이면 며칠 묵어가지. 앞으로 언제 이곳에 또 올 것이냐. 그래서 산타페 쪽으로 다시 돌아가 I-40을 타는 대신, 그 반대편에 있는 타오(Taos)로 기수를 돌리기로 했다. 푸에블로 인들이 대대로 살아왔고, 지금도 살고 있는 타오의 집단 거주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싶었던 것이다.

 

화이트 락에서 타오 가는 길은 지금까지의 어떤 구간보다 아름다웠다. 겉으로 낙후되어 보이긴 했으나 연도의 촌락들도 모두 평화로웠고, 황량한 산하는 그 나름의 정제된 미학을 갖추고 있었다. 군데군데 퇴락한 도회들도 없는 건 아니었으나, 그것들이 갖고 있는 역사성은 내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멋지게 뻗은 502번 도로로 화이트 락의 호텔을 출발하여 잠시 가다가 30번으로 갈아탔고, 에스파뇰라(Espaňola) 턴파이크에서 68번으로 갈아탄 다음 두 시간 넘게 걸려 타오에 도착했다.

 

달리는 중간 중간 탄성이 절로 나올 정도의 경관들을 만나면서 우리는 발걸음을 주춤거리기도 했다. 예컨대, 아리바 카운티(Arriba County)를 지날 때 길 가에서 녹슨 간판을 보고 찾아 들어간 작은 도시 벨라르데(Velarde)에서 과달루페 성모가 모셔진 작은 성당 과달루페 성모 교회[Iglesia de la Virgen de Guadalupe Mission Church]를 만난 기억은 오래도록 잊히지 않을 것이다. 집도 몇 채 되지 않는 한적한 시골 동네 한 구석에 얌전히 앉아 있는 그 성당은 참으로 정결하고 가난해 보였다. 작은 나라에서 대형 교회들만 보아오던 내 눈에 큰 나라의 작은 교회가 주는 감동은 작지 않았다. 그런 감동을 안고 다시 먼 길을 달려 해발 2,124m의 높은 지역에 위치해 있는 면적 13.9 의 소도시 타오에 진입하게 되었다.

 

멀리 타오 마운틴이 서 있고, 그 앞으로 시가지가 비교적 널찍이 자리 잡고 있었다. 길은 좁았으나, 도시를 채우고 있는 어도비 양식의 집들은 따스해 보였다. 무엇보다 성당과 교회 및 공공건물들 대부분이 어도비 양식인 점이 좋았다. 번쩍이는 빌딩 식 교회들보다는 어도비의 그 따스함 속에 구원의 손길이 깃들 것만 같았다. 우리의 최종 목적지인 타오 푸에블로(Taos Pueblo)’까지는 타오 신도시[Modern City of Taos]에서 북쪽으로 1마일이나 더 가야 하는데, 도시에 들어가자마자 어도비 양식으로 지어진 아씨시의 성 프란체스코 성당[St. Francisco de Asísi Church]’이 매혹적인 자태로 서 있는 것 아닌가. 안 들를 수 없는 일. 앞쪽으로 가보니 말문이 막히도록 아름다운 건축미가 돋보였다. 이 지역의 교회들을 들르면서 느끼는 것은 종교적인 경건함보다는 건축미가 먼저 마음을 흔든다는 점이다. 교회 문을 살짝 밀고 들어서니 누가 죽었는지 장례미사가 집전되고 있었다. 경건하고 슬픈 분위기를 해칠까 저어되어 살그머니 되돌아 나왔으나, 아름다운 교회의 모습은 자꾸만 우리의 발걸음을 지척이게 하였다. 거기서 몇 블록을 전진하자 이번에는 어도비 양식의 장로교회와 침례교회 등이 참한 모습으로 서 있었다. 비록 문은 잠겨 있었으나, 외양을 감싼 고즈넉한 분위기가 세상의 번잡함을 정화시키고 있는 듯 했다. 역시 그곳의 자연환경과 일치되는 분위기의 교회가 사람들에게 구원의 희망을 쉽게 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교회 전체에서 풍겨나는 따스한 느낌 때문인가 이 지역의 교회를 볼 때마다 그대로 문을 열고 들어가 폭 안기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이었다. 생소한 모습으로 번쩍이는 교회로부터 구원의 희망을 찾기란 어려운 일임을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주변에 널린 갖가지 유혹들을 물리치고 가까스로 도착한 곳이 타오 푸에블로. 타오 마운틴을 뒤로 하고 먼지 풀풀 이는 벌판에 그득하니 서 있는, 어도비 양식의 집단 거주지였다. 밝고 따스한 주택의 색깔이 주변의 붉은 흙빛, 뒤에 버티고 선 타오 산의 푸른빛, 마을을 뚫고 흐르는 리오 그란데 강의 옥색 물빛 등과 절묘한 하모니를 이루고 있었다.

 

출입문을 통해서 들어가니 단층도 있고, 복층의 경우 5층까지 올린 집들도 있었다. 하나로 되어 있는 외벽 안쪽에 각자의 집들이 조합된 건축방식으로 이루어 진 것이 기본구조였다. 이 공동체에는 1,900명 이상의 푸에블로 인들이 속해 있는데, 그들 중 일부는 근처에 현대식 집을 짓고 살다가 시원해지면 푸에블로의 자기 집에 머물기도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일 년 내내 그곳에서 지내는 사람들도 대략 150명 정도 된다고 한다.

 

타오 푸에블로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역사 문화 유적으로서 1992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바 있다. 집들의 외양,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사다리들과 집 앞의 빵 화덕들은 스카이시티나 마찬가지였다. 사철 물이 흘러내리는 냇물을 보니, 그들이 이곳에 자리 잡은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주거지는 냇물을 경계로 나뉘어 있었으며, 왼쪽 주거지의 중심부에 멋지게 지어진 가톨릭 교회도 있었다. 앞에서 누차 언급했지만, 이들이 자신들의 전통신앙을 거의 포기하고 가톨릭을 받아들인 점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었다. 스페인에 의해 식민 지배를 받은 결과라고 보지만, 신교 보다 가톨릭 쪽이 자신들의 전통신앙이나 가치관을 더 용인해준다고 생각한 것인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그러면서도 이들은 여러 면에서 폐쇄적이었다. 가옥의 내부는 전혀 공개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함께 사진 찍는 일도 거부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 앞 화덕에서 구운 빵을 판다고 하여 들어가 보았으나, 페치카에 장작 한 올 겨우 넣고 간신히 추위를 참고 있던 할머니는 아예 카메라에 손도 대지 못하게 했다. 끝까지 지키고 싶은 자신들만의 세계라도 있는 듯, 이들의 구역에 들어가면 오금이 저릴 정도로 경계의 눈빛을 쏘아대는 그들이었다.

 

 

 


타오 푸에블로 입구

 

 

 


타오 푸에블로 경내의 어도비 주거지

 

 

 


타오 푸에블로 경내의 어도비 주거지. 앞 쪽의 반타원형 구조물은 빵을 굽는 화덕.

 

 

 

 


타오 푸에블로 경내의  공동묘지를 갖춘 가톨릭 교회터

 

 

 

 

타오 푸에블로 경내의 가톨릭 교회

 

 

 

타오 푸에블로 왼쪽 주거지와 리오 그란데강 지류

 

 

 


타오 푸에블로에서 만난 푸에블로 소년과 검은 개

 

 

 

 


타오 푸에블로의 빵 굽는 화덕

 

 

 


타오 푸에블로 주거지

 

 

 


차양 밑에서 보호받고 있는 화덕

 

 

 


리오 그란데 강물과 나무 다리

 

 

 


빵을 굽고 있는 듯 연기가 피어오르는 타오 푸에블로

 

 

 

 

이들이 살아왔고, 앞으로도 쭉 살아갈 것 같은 그들만의 주거지를 간신히 돌아본 다음, 우리는 타오 외곽으로 리오 그란데의 강줄기를 찾아 차를 돌렸다. 30분 정도 황야를 달렸을까. 엄청난 규모와 높이의 다리 리오 그란데 죠지 대교[Rio Grande George Bridge]’를 만났다. 저려오는 오금을 달래며 다리 한복판까지 걸어갔다. 비행기 창문으로 땅바닥을 내려다보듯 갑자기 고소공포증이 밀려들었다. 멀리 광활한 대지를 바라보고 나서야 이 다리가 없던 시절엔 타오가 강과 산으로 둘러싸인 고립지였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이런 고립지에 주거지를 건설하고 살았을까. 아마도 외부와 단절된 곳에 주거지를 건설하는 것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리라. 지역들이 사통팔달로 이어지는 오늘날 그들이 외부인들과의 접촉을 꺼려하는 것도 그런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서 나온 본능적 반응일 것이다.

 

대략 1천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는 타오 푸에블로는 뉴멕시코 북쪽의 여덟 개 푸에블로들 가운데 하나로서, 가장 비밀스럽고 보수적이며 사적인 영역을 많이 갖고 있는 부족이었다. 서기 1,000년부터 1,450년 사이에 세워져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 공동체인 타오 푸에블로. 그곳에서 우리는 화석처럼 살아가는 그들을 만났다. 외부세계와 단절되고 싶긴 하지만, 적빈(赤貧)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인들의 접근을 허락할 수밖에 없었고, 그러다 보니 그들과 섞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 그들의 현실이었다. 아직도 지킬 만한 것이 있다고 믿는 그들이었지만, 외부인들로서는 그 점을 용납할 수 없는 현실이 안쓰럽게 생각되었다. 그래도, 이렇게 속물화되어가고 있는 시대에 조상들로부터 이어받은 자신들의 원래 모습을 지키려는 그들의 모습이 얼마나 훌륭한가?

 

타오 푸에블로 인들의 고집스런 표정을 대충 마음에 담아둔 채 우리는 뉴멕시코를 재빨리 벗어날 지름길 엔젤 마운틴의 산길로 접어들었다.

 

 

 


리오 그란데 강줄기와 계곡을 가로질러 만들어진
'리오 그란데 죠지 다리[Rio Grande Jeorge Bridge]'

 

 

 


광야를 가르며 죠지 다리 밑을 지나는 리오 그란데 강

 

 

 


리오 그란데 죠지 다리 부근에서 바라 본 광야

 

 

 


산타페 광장과 비슷한 규모와 구조를 보여주는 타오 중앙광장

 

 

 


타오 광장 주변의 상가들

 

 

 


타오 외곽에서 만난 갤러리 'Happy Trails'

 

 

 


자료사진-푸에블로 인디언들의 집단무용 '콘 댄스(Corn Dance)'

 


 


타오 카운티를 비롯한 뉴멕시코의 영역도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4. 10. 15:23

 


<뚜르꾸 대성당> 


<뚜르꾸 대성당의 천정과 파이프 오르간> 


<뚜르꾸 대성당의 제단> 


<뚜르꾸 대성당 박물관의 피에타상> 


<뚜르꾸 성> 


<올드 라우마(Old Rauma)의 인포메이션 센터가 들어 있는 고건물>

 
<라우마의 박물관>


<라우마 박물관의 자수 도구와 작품> 


<라우마 박물관의 요람> 


<라우마의 마렐라(Marela)> 


<마렐라의 서재> 


<마렐라에 전시된 옛날 교과서>


<라우마의 성 십자가 교회>


<라우마 성 십자가 교회 성전> 


<얼어붙은 Yyteri 해변에서 임미숙, 조경현 모자> 


<레포사아리(Reposaari)-조선소의 흔적> 


<레포사아리(Reposaari)의 루터 교회> 

 

 

교회와 고성(古城), 옛 도시에 살아 숨 쉬는 핀란드 정신을 찾아

 

 

 

 

라우마(Rauma)를 거쳐 뽀리(Pori)까지 가는 날. 그간 끝없이 펼쳐지는 수해(樹海)와 잘 보존된 자연 속에서 삶을 이어가는 핀란드 인들의 행복을 훔쳐 보기 위한 일정의 연속에 지루해진 것일까. 방향을 약간 틀어 역사와 정신의 자취를 느끼기로 했다. 호텔에서 이른 조반을 마친 우리는 카우 광장의 동쪽 강변에 서 있는 뚜르꾸 대성당을 찾았다. ‘핀란드 루터 교회의 어머니’격인 뚜르꾸 대성당. 14세기에 착공하여 16세기에 완공되었다니, 200년 대역사(大役事)의 산물이 아닌가? 그로부터 5세기. 세월의 강을 묵묵히 건너가고 있는 성당은 엄청난 위용을 자랑하며 녹청으로 아로 새겨진 시간의 허물을 뒤집어 쓴 채 고고하게 서 있었다. 정문 앞에 세워진 초대 비숍 미카엘 아그리콜라(Mikael Agricola) 상 주변을 쓸고 있던 성당 관리자로부터 자부심 묻어나는 설명을 들으며 성당 내부를 둘러보았다. 성전 안 곳곳에 다양한 채플들[Tigerstedt-Wallenstierna Chapel/Mayor's Chapel/Chapel of All Souls/Gezelius Chapel/Tavast Chapel/Kijk Chapel]이 마련되어 있었고, 연륜과 달리 현대적인 느낌을 주는 스테인드 글라스, 하얗게 빛나는 파이프 오르간 또한 강한 인상을 주었다. 분명 핀란드 정신과 역사는 이곳 뚜르꾸 대성당에 압축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찾은 곳이 아우라 강 하구의 뚜르꾸 고성. 600여년 핀란드를 통치하던 스웨덴이 세운 성채로,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외관을 갖고 있었다. 규모는 크지 않으나 소박하면서도 견고한 인상을 갖추고 있어 몇 년 전 둘러본 슬로바키아의 오라바 성과 흡사한 모습의 요새였다. 그리고 그것은 핀란드 인들의 아픈 과거가 새겨진 역사의 물증이기도 했다.

 

***

 

뚜르꾸를 떠나 30분쯤 달렸을까. 옛 도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갖춘 라우마[Vanha Rauma/Old Rauma]가 눈앞에 닥친다. 199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통째로 등재된 ‘올드 라우마’. 라우마의 알트슈타트(Alt Stadt)는 걸어서 한 시간 안에 섭렵할 수 있을 만큼 작았지만, 상가와 주거를 겸한 600여 채의 목조주택에 80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아름다운 중세 도시였다. 양파 모양 첨탑의 박물관, 성십자가 교회(Church of the Holy Cross), 19세기 생활사를 보여주는 마렐라(Marela) 등이 우리가 꼽은 이 도시의 핵심들이었다. 걸을 때마다 마룻바닥의 삐걱대는 소리가 귀에 거슬리긴 했으나, 박물관 안에는 옛 주민들의 삶을 보여주는 정겨운 물건들이 그득했다. 이 박물관이 제공하는 감동의 포인트는 수백 가닥의 미세한 실을 바늘에 꿰어 짜 나가는 레이스 예술이었다. 여인들의 섬세한 손가락이 날듯이 오가며 한 땀 한 땀 짜 나아가는 환영(幻影)이 유리 케이스에 얼른거렸다.

 

다음으로 찾은 곳이 마렐라. 마렐린[Abraham Marelin]이 18세기 후반에 살았던 집을 박물관으로 개조하여 그들이 남긴 생활사의 자료들을 전시한 곳이었다. 옷, 책, 책상, 타자기, 장신구, 교과서, 요람, 침구, 그릇 등등 지난 시대 이곳 주민들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현장이었다. 거기서 몇 골목 지나 작은 다리를 건너니 성십자가교회가 참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뜰에는 아씨시의 프란체스코 성인이 비둘기를 안은 채 교회를 바라보고 있었다. 루터 교회로 바뀌었지만, 원래 15세기에 프란체스코 수도원으로 세워졌던 곳이다. . ‘성삼위 교회(Church of the Holy Trinity)’가 1640년의 화재로 파괴된 뒤 루터 교회로 되었으며, 작년에 500주년 기념식을 가졌을 만큼 역사를 자랑하는 교회였다. 정갈하면서도 고요한 성전에 들어가 앉았을 때 비로소 지금껏 지속되는 올드 라우마의 정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의 격랑에 휩싸여 사라지는 것이 역사는 아니며, 삶의 모습이 바뀐다하여 사라지는 게 정신이 아니라는 가르침을 올드 라우마는 성십자가 교회의 고적한 성전, 그 울림을 통해 나그네에게 전해주고 있었다.

 

***

 

올드 라우마로부터 40여분을 달려 도착한 곳이 바로 지금 이곳 뽀리(Pori)다. 라우마와 마찬가지로 평원을 그득 채운 목조주택들이 햇살에 산뜻한 모습을 드러낸 곳. 호텔이 여의치 않아 펜션으로 개조한 뽀리 주민의 집 한 채를 빌려 하루를 묵게 된 것이다. 정갈하게 꾸민 침실과 주방, 화장실 등에 선진국 핀란드 인들의 안목은 묻어나고, 말없는 주인장의 미소에서 핀란드 인들의 정이 피어난다. 오후 늦게 찾은 핀란드의 최장[6km] 모래해안 Yyteri. 트레킹이나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즐기는 핀란드 인들만 간혹 오갈 뿐 꽁꽁 얼어붙은 바닷가의 텅 빈 모래사장엔 얼음만 가득하고, 모래사장을 출발 자작나무 숲을 지나 도착한 레포사아리(Reposaari)의 해변에는 옛 조선소의 영광을 증언하는 스크류 하나만이 훈장처럼 내 걸려 찬 기운에 떨고 있었다.

 

그렇다. 역사와 정신은 함께 가는 것이다. 우리가 짚어나가는 곳곳에 그 둘은 손에 잡힐 듯 배어 있었다. 그것들을 바탕으로 핀란드의 정신이나 역사의 속살을 느껴보려는 우리가 만용을 부리는 것일까. 대강 지나며 곁눈질로 바라보는 우리의 여행을 ‘장님이 코끼리 더듬듯 한다’는 이유로 웃는 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찌 국 맛을 알기 위해 한 솥의 국을 모두 마실 필요가 있겠는가?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