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4. 6. 26. 13:34

저질 언론과 저질 정치인들의 비극적 코메디

 

 

 

 

이른 아침. 책상에 앉아 밀린 교정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까톡!’ 소리가 나를 부른다. 급한 연락인가 열어보니, 친구 재영이가 한 번 읽어보라며 보내 준 저잣거리의 우스개였다. 참으로 촌철살인(寸鐵殺人)’의 예지가 번뜩이는 구구절절이었다. 급한 교정은 밀어두고 한 마디 소감을 보태지 않을 수 없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예수 : "죄없는 자, 저 여인에게 돌을 던지라"

언론 : "잔인한 예수, 연약한 여인에게 돌 던지라고 사주"

 

예수 : 위선적 바리새인들에게 분개해 "독사의 자식들아!"

언론 : "예수, 국민들에게 새끼 막말 파문"

 

석가 : 구도의 길 떠나...

언론 : "국민의 고통 외면, 제 혼자만 살 길 찾아나서"

 

석가 : "천상천하 유아독존"

언론 : "오만과 독선의 극치, 국민이 끝장내야"

 

소크라테스 : "악법도 법이다"

언론 : "소크라테스, 악법 옹호 파장"

 

시이저 : "주사위는 던져졌다"

언론 : "시이저, 평소 주사위 도박광으로 밝혀져"

 

이순신 : "내 죽음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라"

언론 : "이순신, 부하에게 거짓말 하도록 지시, 도덕성 논란 일파만파"

 

김구 : "나의 소원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통일입니다"

언론 : "김구, 통일에 눈 멀어 민생과 경제 내팽개쳐"

 

소크라테스 : "너 자신을 알라"

언론 : "소크라테스, 국민을 바보 취급하며 반말 파문"

 

클라크 : "소년들이여, 야망을 가져라"

언론 : "클라크, 소년들에게만 야망가지라고 심각한 성차별 발언하며 대놓고 쿠데타 사주"

 

스피노자 : "내일 지구가 멸망해도 나는 오늘 한그루의 사과 나무를 심겠다"

언론 : "스피노자, 지구멸망 악담, 전세계가 경악 분노"

 

최영 :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언론 : "최영, 돌을 황금으로 속여 팔아 거액 챙긴 의혹 "

 

전두환 : "전재산 29만원"

언론 : "현정권 국가원로 홀대 극치, 코드인사 보훈처장 경질해야"~

 

링컨 : "국민의, 국민에, 국민을 위한..."

언론 : "국민을 빌미로 하는 국가 정책에 국민은 피곤"

 

니체 : "신은 죽었다."

언론 : "현정권, 신이 죽도록 뭐 했나?

 

 

얼마나 도를 닦고, 공부를 얼마나 해야 이 정도의 순발력이 길러질 수 있을까? 수십 년 동안 문학을 공부한답시고 강호의 고수들을 찾아다니며 강설을 듣고 서재에 앉아 고금의 서적들을 뒤져왔건만, 이제 겨우 고리타분한 논문 몇 편 끄적거리는 방법이나 간신히 터득했을 뿐이다. 그런데 대체 누가 얼마나 도를 닦았기에 이리도 오묘한 논설을 베풀어 놓을 수 있단 말인가.

 

총리후보 문창극 선생의 등장과 퇴장 사이에 이 땅의 저질 언론들과 저질 정치인들이 벌이는 코메디를 보며 자못 분개한 나는 이 상황을 어떻게 기록하여 후대에 전해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해온 것이 사실이다. 처음 언론에 뜬 동영상을 들어본 뒤 문 선생이 함석헌 선생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를 바탕으로 했음을 깨닫게 되었다. 젊은 시절 감명 깊게 읽은 함석헌 선생의 말을 뒤집어 저질 언론들에 한 펀치 던져주려고 마음 먹었을 때, 내 생각을 미리 짚어낸 듯한 <동아일보> 송평인 논설위원의 글을 접하게 되어, 그마저도 포기하고 앙앙불락(怏怏不樂)하던 차 이 경구(警句)’를 접하게 된 것이었다.

 

편 갈라 싸우는 이 땅의 저질 언론들과 저질 정치인들의 꼼수’,  그 얕디얕은 근저를 어쩌면 이렇게도 명쾌하게 파헤칠 수 있을까. 지금 이 땅에서 벌어지는 각종 꼼수들과 부조리의 근원을 밝히기 위해 장강대하의 언설이나 논문이 무슨 필요가 있을까. 배가 맞아 돌아가는 언론과 정치인들. 그들이 함께 몸을 담그고 있는 저질성의 근원이라야 한 치 깊이도 안 되는 것을. 그걸 분석하기 위해 무슨 정치학이나 인문학의 심오한 이론이 필요할 것이냐!

 

저질 언론들의 숲속에서 한 치도 안 되는 필봉을 조자룡의 헌 칼 쓰듯휘두르는, 이른바 논객들은 부끄러움을 알고 조용히 붓을 거두는 것이 옳다. 이 경구를 음미하면서 당신들이 농하는 현학의 허세야말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심기만 불편하게 한다는 것을 깨달을 필요가 있다. 강호에 숨어 빙긋이 웃으며 넌지시 던지는 현자의 발언에 더 이상 토를 다는 일이야말로 대단히 옳지 못한일이다.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2. 3. 12. 17:36


아, 김무성 의원!


                                                                                                                                                               백규

역시 그는 다르고 멋있는 인물이었다. 밖으로 풍기는 중후한 분위기만큼이나 내면 역시 무겁고 신중했다. 모두들 팔랑개비처럼 이곳저곳 기웃거리며 소리(小利)를 탐할 때, 그가 의연할 수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바로 상식에 기반을 둔 그의 통찰력 덕분이었다. 그는 오늘 기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악법도 법이다’ 라는 소크라테스의 말을 생각하며 당을 떠나면서까지 국회의원을 더 하면 무슨 소용이 있겠냐"

 

"정론으로 가야한다. 백의종군이 내가 가야할 길이다"

 

"정치 지망생일 때 이당에서 저당으로 옮기는 선배들을 비판했고 정치에 입문하면서 당을 바꾸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사무총장, 원내대표 등을 지낸 내가 우파분열의 핵이 되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며, 얼마나 명쾌한 입장표명인가. 국회의원의 뱃지를 단 사람들, 심지어 정당의 대표를 지낸 사람까지 낙천에 반발하여 탈당을 감행하고 있지 않은가. 소아(小我)를 버리고 대아(大我)를 살리기가 좀처럼 쉽지 않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는 인물들과 집단들이 속속 뭉치고 있는 이 시점에 ‘우리네 삶의 가치’를 보수해야 할 첨병들이 지리멸렬하게 오합지졸로 흩어지는 현실은 비극 그 자체다. 어떻게 지켜온 나라이며 민족인데, 허망하게 그 누구들의 먹이로 던져준단 말인가.

며칠 전 정치권을 향해 ‘못난 놈들!’을 외친 나이지만, 이제 그 말의 강도를 좀 누그러뜨리고자 한다. 김무성 의원의 통쾌한 결단이 그 원인이다.

멋지다, 김무성 의원이여!

<2012. 3. 12.>


Posted by kicho
글 - 학술문2007. 4. 10. 18:11
하나. 인간과 삶, 그리고 죽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죽음만큼 무섭고 신비한 현상도 없다. 사랑하는 가족들과 따스한 햇볕 아래 오순도순 즐기다가 한 순간 숨이 끊어져 깜깜하고 차가운 땅 속에 묻히는 이웃들의 모습을 보며 인간은 죽음의 불가항력에 당황한다. 불치의 병으로 신음하다 결국 추하게 탈진한 상태로 고통 속에 죽어가는 모습을 보며, 죽음의 무자비함에 몸을 떤다. 인간이 종교에 귀의하는 것도 살아있는 동안 가차 없는 죽음의 위협으로부터 도피하고자 하는 본능 때문이다. 종교를 성립시키는 것은 절대적인 힘을 지닌 신이다.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통해 죽음의 공포는 얼마간 해소될 수 있다. 그 신의 위력을 빌어 이야기되는 종교적 담론의 핵심은 죽음 혹은 죽음 이후의 세계에 관한 것이다. 사실 인간이 죽음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는 것은 죽는 순간의 통증보다 죽음 이후의 시공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살과 뼈가 원소로 해체되어 스며들거나 흩어지면 그 뿐인가. 아니면 육체에서 이탈된 영혼이 또 다른 세계에서 새로운 삶을 영위하는가. 어느 쪽에 서느냐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자세는 판이해진다. 엘리자베스 큐블러로스는 인간이 죽음을 맞는 마지막 단계로 ‘사후 생명에 대한 희망’을 들었다. 사후 세계에 대한 희망을 가진 사람만이 죽음을 새로운 삶의 시작으로 생각하여 순순히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독배를 마시고 죽어가던 소크라테스는 주변의 지인들에게 ‘나는 이제 떠날 때가 되었네. 나는 죽기 위해서, 그리고 여러분은 살기 위해서. 그러나 우리들 가운데 누가 더 좋은 일을 만나게 될 것인가, 신밖에는 아무도 모른다네.’ 라고 말했다. 신의 존재를 인정하긴 했지만, 소크라테스 자신도 사후 세계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했던 것이다.
사후 세계를 믿는 것이 정신위생상 좋다는, 정신분석학자 융의 생각은 종교적 담론의 틀 안에서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려는 현대인의 본능적 욕구를 적절히 지적한 경우다. 키엘케골은 절망이야말로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 했다. 죽음의 문턱에서 사후 세계의 존재를 믿고 그에 대한 희망을 갖는 일이야말로 죽음을 극복하는 것이니, 죽음의 두려움을 뛰어넘기 위해 만들어낸 종교의 관념체계는 빛나는 인간 지혜의 소산이라 할 것이다. 생명 가진 모든 것들이 피할 수 없는 죽음. 생자필멸(生者必滅)의 우주적 그물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존재는 그 어디에도 없다. 어떻게 죽음을 받아들일 것이며, 조만간 직면해야 할 죽음으로부터 생겨하는 우울함이나 비애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오랜 세월 인간이 만들어온 문화적 집적(集積)의 대표 항은 ‘삶과 죽음’이다. 시간의 물결에 떼밀려가는 생명체들. 그래서 생명체에게 ‘살아가는 것’은 곧 ‘죽어가는 것’이다. 삶과 죽음이 외연으로는 상반되는 개념들이지만, 이면적으로는 동의어인 것도 그 때문이다.
예로부터 우리는 죽음에 대한 무수한 담론들을 만들어 왔다. 죽음의 미덕을 찬양하는 경지가 바로 그런 담론들의 극단이다. 그것들은 말하자면 죽음에 대한 공포로부터 효과적으로 벗어나기 위한, 이른바 자기방어(自己防禦)의 기제(機制)라 할 수 있다. 거추장스런 육신을 벗어버리고 홀가분한 상태로 신들의 세계에 들어가 새 삶을 살고 싶다는 욕망은 현세적 삶이 괴로운 민초들의 전유물이었다. 그러면서도 실제로는 이승에서의 삶을 더 연장하고자 하는 것이 모든 이의 본능적 욕구였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속담은 죽음을 거부하는 그들의 본능을 표현한 말이다. 그런 욕구의 한 편에 죽음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심지어 찬양하는 표현까지 생겨나는 것이다.
죽음은 문학이나 예술적 표현물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중요한 제재들 중의 하나였다. <제망매가>는 기록으로 남겨진 것들 가운데 꽤나 이른 시기의 노래다. 작자가 비교적 소상히 설명되어 있고, 표현기법이 세련되어 있으며, 그 사상적 배경 또한 분명하다. 그 뿐 아니라 노래를 둘러싼 정황이 신비화 되어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우리의 흥미를 끈다. 말하자면 가장 흔한 주제를 노래함으로써 보고 듣는 이들의 심금을 울리되, 그 정황이나 배경은 가장 신비스러워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없게 하는 점에 이 노래의 특징이 있다는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누이동생의 죽음’이라는 개인적 소재를 노래했으면서도 죽음 자체가 자아내는 미학이나 분위기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선다는 점이 특이하다. 삶과 죽음의 언저리에서 이루어지는 서정은 과연 어떤 과정을 거쳐 불심(佛心)으로 윤색되거나 가공되었으며, 어떻게 지속되어 왔을까.

둘. <제망매가>에 내재된 두 얼굴의 사생관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