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칼럼/단상2012. 6. 7. 16:33

 

 

 <1980년대 한진의 모습, 사진제공:김병학> 

                                           <한 율리아와 김병학 선생, 백규 연구실에서>

 

율리아와의 만남

                                                                                                    백규

몇 년 간 중앙아시아 이곳저곳을 헤매던 중, 고려인 극작가 한진을 알게 되었다. 그가 이승을 뜬 지 올해로 19년째. 말년까지 카자흐스탄의 국립고려극장 문예부장을 지낸 그였다. 10여 편의 희곡작품, 19편의 단편소설,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글 등을 오롯이 모아 카자흐스탄에 거주하는 김병학 시인이 정리했고, 내가 꾸려나가는 연구소에서 문예총서의 하나로 펴냈다. ‘도랑 치고 가재 잡는 격’인가. 책을 펴낸 지 얼마 후 국제한인문학회에서 연락이 왔다.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연구’라는 테마의 국제학술회의에서 기조발제<관련 글 보기>를 해 달라는 것이었다. 그것도 고려극장에서 활약한 극작가를 중심으로 한다는 부연설명과 함께. 이미 한진의 작품들을 확보해 놓은 터에 마다 할 이유는 없었다. 그 소식을 들은 김병학 선생이 또 하나의 낭보를 보내왔다. 한양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 한진 선생의 손녀 율리아에게 연락해 두었다는 것. 발표회장에서 그녀를 소개하는 것 자체가 한국의 학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일 수 있지 않겠는가. 그 자체가 멋진 퍼포먼스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부지런히 텍스트를 읽었다. 작품을 읽는데, 모르는 사이에 간간 눈물이 흘렀다. 작품들의 행간에서 그의 외로움과 슬픔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갈등과 방황, 현실과의 밀고 당김을 통해 결국 민족을 발견하게 된 그의 집념이 감동적이었다.

한진은 누구인가. 북한의 극작가 한태천과 모친 박성수 사이에서 1931년 태어난 그는 천재였다. 역사와 전통의 광성중학을 2년만에 마치고 평양제일고급중학교 3학년으로 편입했으며, 1948년 김일성 종합대학 노문학부에 입학했다. 거기서 만난 사람이 그의 지도교수이며 훗날 카자흐스탄에서 그의 후견인 역할을 한 정상진이었다. 정상진은 김일성종합대학 노문학부장(1948~1950)과 북한 문화선전성 제1부상(1952~1955)을 지낸, 당대 굴지의 재사였다. 정상진으로부터 문학원론과 세계문학을 배운 한진과 그의 친구 이진[이경진]은 당시 최고의 수재로 인정을 받던 북한의 꿈나무들이었다. 그러나 6⋅25가 일어나면서 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이던 그는 전쟁에 참여했고, 1952년 여름 대학으로 돌아와 외국유학시험을 치르고 유학생 강습소에서 교육을 받은 뒤인 10월 모스크바 영화대학 시나리오 학과에 입학했다. 모스크바에 유학한 조선 최고의 수재들은 그들의 조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자유로운 그곳의 분위기에 취하면서 비로소 조국의 현실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때마침 흐루시쵸프가 등장하여 스탈린을 비판하면서 그런 분위기는 더욱 고조되었다. 전쟁 후 김일성은 자신의 개인지배를 강화해 나갈 요량으로 남로당파, 연안파, 소련파 등을 속속 숙청하고 있었다. 마침 당시 연안파로 몰려 파직 당한 모스크바의 북한대사 이상조의 망명 소식은 소련의 심장부에서 자유의 맛을 본 지성인들을 흔들어 놓기에 충분했고, 한진의 경우는 더욱 그랬다. 몇 고비의 우여곡절을 거쳐  1958년 8월에 망명을 결행했고, 시베리아 바르나울시 TV 방송국 책임편집위원으로 파견되었으며, 그곳에서 러시아 여인 지나이다 이바노브나를 만나 결혼했다. 그 후 카자흐스탄의 크즐오르다로 옮긴 그는 영화사진연구소, 레닌기치 등을 거쳐 고려극장에 정착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소설과 희곡창작을 지속한 것은 물론이었다. 고려극장의 극작가로 활동하다가 말년인 1993년 7월 13일 「서울손님」이란 희곡을 미완성으로 남긴 채 그는 잠들었다. [*이상 한진의 전기적인 사실은 김병학의 '한진의 생애와 작품세계', <<한진전집>>(인터북스, 2011) 참조.]

소련 고려인 문단의 최고 비평가 정상진도 인정한 바 있지만, 그는 고려인 문단의 군계일학(群鷄一鶴)이었다. 작품 형상화의 수준에서 여타 작가들은 그를 따라 잡을 수 없었고, 지금은 더더욱 그렇다. 이처럼 소련의 고려인 문단을 통틀어 미학적 차원에서 우리가 건져 올릴만한 작가로 그가 유일하다는 사실이 새삼 우리를 슬프게 한다.  

한진과 러시아 여인 지나이다 이브노브나 사이에 안드레이와 드미트리가 태어났고, 율리아는 안드레이와 러시아 여인 마리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 한진의 손녀 율리아가 러시안의 외모를 갖고 우리 앞에 나타난 것이다. 북한 지식층의 자녀로 북한에서 태어나 북한 최고의 교육을 받았고, 전쟁에서 우리를 적으로 삼아 총부리를 들었던 한진. 그러나 넓은 세상에 나와 이념의 허망함과 남녘 동포의 존재를 새롭게 깨닫게 된 것을 체제 경쟁에서 남쪽의 승리를 입증하는 결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아니면 언제나 현실이 이상을 압도한다는 인간세상의 자명한 진리를 보여 준 생생한 사례로 보아야 하는가?

어쨌든, 우리의 품으로 돌아와 자신이 걸어야 할 미래의 길을 진지하게 묻고 있는 그의 손녀 율리아를 바라보며 흐뭇하고 짜릿한 쾌감을 느끼는 건, 나 혼자만의 행복한 ‘오버센스’인가? <2012. 6. 7.>

*사진 위는 1980년대 한진의 모습
*사진 아래는 한 율리아와 김병학 선생(백규 연구실)

Posted by kicho
알림2012. 4. 16. 18:17

 

 

한국문예연구소 논문집 <<한국문학과 예술>>(9집) 출간!!!


한국문예연구소에서는 반년간 학술지 <<한국문학과 예술>> 9집을 출간했다. 이번 호에는 “1990년대 이후 패러다임과 문학지형의 변화”라는 주제 하에 「한국전쟁에 대한 새로운 소설적 형상화」(이경재), 「1990년대 이후 한국 연극의 변화」(백로라), 「윤대녕 소설의 노스탤지어 미학 : <<은어낚시통신>>을 중심으로」(백지혜), 「멜랑콜리 시학」(류신), 「현대시에서의 그로테스크」(이해운), 「이미지에서 서사로, 악몽에서 일상으로-편혜영 소설의 변화와 2010년대 소설의 향방-」(서영인) 등 6편의 특집논문과 1편의 일반논문[「조선조 文宣王樂章 연구」/조규익]을 실었고, 「중국 석학이 바라 본 지난날의 우리 모습-<<해동삼유록>>(위욱승 지음)을 읽고-」(소재영), 「난해한 선천역학의 닫힌 문 열기-<<소강절의 선천역학(고회민 저/곽신환 옮김)>>을 읽고-」(조희영), 「한 식민지 엘리트 군인의 ‘노블레스 오블리주’-<<경천아일록>>(김경천 지음/김병학 옮김)을 읽고-」(김기철), 「발로 쓰는 학문태도의 정수-<<동아시아 문화 교류론>>(소재영 지음)을 읽고-」(김태준), 「사행록 텍스트 다양하게 곱씹어보기-<<조선시대 사행록의 텍스트와 콘텍스트>>(정영문 지음)를 읽고-」(한태문) 등 5편의 서평과 자료 및 자료해제[「가사로 풀어낸 조선왕조의 이면사-박순호 본 <한양가(1)> 소개-」]를 실었다. 지금까지 <<한국문학과 예술>>에는 국내외 석학들에 의해 작성된 해당분야의 주목할 만한 논문들과 서평들, 해제들이 실림으로써 한국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Posted by kicho
알림2012. 3. 25. 08:54

<경천아일록> 번역 및 정리 후기


책 <경천아일록>을 정리한 김병학입니다. 저는 1992년에 카자흐스탄에 들어와 민간한글학교 교사, 알마틔대학교 한국어과 강사, 재소고려인 신문 고려일보 기자를 역임한 바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재소고려인과 관련된 일들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경천아일록>을 정리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하였습니다. 저는 역사학자도,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도, 연해주 한인 독립운동사에 학문적 관심을 기울여온 사람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2010년 봄에 김경천 장군의 후손이 사는 카자흐스탄 까라간다에 간 일이 있는데 그때 김장군의 막내딸 김지희 할머니와 김장군의 외손자 김 예브게니씨로부터 일록의 정리를 부탁받았고 그 이후 최 아리따 역사연구가(이 책에 추천의 말을 쓴 분)로부터도 거듭거듭 강력한 정리요청을 받았습니다.

시급히 정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잘 알았지만 도무지 엄두가 나지 않아 1년 반을 거절하다가 결국 2011년 가을에 정리 작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제 능력이 받쳐주지 않아 엄청난 공력을 들여야 했음은 두말할 나위조차 없습니다. 그렇게 작년 가을과 겨울에 집중 작업을 벌여 가까스로 <경천아일록>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김경천 장군을 알게 되어 얼마나 가슴 벅차고 행복했는지 모릅니다. 한편으로는 그동안 김경천 장군이나 연해주 한인독립운동사를 깊이 있게 알지 못했음을 한탄하고 또 한편으로는 그것을 늦게나마 알게 된 것을 다행으로 여기며, 육신은 힘들었지만 참으로 충만한 가을과 겨울을 보냈습니다.

물론 이 책에는(다른 책들도 많이 그러하겠지만) 부족하거나 미비한 부분들이 있고 앞으로 더 채워 넣어져야 할 곳들이 생겨나리라 생각합니다. 김경천 장군을 연구하시는 여러 선후배 연구자분들께서 이 작은 결과물을 딛고 올라서서 훨씬 크고 훌륭한 결실을 맺어주실 거라 믿습니다.

김경천 장군과 관련된 저의 작업은 일단 이것으로 끝난 듯합니다. 다시 한 번 언급하지만 저는 연해주 한인 독립운동사나 김경천 장군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지식을 축적해오지도 않았고 탐구에 오랜 시간을 바쳐오지도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더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으며 또 무리하게 더 진행한다는 것은 주제넘은 짓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일은 누구도 모르는 지라 혹 새로운 여건이 생겨 다시 이와 관련된 일에 매일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지금 제가 내리는 판단을 신뢰하고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책에 관심을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28페이지 러시아어로 된 <추천의 말>에 두어 군데 오자가 보이는데 수정하여 전문을 첨부합니다.

김병학

***

Вступительное слово

В книге 《Увлеч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м духом》 писателя Ли Герона

из Киргизии я прочитала цитату взятую им из древней летописи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САМ ГУК САГИ》: 《Для того чтобы достойно

завершить историю одного дома и передать ее десяткам тысяч

поколений, чтобы она могла светить подобно солнцу и звездам,

для этого поистине нужны все три великих совершенства. Имеется

в виду талант, ученость и проникновение, из которых первое

означало способность к историческому познанию, второе-обширные

знания и начитанность, а третье-умение отличить правое от неправого,

истину от лжи.》

Все перечисленные совершенства есть у писателя и поэта Ким Бен

Хака. Он не только завершит историю одного дома Ким Ген Чена,

полководца на белом коне, который возглавил разгром и изгнание

японских самураев с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России в 1922году, Ким

Бен Хак поможет мне построить еще и историю корейцев Дально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депортированных в 1937г. в Казахстан. То есть,

писатель и поэт Ким Бен Хак поможет мне основать в Республике

Корея историк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й музей корейцев России и Казахстана

имени Ким Ген Чена.

Да благословит всех нас Господь!

1. Внучка отца Ивана (Иоанна) поселка Синан чон гор. Владивостока,

который подарил полководцу Ким Ген Чену из своего табуна белого

коня.

2. Лауреат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рейской премии в области

документальной культуры, в номинации фото. Сеул, 2004г.

А. В. Цой

Posted by kicho
알림2012. 3. 2. 13:59

  <이번에 발간된 책 <<경천아일록>> 표지>

  <김경천 장군의 아버지 김정우. 그는 35살의 늦은 나이에 일본에 유학하고 돌아와 대한제국 육군군기창장으로 일했다.(1900-1908년)>

  <1921년 3월 연해주 공산당 지역중앙위원회 고려인 부서의 제안으로 아무르 주 크라스노야르 마을에서 개최된 연해주 빨치산 활동가들의 제1회 모임. 여기에서 고려인 빨치산 부대들을 통합하여 연해주 인민혁명군 소속으로 합병시키자는 결의가 나왔다. 맨 뒷줄 왼쪽에서 세 번째가 김경천. 당시 김경천은 만주에서 연해주로 건너온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아직 별다른 전투를 치르기 전이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데다 또 공산당원이 아닌 탓에 맨 끝줄에 서있다. 하지만 이듬해 여름에 연해주 혁명군사위원회가 그를 뽀시예트 및 훈춘 구역 빨치산 총사령관으로 임명할 정도로 용맹한 군인으로 이름을 떨쳤다.둘째 줄 왼쪽부터 첫 번째는 창의회에서 활약한 안희재(1885-1943), 두 번째는 나중에 선봉신문 농업부장을 역임한 황동훈(1903-1938), 세 번째는 연해주 한인독립운동 지도자 이동휘(1873-1935), 네 번째는 한인 지도자로서 소비에트 당국에 한인의 권리를 적극 주장했던 한명세, 여섯 번째는 1930년대 뽀시예트 구역 당서기장을 역임한 김 아파나시, 셋째 줄 오른쪽에서 첫 번째가 1924년 니시 고려사범학교, 1931년 해삼고려사범대학을 설립하고 이듬해 조선극장 창립에도 관여하는 등 한인 문화교육부문에 지대한 공헌을 한 김만금, 넷째 줄 왼쪽(오른쪽)에서 다섯 번째는 중국과 한국에서 신문을 발행하고 지하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서울 서대문 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던 채 그리고리(1891-1926), 맨 뒷줄 오른쪽에서 첫 번째는 제76 고려인 포병부대 정치교육장교를 역임한 김광택(1898-1957)이다.


  <간첩죄로 체포된 김경천 장군이 카자흐스탄 까라간다 유형소에 들어와 머리를 깎이기 전(1939년)>

  <간첩죄로 체포된 김경천 장군이 카자흐스탄 까라간다 유형소에 들어와 머리를 깎인 후(1939년)>

  <1918-1922년 연해주 한인빨치산 군인들의 복장. 김경천 부대의 부대원들도 이와 똑같은 복장을 착용하고 전투를 치렀다>.

     <김경천 장군의 자식들.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맏딸 지리, 셋째딸 지란, 막내딸 지희, 맏아들 수범>



연해주 지역 항일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의 일기

<<경천아일록(擎天兒日錄)>> 출간!!!

연해주 지역 항일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의 일기 <<경천아일록>>이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자료총서 1권으로 출간되었다. 함경남도 북청에서 무관 가문의 막내아들로 태어난 김 장군의 본명은 김현충(金顯忠)⋅김광서(金光瑞)이며, 후에 신팔균⋅지청천과 함께 별명으로 '하늘 천(天)'자를 넣어 지은 김경천(金擎天, 金警天 또는 金敬天)⋅김응천(金應天) 등의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김 장군의 아버지인 김정우는 일본에 유학을 다녀온 구한국 육군의 엘리트 인사였는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릴 적부터 군인이 되기를 꿈꾸었고, 한성부에서 중학교를 마친 뒤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1911년 일본 육사를 제 23기로 졸업하고 도쿄에서 기병 장교로 근무하다가 1919년 기미 독립 선언 직후 지청천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청년단에 가입해 활동했고, 서간도의 신흥무관학교에서 교관으로 근무했다.

1919년 김경천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 머물면서 의용군을 모집하여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중국인 마적단과 싸웠으며, 창해청년단 총사령관으로 시베리아 일대에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1921년에는 수청의병대의 지도자가 되었고 러시아의 혁명 세력과 연합하면서 연해주 지역의 조선인 지도자로 소련의 인정도 받게 되었다.

1922년 수청의병대는 대한혁명단으로 개칭하고, 김경천은 사령관을 맡았으며, 그해 말 고려혁명군이 조직되어 김경천은 동부사령관을 맡았다. 1922년 이후 블라디보스톡 극동고려사범대학에서 강의를 하였고 국경경비대의 장교로 일하다가 1937년 스탈린 정권 하에서 간첩죄로 체포되었고, 1939년 재차 체포되어 두 차례 복역했다.

이 일기의 번역 및 정리자 김병학 선생은 이 책 출간의 당위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제시했다.
 첫째, <<경천아일록>>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 이후 전투에 참가한 군 지휘관이 현장에서 쓴 유일한 일기다. 현대적 의미의 최고급 군사전문가 중 한 사람인 김 장군의 지략과 용맹이 유감없이 드러나 있어, 동서양 전쟁사에서 그 유례를 찾기가 어렵다.
 둘째, 광복 60년이 지나도록 친일유산의 청산이 되지 않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서 김 장군의 행적이야말로 후손들에게 귀감이 될 만하다.
 셋째, 이 일기가 국내 역사학자들의 단편적인 논문에만 인용되고 말기에는 그의 삶 자체가 너무나 눈물겹고 장대하고 아름답다.
 넷째,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에 흩어져 살고 있는 김 장군의 후손과 뜻 있는 고려인들이 이 일기가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그 분들이 일기를 러시아어로 읽으려면 먼저 번역이 가능한 현대 한국어로 정리되어야 한다. 국한문에 드문드문 알아보기 어려운 문체로 기록된 <경천아일록>이 한국에 알려진지도 벌써 다섯 해가 넘었는데, 그 분들을 더 이상 기다리게 하는 것도 도리가 아니다.

 이 책의 출간은 한국의 독립운동사가 보완되고, 더욱 새로워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강호제현의 일독을 고대한다.


                        2012. 3. 1.


              한국문예연구소  소장   조규익



조선일보 관련기사 링크


Posted by kicho
알림2011. 1. 20. 16:00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10 『초원의 페이지를 넘기며』 출간!

카자흐스탄의 현대 시인 9명의 시작품들을 번역하여 묶은 『초원의 페이지를 넘기며』가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10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에 실린 시인들은 올자스 술래이메노브[13수], 예브게니 꾸르다꼬브[16수], 발레리 미하일로브[17수], 바흐트잔 까나삐야노브[14수], 나제즈다 체로노바[10수], 알렉산드로 슈미트[16수], 카이라트 박베르게노브[10수], 바흐트 까이르베꼬브[10수], 이 스따니슬라브[16수] 등 카자흐스탄 문단을 대표하는 9명이다.
 시인이자 학자, 외교관, 사회 활동가로서 카자흐 국립대학을 1959년도에 졸업하면서 지질학기사가 된 올자스 술래이노브는 1955년부터 문학에 뜻을 두게 되었으며, 1958년 고리끼 문학대학 시 번역학과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시 창작을 공부했다. 그의 시집과 저술들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출판되었으며, 많은 상을 받기도 했다. 그는 소비에트 체제에서 억압받는 카자흐인의 현실을 최초로 고발한 시인이다.
 시인인 동시에 조각가, 인류학박물관 연구원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예브게니 꾸르다꼬브는 15권의 시집과 산문집을 남긴 다작의 문인이다. 특히 중앙아시아 지방의 언어로 쓰인 문학작품들을 러시아어로 번역한 전문가이기도 하다. 그의 시들은 러시아적 서정과 사상적 깊이에서 현대 러시아 시문학의 최고봉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 작가동맹의 회원으로 활약하고 있는 발레리 미하일로브는 20여 권의 시집과 저서들을 남겼다. 그의 시들에는 모순 많고 불합리한 세상에서 거룩함과 정결을 지향함으로써 구원을 얻고 거기서 삶의 궁극적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가 곳곳에 드러난다.
 시인, 번역가, 시나리오 작가, 영화감독 등 다양한 작업을 해온 바흐트잔 까나삐야노브는 많은 시작품과 산문들을 발간했고, 20여 편의 영화를 감독하기도 했다. 그는 소비에트 체제 하에서 카자흐스탄인들의 민족성과 고유성이 파탄되어가고 있음을 폭로하는 작품성향 때문에 정치인들로부터 공격을 받아 출판을 하지 못하다가 1988년에야 빛을 보게 되었다.
 시인, 번역가, 문예비평가 등을 겸해온 여류 문인 나제즈다 체르노바는 많은 작품들을 발표했으며, 『수염며느리밥풀』, 『존재의 그림들』등 여러 권의 시집을 출판했다. 그녀의 시에는 러시아 카자크 인들의 전통과 강인함이 들어 있으며, 시의 철학적 깊이와 높이도 두드러진다.
 카자흐스탄 독일인을 대표하는 러시아어 시인 알렉산드로 슈미트는 많은 작품들을 발표한 대표적 디아스포라 시인이다. 그의 시들 가운데 <동굴>은 강제 이주 당한 소수민족들이 한 두 세대 후에 겪게 되는 정체성의 고민과 혼란을 전형적으로 드러냈다. 즉 러시아어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 문제를 풀어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역으로 자기의 뿌리를 찾아가는 특이한 세대의 시인이다.
 카자흐 러시아어 시인, 번역가, 영화감독, 극작가인 바흐트 까이르베꼬브는 카자흐스탄 작가동맹 회원으로서 현재까지도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가을의 대화』등 9권의 시집과 2권의 시선집을 펴낸 그는 동시대 인텔리들처럼 소비에트 시대에 러시아化에 편입된 전형적 인물이다.
 고려인 시인 이 스따니슬라브는 고려인 계몽철학자 박일과 러시아 시인 예브게니 꾸르다꼬브의 영향을 받아 문학의 길로 들어섰다. 1995년 첫 시집 『이랑』을 펴낸 이후 여러 권의 시집을 냈으며, 김병학 시인에 의해 『모쁘르마을에 대한 추억』이란 번역시집이 한국에서 출간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시작품들은 유수의 문학지에 계속하여 소개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 국정 교과서에도 실림으로써 그의 시작품들은 많은 젊은이들에게까지 알려져 있다.

 올자스 술래이메노브 외 8인 저, 김병학 옮김, 『초원의 페이지를 넘기며』, 인터북스, 2010. 값 19000원.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10
Posted by kicho
카테고리 없음2010. 4. 15. 10:33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6, 『카자흐스탄 초원 시인 아바이 시선집 : 황금천막에서 부르는 노래』출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자흐스탄 초원 시인 아바이 시선집 : 황금천막에서 부르는 노래』(김병학 역 / 인터북스, 2010. 4.)가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6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의 위대한 시인이며 사상가인 아바이 꾸난바이울릐는 시대가 급변하던 19세기에 홀연히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그가 남긴 글들은 카자흐스탄 전역에 깊은 감동을 주었으며, 지금도 카자흐스탄 전 국민의 가슴에 그침 없는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아바이 시인의 존재는 카자흐스탄 사람들의 자부심이자 카자흐 문학의 상징입니다.  

동양과 서양의 교차로에 위치한 카자흐스탄의 유목문화가 이질적인 요소들을 융합해냈듯이 아바이 시인도 광활한 초원의 정신에 바탕을 두고 대자연과 유목민의 삶을 포용하며 기쁨과 슬픔과 희망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는 카자흐 고유의 전통 및 서구의 합리성과 종교적 영성을 동시에 추구했으며 이는 현대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이 바람직한 미래로 나아가는데 더욱 더 긍정적인 빛을 던져주고 있습니다. 

이 시집은 제1부(자연에 대한 서정시), 제2부(철학의 서정시), 제3부(사랑의 서정시), 제4부(비애의 서정시), 제5부(8행시), 제6부(풍자시) 등 여섯 부분으로 나뉜다. 이것은 1909년 처음 발간된 아바이 시집의 테마별 분류를 바탕으로 하여 약간 바꾼 것입니다.

올해는 한국의 ‘카자흐스탄의 해’입니다. 조만간 카자흐스탄의 나자르바예프 대통령과 사절들이 한국을 방문할 것입니다. 한국의 뜻 있는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카자흐스탄의 독특한 유목문화와 시인 아바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길 바라며, 일독을 권합니다.

 

Posted by ki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