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07. 7. 6. 14:59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부가 같은 일을 하기란 쉽지 않고, 같은 일을 해도 멋진 성과물을 내기란 더더욱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그런 점에서 박수밀, 강민경 양 박사는 참으로 부러운 동반자들이라고 할 수 있지요. 뛰어난 감수성과 객관적 분석력을 갖추고 있어 무슨 글을 써도 맛깔스러운 '물건'을 만들어 내는 두 사람. 학계를 위해 조만간 크게 쓰일 날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이번에 박수밀 박사는 <<18세기 지식인의 생각과 글쓰기 전략>>을, 강민경 박사는 <<조선 중기 유선문학과 환상의 전통>>을 각각 펴냈습니다. 전자는 우리 역사상 '변화의 세기'이자 '문화의 시대'였던 18세기의 연암 박지원을 비롯한 '열린 지식인들'의 생각을 읽어낸 글입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당대 지신인들의 자세와 방법을 다음과 같이 단정하고 있습니다.

"18세기 '지적 사유'의 근원은 무엇이었을까? 지금까지의 공부를 토대로 보자면 그들은 세계를 객관화시켜 바라볼 줄 알았다. 그들은 세계의 틀에 갇힌 인간이 되지 않고 세계를 대상화시켜 세계와 마주 대했다. 세계 속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세계의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는 존재! 그리하여 그들은 사물 하나하나를 '다시금' 꼼꼼하게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상식과 통념을 의심하고 미루어 따져보는 '회의와 유추'의 정신이야말로 생각의 패러다임을 바꾼 원동력이라 본다"

고 했습니다. 이 말로 미루어 본다면 우리 지성사에서 이 시기만큼 큰 변화를 이루어낸 시기도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 변화의 핵심만 잡아낸다면 우리가 추구해야 할 미래도 환히 보이지 않겠는가 생각합니다.

후자는 저자가 '중세 지식인들의 미니 홈피'라고 단정한 유선문학을 분석적으로 바라 본 글입니다. 꿈과 현실의 거리 혹은 양태야말로 그 때나 지금이나 글 쓰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가 아닐까요? 저자는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술회하고 있습니다.

"나는 그 때의 지금을 살았던 인간들의 꿈꾸기가 궁금했다. 그리하여 지금의 환상을 그 때의 지식인들은 어떤 방법으로 실현했을까를 들여다보려 하였다. 이 책은 꿈꾸기 문학인 유선시가 당대 지식인들의 삶과 내면에 어떻게 작용하였는가를 밝혀본 것이다. 지식인들의 초월세계에 대한 꿈꾸기 방식을 엿보고, 새로운 세계를 갈망하는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았다."

고 했습니다.  어쩌면 저자는 문학을 통해 꿈꾸기를 시도한 당대 지식인들과 함께 하고자 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꿈과 현실적 인간의 욕망을 정치하게 분석한 글입니다.

이 분들의 글을 자신있게 추천하오니, 많이들 읽으시고 공감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수밀, <<18세기 지식인의 생각과 글쓰기 전략>>, 태학사, 2007, 13000원
       
  *강민경, <<조선 중기 유선문학과 환상의 전통>>, 한국학술정보(주), 2007, 15000원


          2007. 6. 6.

          백규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7. 7. 6. 14:5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문학의 위기를 외치는 광야의 선지자들(?)이 넘쳐나는 시대입니다. 그러나 정작 인문학이나 인문정신이 뭐냐고 묻는다면, 벙어리가 되곤 합니다. 이 시대에 왜 인문학이 죽었다고 생각하며, 왜 인문학이 왕성하게 발전해야만 하는가 물으면 더욱더 답변은 궁색해집니다. 정말로 인문학이 위기냐? 아니면 인문학자들의 위기냐? 대학내 인문학과들의 위기냐? 여러분은 인문학의 위기는 어디서 초래되었으며 앞으로의 지향점은 무어라고 보시는지요? 이런 물음들에 대한 대답이 이 책(<<인문정신과 인문학>>)에 잘 나와 있습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장회익-인간적 학문-'삶 중심' 학문의 복원을 위하여
2. 김영식-동양의 학문과 인문정신
3. 강상진-서양 고중세의 인문정신과 인문학
4. 이종흡-서양 근대 초의 인문학과 인문정신
5. 최성환-서양 분과학문 속의 인문학의 전개과정-서
              양 1800년대의 상황
6. 백종현-한국 인문학 진흥의 한 길
7. 한형조-도구로서의 인문학, 응답으로서의 한국학
8. 전성인-경제학-경제개발의 도구에서 시장수요의 충
              족자로
9. 김도연, 이정동-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공학교육
10. 리처드 로티, 김우창-'아시아의 주체성'과 '문화의
                                혼성화'
11. 고병철-북한 대외정책의 이해
12. 안석교-케인스와 하이에크-정부와 시장의 관계에
               대한 사상
13. 정하웅-복잡계 네크워크 과학에 관하여
14. 지동표-오일러 탄생 300주년 현대 수학의 기원과
               토대
15. 최용호-소쉬르 탄생 150주년 천재 언어학자는 철학
               자이자 시인이었다
16. 김희준-멘델레예프 사망 100주기 멘델레예프의 꿈
17. 민문홍-콩트 사망 150주기 오귀스트 콩트와 사회학
               의 탄생
18. 강순전-'정신현상학' 출간 200주년 근세철학을 넘어
              서는 근세철학의 완성
19. 최경봉, <<큰 사전>> 발간 50주년 사전의 탄생과
              국어의 정립

바야흐로 기로에 선 인문학. 삶과 학문의 경계에서 우리의 미래를 고민하는 지식인 여러분께 일독을 권합니다.

   한국학술협의회, <<인문정신과 인문학>>, 2007. 12000원

        2007. 6. 6.

  백규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7. 7. 3. 09:5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새 책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논형, 2007. 7. 1.)을 펴냈습니다. 전공자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우리 고전시가의 아름다움을 알려드리기 위해 쉽게 쓰려고 노력해 보았습니다만, 독자 여러분께서 어떻게 생각하실지 걱정스럽습니다. 다음은 이 책의 목차입니다.

머리말

1부 우리 노래 다시 읽기
이별의 비극, 승화된 넋두리의 미학  공무도하가·가시리·원부가
유리왕이 지은 ‘군–민 소통’의 태평가  두솔가
훔쳐보기와 일탈의 미학  서동요·쌍화점·간부가
‘무소유’와 버림의 힘, 그 예술적 발현  우적가
삶과 죽음의 이중주, 그 예술적 형상화  제망매가
위대한 모정의 승리  도천수관음가
비장한 사랑과 죽음, 그 제의적 등가성  불굴가
‘사랑노래’의 시 문법과 미학적 전형성  단심가
서울의 찬가, 인간 욕망의 정치적 수사학  신도가
역사와 현실, 그 경계의 시적 형상화  용비어천가
성과 속의 서사적 대결과 숭고한 결말  월인천강지곡
열어줌과 풀어줌  장진주사
성본능과 일탈의 꿈  만횡청류
완경의 서사로 위장된 정치적 메시지  관동별곡
시대정신과 지식인의 대외인식  일동장유가
패기의 젊음이 엿본 세계, 그 빼어난 표현미  병인연행가
부패한 지배층과 민중의 저항, 그 미학적 승화  물것노래·거창가

2부 삶과 노래, 그리고 노래문학
1. 우리 노래문학의 흐름
2. 우리 노래문학과 자연, 그리고 삶

찾아보기

관심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2007. 7. 3.

백규 드림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7. 7. 2. 11: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행록연구총서>>(전 10권)가 2007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출판계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큰 돈을 투자한 도서출판 학고방에 낯이 서게 된 것 같아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함께 기뻐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도서출판 학고방, 2006. 8.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