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8. 12. 28. 11:33

우물을 파도 '한 우물'만 파라?

 

 

 

그 옛날의 우물터

 

현대식 관정

 

 

 

 

 

                                                                                                                                    조규익

 

 

노후 전원생활의 꿈을 심고 있는 에코 팜에 얼마 전 우물을 뚫었다. 둥글거나 네모난 형태의 전통 우물을 판 것이 아니라, 드릴(drill)로 뚫고 내려가 지하수맥을 연결하여 물을 길어 올리는 형태의 관정(管井)이니 뚫었다는 말이 맞다.

 

내 어린 시절엔 곡괭이와 삽으로 물 나올 때까지 한 뼘씩 파 들어가는 것이 샘 파는 방법이었다. 그래서 기껏 여남은 길 파내려 가다가 물이 나오지 않으면 포기하고 메우는 일이 다반사였다. 우물 뚫어 대번에 물이 나오거나 맑고 맛있는 물이 나온다면, 그것은 그 집의 복이었다. 십 여 군데를 파도 물이 나오지 않거나, 나온다 해도 맑지 않거나 맛이 안 좋은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었다.

 

삽이나 곡괭이만으로 샘을 파는 일이니, 쉽지 않은 건 당연했다. 파 내려가는 땅 속에 암반이 누워있는 경우라면 얼른 포기해야 하고, 자갈이 많은 땅도 쉽지 않은 건 물론이었다. 이보다 더 답답한 일은 얼마간 파 내려가도 물이 나오지 않는 경우였다. 수맥이 어디에나 뻗어 있는 건 아니었다. 간혹 수맥이 얕은 경우도 있겠지만, 깊숙한 곳에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웬만큼 파다가 물이 안 나온다 싶으면 옆으로 옮겨 다시 파기 일쑤였다. 물이 안 나와도 진득하게 파 내려가다 보면 대부분 물은 나오게 되어 있는데, 성질 급한 사람들은 여기저기 파게 되고, 그러다가 끝내 우물 파는 일을 포기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사실 수맥 잡는 기술이 일반화되고 있는 요즘에도 샘 파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우물 팔 땐 한 우물만 파라는 속담이 생겨난 것일까. 고집스러울 정도로 한 가지 일에만 몰두해야 성공한다는 뜻인데, 지금도 과연 이 말이 통할지는 의문이다.

사실 나는 한 우물세대다. 어려서 부모님과 선생님들로부터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들어온 말이 한 우물속담이다. 그래서 내 삶의 모든 것들은 이 말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심지어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고 살아가는 일에도 이 말은 지켜야 할 금언이었다. 우리 시대까지 남자도 여자도 한 번 결혼했으면 죽을 때까지 그 사람만 사랑해야 한다는 것은 일종의 법이었다. ‘결혼한 뒤 맘에 안 맞으면, 헤어지고 다른 여자(혹은 남자)를 취하라, 전제조건 부대의 가언명법(假言命法)으로 바뀐 것은 겨우 21세기에 들어오고 나서부터였다. 그러니 맘에 맞지 않아도 맞춰가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 그 시대의 불문법(不文法)이었던 것이다.

 

남녀문제만 그런 게 아니었다. 공부도, 직장도 그랬다. 한 번 대학에 들어가 전공으로 택하면 졸업 후 밥 먹고 사는 일도 그 전공 혹은 거기서 그리 멀지 않은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직장도 평생직장이라야 했다. 멀쩡한 직장을 중도에 박차고 나가는 사람은 문제가 있다고 보기 일쑤였다.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의 대학들(일부라고 생각되긴 하지만)에는 해괴한 규정이 있었다. 신임교수를 채용할 때 전공적합도라는 항목이 있었는데, ‘학부-석사-박사가 일치해야 만점인 30점을 주는 규정이었다. 나는 그 점이 불만이었다. 학부에서 영문학, 박사에서 국문학을 전공한 지원자도 더러 있었고, 학부는 이공계, 박사에서 국문학을 전공한 지원자도 간혹 있었다. 사실 나는 그런 사람들에게 가점을 주고 싶었으나, 선배들은 엄격하고 가차 없었다. ‘학문도 한 우물을 파야한다는 통념의 힘이었을 것이다.

 

학부에 들어가 외국문학을 공부한 사람이나 이공계를 전공한 사람이 석박사에서 국문학으로 바꾸는 것은 참으로 쉽지 않은 일 아닌가. 사실 당시에도 나는 그런 사람들이 부러웠다. 그들에게는 국문학으로 바꾸어도 승산이 있다’, ‘바꾸는 게 절대로 유리하다’, ‘바꾸고 싶다는 등의 판단과 절박한 욕망이 있었거나 바꾸어도 괜찮을 만큼의 여유가 있었기에 바꾸었을 것이다. 시골에서 발발 떨며 올라와 국문학을 택한 내 처지에 전공을 바꾸는 일은 꿈도 꿀 수 없었다. 그저 시골에서 옛날 하던 식으로한 우물을 파는 것이 최선이었기 때문이다. 요즘은 융합이 대세이니, 대학에서도 옛날의 관행이나 규정은 더 이상 통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학부에서 불문학을 전공하고, 박을 국문학으로 하신석학 조동일 선생을 이채로운 눈으로 바라보는 분위기가 아직도 말끔히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은 예의 한 우물인습이 갖는 힘이리라.

 

오늘 작은 아이가 직장을 바꾸기로 했다는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 연봉으로도 안정성으로도 남들이 모두 부러워하는 최 상위 대기업의 사원인 그였다! 공교롭게도 전직(轉職)을 결정하는 날, 대리에서 과장으로 진급까지 한 터였다. ‘인문학 전공자로서 시공사(施工社)의 관리직으로 평생을 보내기보다는 좀 더 역동적으로 능력을 발휘하고 싶어 투자금융사의 경력직으로 옮기게 되었다는 그의 선언에 격려말고는 달리 대꾸할 말이 궁했다. 회사를 위해 젊음을 바쳐도 나이가 들면 가차 없이 버려지는 대기업의 냉혹함을 미리 깨달았던 것일까. 아직 30대 초반의 팽팽한 그의 입장에서 새로운 성공의 가능성을 포착한 것일까. 어느 쪽이든 나로선 가슴 떨리는신선함과 두려움의 단안일 수밖에 없다. 그러고 보면 시대가 바뀌었음을 나만 모르고 있었던 것이니, 분명 내 의식의 밑바닥에는 한 직장에 뼈를 묻어야 한다는 착각이 아직도 똬리를 틀고 있음이 분명하렷다?

 

***

 

한 우물을 파면서도 용케 패자로 전락하지 않고 살아온 내 지난 세월을 돌이켜 본다. 이제 한 우물만 파다가는 목도 축일 수 없다는 생각으로 사람들의 인식과 의식의 패러다임은 바뀌었다. 그렇다면 내가 파온 한 우물은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문득 그 옛날 시골의 나간 집 우물을 떠올려 본다. 우물은 쓰지 않으면 반드시 퇴락한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괜히 빈 집의 우물에 돌을 던지거나 침을 뱉고 떠난다. 바람이 불면 나뭇가지가 날아들고, 큰물에 자갈들이 밀려들기도 한다. 낮으로 밤으로 우물 밑바닥에는 흙이 솔솔 들어찬다. 그러다가 한 십년 지나면 언제 그곳이 우물이었던가 싶게 평평해진다. 우물이 사라진 곳에 새로운 삶이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삶도 그렇지 않은가. 열심히, 죽을 때까지 새롭게 파거나 보수하지 않으면, 자취도 없이 사라지는 게 우리네 우물이 아니던가. 그래서 나는 오늘도 곡괭이를 메고 그간 매달려 온 '한 우물'을 더 파기 위해 집을 나선다.

 

 

 

드릴로 관정 뚫는 모습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8. 12. 26. 12:00

인생 후르츠를 에코팜에서...

 

 

                                                                                                          조규익 

 

 

 

 

 

 

아내의 손에 이끌려 떨떠름한 표정으로

일본 다큐영화 인생 후르츠를 보러 가는 길.

 

일본영화, 그것도 다큐라는 점이 매력을 반감시켰으나, 전원에서 삶을 마감해가는 노부부의 이야기라는 사실이 에코팜 주인인 내 흥미를 끌었다.

잡답(雜沓)의 도회에서 적막강산 에코팜으로, 에코팜에서 다시 알 수 없는 저세상으로 입사(入社/initiation)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사실 적절한 참고서가 필요하던 차였다.

 

 

 

 

 

원제로 보이는 ‘Life is Fruity'.

인생은 감미로워라혹은 '인생 결실' 쯤으로 번역될 수 있는 말이리라.

진세이 흐루--’ 라고 느릿느릿 나직이 깔리는 일본인 여성 내레이터(키키 키린)의 음성도 노인들의 호흡에 맞춘 것일까. Slow Life를 손에 잡을 듯이 들려주고 보여주었다.

 

아이치현(愛知県) 가스아이시(春日井市)의 고조지(高蔵寺) 뉴타운. 45,000의 인구가 모여사는 이 도시의 변두리에 그들의 집은 그림인  듯 온갖 나무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 숲에 70여 종의 채소들, 50여종의 과수들이 모여 이들과 함께 살아간다. 슈이치가  존경하던 선배 건축가 안토닌 레이몬드의 집을 본떠 지은, 40년 된 작은 집이다.

 

1950년 도쿄대학 요트부원이었던 슈이치와의 만남, 1955년의 결혼 등으로 시작되는 두 사람의 스토리는 1945년 패전, 1960년 나고야 교외의 뉴타운 설계, 1970년 고조지 뉴타운 집합주택 입주 등으로 이어지면서 약간의 서사성이 가미된다. 그러나 최근까지 이어지던 그들의 서정적 삶은 1975년 뉴타운 안의 300평 토지를 구입하면서부터다. 숲을 남기고 바람 길을 만드는 꿈의 계획을 이루고자 하던 슈이치의 마스터 플랜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소박한 꿈이 실용주의에 밀려 상자를 모아놓은 것 같은 신도시의 모습으로 바뀌고 마는 현실을 하릴없이 바라보며, 슈이치는 고조지의 뉴타운에 50년째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가 슈이치가 90세 되던 해 사가현 이마리의 정신과 병원에서 사람이 찾아온다. 환자들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건축물을 만들고자 슈이치에게 조언을 구한 것. 사례금과 설계료 등을 일체 받지 않은 그는 멋진 설계도를 건넨다. "할 수 있는 것부터 조금씩, 꾸준히, 시간을 모아서 천천히"라는 충고와 함께. 생전에 그 건물을 보고 싶어했지만, 결국 그 기회는 주어지지 않았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 8개월 되던 시점부터 이마리에는 슈이치의 설계대로 건축이 시작되었고, 완공 후 그 시설을 히데코가 방문하게 되었다. 가슴에는 슈이치의 사진을 안고...

 

90세의 할아버지 츠바타 슈이치와 87세의 이쁘고착한 할머니 츠바타 히데코. ‘둘이 합쳐 177이란 멘트가 자주 들려왔다. 177살을 살면 신선이 될 만한 나이인데, 그들은 과연 신선일까. 신선이 별 것이던가. 삶과 죽음의 경계를 초월하면 신선이 된다. 애면글면 삶에 집착하지 않으면, 그게 바로 신선이다! 불로장수(不老長壽)의 해탈 경에 든 두 노인이 신선처럼자연의 리듬에 맞추어 느릿느릿 살아가고 있는 삶이 계절의 변화와 함께 한 폭의 수채화나 감미로운 서정시처럼 펼쳐지고 있었다.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면 이파리가 떨어진다

이파리가 떨어지면 흙이 비옥해진다

흙이 비옥해지면 열매가 맺는다

꾸준히 그리고 천천히

 

내레이터는 간헐적으로 시 구절같은 이 말들을 들려주곤 했다. 그러나 이 말을 들을 때마다 뭔가 허전했다. 생각해보니 생략의 미학이 구사되고 있었음을 영화가 끝난 뒤에야 깨달았다. 장난삼아 다음의 말을 덧붙여 본다.

 

열매가 떨어지면 싹이 튼다

싹이 자라면 나무가 된다

나무에 이파리가 달리면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면 이파리가 떨어진다

꾸준히 그리고 천천히

 

, 생략된 부분을 채워 넣으니 윤회(輪廻)’의 한 고리가 이루어지지 않는가.

함께 죽은 뒤 육신을 태워 남태평양에 뿌렸으면 좋겠다하얗게 웃는 히데코 할머니의 얼굴이 빛난다.

육신의 재가 태평양에 뿌려진 뒤 다시 무슨 모습으로 태어나고 싶다고 노부부는 말하지 않았다.

그저 자신들을 감싸고 돌아가는 자연의 모습만 되뇔 뿐이었다.

그 이상의 일은 자신들이 관여할 바가 아니라는, 초탈(超脫)의 경지랄까.

 

두 노인의 삶에서 복잡다단한 것들을 모두 약분하면 남는 건 성실과 무욕두 가지였다.

일생을 건축가로 지내온 할아버지 슈이치는 자연과 어우러진 주거공간을 성실히 만들고자 했다.

자신의 철학과 미학을 듬뿍 담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는, 일이 본 궤도에 오르면 슬쩍 빠지곤 했다.

열매를 탐하지 않겠노라는 무욕의 자세이리라.

등이 굽은 히데코 할머니는 일생 텃밭을 가꾸고 할아버지를 위해 음식을 만들며 살아왔다.

텃밭의 딸기를 수확하여 굽는 케이크도 슈이치를 위한 것이었다.

할머니가 만든 음식, 할머니가 내놓는 아이디어에 언제나 좋아!’로 대응하는 할아버지 슈이치.

에덴동산에 내려 보낸 천상의 배필이다!

 

에코팜의 주인인 나는 종말에 인생 후르츠!’를 외칠 수 있을까.

정원에 가득한 모과나무, 감나무, 도토리나무들을 바라보며 내게 주어진 삶의 이치를 깨닫고

성실과 무욕 속에 자적할 수 있을까.

잡초를 뽑고 나서 잠들었다가 잠든 모습 그대로 저세상에 입사(initiation)한 슈이치처럼 윤회의 한 도막을 추하지 않게마감할 수 있을까.

 

***삼가 슈이치 할아버지의 명복과 히데코 할머니의 행복을 빕니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8. 12. 16. 01:37

국가부도의 아수라장을 뒤돌아보며

 

 

                                                                                                         조규익

 

 

                         

 

 

 

음울하고 처참했던 1997년의 겨울.

 

날만 새면 굴지의 기업들이 쓰러졌다는 소식과 일가족 자살 같은 끔찍한 뉴스들이 귓전을 때렸다. 이미 재계 14위 한보는 무너졌고, 진로도 재계 4위인 기아도 무너졌으며, 2위인 대우도 막 무너져 가고 있었다. 그러니 이들보다 규모가 작은 무수한 기업들은 물어 무엇하랴! 가장의 실직으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가족들이 한파에 내몰리는 등 나라 전체가 상갓집 분위기였다. 자살률도 OECD 국가들 중 최고로 치솟았다. 곳곳에 곡성이 울렸고, 어른이고 아이들이고 자기 한 몸 추스르기에도 버거운 시련의 시절이 계속되었다. 대통령을 비롯한 권력층의 리더십은 간 데 없고, 그 많던 사회의 지도 그룹들도 종적을 감추었다. 불쌍한 국민들만 각자도생의 벌판으로 내몰리고 말았다.

 

나는, 아니 우리 가족은 19981월 미국(UCLA)으로 첫 연구 년을 떠나기로 되어 있었다. 떠나기로 되어 있었으나, 1997년 12월까지 확실한 것은 4인 가족 비행기 표를 사놓은 일 뿐이었다. 가족들에게 차마 말은 못했지만, ‘떠나야 하나 말아야 하나로 혼자서 속을 끓이고 있었다. 고맙게도 19972LG연암재단 해외연구교수프로그램에 선발되었고, 98년 출국을 위해 착착 준비를 진행하고 있던 참이었다. 당시 연암재단 지원금 25,000불은 큰돈이었다. 4인 왕복 비행기 표와 건강보험료까지 계산하면 3만 불이 훌쩍 넘는 거금이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10월 중 연암재단으로부터 선금 12,500불에 해당하는 원화가 입금되어야 했다. 그러나 소식이 없었다. 매일 아침 뉴스에서는 환율 고시가 나왔다. 연초 800원대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서면서 초조해지기 시작했다. 하는 수 없이 재단의 오 부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의 음성 역시 가라 앉아 있었다. 조금만 더 기다려 달라고 했다. 환율을 보고 있는데, 환율이 조금이라도 안정되면 송금해주겠노라고 했다. 거기에 대고 독촉할 배짱은 없었다. 평소 LG는 무너질 수 없는 회사라고 믿어왔지만, 대우가 흔들리는 마당에 안심할 수는 없었다. 11월이 되면서 1,600~1,700원을 오르내리던 환율은 12월이 되자 1,800원대를 찍기 시작했다. , 나라가 드디어 망하는구나! 123일 깡드쉬 IMF 총재와 임창렬 총리 사이에 구제금융 협상이 타결되면서, 대한민국은 IMF 치하로 들어갔고, 환율도 1,830~1,850원대를 오르내렸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생각한 재단에서 1,830원대에 12,500불에 해당하는 원화를 송금해주었다. 어쩔 수 없이 미국으로 떠나야 했다.

 

인천공항에 나갔으나, 개미들처럼 커다란 이민 팩 서너 개를 밀고 일가족이 나타난 건 우리뿐이었다. LAX에 픽업 나온 배광복 선생 부부는 우리가 미국행을 포기한 줄 알았다고 했다. 당시 미국의 대학으로 오는 가족단위 한국인들의 발길이 뚝 끊어졌기 때문이었다만약 LG 연암재단의 배려가 없었다면, 우리도 당연히 미국행을 포기했을 것이다. 그래서 미국 체류 13개월 동안 늘 바늘방석에 앉은 느낌이었다. 인터넷으로 전해지는 고국의 소식들은 언제나 끔찍했다. 국제사회의 냉엄한 현실을 모르고 방만하게 지내온 우리 모두의 탓이라는 반성도 있었지만, 순진한 장삼이사들이야 무슨 수로 세상의 변화를 알아 미리 대처하겠는가.

 

IMF 통치를 받기 시작한 1998년으로부터 만 20년이 지나고 있다. 우리에게 트라우마로 남아있는 치욕적인 IMF의 기억을 지금의 상황에 대입하면 상당 부분 들어맞는다. 우리는 지금 그 때와 큰 차이 없는 상황으로 내닫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더 불안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엊그제 대통령은 우리 경제의 기본은 튼튼하다고 장담했다. 그 말이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fundamental)은 튼튼하다고 호언하던 당시 정부 관계자들의 말과 어찌 그리도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는가. 소상공인들이 퍽퍽 나가떨어지고,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못 잡으며, 대기업들이 투자를 꺼리는 지금의 상황이 어째서 걱정 없는 상태란 말인가. 과연 지금의 대통령은 무슨 신통한 방책이라도 갖고 있는가. 사악한 정치인들의 인기놀음에 멍드는 건 서민들뿐이니, 과연 저들의 말을 믿어도 될 것인가.

 

***

 

오늘 국가부도의 날을 보기 위해 극장을 찾은 것은 내 가슴의 트라우마를 지우고 싶어서였다. 집단적 트라우마를 왜 내 작은 가슴에 담고 살아야 하는지 답답할 때가 많다. 늘 팽팽한 긴장 속에 살아야 하는 운명을 타고 나서 그런지도 모르지만, 이젠 좀 털어버리고 홀가분하게 살고 싶다. 유사한 상황이 닥친다면, 당당하고 똑똑하게 사태의 진실을 인식하며 용감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영화 속의 김혜수처럼...

 

어쨌든 이 영화, 참 좋다.

 

<2018. 12. 15.>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