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발표 및 복원 공연 주 내용=
안녕하세요?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입니다.
2020년 2월 개최 예정이던 학술발표 및 보허자 학무 복원공연을 연기하여 11월 21일(토) 14시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학술발표와 보허자 학무 복원공연 등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학술발표와 공연을 중심으로 현장[국가지정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행사를 진행하고, 그 실황을 참석하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 https://youtu.be/FPvrJjcHi-o 로 실시간 중계합니다. 유튜브를 통해 발표와 공연을 함께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020. 11. 13.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배상.
=행사 팸플릿=
조규익(숭실대학교 교수)
<지난 무대들>
“봉래의(鳳來儀): 세종의 꿈, 봉황의 춤사위 타고 하늘로 오르다!”[2013. 11. 21./국립국악원 우면당]
“동동(動動):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사랑의 염원이여!”[2018. 12. 1/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펴낸 책들>
조규익∙문숙희∙손선숙,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 민속원, 2015.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성영애, <<동동動動: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 민속원, 2015.
<새 무대>
“보허자(步虛子): 허공을 즈려밟고 훨훨 나는 신선이여! 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2020. 11. 21./국가지정문화재 전수회관 풍류극장]
<새로 나올 책>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서인화∙성영애∙임미선, <<보허자步虛子: 궁중 융합무대예술로 편입된 신선 예술의 아름다움>>, 2021. 1.
조규익
보步허虛자子 태평성세 유토피아 이루시는 제왕이여! |
||||||
|
||||||
사회 : 하경숙(선문대) |
||||||
14:00 - 14:10 |
개회사 : 조규익(숭실대학교) |
|||||
|
|
|||||
제1부 가무악(歌舞樂) 융합적 시각으로 본 조선전기의 보허자 |
||||||
|
|
|||||
시간 |
발표자(소속) |
논문 제목 |
||||
14:10-14:30 |
조규익(숭실대) |
<보허사(步虛詞)> 수용태(受容態)로서의 <벽연롱효사(碧烟籠曉詞)>에 대하여 |
||||
14:30-14:50 |
성영애(숭실대) |
조선조 문인들의 보허사 수용양상 |
||||
14:50-15:10 |
손선숙(숭실대) |
보허자 음악에 맞춘 성종 대 학무(鶴舞) 복원 연구 |
||||
15:10-15:30 |
문숙희(한국외대) |
15세기 보허자 음악 복원 연구 |
||||
15:30-15:50 |
임미선(단국대) |
성종대 정재반주 음악 고찰 |
||||
15:50-16:10 |
서인화(국립국악원) |
조선시대 정재 공연 공간 |
||||
|
||||||
제2부 보허자 복원 음악에 맞춘 15세기 학무 공연[<<악학궤범>> 권5] |
||||||
|
||||||
시간 |
제작 |
출연 |
||||
16:20-16:40 |
음악복원: 문숙희 |
학(鶴): 손선숙, 박재란 |
||||
무용복원: 손선숙 |
동기: 서원미, 조보현 |
|||||
음원제작: 이정면 |
악사: 윤교순, 강선주 |
|||||
노 래: 김대윤 |
지도: 백재욱, 손혜숙 |
|||||
|
||||||
16:40-17:00 |
단체사진 촬영 및 정리 |
|||||
|
||||||
제3부 질의 및 종합토론 |
||||||
|
||||||
시간 |
좌장 |
토론자 |
||||
17:00-18:00 |
조규익(숭실대학교) |
서철원(서울대학교) 김지은(중앙대학교) 박은영(한국예술종합학교) |
임혜정(서울대학교) 박은옥(호서대학교) 윤아영(백석예술대학교) |
|||
|
||||||
|
연구윤리교육 및 폐회식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