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08. 6. 9. 21:16
 


 내 생애 쉰 두 번째의 단옷날이다.

분주하게 살다보면 깜빡하는 수도 있으나, 대개 하루해가 저물기 전에 단옷날임을 알게 되고, 내 젊음이 허무하게 지나가고 있음도 깨닫게 된다. 이 날만 오면 반드시 한 토막씩 행사소식이나 기사를 내 보내는 언론 매체들 덕분이다.

 어릴 적 이맘때쯤은 이른 보리 베기와 모내기가 대충 마무리되는 시점이다. 산에 들에 살진 고사리며 수리취 등이 지천으로 자라긴 하나 집집마다 쌀독들은 밑바닥을 드러내던 때이기도 했다. 이른바 보릿고개.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사람들 얼굴에 허옇게 버짐 피어오르는 춘궁기가 바로 이 때였다. 제사 때 메를 지어 올릴 요량으로 숨겨 두었던 몇 홉들이 쌀도 죽음 문턱의 허기에는 남아날 재간이 없었다. 밥 굶지 않을 정도의 집들에서는 거칠거칠한 수수로 수수팥떡을 만들어 아이들로 하여금 생일을 기억하게 하거나, 나처럼 단옷날에 태어난 친구들은 간간이 수리취떡을 얻어먹는 수도 있었다. 가뭄이 들어 모내기를 못하는 해에는 그나마도 생략하는 게 관례였다. 지금 4, 50대 이전 세대들의 어린 시절 이야기,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이야기다.

 50의 문턱을 넘고도 작은 언덕 둘을 넘었다. ‘무정함’이 아니라 ‘무서움’으로 탓할 만한 시간의 빠름이다. 이루는 것 없이 앞뒤로 몇 번 두리번거리다 보면, 뚝딱 한 해가 저 멀리 사라지곤 한다. 읽어야 할 책들은 안두(案頭)에 쌓이는데 눈은 침침해지고, 채워야 할 원고지의 칸들은 빈 바둑판처럼 정연한데 펜 잡은 손에 힘이 빠지고 있으며, 술잔으로 챙겨야 할 친구들은 늘어서 있는데 몸의 나약함은 술을 이기지 못한다. 이기지도 못할 술을 마셔놓곤 “어허 이것 봐라 하늘이 도는구나/뱅글뱅글 물매아미같이/하늘이 돈단 말이/저 놀랍고도 새로운 천문학적 진실 위에/세대의 윤리는 성좌같이 찬연하다”고 너스레를 떤 시인 김동명.   그 역시 술의 힘을 빌려 덧없는 세월의 시름을 달랜 것이나 아니겠는가.


***


 이번 생일엔 제자 아들의 돌잔치에 들렀다가 강화도 전등사를 찾았다. 묘한 대조였다. 터질 듯 말랑말랑한 아가의 볼은 무한한 미래를 잉태하고 있었다. 그러나 꺼칠한 내 볼은 공동체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약속할 수 있단 말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버린 내 청춘을 조상(弔喪)하듯, 여름 장마 같은 궂은비에 흙탕물이 튀었다. 날아갈 듯 호젓한 전등사의 대웅전은 옛날 보던 그대로였다. 세월의 때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빛바랜 단청. 소박하고 솔직해서 좋았다. 그 대웅전은, 칠이 벗겨지기 시작하자마자 냅다 원색으로 덧칠해대는 우리네의 천박함과 달랐다. 이 절의 주지는 누굴까. 그는 어쩌면 그 속진(俗塵)의 굴레로부터 멀리 벗어난 존재인지도 모를 일이었다. 비 오는 날 오후여서였을까. 그 흔한 목탁소리조차 들려오지 않았다. 비에 젖어 몸을 떠는 까치들의 울부짖음만이 가끔 빗소리의 고즈넉함을 깨고 있었다.

 경내 안의 찻집을 찾았다. ‘참 좋은 인연’이라든가, 이름 한 번 그럴 듯 했다. 통나무를 어슷비슷 잘라내어 만든 다탁과 의자에는 선남선녀들이 마주앉아 속삭이고들 있었다. ‘솔바람차’를 시켰다. 그 이름은 누가 지었는지. 수면에 어렸다가 풀어지는 솔향기가 가슴을 적셨다.

 찻집의 인테리어를 뜯어보며 마음속으로 열심히 설계도를 그리는 아내. 새 집 지을 꿈에 부풀어 있으리라. 배산임수의 명당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토방 있는 다실(茶室)을 만들겠노라는 푸진 꿈을 솔향기 속에 갈무리하고 있었으리라. 모처럼 우리는 호사스런 백일몽을 즐길 수 있었다.


***


 50대의 생일은 어떠해야 할까. 선배들은 50대의 생일을 어떻게들 보냈을까. 이 물음들의 해답을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은 우리네 삶의 무게가 갈수록 더해지기 때문이다. 내가 짐 지고 걸어온 길. 자식들에겐 더 큰 짐을 지워주고 싶은 욕망. 아니 그들에게 그런 욕망을 강요하는 우리네 삶. 내 몸에 얽힌 삶의 사슬이 무자비하고, 그들의 어깨 위에 걸린 삶의 무게가 안쓰럽다. ‘훌훌 털고 가볍게 살다 가자!’고 무소유의 삶을 주창한 어느 노 선사를 아는가. 지금 과연 그는 가벼움을 즐기고 있을까. 무거운 짐들을 잔뜩 지고 길 가득 걸어가는 중생들의 땀 흘리는 얼굴을 보며, 과연 그는 홀가분함을 즐기고 있을까.


 갈수록 두 어깨의 짐은 무게를 더하고, 길의 끝 부분 저 먼 곳이 자꾸만 궁금해지는, 내 삶의 기울어버린 한낮이다. (2008. 6. 6.)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07. 7. 3. 09:5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새 책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논형, 2007. 7. 1.)을 펴냈습니다. 전공자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우리 고전시가의 아름다움을 알려드리기 위해 쉽게 쓰려고 노력해 보았습니다만, 독자 여러분께서 어떻게 생각하실지 걱정스럽습니다. 다음은 이 책의 목차입니다.

머리말

1부 우리 노래 다시 읽기
이별의 비극, 승화된 넋두리의 미학  공무도하가·가시리·원부가
유리왕이 지은 ‘군–민 소통’의 태평가  두솔가
훔쳐보기와 일탈의 미학  서동요·쌍화점·간부가
‘무소유’와 버림의 힘, 그 예술적 발현  우적가
삶과 죽음의 이중주, 그 예술적 형상화  제망매가
위대한 모정의 승리  도천수관음가
비장한 사랑과 죽음, 그 제의적 등가성  불굴가
‘사랑노래’의 시 문법과 미학적 전형성  단심가
서울의 찬가, 인간 욕망의 정치적 수사학  신도가
역사와 현실, 그 경계의 시적 형상화  용비어천가
성과 속의 서사적 대결과 숭고한 결말  월인천강지곡
열어줌과 풀어줌  장진주사
성본능과 일탈의 꿈  만횡청류
완경의 서사로 위장된 정치적 메시지  관동별곡
시대정신과 지식인의 대외인식  일동장유가
패기의 젊음이 엿본 세계, 그 빼어난 표현미  병인연행가
부패한 지배층과 민중의 저항, 그 미학적 승화  물것노래·거창가

2부 삶과 노래, 그리고 노래문학
1. 우리 노래문학의 흐름
2. 우리 노래문학과 자연, 그리고 삶

찾아보기

관심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2007. 7. 3.

백규 드림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07. 4. 10. 11:3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이를 먹는다는 것’의 의미

이번 설날엔 두어 가지 일로 제주에 오게 되었고, 한라산엘 올랐다. 비교적 평탄한 성판악 코스를 산책하듯 오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수목대(樹木帶). 그 사이에서 내 눈을 끈 것은 이미 죽었거나 죽어가는 나무들이었다. 삶의 윤기를 잃어버린 채 나신(裸身)으로 서 있는 것들, 줄기에 큰 구멍이 뚫려 껍데기만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것들, 뿌리와 연결된 밑동이 부러져 가로 누운 것들, 다 썩어 문드러져 몽당연필처럼 외로이 서 있는 것들, 중동이 꺾여 옆의 생생한 나무에 기대고 죽은 것들...무수한 나무의 시신들이 그렇게 넉넉한 산을 그득 채우고 있었다.
물론 간간이 나이를 많이 먹은 것 같으면서도 당당한 자태로 서 있는 나무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것들도 이미 밑동부터 중간까지는 ‘주검의 빛’이 이미 침투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냥 삶에 대한 강한 집념과 오기로 버틴다는 인상을 줄 뿐이었다.
버썩 마른 겨울이기 때문일까? 산은 온통 나무들의 시신들로 채워진 것 같고, 간간이 진녹색의 침엽수들이 그 사이에서 외로워 보일 지경이었다. 그런데 죽어가거나 죽은 나무들은 그런 녹색의 젊음이 사랑스러운 듯 그를 옹위하고 서 있거나 벌렁 누워 있기도 했다. 어떤 나무는 슬그머니 젊은 그에게 기대어 있기도 했다. 그런데 갖가지 자태의 노사목(老死木)들은 그들이 그런 상태로 될 수밖에 없었던 사연들을 ‘몸으로’ 말하고 있었다.
오늘 내가 오를 수 있었던 곳까지 7km의 거리를 왕복하면서 그들이 들려주는 ‘추억의 서사시’를 실컷 들을 수 있어서 감동적이었다. ‘핑계 없는 무덤 없다’는 속담이 있다. 나무들의 세계도 그러함을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왜 그런 모습으로 누워 있느냐고 물어볼 필요도 없었다. 그들은 자진하여 그들이 겪은 삶의 신산(辛酸)함을 제게 토로하는 것이었다. 갖가지 사연들이 너무도 진솔하고 서러워 눈물이 나올 지경이었다. 그러나 결론은 한 가지. ‘내 곁에 있는 저 녹색의 젊음을 보시오. 나는 저 친구가 저리도 당당한 모습으로 내 꿈을 나대신 실현시켜 주는 것이 너무도 좋소. 그러니 내가 죽어 저 젊은 친구의 거름이 되는 거야 영광 아니겠소?’ 라고들 말하는 게 아닌가? 그래서 그간 한라산을 여러 차례 오르면서도 만나지 못한 감동을 드디어 올해 설날 만나게 된 것이었다.

         ***
       
참으로 이상한 것은 올해 따라 유난히 이미 죽었거나 죽어가고 있는 나무들의 모습이 내 가슴에 와 닿는다는 사실이다. 그것들이 푸름의 천지인 산 속에서 참으로 절묘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제 나도 그런 이치를 이해할 만큼 나이가 들었다는 증거이리라.
오늘 내가 만난 노사목들의 공통점은 욕심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세상을 살면서 터득한 진실(사실은 진리이겠지요)이라면 ‘나이 들면서 욕심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몇 해 전인가? 어느 정치가가 ‘마음을 비웠다’는 말을 우리에게 던진 적이 있다. 그가 진정으로 마음을 비웠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 말이야말로 속이 텅 빈 채 죽어있는 노사목들이 내게 들려준 삶의 서사시, 그 핵심적 주제였다. 탐욕에 가까운 욕심을 부리다가 추한 모습으로 스러져가는 주변의 선배들이 ‘몸으로 보여주는’ 역설의 가르침 역시 ‘마음을 비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마음을 비울 수 있을까? 법정스님의 말씀대로 ‘무소유(無所有)’의 단순명료한 철리(哲理)를 깨치는 것도 그 한 방법일 것이다. 살아오는 동안 생겨난 재물, 지위, 명예 등이 모두 우리 자신을 부자유스럽게 만드는 것이니 그것들을 소유하지 않음으로써 자유로워지자는 것 아닐까?
그러나 나 같은 필부필부들이야 목숨이 붙어있는 한 거추장스런 육신을 건사하기 위해서라도 그런 것들로부터 아주 떠날 순 없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베푸는 일과 물러서는 일’ 정도이리라. 후배들을 위해 기꺼이 지갑을 여는 일, 후배들의 말을 들어줄 뿐 가급적 입을 열지 않는 일, 알량한 이해관계를 놓고 후배들과 다투지 않는 일, 노후를 대비하여 꼼수를 부리지 않는 일, 후배들을 믿고 모든 걸 맡기며 넌지시 도와주는 일 등등.
회갑이 되어서도, 칠순 팔순이 되어서도 세속적 욕망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면 그보다 더 불쌍한 경우가 또 있을까?  

         ***

나는 언젠가 ‘나무처럼 살고 싶다’는 글을 쓴 적이 있다. 그 때는 나무들의 푸르름만 눈에 들어왔었다. ‘거침없는 힘’과 무지갯빛 희망에 들썩이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이제 노사목들이 비로소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더 이상 추해지지 않기 위해 ‘마음을 비우는’ 연습에 돌입할 때가 된 것이다. ‘더 이상 망설이며 시간을 끌지 말라’는 한라산 노사목들의 다그침이 이 깊은 밤 아직도 내 귓가를 맴돌고 있다.


정해년 정월 초하룻날 밤
제주 애월읍 바닷가에서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