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20. 1. 29. 17:16

 

<모시는 글>

신선의 음악과 춤, 노래 속에 멋진 ‘시간여행’을...

 

                                                                                    조규익(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소장)

 

언제부턴가 우리에게는 별난 꿈이 있었습니다.

예술인들과 학인들이 가슴 가득 담고 있었으되 펼쳐 보이지 못한, 작지만 울림이 큰 꿈입니다. 악사들의 반주로 가공(歌工)과 무용수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무대. 그 무대 주변에 둘러앉은 학인들이 예인(藝人)들의 몸놀림과 또 다른 하나가 되는 경험을 통해 비로소 이지(理智)의 샘을 열고 도란도란 그들의 미학을 담론하는 자리. 세상 어디에 그보다 더 아름답고 성대한 공간이 있을까요. 지금까지 우리는 두 번의 멋진 무대를 만들었고, 이것들을 두 권의 책으로 엮어 낸 바 있습니다.

 

<지난 무대들>

“봉래의(鳳來儀): 세종의 꿈, 봉황의 춤사위 타고 하늘로 오르다!”[2013. 11. 21./국립국악원 우면당]

“동동(動動):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사랑의 염원이여!”[2018. 12. 1/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새 무대>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즈려밟고 훨훨 나는 신선이여! 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2020. 2. 8./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우리는 그동안 가꾸어 온 ‘꿈의 무대’를 이렇게 펼쳐 보여 왔고, 이번에도 그렇게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이 앉으실 폭신한 좌석은 여러분을 모시고 그 옛날 고려∙조선시대의 궁중으로 날아갈 타임머신입니다. 좌석에 앉아 음악에 따라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임금의 장수를 축원한 보허(步虛)의 예술에 잠시 마음의 주파수를 맞추시면, 여러분은 그 옛날 진사왕(陳思王) 조식(曹植)이 어산(魚山)의 동아(東阿)에서 만난 ‘신선 예술’의 경지를 경험하시게 될 것입니다. 맑고 심원하며 굳세고 밝은 그 소리와 춤사위를 통해 허공을 날아다니는 신선들을 만나시게 될 것입니다. 그들과의 그런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되돌아온 현실의 공간에서 우리는 다시 씩씩하고 치밀한 논조로 새롭고 아름다운 경험들을 담론하게 될 것입니다.

 

원래 보허성(步虛聲)이나 보허자(步虛子)는 중국에서 발생한 도교음악이었고, 그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보허사(步虛詞)를 불렀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유교적 패러다임으로 변용했고, 중세적 보편성의 바탕으로 녹여내는 지혜를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임금이 앉아있는 궁중을 현실 속에 자리 잡은 ‘선계(仙界)’라 여겼습니다. ‘상선(上仙)’인 임금의 불로장생은 당위(當爲)에 속하는 일이었지만, ‘보허 예술’에 담아낸 만백성의 염원으로 그것은 더욱 확실해질 수 있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이 자리에 모시는 여러분이 바로 임금님들이십니다. 우리 예술의 헌상 대상이 바로 임금이신 여러분들입니다. 여러 가지로 바쁘시겠지만, 잠시 이곳에 오셔서 저희와 함께 멋진 ‘시간여행자’가 되어보실 생각은 없으신지요?

 

            2020. 02. 08.

 

 

  

 

 

 

 

Posted by kicho
알림2019. 4. 30. 13:32

 

                                                                                                                     조규익

QR코드를 열어 보세요!

 

<<동동動動: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을 내며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에서 올해의 첫 책인 <<동동動動: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민속원)이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학술총서 58’로 나왔다. 고려조와 조선조의 궁중 연향에서 공연되던 가∙무∙악 융합 무대예술 ‘동동’에 관한 공동저술(저자: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성영애)이다. 이미 2015년에도 우리(조규익∙문숙희∙손선숙)는 궁중 예술 역사상 최고봉으로 인정받고 있는 ‘봉래의鳳來儀’를 유사한 관점과 방법론으로 연구한 저서(<<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 민속원/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47)를 낸 바 있다. 양자 모두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들러붙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무대공연을 갖고, 그 결과를 엮어 낸 것들이다. 전자와 마찬가지로 이 책도 규모는 비록 작으나, 학계에 던지고자 하는 메시지는 ‘턱 없이’ 크다. 사실 기존의 학문적 관습이나 섹트의식에 매몰되어있는 동학들이 개권(開卷)할 가능성은 희박하고, 설사 슬그머니 열어본다 해도 가납(嘉納)될 확률은 더더욱 희박함에도 할 말이 많은 우리였다.

 

최근까지 <동동>은 국어국문학과 은사님들로부터 배운 ‘문자 텍스트로서의 동동’일 뿐이었고, 그것은 고려속요∙고려가요∙여요∙려가’ 등의 명칭으로 부르던 시문학 텍스트일 뿐이었다. 초창기 연구자들이 명칭에 대하여 갖고 있는 편견과 그로부터 확립된 논리구조가 별 수정 없이 대물림되어 내려오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소에서는 그런 문제를 타개하고자 문학∙음악∙무용을 연구하는 4인이 머리를 맞대고 ‘동동’ 정재의 융합적 성격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기 시작했고, 작년 12월 초에 그 중간 결과를 무대로 올렸으며, 그 결과를 보충하고 다듬어 지금의 책으로 묶어내게 된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이나 방향을 점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머리말을 첨부하고자 한다.

 

 

QR 코드를 읽어 보세요!

 

 

머리말

 

지난 해 12월, 우리는 그동안 공부해온 ‘동동’을 무대(“동동,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사랑의 염원이여!”/국가지정무형문화재전수회관 풍류극장/2018년12월 1일)에 올렸다. 고려와 조선조 궁중연향에서 속악으로 연행되던 ‘동동’을 가․무․악의 융합예술 그대로 재현해 본 것이다. ‘동동’이 고려사 악지(「악 2/속악」 ‘동동’)와 악학궤범(권 3 「고려사 악지 속악정재」 ‘동동’/권 5 「성종조 향악정재도의」 ‘아박’)에 그 존재를 드러낸 것은 수백 년 전의 일. 그러나 그 맥박과 온기는 아직도 살아 있었다.

 

"마음속의 뜻을 말로 나타내면 시가 되나, 말만으로 부족하니 탄식하고, 탄식만으로 부족하니 길게 노래하고, 길게 노래하는 것만으로 부족하니 알지 못하는 사이에 손을 흔들어 춤추고 발을 움직여 뛰게 된다."

 

그 옛날 <<모시毛詩>> 「대서大序」의 이 단언斷言이야말로 훗날 ‘동동’의 예술성 해명을 위해 예비한 것이나 아니었을까? ‘말(시), 노래, 춤’ 등 메시지 전달의 수단들은 대체재代替財나 독립재獨立財 아닌 상호 보완재補完財들이다. 개별적으로보다 함께 쓰면 전달의 효율성과 예술성이 훨씬 높아지기 때문이다. ‘동동’의 융합예술미 대신 “고려속요 <동동> 운운”하며 조각난 텍스트만을 공부해오던 지난날들. 고전시가의 콘텍스트에 대한 무지가 불러 온 무명無明의 시간대였다.

 

‘동동’은 여성의 예술이다. 임에게 바치고픈 자신의 존재와 마음을 설명하기엔 ‘사랑’이란 개념어가 지극히 제한적이고 추상적이었으리라. 그래서 노래로 음악으로 춤으로 들려주고 보여주려 한 것이나 아닐까? 중세왕조의 임금이나 고귀한 존재를 대상으로 토로한 불멸의 사랑과 불변의 서정이 융합 무대예술 ‘동동’의 핵심인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시간이 흘러도 계절이 바뀌어도 바치는 자의 사랑은 변함없음을 가․무․악으로 표현하려 애쓴 점이 참으로 놀랍지 아니한가.

 

문학, 음악, 무용 세 분야의 행복한 융합을 꿈꾸며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를 출범시켰고, 우리 역사상 최고․최대의 궁중악무 ‘봉래의’를 무대(“세종의 꿈, 봉황의 춤사위를 타고 하늘로 오르다!”/국립국악원/2013년 11월 21일)에 올리기도 했다. 그 감동과 추억을 떠올리며 감행해본 지난 해 겨울의 그 무대는 실연實演과 연구발표를 통해 ‘동동’의 예술미학을 구현하기 위한 실험적 자리였다. 그리고 오늘, 그 결과를 이렇게 엮어낸다. ‘고려속요 동동’에서 ‘속악정재 동동’으로, ‘분리에서 융합’으로! 단언컨대, ‘텍스트 지평의 전환’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귀한 고악보 및 사진자료들의 사용을 허락해주신 국립국악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국립중앙박물관, 꿈과 땀의 결실을 아름다운 책으로 엮어주신 민속원 홍종화 사장님과 신나래 선생님 등께 감사드리며, 강호제현의 가르침을 고대한다.

 

2019. 4. 1.

 

지은이들을 대표하여

 

조규익

 

민속원, 2019. 4. 20. 25,000원

 

 

 

 

 

 

 

<부기(附記)>

 

고전시가를 연구해오면서 깨닫는 바가 없지 않았던 나는 2005년에 한국전통문예연구소를 개설했다. 그 뒤 한국문예연구소로 개명했고, 몇 년 뒤 다시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고전시가들 가운데 고려속가들과 조선조 궁중악장이 원래는 정재(呈才)라는 무대예술의 한 부분인 노랫말들이었음을, 문학도라고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나를 초조하게 만들었고, 결국 이 연구소의 개설로 이끌었던 것이다. 정재의 한 부분인 노랫말 텍스트가 흡사 전부인양 착각한 채 그 텍스트만을 공부한다는 것이 잘못임을 학계의 누구도 지적하지 않았다. 노랫말 텍스트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라도 콘텍스트로서의 악곡과 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문학연구자 누구도 알고 있지 못했던 것이다. 고전시가가 어떤 양상으로 실연(實演)되어 왔는지에 대한 통합적 시각이나 시야를 충분히 갖추고 있는 선학들이 드물었다. 그것들 가운데 상당수 작품들의 생산이나 향유계층이 민중이라는 사실만을 강조함으로써, 그것들이 궁중에서 임금을 비롯한 지배계층의 연향에 쓰였다는 사실은 더더욱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음악학계 및 무용학계와의 협업이 절실함을 느낀 것도 그 때문이었다. 그런 연유로 탁월한 한국음악 연구자 문숙희 박사, 앞서 가던 한국무용 연구 및 실연자(實演者) 손선숙 박사가 연구소 창립 초기부터 가세하여 활발한 활동을 통해 연구소의 발전을 견인하게 된 것이다.

Posted by kicho
알림2018. 2. 5. 14:09

 

 

2018년도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봄 학술대회에 여러분을 모십니다. 함께 모여 학술의 새로운 조류를 체험하시고, 저녁에는 맛있는 음식을 앞에 두고 자유로운 담론을 펼치도록 하십시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시: 201826() 13:00~16:00

장소: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센터(벤처관) 311

 

12:30~13:00 등록

13:00~13:20 개회사: 조규익(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장),  사회: 문숙희

 

기획 발표: 한국예술의 미학적 발현태,   사회: 문숙희(숭실대)

 

13:20-13:50

문학작품의 회화 표현을 통한 시대 문화 발현

발표 조인희(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연구원) / 토론 박효은(고려대)

 

13:50-14:20

순조 대 이후 춘앵전의 변모양상-1930년대 춘앵전 기록서를 중심으로

발표 김꽃지(한국전통문화연구원 연구원) / 토론 성영애(숭실대)

 

14:20-14:50

1931년 영상자료에 기초한 향령무의 재현가치

발표 손선숙(숭실대) / 토론 강기화(한예종)

 

14:50-15:00 휴식 및 정리

 

15:00-15:30

李匡師)書訣禮道의 생명미학-意象意境變奏를 중심으로

발표 김연재(공주대학) / 한윤숙(성균관대)

 

 

자유 발표,   사회: 하경숙(선문대)

 

15:30-16:00

이덕형의 <죽천행록> 재론

발표 김일환(동국대) / 김지현(광운대)

 

16:00-16:30

대립인유를 통해 본 신동엽 시와 오장환 시 연구

발표 이대성(서강대) / 박동억(숭실대)

 

 

16:30-16:50 휴식 및 정리

16:50-18:00 종합토론(좌장: 조규익)

18:00~ 만찬

 

Posted by kicho
알림2017. 6. 5. 23:19

 

Keynote Speech on NMT(Neural Machine Technology) by Dr. Kyunghyun Cho(Professor/New York University) in Sweden

NMT(Neural Machine Technology:신경망 번역)의 원리에 대한 설명

https://play.gu.se/media/1_xt08m5je

Posted by kicho
알림2017. 4. 19. 19:32

카카오, AI 연구 활성화 위한 ‘머신러닝 캠프 제주’ 개최

오는 7월 3일부터 진행…최신 AI기술 강의 및 국내외 유명 연구자 멘토단 지원

   
▲ 카카오가 AI연구 활성화를 위한 ‘머신 러닝 캠프 제주 2017’을 개최한다.
[아이티데일리] 카카오(대표 임지훈)는 ‘텐서플로우(TensorFlow)’ 한국사용자 모임과 함께 인공지능(AI) 기술 활성화를 위한 ‘머신 러닝 캠프 제주 2017’를 7월 3일부터 28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머신 러닝 캠프 제주’는 카카오와 ‘텐서플로우’ 한국사용자 모임이 카카오브레인, 구글, 제주도, 국립 제주대학교, 제주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진행하는 행사로, AI에 관심 있는 국내외 학생·일반인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조경현 뉴욕대(NYU) 교수, 이홍락 미시건대(MU) 교수, 제프 딘(Jeff Dean) 구글 수석 연구원, 라잣 몬가(Rajat Monga) 구글 텐서플로 기술 책임 등이 키노트 연사로 참여해 최신 AI기술에 대해 강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김남주 카카오브레인 연구 부분 총괄과 김성훈 홍콩과학기술대(HKUST) 교수 등 국내외 유명 연구자들이 참가자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머신 러닝 캠프 제주’ 참가 신청은 오는 20일까지 캠프 공식사이트에서 할 수 있다. 심사를 거쳐 선정된 20인의 참가자들은 한 달간 제주대학교와 카카오 본사 건물에서 합숙하며 딥 러닝·머신 러닝 전문가들과 함께 ‘텐서플로우’를 이용해 자신만의 머신 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된다.

참가자들은 또한 캠프 기간 중의 생활비, 항공료, 숙식과 구글 클라우드 이용권 등 300만 원 상당의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카카오 측은 국적, 성별, 나이와 무관하게 지원할 수 있으나 텐서플로우, 딥 러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연구 경험이 있는 지원자를 우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남주 카카오브레인 연구 총괄은 “참가자들은 국내외 정상급 머신 러닝 전문가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머신 러닝 전문가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카카오브레인은 ‘오픈과 협력을 추구하고 AI 발전에 공헌한다’는 목표를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는 인공지능 기술 보급과 연구 활성화를 위해 올해를 시작으로 매년 제주에서 정기적으로 머신 러닝 캠프를 개최할 예정이다.

Posted by kicho
알림2017. 2. 19. 22:43

2017년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춘계학술발표대회

안녕하십니까?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에서는 2017년 2월 20(월) 숭실대학교에서 춘계 학술발표회를 갖습니다. 이번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계신 많은 학자들을 모시고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발표를 진행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드림


* 일시 : 2017년 2월 20일(월) 오후 1시 - 6시

* 장소 : 숭실대학교 벤처관 311호

  순서

13:00-13:30 등록 및 개회사 / 조규익(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소장) 사회 : 양훈식  

13:30-13:55 박효은(홍익대) 시간의 틈새 : 16-18세기 雪景의 주제적 단층과 王維
/ 토론 : 류승민(문화재청)

13:55-14:20 이상주(중원대) 默齋 李文楗의 繪畵 趣向과 「畵竹十詠」에 대한 考察
/ 토론 : 김지현(한중연)

14:20-14:45 김연갑((사)한겨레아리랑연합회) 일제저항기 한 지식인의 아리랑 인식
/ 토론 : 조용호(숭실대)  

14:45-15:00 중간 휴식  

15:00-15:25 김용기(중앙대) <옥황기>에 나타난 천명과 권선징악의 관계
/ 토론 : 하경숙(선문대)

15:25-15:50 유육례(조선대) 김삼의당의 연정시 연구
/ 토론 : 김성훈(숭실대)

15:50-16:15 김영덕(숭실대) 장진주사 미학의 변이와 지속 연구
/ 토론 : 정영문(숭실대)

16:15-16:30 중간 휴식

16:30-18:00 종합 토론  /  좌장 : 조규익(숭실대)


     연락처  

정영문 (숭실대학교 베어드대학 교수/한국문예연구소 연구원)
숭실대학교 글로벌브레인홀 109호
02-828-7220 / 010-6799-4670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