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새 책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논형, 2007. 7. 1.)을 펴냈습니다. 전공자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우리 고전시가의 아름다움을 알려드리기 위해 쉽게 쓰려고 노력해 보았습니다만, 독자 여러분께서 어떻게 생각하실지 걱정스럽습니다. 다음은 이 책의 목차입니다.
머리말
1부 우리 노래 다시 읽기
이별의 비극, 승화된 넋두리의 미학 공무도하가·가시리·원부가
유리왕이 지은 ‘군–민 소통’의 태평가 두솔가
훔쳐보기와 일탈의 미학 서동요·쌍화점·간부가
‘무소유’와 버림의 힘, 그 예술적 발현 우적가
삶과 죽음의 이중주, 그 예술적 형상화 제망매가
위대한 모정의 승리 도천수관음가
비장한 사랑과 죽음, 그 제의적 등가성 불굴가
‘사랑노래’의 시 문법과 미학적 전형성 단심가
서울의 찬가, 인간 욕망의 정치적 수사학 신도가
역사와 현실, 그 경계의 시적 형상화 용비어천가
성과 속의 서사적 대결과 숭고한 결말 월인천강지곡
열어줌과 풀어줌 장진주사
성본능과 일탈의 꿈 만횡청류
완경의 서사로 위장된 정치적 메시지 관동별곡
시대정신과 지식인의 대외인식 일동장유가
패기의 젊음이 엿본 세계, 그 빼어난 표현미 병인연행가
부패한 지배층과 민중의 저항, 그 미학적 승화 물것노래·거창가
2부 삶과 노래, 그리고 노래문학
1. 우리 노래문학의 흐름
2. 우리 노래문학과 자연, 그리고 삶
찾아보기
관심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2007. 7. 3.
백규 드림
TAG 가시리, 간부가, 거창가, 고전시가, 공무도하가, 관동별곡, 넋두리, 노래문학, 논형, 단심가, 도천수관음가, 두솔가, 만횡청류, 모정, 무소유, 물것노래, 미학, 미학적 전형성, 백규, 버림, 병인연행가, 불굴가, 비극, 비장한 사랑, 사랑노래, 서동요, 서사적 대결, 서울의 찬가, 성과 속, 성본능, 시문법, 신도가, 쌍화점, 열어줌, 용비어천가, 우적가, 원부가, 월인천강지곡, 이별, 일동장유가, 일탈의 미학, 장진주사, 정치적 수사학, 제망매가, 제의적 등가성, 조규익, 죽음, 태평가,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 풀어줌, 형상화, 훔쳐보기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