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14. 11. 5. 13:59

 

 

 

 

 

저는 2013년 2학기 풀브라이트 방문학자(Visiting Fulbright Scholar)로 오클라호마 주립대학(Oklahoma State University) 역사학과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현지를 틈틈이 답사하고 체험한 기록들을 정리하여, 최근 <<인디언과 바람의 땅 오클라호마에서 보물찾기>>(푸른사상)라는 제목의 문화 답사기를 펴냈습니다. 한국인들에게는 토네이도의 본고장으로만 알려졌을 뿐인 오클라호마를 보물찾기라는 테마를 통해 새롭게 읽어내고자 했지요. 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물 1: 스틸워터와 OSU, 그 안식과 탐구의 낙원

평온과 정밀(靜謐)의 오클라호마에 안착

역사학과를 찾아

학과 비서들과의 만남

카우보이 풍의 노신사, 학과장 로간 교수와의 만남

브렛 학장과의 만남

평원 속 지성의 오아시스, OSU에서

역사학과 학생들을 위한 특강을 마치고: 한국의 이미지를 새것으로!

카우보이들, 풋볼의 진수를 보여주다!

미국 대학의 졸업식과 감동: 왜 우리는 이렇게 하지 못하는가?

안식과 힐링의 낙원 스틸워터에서

 

보물 2: 인디언, 인디언 역사, 인디언 문화

오클라호마와 인디언 부족들

대초원에서 만난 오세이지 인디언들

체로키 후예의 집을 찾아 패러다임 전환의 증거를 찾다

오클라호마 동쪽에서 체로키 인디언들을 만나다!

체로키어오시요(Osiyo)’와 우리말‘ (어서) 오세요!’의 정서적 거리

스틸워터의 이웃동네에서 만난 판카 인디언들

길 가다 우연히 만난 아이오와 인디언 족

지혜로운 치카샤 족, 인디언 사회의 자존심

촉토 족의 뿌리와 투쟁, 그리고 예술

촉토 족의 탁월한 교육열, 풍부한 역사 자취

놀라운 세미놀 인디언들의 역사와 문화의식

카이오와, 아파치, 코만치, 그리고 대평원의 서사시

카이오와 족의 삶과 예술

무서운 코만치에서 상식의 미국인으로!

크릭 족의 꿈과 현실을 찾아

오클라호마 밖의 인디언: 뉴멕시코의 앨버커키와 스카이 시티, 그리고 푸에블로족

암굴 속에 서린 생존 의지‘, 반델리어 국립 유적지와 푸에블로 족의 말 없는

외침

부드러운 어도비, 완강한타오 푸에블로인디언들

 

보물 3: 미국의 길, 66번 도로(Route 66)의 낭만

미국에서 길을 찾으며: 우리도 스토리가 있는 길을 한 번 만들어 봅시다!

작은 일탈을 꿈꾸는 66번 도로, 그 낭만과 허구

엘크 시티와 국립 66번 도로 박물관 단지

클린턴 시티와 ‘66번 도로 박물관

엘 르노 시티와 캐나디언 카운티 뮤지엄

66번 도로에 살아 있는 역사의 공간, 유콘 시티

누구 혹시 이 소녀를 아시나요?: 유콘에서 만난 우리들의 누이

한국전 참전용사의 아들 리차드 카치니와 유콘 참전용사 박물관

오클라호마의 숨은 별: 거쓰리 시티/ 66번 길의 경이로운 옛 건축물: 아카디아 라운드

 

 

 

 

 

 

보물 4: 박물관과 미국 역사

서부 개척시대 미국의 소리: 국립 카우보이와 서부유산 박물관

예술로서의 역사, 역사로서의 예술: 털사의 길크리스 박물관에서 길을 잃다!

인간의 악마성을 깨우쳐 준 공간: 오클라호마 시 메모리얼 뮤지엄
오클라호마 밖의 박물관: 예술과 역사의 도시 산타페와 박물관들

 

보물 5: 열정과 도전의 대학인들

미국의 중남부에서 아시아 역사를 가르치는 젊은 학자: 용타오 두 교수

학자와 목자의 삶: 한인 교수 장영배 박사

빛나는 한국학생 브라이언

한반도에 관심이 큰 소련 역사 전문가 림멜 교수

탁월한 젊은 영어 교육자 제이슨 컬프

역사학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온 프레너 교수

 

보물 6: 아름다운 자연, 안식의 낙원

부머 호수에서 찾은 마음의 고요

리틀 사하라에서 되찾은 고향의 꿈

대초원에서 멋진울음 터를 발견하고

낙원 속의 산책로: OSU 크로스 컨트리 코스의 안식과 힐링

 

 

 

 

 

***

일반적으로 미국은 역사가 짧고, 넓은 땅에 비해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역사 문화유적의 답사라는 여행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공간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백인들의 이주 후 200여년, 인디언으로부터 따지면 그보다 훨씬 더 긴 역사가 이어져 온 땅이고, 그에 따르는 문화유산들이 적지 않은 곳입니다. 더구나 경쟁력으로 세계에서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미국의 대학들이나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도시문화를 생각하면, 미국은 유럽과 또 다른 차원의 매력을 지닌 지역입니다. 무엇보다 39개에 달하는 인디언 부족의 보호구역들이 도처에 널려 있는 오클라호마는 대초원(Tall Grass Prairie)과 대평원(The Great Plains)등 풍부한 목초지와 함께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원유 등으로 오랜 동안 풍요를 구가해온 지역이기도 합니다. 풀브라이트(Fulbright) 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곳의 대표적인 교육기관 오클라호마 주립대학(Oklahoma State University)’에서 연구를 하게 되었습니다만. 이곳에 오자마자 연구 과제 외에 이 지역의 역사적문화적 의미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제가 관심을 가졌던 대상은 인디언의 역사와 문화였습니다. 저는 사람, 자연, 도시, 제도, 역사, 문화 등 감고 있던 마음의 눈을 뜨게 한 모든 것들이 보물로 생각되었습니다. 그간 모르고 지내온 것들이 그의 편견을 바로잡아 주었기에 보배로웠습니다. 그 중에서도 인디언들과의 만남은 무엇보다 소중했습니다. 인종에 대한 편견과 무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음을 비로소 깨닫게 된 것은 무엇보다 소중한 체험이었습니다. 백인들에 의해 고통을 받아온 인디언이야말로 역사의 거울에 비친 우리 모습이라는 점에서 가치 있는 보물이었던 것입니다. 서부영화나 백인들에 의해 저술된 책들을 통해 제 마음에 뿌리 내린 왜곡된 인디언의 이미지가 비로소 바로잡혀지게 된 점을 가장 곰지게생각합니다. 다시 말하면 지배자들이 펼쳐 온 자기 합리화의 억설(臆說)에 의해 일그러진 인디언들의 실체를 삶의 현장에서 바로잡음으로써 내면에 고착된 편견을 해소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제 입장에서 인디언에 대한 발견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오클라호마 주립대학을 통해 미국 대학들의 경쟁력이 바로 미국의 경쟁력임을 깨닫게 된 점입니다. 대학의 역사와 현실을 통해 학생들이 마음껏 공부하고 체력을 단련하며 단합정신을 함양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운영되는 미국 대학의 장점을 읽어낸 것은 제 글 내용의 핵심적인 축입니다.

인디언이나 대학의 힘에 대한 발견과 함께 오클라호마나 스틸워터의 깨끗한 자연으로부터 얻게 된 힐링의 감동은 이 책 내용의 또 다른 축입니다. 부머 호수, 리틀 사하라, 산책로로 쓰이고 있는 크로스 컨트리 코스 등 잘 보존된 자연이 인간의 내면적 평정이나 행복을 위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체험적으로 진술하고자 했습니다. 제 글의 에필로그 가운데 마무리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풀브라이트 학자로서의 가볍지 않은 사명을 짊어지고 오긴 했지만, 연구 외

에 이곳에서 발견한 또 다른 것들이 나를 달뜨게 했다. 오클라호마 사람들과의

만남, 인디언의 역사나 문화와의 만남, (특히 Route 66)과의 만남, 아름답고

깨끗한 환경과의 만남 등등. 그러나 무엇보다 소중했던 스틸워터는 문만 닫으

면 절간처럼 조용해지는 공간이었다. 맑은 공기 속에 한 발만 나서면 온갖 새

와 나무들이 그들먹한 낙원이었다. 그래서 기대 이상의 힐링을 체험하며 마음

속의 온갖 찌꺼기들을 날려 버릴 수 있었다. 물론 이곳이라고 어찌 사람들 사

이의 갈등과, 그로부터 일어나는 불행들이 없을 수 있을까. 그러나 유목민들이

아름다운 꽃향기와 산토끼의 해맑은 눈빛, 그 지순(至純)한 추억으로 광풍 몰

아 치던 수많은 밤들의 괴로움을 지우듯, 아름답지 못한 것들을 걸러내는 능력

이야말로 지혜로운 인간의 전유물 아닌가. 사실 짧지 않은 6개월 동안 걸러내

야 할 단 하나의씁쓸함도 만나지 못한 나였다.

                                                          ***

스틸워터에서 화려한 행복보다는 작고 따스하며 담백한 즐거움 속에 거의

완벽한 힐링의 추억을 간직하게 되었으니, 이제 맛있고 영양가 풍부한 풀들이

많이 자라 있기를 기대하며 다시 옛 고향으로 노마드의 소떼를 몰고 재입사(

入社)하기로 한다.”

 

그곳에 가보지 않은 사람도 책을 펼치기만 하면 오클라호마와 스틸워터의 감동과 아름다움이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느껴지리라 생각합니다. 강호제현의 질정(叱正)을 고대합니다.

 

<<인디언과 바람의 땅 오클라호마에서 보물찾기>>, 푸른사상, 2014.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9. 29. 12:12

근황 1

 

 

미국식 혹은 오클라호마 식 인간관계

 

 

김형!

 

오랜만이오. 이곳에 온지 벌써 정확하게 한 달이 지났소. 외국에 나가면 조심해야 할 것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외국 생활을 두루 경험해 온 형은 잘 아시리라 믿소. 특히 외국에 정착하기까지 참 여러 가지로 신경 쓸 일들이 많은 건 우리처럼 단기간의 체류자들 역시 예외는 아닐 것이오. 우리가 잠시 엉덩이를 붙인 오클라호마의 스틸워터(Stillwater)는 미국의 다른 지역들과 비교해도 참으로 특이한 곳이오. ‘조용함깨끗함단조로움으로 요약될 만한 자연 및 생활환경, 바이블 벨트(Bible Belt)로 통칭되는 이 지역의 정서, 그리고 미국인들 특유의 개인주의 등이 어울려 빚어내는 지역 색깔 말이오.

 

아무리 둘러보아도 산 하나 보이지 않는 평지에 띄엄띄엄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 그 한복판에 널찍이 들어선 대학 캠퍼스. 바둑판의 줄처럼 그어진 도로들을 따라 듬성듬성 조성되어 있는 상가들에나 나가야 그나마 다운타운의 맛을 약간 느낄 수 있을까요? 학생들과 대학 종사자들을 포함하여 2만 여명이 생활하는 대학 캠퍼스를 벗어나면 사람 만나기 어려운 곳이 바로 이 지역이오. 복잡한 서울에 살다가 이곳에 온 우리는 일종의 문화충격을 다독여 가며 쉽지 않은 적응의 한 달을 지내온 셈이오. 15년 전에 1년 남짓 살던 LA와는 판이하게 다른 분위기를 이곳에서 맛보고 나서야 미국인들의 생활철학과 그들이 신봉하는 합리주의 혹은 실용주의가 무엇인지를 어렴풋이나마 깨닫게 되었으니, 우리도 이제 철 들 나이가 되었기 때문일까요?

                                                                                   
                                                    백규 연구실의 달력


                                         연구실의 백규

 

***

 

이곳 도착 사흘 뒤 학과장[여기서는 ‘Head’라고 함] 로간 교수와 학과 비서들을 만났소. 반갑게 인사를 나누었으나, 인사가 끝난 뒤의 대화는 사무적인 내용으로 일관했소. 학과장은 학과 전반에 대한 소개와 부탁의 말씀을 한 다음 강의에 들어갔고, 비서들은 건물 출입문과 내 연구실 키를 주고 학과 시설에 대한 안내와 설명이 끝나자 모두들 자기 자리로 돌아가 업무들을 보는 것이었소. 차나 한 잔 하자거나 점심이라도 함께 하자는 등의 말 거래는 일체 없었소.

 

며칠 뒤 아무래도 이게 아니다 싶어 한 수 가르쳐 줄 요량으로 로간 교수에게 연락하여 점심약속을 잡았소. 그런데 까페테리아로 나를 데리고 들어가자마자 그는 먼저 작은 머핀 하나와 음료수를 고르는 것이었소. 그러는 그를 보며 나 또한 더 비싼 것을 고를 수 없어 같은 것으로 골라잡았소. 그런 다음 그는 자기 것을 자기가 계산하려 했소. 내가 화들짝 놀라며 오늘은 내가 함께 계산하겠다고 하자 마지못한 듯 그러라고 하는 것이었소. 내가 궁금하여 머핀 하나로 점심이 되냐고 묻자 집에서 빅디너(big dinner)를 먹기 때문에 괜찮다는 대답이었소. ‘참 인심 고약한 동네라는 탄식이 절로 나왔소.

 

그 뒤 한 주쯤이 지나서 대닐로위츠 학장과 만날 약속을 잡게 되었소.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내용의 답신 메일이 도착했소. “Dear Kyu-Ick/ I am delighted you have made it safely to our campus, and meeting you would be very nice. I have copied Terri Cushing to this email- she will contact you soon to see when we might be able to get together for 30 minutes or so. If you come to my office, I can provide coffee or soda as we visit./Sincerely, Bret[친애하는 조 선생님/당신이 우리 캠퍼스에 안전하게 오셨다니 기쁩니다. 그리고 당신을 만나게 되어 매우 반갑습니다. 나는 이 이메일을 비서인 테리에게 복사해주었습니다.-그녀가 조만간 당신에게 우리가 30분쯤 함께 만날 수 있을 때를 상의하기 위해 연락할 것입니다. 당신이 만약 내 사무실로 오신다면 나는 우리들이 방문할 때처럼 커피나 소다를 대접할 수 있습니다.]”

 

문면에서 친밀함이 넘쳐나긴 하지만, ‘30분쯤 만날 수 있다는 것’, ‘커피나 소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등의 말을 형은 이해할 수 있겠소? 워낙 시간 제약을 많이 받는 자리이니 전자야 그렇다 치고, 후자는 굳이 말할 필요가 없는 것 아니겠소? 그들의 표현대로 거한 빅런치빅디너를 기대하는 것도 아닌데, 굳이 커피나 소다를 대접한다는 자신들의 관습을 언급하며 생색내듯 한 건 왜일까요?


                                        Gary Young 선생과 점심을 하고                                      

 


                                           Stephen과 학교 바깥에서 점심을 하며

 

지난 주 수요일. 내가 이곳에 온 뒤 첫 패컬티 미팅(faculty meeting)’이 있었소. 우리로 말하면 학과 교수회의인 셈인데, 저에 대한 학과장의 소개에 이어 제 인사말이 끝나자 적지 않은 안건들이 논의됩디다. 무려 1시간 반이 넘는 회의였는데, 작은 것 하나도 그냥 넘기지 않고 활발한 토론을 거쳐 결정하는 그들의 공동체 문화가 제 눈에 좀 자잘해 보이기는 해도, ‘별 뒷말들은 없겠구나!’라는 생각이 들게 했어요. 그런데 놀라운 건 교수회의를 하면서 차 한 잔도 함께 마시지 않는다는 사실, 회의가 끝나자마자 뿔뿔이 흩어져 제 갈 길을 간다는 사실 등이었소. 한국에선 회의 중에 반드시 차 아니면 하다못해 물 한 잔씩이라도 앞에 놓아주고, 학과회의가 끝나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저녁자리가 마련되곤 하는데, ‘이건 너무하지 않은가?’ 놀라고 말았소.

 

그 뒤로 점심시간에 교수들의 동태를 예의 관찰해 보았소. 점심을 싸와서 연구실에서 먹든가 각자 까페테리아 등에서 학생들 틈에 앉아 다소곳이 한 끼를 때우는 것이었소. 서울에서 점심때가 가까워 오면 혹시 누가 없는가 이 연구실 저 연구실로 전화를 넣곤 하던 내 문화와 관습이 여지없이 망가져버리는 순간이었소.

 

점심이나 저녁만 문제겠소? 밥도 함께 안 하는데 술자리야 엄두도 못 내지요. 몹쓸 동네에 왔다는 생각이 무겁게 나를 누르는 것이었소. 한국에서야 밥 먹으러 가면 우선 두꺼비참이슬이 밥보다 먼저 등장하는 것이 공식 아니오? 그런데 도통 이곳에서는 술을 구경할 수가 없소. 하도 궁금하여 술가게[Liquor Store]를 찾았더니, 그마저 몇 군데 없었소. 그 크고 흔한 월마트에서도 맥주조차 팔지 않는 동네임을 깨닫고, 그 원인을 내 나름대로 요모조모 분석해 보았소. 거리에 나가면 고색창연한 교회들이 곳곳에 멋진 자태를 뽐내며 서 있어요. 주로 침례교회[Baptist Church]가 많은데, 이곳이 그 유명한 바이블 벨트의 한 부분임을 많은 교회들이 입증해주고 있었소. 아직 교회 예배에는 참석하지 못하고 있지만, 들리는 바에 의하면 대부분의 교회들이 신도들로 가득 찬다고 합디다. 서구사회에서 주일마다 신도들로 가득 차는 교회를 구경해 보신 적 있소? 그러니 사람들의 일상이 매우 단조로우면서도 정결하고, 조용하면서도 경건하기까지 하다는 점을 비로소 깨닫게 되었소.


                     First Baptist Church in Stillwater의 모습


                         First Methodist Church in Stillwater의 모습


                      First Presbyterian Church in Stillwater의 모습

 

***

 

도착하고 나서 여러 경험들을 했고, 한 주 두 주 그런 경험들이 겹치면서 처음 가졌던 내 느낌과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다는 건 자연스러우면서도 약간은 이상한 일이오. 잘 아시지 않소? 서울에서야 때마다 호기롭게 점심을 사는 사람도 많고, 반면에 뜬뜬하게구두쇠 노릇을 하는 사람도 적지 않지요. 그러다 보니 공동체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아무개는 술 한 잔 사는 법이 없다!’는 투의 원망과 비난이 자주 생기고, 그게 상호간의 반목으로 커지는 경우도 없지 않은 것 아니겠소? 끼리끼리 술자리에 어울리다 보면 이해를 달리 하는 타인에 대한 험담[이른바 뒷 담화]이 오가기도 하고 정당하지 못한 거래도 이루어지는 법이니, 그 자체가 투명사회에 역행하는 일이지요. 그 때문에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부패 선진국의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는 것 아닌가요? 모두 술 인심, 밥 인심, 담배 인심이 후한 데서 빚어지는 악폐라 할 수 있지요.

 

서로 간에 밥 한 끼, 술 한 잔 안 사는 미국교수들을 보며 투명한 미국사회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가를 깨닫게 되었어요. 생각해 보시오. 툭하면 갖는 저녁회식에서 술 몇 잔 돌리다 보면 2, 3차로 이어지고, 그 후유증으로 한 두 주 허송한 다음 몸에서 알코올 기가 떨어질 즈음이면 다시 그 일을 반복하니, 강철로 된 몸인들 배겨날 것이며, 책상 위에 그득 쌓인 연구는 언제 할 수 있겠소? 술 마실 땐 즐겁지만, 현실로 돌아오면 허탈과 상실, 미움과 반목의 갈등이 우리를 괴롭히는 것 아니겠소? 선진국 교수들은 제 밥 저 먹고 조용히 앉아 강의와 연구에 매진할 때, 나를 포함한 우리나라 일부교수들은 술친구 따라 우왕좌왕하며 시간만 죽이며 지낸다면, 참으로 암담한 일 아니겠소?

사실 한 달쯤 이런 문화에서 지내다 보니 언젠가부터 이곳 분위기가 참으로 편하다는 생각이 나를 지배하기 시작했소. 우선, 술을 사지도 얻어먹지도 않으니, 마음이 태평양만큼이나 여유로워졌소. 술을 사기 위해 지갑 속의 돈을 헤아릴 필요도, 술을 사지 않는 구두쇠를 원망할 필요도 없어졌으니 말이오.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여기서 한 달 동안 지내다 보니 한국에서 평균 한 달에 한 번 꼴로 마셔댄 알코올 기가 내 혈액에서 모두 빠져나갔다는 점이오. 술에 잠겨 해롱거리는 인간을 볼 수 없는 이곳에서 나도 이젠 술 생각 전혀 나지 않는 새로운 인간으로 거듭 태어났으니, ‘미국의 바이블 벨트에 온 보람이 있지요? 엊저녁 이곳 대학의 한국인 교수 모임에 참석했었지요. 한국인들의 밥상에 술 대신 물이나 탄산음료가 나오는 것을 보며 참으로 신기한 생각이 듭디다. 이곳 학과 교수회의 때 경험한 일을 옆의 장영배 교수께 여쭈었더니, ‘이곳은 어느 학과나 그래요. 그리고 그게 마음 편하고 좋아요. 그게 한국과 다른 점이에요.’라고 하십디다. 나도 그 말씀에 맞장구를 치며 속으로 재미는 없지만, 길게 보면 이 길로 접어드는 것이 한국 지식인들의 의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소.

 

또 연락하리다. 편안히 계시오.

 

2013. 9. 28.

 

스틸워터에서 백규 드림



Stillwater Public City Library에서 책을 고르고 있는 Melania

 

 

Posted by kicho
글 - 칼럼/단상2013. 9. 10. 12:44

 


로간 교수 연구실 앞에서

 

 

 

 

미국통신 5[로간 교수와의 만남]

 

 

 

현재 OSU 역사학과 학과장으로 있는 로간[Dr. Michael F. Logan] 교수는 외견상 전형적인 카우보이 스타일의 노신사다. 그러나 직접 만나보고 나서야 황야를 주름잡던 카우보이의 활력보다는 아주 온화면서도 부드럽고 생각이 깊으며 카리스마 넘치는 서구 신사의 기풍을 느끼게 되었다. 무엇보다 맘에 든 것은 그가 구사하는 영어가 매우 느리면서도 정확하다는 것. 그래서 누구보다 대화하기 편하다.

 

미국으로 떠나오기 전 한국에서 만난 미국인 교수 크리스 선생이 말하기를 오클라호마는 미국 중남부의 시골이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릿한 그곳 방언을 쓸 것이라고 나를 안심시켰다. 그러나 실제로 그렇지 않았다. 내가 만난 이곳 사람들[주로 대학에 근무하는 직원들이나 학생들]은 얼마나 빠른 속도로 말들을 뱉어내는지 그들의 말을 따라가기가 벅찬 나날이다. 그런 사람들만 만나다가 로간 교수를 만나면서 비로소 편안함을 느끼게 되었고, 상대방을 피곤하게 하거나 편안하게 하는 데 말하는 방식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한국에서도 나는 크리스 선생에게 자주 제발 말 좀 천천히 하라고 다그치곤 했는데, 그는 그런 지적을 받을 때만 좀 천천히 하는 척 하다가 잠시 후에 보면 아스팔트길의 오토바이 달리듯 저 혼자 내빼곤 했다. 그런 성향은 요즘 한국의 젊은이들에게서 자주 목격할 수 있다. 특히 여학생들이 모여 수다 떠는 현장을 보고 듣노라면 우리말도 영어 못지않게 요란스럽다는 느낌을 받는다. 우리말이든 영어든 자꾸만 빨라지게 된 것은 아마도 매사 빠름만을 숭상하는 시대의 산물일 것이다. 어쨌든 말하는 방식으로만 따져도 로간 교수는 매력적인 인물임에 틀림없다.

 

작년 겨울 초청장을 보내온 것을 기점으로 로간 교수와의 접촉은 시작되었다. 내가 보내는 이메일마다 따뜻한 답장을 보내주곤 하던 그의 도타운 자세와 마음이 내 마음을 훈훈하게 했다. 특히 초청장에 담긴 호의는 특별한 면이 있었다. 자기소개서와 이력서, 연구계획서만으로 생면부지의 다른 나라 학자에게 그런 호의를 보여주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사 전공인 로간 교수는 특히 근대 미국의 서부, 도회(都會)지역, 환경 분야 등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런 관심이 학문적으로 승화되어 <<사막 속의 도시들: 피닉스와 투싼의 환경사>>, <<줄어드는 물길: 산타크루즈강의 환경사>>, <<스프롤 현상 (도시 개발이 근접 미개발 지역으로 확산되는 현상)에 대한 투쟁과 시청: 남서부 지역 도시의 성장에 대한 저항>> 등의 주목할 만한 저서들과 <도시 비평으로서의 탐정소설: 변화하는 장르의 인지(認知)>을 비롯한 많은 논문들이 일관되게 도시개발, 환경파괴 등 현대의 문제적 현상들을 역사적 관점에서 다룬 노작들이다. 말하자면 세계 초강대국 미국의 도시화와 환경보존이란 이율배반적 어젠더를 역사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늘 좌우 이념적 대립를 유일한 화두로 안고 끙끙대는 우리나라 역사학자들이 귀감으로 삼아야 할 표본일 수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첫 만남에서 우리는 우리 사이에 큰 공감영역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나는 OSU 역사학과와 영문학과 교수들을 자주 만남으로써 그들로부터 다양한 비전을 얻고자 한다는 뜻을 강하게 피력했고, 그는 내가 그동안 추구해온 문학 연구 상의 역사적 관점을 알고자 했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이곳에 체류하는 동안 이곳 패컬티 멤버들과의 많은 대화를 통해 시대와 지역, 분야를 초월하는 보편지(普遍知)’의 탐구에 매진해 볼 것이다. 내가 굳이 영문과 아닌 역사학과를 선택한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근 로간 교수와의 만남을 통해 바로 그런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Posted by kicho